KR101397055B1 -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55B1
KR101397055B1 KR1020120097023A KR20120097023A KR101397055B1 KR 101397055 B1 KR101397055 B1 KR 101397055B1 KR 1020120097023 A KR1020120097023 A KR 1020120097023A KR 20120097023 A KR20120097023 A KR 20120097023A KR 101397055 B1 KR101397055 B1 KR 10139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unction
electronic device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622A (ko
Inventor
진선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제어방법의 일 예는,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제1 모드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사용할 경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3af 또는 802.3at 표준은, 네트워크 스위칭 장치와, 네트워크 스위칭 장치로부터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POE(Power Over Ethernet) 시스템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IEEE 802.3af 또는 802.3at 표준의 규정에 따르면, 네트워크 스위칭 장치를 전력공급장치(PSE: Power Sourcing Equipment)라 하고, 네트워크 장치를 전자기기(PD: Powered Device)라 한다. 한편, 전자기기는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을 통해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다만, 상술한 표준에 따를 경우에는, POE 시스템 전력공급장치(PSE)의 공급 전력이 정격되어 있어 예를 들어, 상기 공급 전력보다 큰 소비전력을 가진 전자기기(PD)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표준에 의해 규정된 공급 전력 이상의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전자기기(PD)는 POE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표준에 의해 규정된 공급전력을 임의로 증가시키는 것에는 비용이나 기술적인 문제 등 한계가 있는바,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을 제어 예컨대, 소모 전력을 줄여 POE 시스템 또는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이 소모 전력을 제어하는 것은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장애가 될 수 있는바, 소정 경우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POE 시스템이 연결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소모 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제어방법의 일 예는,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에서, 제1 모드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백라이트와 볼륨의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하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즉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임의로 제한, 또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되거나 예상되는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기본 기능만 제공하고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 실행은 임의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실행 또는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이 임의로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전자 기기는,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과 제한되지 않은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식별 가능하도록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자기기에서 POE 기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식별기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기능 신호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에서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단 헤더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제어장치의 일 예는,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기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에서, 제1 모드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백라이트와 볼륨의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하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즉시 제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임의로 제한, 및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되거나 예상되는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기본 기능만 제공하고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 실행은 임의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실행 또는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이 임의로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과 제한되지 않은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식별 가능하도록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자기기에서 POE 기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식별기능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식별기능 신호를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단 헤더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입력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에 POE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자기기에 POE 연결을 감지하여 POE 시스템의 맞춤형 POE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이 큰 전자기기에서도 POE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에서 스마트 TV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장비는 별도의 AC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대부분의 장비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며 전력공급장치를 통해 전력을 관리할 수 있어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OE 기능(Power Over Ethernet function)을 사용 가능한 전자기기(PD)(110)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전자기기(PD)(11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술한 도 1의 전자기기(PD)(11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술한 도 4의 소비전력제어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530)에서 전력공급장치(PSE)(51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일 예,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전자기기(PD: Powered Device or Electronics Device)의 일 예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더욱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또는 게임(game)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kernel)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자유롭게 추가(adding)되거나 삭제(deleting)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OE 기능(Power Over Ethernet function)을 사용 가능한 전자기기(PD)(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전자기기(PD)(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POE 기능 즉, 전력공급장치(PSE: Power Sourcing Equipment)로부터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120)을 통해 전력(power) 또는/및 데이터(data)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IEEE 802.3af 또는 802.3at 표준에 따르면, 이더넷 케이블(120)(ex. UTP cable Cat 5)은, 거리 100M 사용 조건에서 4개의 패어(pairs)를 모두 사용하면, 최대 60W의 전력을 전자기기(PD)(110)에 전달 또는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전송 선로에서 이더넷 케이블(1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과 효율 등을 고려한다면 대략 50W 정도의 전력이 전자기기(PD)(110)에 공급된다고 볼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전자기기(PD)(11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11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디멀티플렉서(Demux)(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을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20)로부터 서비스, 컨텐츠 등을 수신한다.
TCP/IP 매니저(202)는, 전자기기(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전자기기(PD)(11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2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 한다.
디멀티플렉서(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및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디멀티플렉서(205)에서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전자기기(PD)(11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기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된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도 3은 상술한 도 1의 전자기기(PD)(11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110)의 일 예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저장부(3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 제어부(370), 디스플레이부(380), 오디오 출력부(385), 전원공급부(3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구비하여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방송 수신부(3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또는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20)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복조부(3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header)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전자기기(PD)(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가 부가 장치로서 인터페이싱 가능하도록 그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기(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이미지 포함) 신호를 전자기기의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제어부(370)는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자기기(PD)(11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다양한 셋톱-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인접하는 외부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370) 또는 저장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전자기기(3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기(3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자기기(3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는, 저장부(3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340)가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튜너(310),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370)는 디멀티플렉서,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전자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자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전자기기(3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전자기기(3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전자기기(PD)(11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80)는,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전자기기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제어부(3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전자기기(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외부의 전력공급장치(PSE)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부(390)는 상기 전력공급장치(PSE)와 인터페이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3에 도시된 전자기기(PD)(110)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기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1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기기(PD)(11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기기(PD)(11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80)와 오디오 출력부(385)가 제외된 셋톱-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내지 3의 전자기기(PD)(110)는 각각 개별 구성 또는 모듈이나 이는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110)는 필요에 따라 도 2 내지 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제어 시스템은, 전력공급장치(PSE)(410)와 전자기기(430)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PSE)(410)와 전자기기(430)는 이더넷 케이블(42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내 하나의 전력공급장치(PSE)(410)는 예컨대, 이더넷 케이블(42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43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전자기기(PD)(430)는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기기(PD)(430)와 부가장치는 상호 간에 약속된 프로토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 또는/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PSE)(410)는, 이더넷 케이블(420)을 통해 전자기기(PD)(430)와 연결되어 POE 기능으로 전력 또는/및 데이터를 공급 또는/및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장치(PSE)(410)는, 현재 IEEE 802.3af 또는 IEEE 802.3at 규격에서 최대 60W를 공급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기술의 발전, 투자 및 표준 단체 등에 의해 향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다만,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화질 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및 업계의 현실상 전자기기가 소모하는 소비전력은 향후에도 계속하여 증가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반해 규격에서 정의되거나 현실적으로 전력공급장치(PSE)(410)는 바로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하게 전력공급장치(PSE)(410)의 공급 전력만을 키우는 것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비용 등의 문제가 있어 현실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 전자기기(PD)(430)에서 POE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을 통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또는 최소화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소비전력이 큰 전자기기(PD)(430)일지라도 항상 매시간에 최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은 아니므로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POE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전자기기(PD)(430)는 기본 모드로 동작하되, POE 기능 사용시에만 POE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기능 수행이나 전자기기(PD)(430) 이용시 발생 가능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도 4의 소비전력제어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공급장치(PSE)(510)는, 전원공급부(511), 전자기기 접속부(512), 제어부(513), 접속감지부(514) 및 저장부(5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자기기(PD)(530)는, 이더넷 접속부(531), 제어부/처리부(532) 및 부가장치 접속부(5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PD)(530)는, 상기 부가장치 접속부(533)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장치(54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PD)(530)는, 이더넷 케이블(520)을 통해 전력공급장치(PSE)(510)와 연결되면, 전력공급장치(PSE)(510)로부터 소정 크기의 초기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PD)(530)는, 부가장치(540)의 접속 여부에 따라 결정된 필요한 소비전력에 대한 값을 연결된 전력공급장치(PSE)(510)로 전송한다.
부가장치(540)는, 전자기기(PD)(530) 내 부가장치 접속부(532)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PD)(530)와 부가장치(5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부가장치 접속부(532)는 그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PSE)(510)는, 이더넷 케이블(520)에 의해 전자기기(PD)(530)와 접속되면 접속감지부(514)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자기기 접속부(512)로 전달한다. 한편, 접속감지부(514) 내지 전자기기 접속부(512)는, 전자기기(PD)(530)로부터 결정된 소비전력에 대한 값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513) 또는/및 저장부(515)로 전송한다.
제어부(513)는, 이렇게 전송된 전자기기(PD)(530)에서 요구하는 전력에 따라 전원공급부(511)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원을 전자기기(PD)(530)로 공급한다.
상술한 내용이 소비전력제어 시스템 내 전력공급장치(PSE)(510)와 전자기기(PD)(530) 사이에서 POE 기능 수행의 기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PD)(530)가 전력공급장치(PSE)(510)로 요구하는 전력의 양이 전력공급장치(PSE)(510)가 제공 가능한 최대 전력의 범위 내라면 문제가 없으나, 만약 상기 전자기기(PD)(530)가 요구하는 전력의 양 또는 해당 전자기기(PD)(530)의 소비전력이 상기 공급 최대 전력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전자기기(PD)(530)가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수급할 수 없어 기능 수행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PD)(530)에서 전력공급장치(PSE)(51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일 예이다.
예컨대, 여기서, 도 6의 데이터 신호는 도 4의 S, 440으로 입력되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력공급장치(PSE)(510)는, 전자기기(PD)(530)에 필요한 전력 또는/및 데이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S1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전자기기(PD)(530)도 상기 S1 데이터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PD)(530)에서 POE 기능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POE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장치(PSE)(510)에서 S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전자기기(PD)(530)는 전력공급장치(PSE)(510)로부터 S1 데이터 신호뿐만 아니라 POE 기능식별 신호인 S2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S3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뿐만 아니라 POE 기능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장치(PSE)(5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맞게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POE 모드로 전환하여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S3 데이터 신호는, POE 기능식별 신호인 S2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전달을 위한 S1 데이터 신호보다 먼저 수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S3 데이터 신호 내 예컨대, S2 데이터 신호 구간은 헤더(header)라고 하고, S1 데이터 신호 구간은 페이로드(payload) 또는 바디(body)로 명명하고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PD)(530)는 이더넷 접속부(531)를 통해 이더넷 케이블(520)과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전력공급장치(PSE)(510)와의 연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이더넷 접속부(531)는 연결된 이더넷 케이블(520)을 통해 전력공급장치(PSE)(510)으로부터 S3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처리부(532)로 전송한다.
제어부/처리부(532)는, 수신된 S3 데이터 신호로부터 헤더 부분의 S2 데이터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S2 데이터 신호를 먼저 추출하여 전자기기(PD)(530)에서 POE 기능 사용 등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처리부(532)는 수신된 S3 데이터 신호로부터 S1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부 또는 적절하게 처리한다.
한편, 제어부/처리부(5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S2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PD)(530)가 POE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POE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처리부(532)는 POE 모드에 따라 S1 데이터 신호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POE 모드 전환시에 원래 전자기기(PD)(530)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POE 모드라 함은, 기본적으로 전력공급장치(PSE)(510)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처리부(532)는, POE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PD)(530)의 백라이트(backlight)와 볼륨(volume)의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하거나 또는 전자기기(PD)(530)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처리부(532)는 상기 POE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PD)(530)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하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즉시 제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처리부(532)는 상기 POE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PD)(530)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임의로 제한하거나 또는 전자기기(PD)(530)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되거나 예상되는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기본 기능만 제공하고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 실행은 임의로 제한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처리부(532)는 상기 실행 또는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이 임의로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PD)(530)의 화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기기(PD)(530)의 디스플레이가 온 되면(S701), 데이터 입력을 사용하는지 판단한다(S702). S702 단계 판단 결과 데이터 입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AC-DC 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03).
다만, S70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데이터 입력을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POE 기능이 있는지 판단한다(S704).
S704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전자기기(PD)에 POE 기능이 없으면, 외장 POE 파워 스플리터를 사용하고(S705), POE 기능이 있으면 전력공급장치(PSE)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S706).
전자기기(PD)는 전력공급장치(PSE)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 내에 POE 식별 신호가 있는지 판단한다(S707).
S707 단계 판단 결과, 만약 POE 식별 신호가 없으면, S703 단계로 가고, POE 식별 신호가 있으면, POE 식별 신호를 추출하고 전자기기(PD)는 소비전력 제한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POE 모드로 전환한다(S708).
S708 단계에서 POE 모드로 전환하면, 이후에는 POE 동작을 진행한다. 여기서 POE 동작 진행이라 하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원래 전자기기(PD)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고 POE 모드 전환 이후에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전자기기(PD)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에 POE 연결을 감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에 POE 연결을 감지하여 POE 시스템의 맞춤형 소비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이 큰 전자기기에서도 POE를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에서 스마트 TV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장비는 별도의 AC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대부분의 장비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며 전력공급장치를 통해 전력을 관리할 수 있어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디멀티플렉서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20)

  1.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자기기에서 POE 기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식별기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기능 신호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에서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단 헤더에 위치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백라이트와 볼륨의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하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즉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되거나 예상되는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기본 기능만 제공하고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 실행은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또는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이 임의로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과 제한되지 않은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식별 가능하도록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방법.
  10. 삭제
  11.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공급 전력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모드로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환된 제1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기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자기기에서 POE 기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식별기능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력공급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식별기능 신호를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단 헤더로부터 추출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적어도 공급 전력 최대치 이하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백라이트와 볼륨의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하는 현재 실행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전력 최대치를 임의로 즉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가 예상되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소정 범위 이상의 전력 소모되거나 예상되는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 중인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기본 기능만 제공하고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 실행은 임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또는 부가 기능 내지 특수 기능이 임의로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상기 전자기기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과 제한되지 않은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식별 가능하도록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임의로 제한된 기능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제어장치.
  20. 삭제
KR1020120097023A 2012-09-03 2012-09-03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9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23A KR101397055B1 (ko) 2012-09-03 2012-09-03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23A KR101397055B1 (ko) 2012-09-03 2012-09-03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22A KR20140030622A (ko) 2014-03-12
KR101397055B1 true KR101397055B1 (ko) 2014-05-20

Family

ID=5064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023A KR101397055B1 (ko) 2012-09-03 2012-09-03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264A (ko) * 1992-01-07 1993-08-30 기따오까 다까시 전자기기
JPH10222256A (ja) * 1997-02-12 199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090033413A (ko) * 2006-07-25 2009-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소비전력 제어장치, 화상처리장치, 자발광 표시장치,전자기기, 소비전력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10054199A (ko) * 2009-11-17 2011-05-25 (주)텔콤코리아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264A (ko) * 1992-01-07 1993-08-30 기따오까 다까시 전자기기
JPH10222256A (ja) * 1997-02-12 199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090033413A (ko) * 2006-07-25 2009-04-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소비전력 제어장치, 화상처리장치, 자발광 표시장치,전자기기, 소비전력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10054199A (ko) * 2009-11-17 2011-05-25 (주)텔콤코리아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22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182B1 (ko) 영상처리장치, 음성취득장치, 그 음성인식방법 및 음성인식시스템
KR101850719B1 (ko)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2165B1 (ko)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2012011819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EP2469767B1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Reproduction-Takeover Method, and Program
US20130182192A1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20013033A (ko)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316386A (zh) 基于数字电视接收装置的双屏互动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81040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화면 분할 방법
KR101397055B1 (ko)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US202300499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2129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98597A (ko) 디지털 기기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2114612B1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20038740A (ko)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자동 제어 방법
US20150293609A1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ursor thereof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60016341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30238B2 (en) Display device, and infrared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6590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74058A (ko)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및 디바이스 타입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템을 컨트롤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408089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38241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81342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