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885B1 -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885B1
KR101396885B1 KR1020120142199A KR20120142199A KR101396885B1 KR 101396885 B1 KR101396885 B1 KR 101396885B1 KR 1020120142199 A KR1020120142199 A KR 1020120142199A KR 20120142199 A KR20120142199 A KR 20120142199A KR 101396885 B1 KR101396885 B1 KR 10139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ses
block diagram
mode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진
신석훈
정찬호
이은복
박강문
지승도
유용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14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6Circuit design at the analogue level
    • G06F30/367Design verification, e.g. using simulation, simulation program with integrated circuit emphasis [SPICE], direct methods or relaxa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SES(System Entity Structure)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 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는, 임의의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된 임의의 트리 형태의 SES(System Entity Structure)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변환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에 있어서, SES에 대응하여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된 복수의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상기 모델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의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여,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SYSTEM ENTITY STRUCTURE BASED BLOCK-DIAGRAM EDITOR FOR STRUCTURAL MODELING AND EDIT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ES(System Entity Structure)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 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도구는,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를 각 모델링 관점별로 변형한 형태의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점의 모델링은, 대상 모델의 하부 구조를 계층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각 모델 간의 포함 관계와 연결 관계를 블록의 중첩과 연결선으로 표현한다. 또한, UML(Unified Modeling Lanuage) 기반의 모델링 도구들은 객체 지향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클래스 구조와 클래스 간의 관계를 통해 시스템 구조를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SES는 구조적 모델링을 위한 높은 수전의 표현 방법과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SE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ES에 대한 사전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6-0099680호
본 명세서의 목적은, SES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SE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이도 일반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쉽게 제공하는 방법과 상기한 방법을 적용한 도구를 제공하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모델링에 있어 구조적 모델링 방법이 대상 시스템을 구조적 측면에서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하부 모델 간의 계층적 구조와 연결 관계의 정의를 통해 대상 모델을 설계하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SES의 표현 수준과 기능을 활용하는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는, 임의의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된 임의의 트리 형태의 SES(System Entity Structure)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변환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에 있어서, SES에 대응하여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된 복수의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상기 모델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의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여,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모델이 완전할 때,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할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될 때, 상기 SES의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 안에 상기 하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류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는 상기 상위 개체의 분할 관계를 상속받을 때, 상기 SES의 분류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 밖으로 확장된 점선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점선 블록에 'alternative structure of 상위 개체 이름'을 명시하고, 분류 모드에 해당하는 복수의 하위 개체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될 때,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에 '상위개체이름 is multi'를 명시하고, 다중 분할로 선택될 하위 개체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연결 관계에서 출력 개체의 포트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 개체의 포트로 입력됨을 나타낼 때, 상기 SES의 연결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출력 개체에서 상기 입력 개체를 꺾인 화살표로 연결하고, 상기 꺾인 화살표의 시작점에 상기 출력 개체의 포트 이름을 명시하고, 상기 꺾인 화살표의 종료점에 상기 입력 개체의 포트 이름을 명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류 모드 전정(Pruning)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분류 모드로 표현된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상기 하위 개체가 선택되면, 상기 상위 개체의 이름을 '선택한 하위 개체 이름.상위 개체 이름'으로 수정하고, 분류 모드 관계 블록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위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상위 개체를 삭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중 분할 개수만큼 분할 관계의 하위 개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커팅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커팅할 개체가 선택될 때, 새로운 최상위 개체로 상기 선택된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개체의 하부 구조를 복사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재구성의 평탄화(Flattening)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위 개체를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를 상기 상위 개체와 동일한 레벨로 표현할 때, 상기 SES의 재구성의 평탄화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대상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대상 개체의 모든 하위 구조를 상기 대상 개체의 상위 개체로 옮기고, 원래의 상기 대상 개체가 포함하는 연결 관계를 수정하고, 상기 원래의 대상 개체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재구성의 딥프닝(Deepening)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위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위 개체의 하부 구조에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를 표현할 때, 상기 SES의 재구성의 딥프닝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대상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대상 개체와 관련된 새로운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대상 개체를 상기 생성된 개체의 하위 개체로 옮기고, 원래의 상기 대상 개체가 포함하는 연결 관계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은, 임의의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된 임의의 트리 형태의 SES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변환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해당 모델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한 개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 또는 구조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있을 때, 상기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있을 때, 분류 모드 관계의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없고 상기 구조 대안이 없을 때, 상기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 및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하지 않을 때, 상기 개체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 생성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할 때,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모델에 적용하는 과정;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은, SES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상기한 방법을 적용한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SE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이도 쉽게 상기 SES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군사적으로 국방 M&S(Modeling and Simulation)를 위한 모델링 분야의 선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은, 시스템 모델링에 있어 구조적 모델링 방법이 대상 시스템을 구조적 측면에서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하부 모델 간의 계층적 구조와 연결 관계의 정의를 통해 대상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구조적 모델링 방법에 의한 하부 모델들의 수정 및 교환이 용이하고, 컴포넌트 단위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은,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SES의 표현 수준과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SES 기능을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SES의 분할 모드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SES의 분류 모드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SES의 다중 분할 모드를 나타내고, 도 4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SES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고, 도 5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SES의 분류 모드 전정을 나타내고, 도 6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7a는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을 나타내고, 도 7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8a는 SES의 커팅을 나타내고, 도 8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9a는 SES의 재구성을 나타내고, 도 9b는 본 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저장부(100), 제어부(200) 및, 표시부(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는,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트리 형태의 SES의 모드에 포함된 분할 모드, 분류 모드, 다중 분할 모드, 연결 관계, 전정(Pruning), 커팅 및, 재구성 등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또는, 모델)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트리 형태의 SES(System Entity Structure)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하여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SES는, 시스템을 이루는 각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하며, 개체-모드-개체의 반복적 구조를 근거로 계층 구조를 트리 형태로 표현한다.
이러한 상기 SES는, 모델링할 대상 시스템을 구조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정보를 표현하는 온톨로지(ontology)이다. 또한, 상기 SES는, 고유의 기능을 통해 정보의 합성이 가능하며, 구조 결합 및 보정을 통한 체계적인 정보 생성과 교환에 큰 이점이 있다.
상기 SES에서, 개체 간의 모드는, 분할(Decomposition, 'dec', 1중 실선) 모드, 분류(Specialization, 'spec', 2중 실선) 모드, 다중 분할(Multiple-Decomposition, 모드 생략, 3중 실선) 모드의 종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 모드는, 상위 개체가 하위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분류 모드는, 상위 개체의 종류가 하위 개체들의 종류와 같은 경우이다. 이는, 구조가 분류 모드만큼의 대안이 존재함을 나타낸다(또는,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대안은, 실제로 하부 구조가 다르거나, 구조는 같으나 하부 모델들의 속성이 다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다중 분할 모드는, 상위 개체가 중복(1 ~ n개)된 하위 개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또한, 하부 구조가 다른 대안을 의미한다. 또한, 각 개체는, 개체가 갖는 속성을 표현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성은, 트리 구조로 표현된 해당 개체가 갖는 구조 이외의 개체의 특징, 변수, 규칙 및, 행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SES의 주요 기능인 전정(Pruning)은, 구성 요소들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요구 사항에 맞는 특정 대안을 생성한다. 즉, 구조 선택은 요구 사항에 따라 SES에서 특정 구조를 추출해내는 과정이며, 상기 추출 결과로 PES(Pruned Entity Structure)가 생성된다.
또한, 커팅(Cutting)은, 상기 SES의 하부 구조에 독립된 하나의 SES로 관리하는 개념으로, SES의 재사용성을 보장하는 기능이다.
또한, 재구성(Restructuring)은, 상기 SES의 하부 구조에 대하여 평탄화(Flattening)하거나 딥프닝(Deepening)하는 기능이다. 상기 평탄화는, 복잡한 하부 구조를 갖는 개체에 대하여 최하위 개체만을 남기고 중간의 개체들을 삭제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는 과정이며, 본래의 개체가 갖는 연결 관계를 평탄화한 SES에서도 그 의미가 동일하도록 재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딥프닝은, 상기 평탄화와 반대 개념의 기능으로, 여러 개의 하부 구조를 묶는 새로운 하부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본래의 개체가 갖는 연결 관계를 딥프닝한 SES에서도 그 의미가 동일하도록 재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트리 형태의 SES의 모드에 포함된 분할 모드, 분류 모드, 다중 분할 모드, 연결 관계, 전정, 커팅 및, 재구성 등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분할 모드(410)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1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분할 모드(410)는, 개체 A가 개체 B와 개체 C로 형성되고, 상기 개체 B는 개체 B1과 개체 B2로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15)로의 변환은, 상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A 또는, 개체 B)를 나타내는 블록 안에 하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B와 C 또는, 개체 B1과 B2)를 나타내는 블록을 배치하여, 상위 개체가 하위 개체를 포함함을 표현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분할 모드의 포함 관계를 상기 SES의 분할 모드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분류 모드(420)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분류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2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분류 모드(420)는, 개체 A가 개체 B 또는 개체 C의 종류가 있음을 나타내며, 개체 B와 C는 개체 A의 분할 관계를 상속받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분류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25)로의 변환은, 상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A)를 나타내는 블록 밖으로 확장된 점선 블록을 도시하고(또는, 형성하고), 상기 점선 블록에 'alternative structure of 상위 개체 이름'을 명시한 후, 분류 모드에 해당하는 개체 블록(예를 들어, 개체 B 블록과 개체 C 블록)을 추가하여(또는, 배치하여), 상위 개체가 하위 개체의 종류만큼의 대안이 있음을 표현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분류 모드의 대안 구조 관계를 상기 SES의 분류 모드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430)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3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430)는, 개체 Bs가 복수의 B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다중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35)로의 변환은, 상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Bs)를 나타내는 블록에 '상위개체이름 is multi'를 명시한 후, 다중 분할로 선택될 하위 개체 블록(예를 들어, 개체 B 블록)을 추가하여(또는, 배치하여), 상위 개체가 동일한 하위 개체 여러 개로 구성된 대안들이 있음을 표현하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다중 분할 모드의 다중 관계를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연결 관계(440)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연결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4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연결 관계(440)는, 개체 A의 포트(a_in)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개체 C의 포트(ac_in)로 입력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연결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45)로의 변환은, 출력 개체(예를 들어, 개체 A)에서 입력 개체(예를 들어, 개체 C)를 꺾인 화살표로 연결하고, 꺾인 화살표의 시작점에 출력 포트 이름(또는, 출력 개체의 포트 이름), 꺾인 화살표의 종료점에 입력 포트 이름(또는, 입력 개체의 포트 이름)을 명시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연결 관계를 상기 SES의 연결 관계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분류 모드 전정(Pruning)(450)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분류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5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분류 모드 전정(450)은, 선택을 통해 수행되며, 개체 A의 분류 모드 개체 B가 선택되면, 분류 모드를 제거하고, 개체 A의 이름을 B.A로 변경하여 개체 A의 종류가 개체 B로 확장됨을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분류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55)로의 변환은, 분류 모드로 표현된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하위 개체(예를 들어, B is selected)가 선택되면, 상위 개체의 이름을 '선택한 하위 개체 이름.상위개체 이름'으로 수정하고, 분류 모드 관계의 블록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분류 모드 전정을 상기 SES의 분류 모드 전정으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460)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6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460)은, 중첩 개수를 확장하여 형성되며, 개체 Bs의 중첩 개수(예를 들어, n(자연수))를 입력하면, 개체 Bs를 제거하고, 개체 Bs 대신에 중첩된 개수 n(예를 들어, n=3)만큼의 개체 B1부터 개체 Bn까지 서로 구분된 이름으로 변환된 개체 B(예를 들어, B1, B2, B3)를 삽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65)로의 변환은, 상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Bs)가 선택되면, 다중 분할 개수 입력 양식이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개수가 수신되면, 상위 개체는 삭제되고, 그 자리에 '하위개체#' (여기서, 상기 '#'은 번호(또는, 자연수))의 이름으로 상기 수신된 개수만큼 다중으로 분할 관계의 하위 개체(예를 들어, B1, B2, B3)를 생성하여 표현(또는, 표시)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을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으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정의 경우에는, 분류 모드 전정과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의 2 종류로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커팅(cutting)(470)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커팅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7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커팅(470)은, 대상 개체 B를 최상위 개체로 하는 새로운 SES B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때, SES A의 하부 개체 B와, 새로운 SES B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커팅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75)로의 변환은, 커팅할 개체(예를 들어, 개체 B)가 선택되면, 새로운 최상위 개체로 선택된 개체를 생성하고, 이때 상기 선택된 개체의 하부 구조를 복사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커팅을 상기 SES의 커팅으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ES의 재구성(480)을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또는, 재구성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85)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SES의 재구성(480)은, 평탄화(Flattening)와 딥프닝(Deepening)으로 형성하며, 두 기능은 서로 반대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평탄화는, 개체 B가 개체 B1과 B2로 구성되어 있을 때, 개체 B를 제거하고 개체 B1과 B2를 개체 B와 동일한 레벨로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재구성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85)로의 변환은, 대상하는 상위 개체(예를 들어, 개체 B)가 선택되면, 해당 대상 개체의 모든 하위 구조(예를 들어, 개체 B1과 개체 B2)를 상기 대상 개체의 상위 개체로 옮기고, 원래의 대상 개체가 갖고 있는 연결 관계를 의미가 동일하도록 수정한 후, 상기 대상 개체를 삭제한다.
또한, 상기 딥프닝은, 개체 A의 분할 모드에서 개체 B를 생성하고, 상기 개체 B의 분할 관계로 개체 B1과 개체 B2를 이동하여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재구성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485)로의 변환은, 대상하는 개체들(예를 들어, 개체 B1과 B2)이 선택되면 새로운 개체(예를 들어, 개체 B)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개체들을 상기 새로 생성한 개체의 하위 개체로 옮긴 후, 원래의 대상 개체들이 갖고 있던 연결 관계를 의미가 동일하도록 수정한다. 또한,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재구성을 상기 SES의 재구성으로의 변환은, 상기 표현의 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가 실행될 때(또는,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가 실행된 후 새로운 모델 생성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또는, 블록 다이어그램)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없는 경우, 상기 해당 모델에 해당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생성한 개체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 또는 구조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있는 경우,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있는 경우, 분류 모드 관계의 하부 개체(또는, 대안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없고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없는 경우,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또는, 완벽)한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또는, 완벽)한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개체를 선택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한 경우,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의 사용자 조작(또는, 사용자 제어/입력)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한 경우,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분류 모드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입력 화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또는, 입력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모델에 적용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 경우, 상기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없는 경우, 상기 모델에 대한 구조 모델링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SES를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하는 과정 또는, 상기 블록 다이어그램을 상기 SES로 변환하는 과정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SES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상기한 방법을 적용한 도구를 제공하여, SE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이도 쉽게 상기 SES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군사적으로 국방 M&S(Modeling and Simulation)를 위한 모델링 분야의 선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시스템 모델링에 있어 구조적 모델링 방법이 대상 시스템을 구조적 측면에서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하부 모델 간의 계층적 구조와 연결 관계의 정의를 통해 대상 모델을 설계하여, 구조적 모델링 방법에 의한 하부 모델들의 수정 및 교환이 용이하고, 컴포넌트 단위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SES의 표현 수준과 기능을 활용하여, SES 기능을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에 포함된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1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없는 경우, 상기 해당 모델에 해당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한다(S102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생성한 개체를 선택한다(S103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 또는 구조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있는 경우, 개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S1020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1050).
또한,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있는 경우, 분류 모드 관계의 하부 개체(또는, 대안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60).
또한,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없고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없는 경우, 상기 단계들(S1110 단계 내지 S1160 단계)을 반복 수행하여 생성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완전(또는, 완벽)한지 여부를 검토한다.
또한,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단계(S102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구조 모델링을 위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100)에 미리 저장된 상기 임의의 SES에 대응하는 모델이 완전한지 여부를 검토할 수도 있다(S107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개체를 선택하는 단계(S1030 단계)로 복귀한다(S1080).
또한,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한 경우,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의 사용자 조작(또는, 사용자 제어/입력)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를 수신한다(S109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모델에 적용한다(S110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10).
이후,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S111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 경우, 상기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S1090 단계)로 복귀한다(S1120).
또한, 상기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10)는,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S111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없는 경우, 상기 모델에 대한 구조 모델링 과정을 종료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ES가 갖는 계층 구조, 대안 구조 종류, 다중 구조, 속성 및, 연결관계 등의 높은 수준의 구조적 모델링 기능을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상기한 방법을 적용한 도구를 제공하여, SE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이도 쉽게 상기 SES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군사적으로 국방 M&S를 위한 모델링 분야의 선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모델링에 있어 구조적 모델링 방법이 대상 시스템을 구조적 측면에서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하부 모델 간의 계층적 구조와 연결 관계의 정의를 통해 대상 모델을 설계하여, 구조적 모델링 방법에 의한 하부 모델들의 수정 및 교환이 용이하고, 컴포넌트 단위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SES의 표현 수준과 기능을 활용하여, SES 기능을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100: 저장부
200: 제어부 300: 표시부

Claims (14)

  1. 임의의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된 임의의 트리 형태의 SES(System Entity Structure)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변환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에 있어서,
    SES에 대응하여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변환된 복수의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상기 모델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의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여,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할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될 때, 상기 SES의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 안에 상기 하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모델이 완전할 때,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모델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류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는 상기 상위 개체의 분할 관계를 상속받을 때, 상기 SES의 분류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 밖으로 확장된 점선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점선 블록에 'alternative structure of 상위 개체 이름'을 명시하고, 분류 모드에 해당하는 복수의 하위 개체 블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될 때,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상위 개체를 나타내는 블록에 '상위개체이름 is multi'를 명시하고, 다중 분할로 선택될 하위 개체 블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연결 관계에서 출력 개체의 포트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 개체의 포트로 입력됨을 나타낼 때, 상기 SES의 연결 관계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출력 개체에서 상기 입력 개체를 꺾인 화살표로 연결하고, 상기 꺾인 화살표의 시작점에 상기 출력 개체의 포트 이름을 명시하고, 상기 꺾인 화살표의 종료점에 상기 입력 개체의 포트 이름을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분류 모드 전정(Pruning)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기 분류 모드로 표현된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상기 하위 개체가 선택되면, 상기 상위 개체의 이름을 '선택한 하위 개체 이름.상위 개체 이름'으로 수정하고, 분류 모드 관계 블록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다중 분할 모드 전정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상위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상위 개체를 삭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중 분할 개수만큼 분할 관계의 하위 개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커팅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커팅할 개체가 선택될 때, 새로운 최상위 개체로 상기 선택된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개체의 하부 구조를 복사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재구성의 평탄화(Flattening)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위 개체를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를 상기 상위 개체와 동일한 레벨로 표현할 때, 상기 SES의 재구성의 평탄화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대상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대상 개체의 모든 하위 구조를 상기 대상 개체의 상위 개체로 옮기고, 원래의 상기 대상 개체가 포함하는 연결 관계를 수정하고, 상기 원래의 대상 개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ES의 재구성의 딥프닝(Deepening)에서 상위 개체가 복수의 하위 개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위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위 개체의 하부 구조에 상기 복수의 하위 개체를 표현할 때, 상기 SES의 재구성의 딥프닝의 블록 다이어그램 변환을 위해, 대상 개체가 선택될 때, 상기 대상 개체와 관련된 새로운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대상 개체를 상기 생성된 개체의 하위 개체로 옮기고, 원래의 상기 대상 개체가 포함하는 연결 관계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12. 임의의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드로 구성된 임의의 트리 형태의 SES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변환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모델 중에서, 상기 SES에 대응하는 임의의 모델이 없을 때, 해당 모델에 대응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한 개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 또는 구조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있을 때, 상기 개체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구조 대안이 있을 때, 분류 모드 관계의 하부 개체를 추가 생성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된 하부 개체가 없고 상기 구조 대안이 없을 때, 상기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 및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모델이 완전하지 않을 때, 상기 개체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SES에 대응하는 모델 생성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는 단계는,
    상기 SES에 대응하여 생성된 모델이 완전할 때,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생성된 모델에 포함된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모델에 적용하는 과정;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델에 대해 추가로 선택할 대안이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분류 모드의 대안 선택 정보 또는 다중 분할 모드의 선택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 방법.
KR1020120142199A 2012-12-07 2012-12-07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KR10139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99A KR101396885B1 (ko) 2012-12-07 2012-12-07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99A KR101396885B1 (ko) 2012-12-07 2012-12-07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885B1 true KR101396885B1 (ko) 2014-05-19

Family

ID=5089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199A KR101396885B1 (ko) 2012-12-07 2012-12-07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0162A (zh) * 2020-08-18 2020-11-17 北京世冠金洋科技发展有限公司 建模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32931B1 (ko) * 2022-12-16 2023-05-17 주식회사 팀솔루션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07B1 (ko) * 2010-11-30 2011-06-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지식 기반의 객체 명세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장치 및 그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07B1 (ko) * 2010-11-30 2011-06-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지식 기반의 객체 명세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장치 및 그 분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0162A (zh) * 2020-08-18 2020-11-17 北京世冠金洋科技发展有限公司 建模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950162B (zh) * 2020-08-18 2023-09-26 北京世冠金洋科技发展有限公司 建模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32931B1 (ko) * 2022-12-16 2023-05-17 주식회사 팀솔루션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171B1 (ko) 객체 모델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7533453B (zh) 用于生成数据可视化应用的系统和方法
CN102763100B (zh) 用于利用交互式图形接口创建及操纵数据结构的系统和方法
US9087296B2 (en) Navigable semantic network that processes a specification to and uses a set of declaritive statements to produce a semantic network model
US8502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ne graph visualization
CN101313294A (zh) 图形节点的智能复制/粘贴
CN116225429A (zh) 基于拖拽式组件框架的ipage网页式低代码开发平台
US8229735B2 (en) Grammar checker for visualization
Dobesova Visual programming languag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N103744647A (zh) 一种基于工作流GPD的Java工作流开发系统及其方法
Urli et al. A visual support for decomposing complex feature models
Martin et al. A VR-CAD Data Model for Immersive Design: The cRea-VR Proof of Concept
CN106709985A (zh) 一种虚拟祭祀三维场景的生成方法及装置
US10402727B2 (en) Methods for evaluating and simulating data
KR101396885B1 (ko) 구조 모델링을 위한 ses 기반 블록 다이어그램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CN104239212B (zh) 测试用例的查询方法及装置、测试用例的建立方法及装置
Al-areqi et al. Agile workflows for climate impact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ci: grasp platform and the jABC modeling framework
Lago et al. Tool support for traceable product evolution
Schweizer Sumopy: an advanced simulation suite for sumo
Pellegrino et al. Managing and Visualizing Your BIM Data: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computer science for data visualization using Autodesk Dynamo, Revit, and Microsoft Power BI
Yu et al. Semantically enhanced 3D building model reconstruction from terrestrial laser-scanning data
Gaffar et al. User-Centered Design Practices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Elkhaldi et al. Interactive Design Exploration with Alt. Text
JP2012008663A (ja) 思考の過程で対話により知識の構造化、ビジュアル化を支援し、構造化した知識を共有化できる対話型知識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12
KR101872197B1 (ko) 시나리오 작성기 및 시나리오 작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