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64B1 - Water pail - Google Patents

Water p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64B1
KR101396264B1 KR1020130076232A KR20130076232A KR101396264B1 KR 101396264 B1 KR101396264 B1 KR 101396264B1 KR 1020130076232 A KR1020130076232 A KR 1020130076232A KR 20130076232 A KR20130076232 A KR 20130076232A KR 101396264 B1 KR101396264 B1 KR 10139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llar
water
stop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범
Original Assignee
김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범 filed Critical 김철범
Priority to KR102013007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1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dispensing by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ater pai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inking water pail capable of conveniently and easily pouring contents, such as drinking water, stored therein to a container, such as a cup. The water p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on which collars are formed in both edges; a hand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ne or more inle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ne or more cove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s; a pair of supports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having a respective guide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collars is inserted to rotate the body along the outer surface; and one or more roller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s arranged under the body to be rotated to reduce movement resistance for smooth rotation.

Description

음용수용 물통{WATER PAIL}Drinking water receptacle {WATER PAIL}

본 발명은 음용수 등의 액체를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한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에 담긴 음용수 등의 내용물을 컵 등의 용기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을 수 있는 음용수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ater containe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id such as drink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nking water container which can easily and easily pour contents such as drinking water contained in a water container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일반적으로 물, 유류 등의 각종 액체를 담아서 저장 또는 운반하는 용도의 물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의 몸체(10) 상면에 물 등의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아가리(미부호)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아가리를 개폐하는 뚜껑(11)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water reservoir for storing or transporting various liquids such as water, oil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n agar (not shown)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liquid such as water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body 10, And a lid 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gar is provided.

그리고 아가리와 반대쪽 상면에는 몸체(10)에 담긴 물 등의 내용물이 아가리를 통해 나올 때 출렁거림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몸체(10)의 내부와 유통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미부호)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마개(12)가 구비되어 있다.An air inlet (not shown)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contents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dy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without being stretched when the contents come out through the agar And a cap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is provided.

또한, 아가리와 공기유입구 사이의 무게 중심부에는 아가리로 몸체(10)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물통을 운반할 때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들 수 있도록 손잡이(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 handle 13 is integrally formed at a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 agar and the air inlet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10 can be discharged or stably gripped when the water container is transport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물통은 사용자가 몸체(10)에 담긴 물 등의 내용물을 쏟아 부을 때에는 아가리의 뚜껑(11)을 열고 한 손은 손잡이(13)를 잡고 물통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몸체(10)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받치고 내용물이 아가리로 나오도록 서서히 기울이면서 원하는 양만큼 배출될 때까지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user pours the contents such as water contained in the body 10, the conventional water bottle opens the lid 11 of the vagina and one hand holds the handle 13 and lifts the water bott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comfortable posture must be maintained until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ody 10 is supported and the contents are gradually tilted so as to come out as the agar and are discharged by a desired amount.

그뿐만 아니라 물통의 용량이 큰 경우 물 등의 내용물이 가득 채워져 있으면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특히 체력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물통을 든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물통을 기울여서 내용물을 컵 등의 용기에 정확하게 붇기에는 매우 힘들고 어려울 수밖에 없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bucket is large, if the contents of the bucket are full, the weight of the bucket is large. Therefore, a user such as a woman,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having weak physical strength tilts the bucket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bucket with one hand There is a limitation in use which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to accurately put the contents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452호에 개시된 물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된 본체(2)의 상면에는 손잡이(3)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마개(6)로 개폐하는 주입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의 하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밸브(5)가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배수밸브(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용기에 받기 위해서는 물통을 들어올리거나 지면보다 높은 곳에 물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용기를 배수밸브(5)의 아래에 위치시키고 배수밸브(5)를 열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게 마련이다.As shown in FIG. 2, a water bottl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3452 has a handle 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main body 2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drain valve 5 for discharging water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inlet valve 5. In order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valve 5 into the container, Or the container is placed under the drain valve 5 and the drain valve 5 is opened with the bucket being raised above the ground, so that there is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in us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4751호(1994.11.17)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4-0024751 (November 17, 199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324호(2004.11.11)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7324 (November 11, 20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0056365호(2000.09.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0056365 (September 15, 200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82617호(2003.05.0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382617 (2003.05.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57102호(2012.06.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57102 (Jun. 25, 20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785호(2006.09.29)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7785 (September 29, 200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452호(2012.05.18)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3452 (2012.05.1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고려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물 등의 내용물을 컵 등의 용기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을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made intensive efforts to develop a portable water bottle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pouring the contents such as water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with emphasis o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solving the problems, It was invented and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내용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어 낼 수 있도록 하는 물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et for easily and easily pouring the contents.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양측 테두리에 칼라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주둥이와,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몸체를 받쳐주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칼라의 일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대 및 상기 몸체 하부의 상기 받침대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몸체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회전이 원활하도록 운동 저항을 줄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ollar formed on both side edges thereof; a handl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ody;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pout, a guide groov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a guide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collar is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pedestals and at least one roller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pedestal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reduce the movement resistance so that the body rotates smooth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do.

이로써 몸체에 담긴 내용물을 컵 등의 용기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어 마실 수 있다.Thereby,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can be easily and easily pour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칼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정지홈이 다수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정지홈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되면서 상기 몸체의 회전각도를 일정 각도로 조절 및 유지시키는 스톱핀이 구비됨으로써 몸체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op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llar, and the stopper is elastically hooked on the stop groove by a spring elastic force to adjust and maint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body at a certain ang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freely rot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몸체에 그 무게중심을 잡아주어 상기 주둥이가 상방에 위치되는 균형 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됨으로써 몸체가 저절로 세워져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weight is provided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and maintain the balance state in which the mouth is located above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self-standing,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not poured can be maintained.

상기와 같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물 등의 액체를 담는 몸체를 손으로 들지 않고도 받침대와 롤러의 회전 안내작용에 의해 쉽게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체력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도 컵이나 그릇 등에 내용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부어 마실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means and structure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can easily tilt the body for holding the liquid such as water by the rotation guiding action of the pedestal and the roller without lifting it by hand, , The elderly person can greatly increase convenience of use in which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easily poured into a cup or a bow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물통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물통의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ucke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ucke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are to be construed to mean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ations that are commonly or commonly understoo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clarit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actual siz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은 크게 몸체(100), 칼라(110), 손잡이(120), 주둥이(130), 뚜껑(140), 받침대(150), 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3 to 5,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collar 110, a handle 120, a spout 130, a lid 140, a pedestal 150, , And a roller (160).

몸체(100)는 내부에 물 등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ody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for storing liquid such as water.

칼라(110)는 몸체(100)의 양측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표면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정지홈(111)이 다수 배열 형성되어 있다.The collar 110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0, and a plurality of stop grooves 111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collar 110 at regular intervals.

손잡이(120)는 물통을 운반 시나 몸체(100)에 담긴 내용물을 밖으로 부을 때 등에 안정적으로 들 수 있도록 몸체(100)의 상면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handle 1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handle 120 can be stably lifted when the water bottle is transported or when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100 are poured out.

주둥이(130)는 몸체(100) 내로 물을 주입하거나 내부에 담긴 물 등의 내용물이 밖으로 나오는 부분으로 손잡이(120)와 인접한 몸체(100)의 상면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spout 1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djacent to the handle 120 as a portion of the spout 130 that injects water into the body 100 or the contents such as water contained therein.

여기서 주둥이(130)는 손잡이(120)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인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함으로써 몸체(100)의 전후 양방향에서 물 등의 내용물을 손쉽게 부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에 담긴 내용물이 어느 한쪽의 주둥이(130)를 통해 나올 때 다른 한쪽의 주둥이(13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몸체(100)의 내부와 유통되면서 출렁거림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Here, the spouts 130 are formed as a pair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handle 120, so that the contents such as water can be easily poured in bo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dy 100, The outside air can flow smoothly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spouts 130 when the air passes through one of the spouts 130 without being distracted.

뚜껑(140)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주둥이(13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lid 14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pout 130 in a threaded manner.

즉, 주둥이(130)의 외주연과 뚜껑(140)의 내주연 상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암수 나사산이 회전방향에 따라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out 130 an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id 140, male and female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fitted and dismoun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받침대(150)는 몸체(100)를 받쳐서 물통이 지면 등의 바닥에 놓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몸체(10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The pedestal 150 is moun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0 in a pair so as to stably hold the body 100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on the floor such as a floor.

즉, 받침대(150)들은 몸체(10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지면 등의 바닥과의 직접적인 접촉 시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몸체(100)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면 상에 칼라(110)의 일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안내홈(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pedestals 150 prevent the body 100 from moving freely upo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such as the ground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body 100 in a cylindrical shape, and also prevent the body 100 from rotating in the peripheral direction And guide grooves 151 into which a part of the collar 110 is inserted and coupled ar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each other to guide and function.

그리고 받침대(150)에는 칼라(110)의 정지홈(111)에 스프링(152)의 탄성 작용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되면서 몸체(100)의 회전각도를 일정 각도로 조절 및 유지시키는 스톱핀(153)이 구비되어 있다.A stop pin 153 is provided on the pedestal 150 to adjust and maint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body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being elastically hooked on the stop groove 111 of the collar 110 by the elastic action of the spring 152. [ Respectively.

또한, 받침대(150)의 저면에는 이동이나 운반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퀴(미도시)를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a wheel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pedestal 150 in order to ensure ease and convenience of movement and transportation.

여기서 스톱핀(153)은 좌우 한 쌍의 받침대(15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그 중 하나의 스톱핀(153)은 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칼라의 정지홈(111)에 스프링(152)의 탄성 작용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되면서 몸체(100)가 일시에 자유로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도록 마련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스톱핀(153')은 스프링(152) 없이 받침대(150)에 핀구멍(154)을 형성하고 이를 통한 삽입에 따라 칼라의 정지홈(111)과 접촉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운반 시 등에 몸체(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 및 구실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op pin 153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pedestals 150. One of the stop pins 153 is connected to the stop groove 111 of the colla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ody 100, 152 and the other stop pin 153 'can be provided to prevent the body 100 from rotating freely at one time while the other stop pin 153' A pin hole 154 is formed in the stopper groove 150 to caus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stop groove 111 of the collar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of the pin hole 154 to thereby fix the body 100 so that the body 100 is not rotated during transportation, have.

롤러(160)는 몸체(100)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운동 저항을 줄이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몸체(100)의 하부 전후와 좌우 한 쌍의 받침대(150)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roller 160 has a function of reducing the movement resistance so that the body 100 smoothly rotate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rotatable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dy 100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edestals 150. [ Respectively.

즉, 롤러(160)의 양단은 받침대(150)들에 회전 가능하면서 받침대(150)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결합되어 있다.That is, both ends of the roller 16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edestals 150 and are coupled to fix the pedestals 150 to each other.

여기서 롤러(160)와 받침대(150)의 고정 부분에는 롤러(160)를 받침대(150)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롤러(160)의 자중과 롤러(16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롤러(160)가 회전 운동을 할 때 마찰 저항을 작게 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베어링(161)이 구비될 수 있다.
The roller 160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pedestal 150 and the roller 160 is supported on the fixed portion of the roller 160 and the pedestal 150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roller 160 and the load applied to the roller 160, A bearing 161 may be provided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and to smooth the motion when rota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가 받침대(150)와 롤러(160)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결합되어 받침대의 안내홈(150)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이 가능하고, 손잡이(120)와 주둥이(130)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톱핀(153)을 정지홈(111)과 결합하여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한 후 주둥이(130)를 통해 물 등을 주입할 수 있고, 몸체(100)에 담긴 물 등의 내용물을 컵 등의 용기에 부을 때에는 뚜껑(140)을 연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몸체(100)를 회전시켜 주둥이(130)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기울여 손쉽고 간편하게 내용물을 용기에 받을 수 있게 된다.6, the body 100 is supported on and coupled to the pedestal 150 and the roller 16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0 of the pedestal 150, And the stop pin 153 is coupled with the stop groove 111 to fix the stop pin 153 so as not to rotate. Then, the stop pin 153 is fixed to the spout 130, When the contents such as water contained in the body 100 are pour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the body 100 is rotated by holding the handle 120 while the lid 140 is open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easily received in the container by tilting the container 130 downward.

즉, 몸체(100)의 하부는 받침대(1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을 들어올리거나 지면보다 높은 곳에 물통을 올려놓을 필요 없이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인 상태로 기울여 물 등의 내용물을 손쉽게 부어 낼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destal 150, it is not necessary to raise the water bottle or to place the water bottle above the ground, It can be pour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그 무게중심을 잡아주어 주둥이(130)가 저절로 상방에 위치하는 균형 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스 웨이트(170)를 구비함으로써 몸체(100)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상태로 세우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밸런스 웨이트(170)의 평형 작용으로 인해 몸체(100)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7, the balance weight 170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100 so that the spou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body spontaneously, 100 are not poured, and the balanced state of the balance weight 170 makes it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standing state of the body 100.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Variou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즉, 본 발명에서는 물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체를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용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ucket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tainer for storing or transporting a liqui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which i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몸체 110: 칼라
111: 정지홈
120: 손잡이 130: 주둥이
140: 뚜껑 150: 받침대
151: 안내홈 152: 스프링
153: 스톱핀 160: 롤러
161: 베어링 170: 밸런스 웨이트
100: body 110: collar
111: Stop groove
120: handle 130: spout
140: lid 150: pedestal
151: guide groove 152: spring
153: stop pin 160: roller
161: Bearing 170: Balance weight

Claims (3)

삭제delete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칼라;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주둥이;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몸체를 받쳐주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칼라의 일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정지홈이 다수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정지홈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되면서 상기 몸체의 회전각도를 일정 각도로 조절 및 유지시키는 스톱핀이 구비된 물통.
A cylindrical body;
A colla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 handl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body;
At least one spou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nout; And
A pair of pedestal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each hav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collar is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 RTI >
A plurality of stop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llar, and a stop pin is provided on the pedestal so that the stop groove is elastically hooked to the stop groove by a spring elastic force to adjust and maint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의 상기 받침대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몸체가 그 외주연 방향으로 회전이 원활하도록 운동 저항을 줄이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및
상기 몸체의 무게중심을 잡아주어 상기 주둥이가 상방에 위치되는 균형 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스 웨이트;
를 더 포함하는 물통.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roller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pedestal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reduce the movement resistance so that the body rotates smoothly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balance weight for holding a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and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spout is located above the body;
Further comprising:
KR1020130076232A 2013-07-01 2013-07-01 Water pail KR101396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232A KR101396264B1 (en) 2013-07-01 2013-07-01 Water p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232A KR101396264B1 (en) 2013-07-01 2013-07-01 Water p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264B1 true KR101396264B1 (en) 2014-05-29

Family

ID=5089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232A KR101396264B1 (en) 2013-07-01 2013-07-01 Water p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9298A1 (en) * 2003-08-08 2005-02-10 Conrad Sun Bottled water dispenser st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9298A1 (en) * 2003-08-08 2005-02-10 Conrad Sun Bottled water dispenser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20130240551A1 (en) Liquid-dispensing container with single gimbal mechanism
ES2692093T3 (en) Container for handling ice
US20140103042A1 (en) Liquid storage, isolation and dispensing assembly
US7850050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US20050092754A1 (en) Sipper cup with medicine dispenser
KR101396264B1 (en) Water pail
US8875928B1 (en) Soda carbonation retaining apparatus
KR20190000570U (en) Cup with straw
KR200480924Y1 (en) Tumbler cap
US8651319B2 (en) Lid for a container
US20170311741A1 (en) Infuser
JP7228081B2 (en) Multifunctional drinking aid cup
JP2015160126A (en) Cup lid for practice
JP6628162B2 (en) Can body inverted inverted pedestal
KR101801602B1 (en) Contents take device, storage cap and container apparatus having the contents take device and storage cap
CN206120102U (en) Portable thermos
IL262836A (en) Drinking vessel with spillage receptacle
KR20110009627U (en) a
RU2766328C2 (en) Mug
CN210130707U (en) Anti-overflow kettle for dumping
CA2972712A1 (en) Waste receptacle having false bottom
KR20130097610A (en) Water pail
CN207411949U (en) Prevent the cup that cup lid drops
TWM530600U (en) Cup unlikely to turn 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