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735B1 -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 Google Patents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735B1
KR101395735B1 KR1020120105674A KR20120105674A KR101395735B1 KR 101395735 B1 KR101395735 B1 KR 101395735B1 KR 1020120105674 A KR1020120105674 A KR 1020120105674A KR 20120105674 A KR20120105674 A KR 20120105674A KR 101395735 B1 KR101395735 B1 KR 10139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harging
side jack
j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9499A (en
Inventor
정태준
Original Assignee
(주)델피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델피노 filed Critical (주)델피노
Priority to KR102012010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735B1/en
Publication of KR2014003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10)와 도어(20) 사이에 수납 공간(6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60)에 다수의 스마트폰이 배열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1)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은 직립된 상태로 수직면에 고정되며, 도어(20)는 빛을 투과 또는 반투과하는 윈도우(21)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공간(6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바디(10)에는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포트(93)를 어레이로 설치하고,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9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한 바디측 잭(33)과 타 측에는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한 스마트폰측 잭(31)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측 잭(33)과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컬 케이블(32)을 구비하는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는, 상기 바디측 잭(33)의 물리적 규격이 동일하고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의 물리적 규격이 상이한 복수 종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space 60 is formed between a body 10 and a door 20 and a plurality of smart phones are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60, 1, the multi-filling station 1 is fixed to a vertical plane in an upright state, and the door 20 has a window 2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semi-transmitted,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for outputting direct current power for charging the smartphone, and the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 smartphone-side jack 31 detachable from the smartphone. The body-side jack 33 and the smartphone-side jack 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etchable manner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connectors (30) having curled cables (32); Wherein the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physical standards of the body side jacks 33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ody side jacks 33 and that have different physical specifications of the smartphone side jacks 31.

Description

벽걸이형 멀티 충전 스테이션{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0001]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멀티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어레이로 배열하여 수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벽걸이형 멀티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rging station for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multi-charg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 smart phone while arranging smart phones in an array.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갑자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고갈되거나 낮아지는 경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용 충전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용 충전 장치는 분리된 배터리에 대하여 직접 충전을 제공하거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의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When a user using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suddenly becomes exhausted or becomes low, a commercial charging device for providing a charging service is known. Such a commercial charging device provides direct charging for a separate battery or charging service for a cell phone or smartphone with the battery mounted.

그런데, 만약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로만 충전이 가능한 충전 장치이거나, '아이폰'과 같이 아예 스마트폰으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여 충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충전을 위해서는 카운터 등에 스마트폰을 맡겨야 하므로 충전중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적절히 대응할 수 없고, 스마트폰의 충전 상태를 고객이 직접 확인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it is im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by removing the battery from the smartphone at all, such as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only with the battery mounted, or a 'smart phone' such as an 'i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ustomer to directly confirm the state of charge of the smartphone.

이와 같이, 종래 스마트폰의 충전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맡긴 고객이 스마트폰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g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 it is difficult for the customer who has left the smartphone to check the state of the smartphone from a distance.

그리고 종래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로서는, 충전 본체로부터 각 스마트폰의 모델별로 해당하는 충전 케이블이 연장되고 자신의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적절한 충전 케이블을 선택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 charging cable corresponding to each model of each smartphone is extended from the charging main body, and a charging cable is selected and charged in accordance with a model of the smart phone of the user.

그러나, 종래의 충전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충전 수요가 한쪽으로 몰리는 경우 해당 모델 또는 종류의 충전 케이블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충전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충전 규격이 바뀌게 되는 경우 새로운 충전 규격에 맞는 충전 장치를 구입해야 하므로 충전 규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harging apparatus, when the charge demand of the smart phone is moved to on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ge cable of the model or the type is limited, so that it can not cope properl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harging apparatus, when the charging standard of a smartphone is changed, a charging apparatus meeting a new charging standard must be purcha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cope with a change in the charging standard adequately.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not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so that the inventiv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judged based on the recognition based on such recognition I will reveal.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6373, 2010. 5. 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56373, issued on May 7,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07942, 2001. 2. 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07942, February 5, 2001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을 원하는 고객이 스마트폰의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harging station in which a customer who wishes to charge can check the status of a smartphone from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충전 수요에 플렉서블하게 대응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harging station capable of flexibly responding to the charging demand of a smart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충전 규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harging station capable of appropriat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charging standard of a smartphon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은, 바디(10)와 도어(20) 사이에 수납 공간(6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60)에 적어도 2 이상의 스마트폰이 상하로, 좌우로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1)으로서,The multi-filling st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space 6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door 20 and at least two or more smart phones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60 Or a multi-charging station (1) capable of charging the two or more smartphones while being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상기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은 직립된 상태로 수직면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20)는 빛을 투과 또는 반투과하는 윈도우(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6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charging station 1 is fixed to a vertical surface in an upright state and the door 20 has a window 2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trans- ferred, So that the state can be confirm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은, 바디(10)와 도어(20) 사이에 수납 공간(6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60)에 적어도 2 이상의 스마트폰이 상하로, 좌우로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1)으로서,The multi-filling st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space 6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door 20 and at least two or more smart phones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60 Or a multi-charging station (1) capable of charging the two or more smartphones while being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상기 바디(10)에 어레이로 설치되어 적어도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포트(93);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9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한 바디측 잭(33)과 타 측에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한 스마트폰측 잭(31)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측 잭(33)과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컬 케이블(32)을 구비하는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은, 상기 바디측 잭(33)의 물리적 규격이 동일하고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의 물리적 규격이 상이한 복수 종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installed in the body (10) in an array and outputting at least DC power for charging the smartphone; A body side jack (33) detachable to on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at one side and a smartphone side jack (31) detachable to a smartphone at the other side, and the body side jack (33) And a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having curled cables (32) for retractably connecting the smartphone side jacks (31), wherein the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And a plurality of types of physical standards of the smartphone-side jacks 3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멀티 충전 스테이션이 직립되어 수직면에 고정되어 있고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근거리뿐만 아니라 멀티 충전 스테이션과 조금 떨어진 원거리에 있더라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lti-charging station is upright and fixed on a vertical plane and a window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user's own smartphone even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multi-charging sta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전중 스마트폰으로 전화 또는 문자 등이 착신되는 경우에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트폰측 잭의 LED를 볼 수 있으므로 근거리뿐만 아니라 조금 떨어진 원거리에 있더라도 스마트폰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isplay screen of a smartphone is exposed forward, even when a call or a character is received by a smartphone during charging, it can be confirmed, and the LED of the smartphone jack can be view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harging status of the smartphone even if it is located at a distance as well as near distan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체형 커텍터의 스마트폰측 잭을 스마트폰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이격 공간(A)을 이용하여 거치 또는 탈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martphone-side jack of the interchangeable connector can be mounted or dismounted using the spacing space A eve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컬 케이블을 구비한 교체형 커넥터를 이용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충전을 위한 결합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replaceable connector having the curled cable makes it very easy to combine for charging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있지 않은 스마트폰측 잭을 자력으로 바디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교체형 케이블의 일단이 늘어져 미관상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side jack that is not charged with a smartphone is magnetically attached to a body,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one end of the interchangeable cable is stretched and becomes a messy mes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있는 중에도 스마트폰측 잭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스마트폰의 거치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martphone is being charged, the smartphone-side jack has the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martphon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거치 펜스의 뒷면에 자외선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부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reaching the microphone por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by forming an ultraviolet reflection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fen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자외선 램프가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온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적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ltraviolet lamp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martphone can be sterilized and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sterilization is appropriately adjusted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체형 케이블은 임의의 충전포트에 연결해도 됨으로써, 교체형 케이블이 포트 독립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terchangeable cable can be connected to any charging port, so that the interchangeable cable has a port-independent effe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새로운 전기적 충전 규격을 요구하는 스마트폰이 향후 출시되더라도, 교체형 케이블만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현재 운용중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서도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martphone requiring a new electric charging standard i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a charging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a multi-charging station currently in operation by newly adding a replacement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디(10)의 일측에 설치된 자외선램프(80)가 스마트폰(2)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번호표(50)가 바디(10)에 부착되는 상황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커넥터(3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측 잭(31)의 내부 구조와 바디(10)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전기적인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교체형 케이블(30) 중 특정 종류의 교체형 케이블(30)의 전기적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charging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multi-filling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multi-filling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lamp 8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smartphon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umber table 50 is attached to th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replaceable connect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and a part of th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ulti-charging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lectrical schematic diagram of a particular type of interchangeable cable 30 among interchangeable cables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후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ill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rear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은 바디(10)와 도어(20) 사이에 수납 공간(60)을 형성하며, 수납 공간(60)은 대략 직육면체로서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두께가 훨씬 좁은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어(20)를 닫으면 마치 스마트폰의 모양과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The multi-filling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orage space 60 between the body 10 and the door 20, and the storage space 60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door 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uch narrower shape, and when the door 20 is closed, it may look like a smartphone.

수납 공간(60)은 적어도 2 이상의 스마트폰이 상하로, 좌우로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도면상 8대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에 대해서도, 아울러 향후 출시될 스마트폰에 대해서도 쉽게 적응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한다.The storage space 60 provides space for charging the smartphone with at least two or more smartphones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can charge up to eight smartphones in the drawing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apt to various models of smartphones and also to be released in fu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은 직립된 상태로 수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면, 기둥, 가구 등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바디(10)의 뒷면에는 뒷면 커버(100)가 결합하며, 뒷면 커버(100)에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벽면, 기둥, 가구 등에 대하여 못 또는 볼트(미도시)를 설치한 후, 못구멍(101)에 못 또는 볼트의 머리가 걸리도록 하여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을 고정하거나, 벽면, 기둥, 가구 등에 대하여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한 후 뒷면 커버(100)의 브라켓용 홈(102)을 통하여 슬릿(102A)에 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을 고정할 수 있다.The multi-filling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a vertical plane in an upright state. For example, a wall surface, a column, furnitur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3, the rear cover 1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and various structures for fixing the multi-charging station 1 may be formed on the rear cover 100. The multi-filling station 1 may be fixed to a wall surface, a column, a furniture, or the like so that nails or bolts (not shown) are attached to the nail holes 101, The multiple charging station 1 can be fixed by inserting one end of the bracket into the slit 102A through the bracket groove 102 of the back cover 100 after the bracket (not shown) is installed.

도어(20)는 빛을 투과 또는 반투과하는 윈도우(21)을 구비함으로써, 도어(20)를 닫았을 때에도 수납 공간(6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할 것이나, 충전중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거치 펜스(40)의 이격 공간(A)를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며, 스마트폰측 잭(31)의 LED를 통하여 충전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The door 20 includes a window 2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transflected so that the state of the smartphone being charged can be confirmed in the storage space 60 eve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display screen of the charging smart phone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space A of the stationary fence 40 and the charging status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ED of the smartphone jack 31. [

그렇다면, 스마트폰의 충전을 부탁한 고객의 입장에서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이 직립되어 수직면에 고정되어 있고 윈도우(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근거리뿐만 아니라 멀티 충전 스테이션과 조금 떨어진 원거리에 있더라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전중 스마트폰으로 전화 또는 문자 등이 착신되는 경우에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트폰측 잭(31)의 LED를 볼 수 있으므로 근거리뿐만 아니라 조금 떨어진 원거리에 있더라도 스마트폰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a customer requesting charging of the smartphone, since the multi-charging station is fixed upright on the vertical plane and the window (21) is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firmed. Further, since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forwar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splay even when a phone or a character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during charging, and the LED of the smartphone jack 31 can be seen. Even if you are away from a distance, you can check the charging status of your smartphone.

그리고 바디(10)와 도어(20)는 힌지부(70)를 통하여 결합되고, 수납공간(60)에는 거치 펜스(40)가 설치되며, 번호표(50) 및 교체형 케이블(30)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body 10 and the doo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portion 70. The storage space 6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fence 40 and the number plate 50 and the replaceable cable 30 are detachable .

거치 펜스(40)는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10)와 거치 펜스(40) 사이에 스마트폰을 세운 상태로 거치되도록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펜스(40)는 상하로, 좌우로,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되되, 이웃하는 거치 펜스(40) 사이에는 이격 공간(A)이 형성되며, 각각의 스마트폰(2)은 이격 공간(A)을 중심으로 좌우의 거치 펜스(40)에 걸쳐진다.The stationary fence 40 is for mounting a smartphone, and is mount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stationary fence 40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is set up. 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fences 40 are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vertic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ith spacing spaces A being formed between neighboring mounting fences 40, Extend over the left and right mounting fences 40 around the spacing space A. [

따라서, 교체형 커텍터(30)의 스마트폰측 잭(31)을 스마트폰(2)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이격 공간(A)을 이용하여 거치 또는 탈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만약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갖지 않고 이격 공간(A)이 없는 경우에는 스마트폰(2)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측 잭(31)을 스마트폰(2)에 삽입해야 하므로, 삽입이 원할하게 진행될지 않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 공간(A)을 통하여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martphone-side jack 31 of the replaceable connector 30 can be mounted or dismounted using the spacing space A eve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 [ If there is no space A withou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2 must b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2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2 is stationary, There may be inconvenience that does not become. Also,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2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space A.

바디(10)에는 충전포트(93)가 어레이로 설치되어 적어도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직류 전력 및 스마트폰측 잭(31)의 LED(31D)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등을 출력한다. 바디(10)에 어레이로 설치된 충전 포트(93)들은 물리적 규격이 동일하므로, 어떠한 교체형 케넥터(30)도 탈착할 수 있으며, 충전포트(93)는 예를 들면 전화기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RJ11 포트이다.
In the body 10, a charging port 93 is provided as an array to output at least DC power for charging the smartphone and a signal for driving the LED 31D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and the like. Since the charge ports 93 arranged in the body 10 have the same physical specifications, any of the replaceable connectors 30 can be detached and the charge port 93 can be connected to the RJ11 Por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커넥터(3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replaceable connect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체형 커넥터(30)는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9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한 바디측 잭(33)과 타 측에 스마트폰(2)에 탈착 가능한 스마트폰측 잭(31)을 구비하며, 바디측 잭(33)과 스마트폰측 잭(31)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컬 케이블(32)을 구비한다.The replaceable connector 30 has a body side jack 33 detachable to on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on one side and a smartphone side jack 31 detach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smartphone 2 And a curled cable 32 that connects the body side jack 33 and the smartphone side jack 31 in a stretchable manne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은 컬 케이블(32)을 구비한 교체형 커넥터(30)를 이용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충전을 위한 결합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교체형 케이블(30)이 없이 바디(10)에 스마트폰측 잭(31)과 유사한 잭이나 핀이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을 이러한 잭이나 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지 않음을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The multi-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onnection for charging the smartphone is very facilitated by using the replaceable connector 30 having the curled cable 32. [ For example, if a jack or pin similar to the smartphone-side jack 31 is directly coupled to the body 10 without the interchangeable cab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rough experimentation that it is not easy.

교체형 커넥터(30)는, 바디측 잭(33)의 물리적 규격이 동일하고 스마트폰측 잭(31)의 물리적 규격이 상이한 복수 종류를 구비한다. 나아가, 스마트폰측 잭(31)은 자력에 의해서 바디(10)에 부착되어 있다.
The replaceable connector 30 has a plurality of kinds in which the physical size of the body side jack 33 is the same and the physical specifications of the smartphone side jack 31 are different. Furthermore, the smartphone-side jack 31 is attached to the body 10 by a magnetic for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측 잭(31)의 내부 구조와 바디(10)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and a part of th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측 잭(31)은 제 1 자석(31B), 연결핀(31C), PCB(31A), LED(31D) 및 LED 확산부(31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ED(31D)는 하나의 모듈에 두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투컬러 LED일 수 있으며, LED 확산부(31E)를 통하여 스마트폰측 잭(31)의 전방으로 발광된 빛을 발산한다. 연결핀(31C)은 스마트폰과 직접 결합하는 부분이며, PCB는 후술할 충전 기동 회로부(31-1)가 설치되는 기판이 되며, 스마트폰측 잭(31)의 종류에 따라 없는 형태가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종류중 '아이폰'의 충전을 위하여 형성된다.The smartphone side jack 31 may include a first magnet 31B, a connection pin 31C, a PCB 31A, an LED 31D and an LED diffusion portion 31E. The LED 31D may be a two-color LED that includes two LED elements in one module and emits light emitted forward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through the LED diffusion 31E. The connection pin 31C is a part directly coupled to the smartphone. The PCB is a board on which the charge starting circuit 31-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nd has no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For example, it is formed for the charging of 'iPhone' among smart phone kinds.

스마트폰측 잭(31)을 바디(10)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측 잭(31) 및 바디(1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1 자석(31B) 및 제 2 자석(91)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자석(31B) 및 제 2 자석(91) 중 하나는 자석이 아닌 자석의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측 잭(31)이 부착되는 바디(10)에는 단턱(11)을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측 잭(31)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바디(10)에 결합되도록 한다.
A first magnet 31B and a second magnet 91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and the body 10 so that the smartphone-side jack 31 can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body 10 Of course, one of the first magnet 31B and the second magnet 91 may be a metal that reacts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not the magnet. The step 10 is formed on the body 10 to which the smartphone-side jack 31 is attached so that the smartphone-side jack 31 is not slid downward but is more firmly coupled to the body 10.

도 2로 돌아와,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있지 않은 스마트폰측 잭(31)은 자력으로 바디(10)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교체형 케이블(30)의 일단이 늘어져 미관상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2, the smartphone-side jack 31, which is not charged with the smartphone, is attached to the body 10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 problem that the one end of the replaceable cable 30 is stretched to make a cosmetic dirty problem can be solved .

그리고,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있는 중에도 스마트폰측 잭(31)은 자석(31B,91)의 자력에 의해서 스마트폰의 거치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인 '갤럭시1'과 같이 스마트폰에 형성된 충전핀의 위치가 중앙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거치 펜스(40)의 양쪽으로 걸쳐지는 구조이므로 한쪽 거치 펜스(40)를 사용할 수 없거나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서, 거치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으나, 상기한 자력에 의해서 이러한 경우에도 거치가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나아가, 단턱(11)은 바디(11)위에서 스마트트폰측 잭(31)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Even when the smartphone is being charged, the smartphone-side jack 31 has the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martphon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31B and 91. [ In particular, when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pins formed on the smart phone is not centered, such as 'Galaxy 1', which is a smartphone of Samsung Electronics, it is a structure that is sprea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fence 40 when it is shifted to one side. Is not used or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aligned, the mounting may become unstable. However, due to the above-mentioned magnetic force, the mounting becomes more rigid in this case as well. Further, the step 11 prevents the smart phone-side jack 31 from slipping on the body 11. [

그리고, 수납공간(60)에는 2 이상의 스마트폰이 배열되는 위치 또는 이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서 탈착가능하게 번호표(50)가 부착된다. 번호표(50)는 바디(10)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번호표(50)의 표면에는 고유한 번호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storage space 60, a number table 50 is detachably attach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r at a position where two or more smartphones are arranged. The number plate 50 is attached to the body 10 by magnetic force, and a unique number or the like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number plate 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번호표(50)가 바디(10)에 부착되는 상황을 예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umber table 50 is attached to th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번호표(50) 또는 바디(10)의 적어도 일측에는 자석이 형성되며, 도 5에서는 번호표의 내부에 자석(51)이 형성되며, 대응하는 위치의 바디(10)에는 철판(92)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A magne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number table 50 or the body 10 and a magnet 51 is formed inside the number table in FIG. 5 and an iron plate 92 is formed on the body 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Respectively.

도 2로 돌아와, 탈착 가능한 번호표는 스마트폰의 충전을 맡긴 고객에게 교부될 수 있으며, 고객으로서는 충전이 끝난 경우 번호표로써 자신의 스마트폰과 교환을 요구할 수 있다.
Returning to Fig. 2, the removable number table can be issued to the customer who has charged the smartphone, and as a customer,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customer can request exchange of the number with his / her smartphone.

그리고, 바디(1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납공간(60)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80)가 설치된다.
At least one side edge of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lamp 80 for irradiating the storage space 60 with ultraviolet ray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디(10)의 일측에 설치된 자외선램프(80)가 스마트폰(2)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lamp 8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smartphon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거치 펜스(40)의 뒷면에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자외선 반사층(41)이 코팅, 부착 또는 결합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자외선 램프(80)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예를 들어 아크릴로 구성되는 윈도우(21)에 반사될 뿐 만아니라, 거치 펜스(40)의 뒷면에 형성된 자외선 반사층(41)에 의해서도 반사된다.In particular, an ultraviolet reflection layer 41 capable of reflecting ultraviolet rays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fence 40 by a method such as coating, attaching or bonding. The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80 is reflected not only by the window 21 made of acrylic, but also by the ultraviolet reflection layer 4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unting fence 40, for example.

스마트폰(2)에 있어서, 마이크가 형성되는 스마트폰(2)의 전면 하단부가 세균이 가장 번식하기 쉬운 부분이다. 그런데, 거치 펜스(40)로 인해서 이러한 마이크 형성부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양이 대폭 감소할 우려가 있었으나, 거치 펜스(40)의 뒷면에 자외선 반사층(41)을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부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smartphone 2,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2 in which the microphone is formed is the part where the bacteria are most likely to reproduce. However, since the ultraviolet ray reflective layer 4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fence 40, the ultraviolet rays reaching the microphone portion can b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의 전기적인 블럭도이다.8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ulti-charging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충전부(110), 전원부(120), UV 제어및타이머(82) 및 안정기(84)는 바디(10)와 뒷면커버(10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포트(9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 케이블(30)의 바디측 잭(31)과 결합하는 포트이다.
The charging unit 110, the power supply unit 120, the UV control and timer 82 and the ballast 84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back cover 100. The charging port 93 is a port that engages with the body-side jack 31 of the replaceable cable 30, as shown in Figs.

자외선 램프(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바디(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납공간(60)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이며, 안정기(84)는 AC 전력을 공급받아 자외선 램프(80)를 구동한다. UV 제어및타이머(82)는 대용량 충전 모듈(1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자석 센서 또는 리드 스위치(미도시)로부터 도어(20)의 열림 상태에 관한 센싱 신호를 공급받고 자체 타이머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80)의 구동을 담당하는 안정기(84)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도어(20)에는 자석이 설치되며, 이 자석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바디(10)에는 자석 센서 또는 리드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ultraviolet lamp 80 is a lamp that is installed at one side edg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body 10 and emits ultraviolet rays to the storage space 60. The stabilizer 84 is supplied with AC power, . The UV control and timer 82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large capacity charging module 111 and receives a sensing signal related to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20 from a magnet sensor or a reed switch And controls the ballast 84 that is responsible for driving the ultraviolet lamp 80. To this end, for example, a door is provided with a magnet, and a magnet sensor or a reed switch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 is formed.

그리고 자외선 램프(80)는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는 오프되도록 제어되며,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온되도록 제어된다.The ultraviolet lamp 80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when the door 20 is opened, and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door 20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자외선 램프(80)가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온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적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ltraviolet lamp 80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martphone can be sterilized, and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sterilization can be appropriately It is effective.

전원부(120)는 복수의 SMPS(121)를 구비하며, SMPS(121)는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이다. 과전류 방지용 퓨즈를 내장하고, 충전 모듈별로 한개씩의 SMPS(121)를 연결하여 충전 모듈간 이상 동작 혹은 전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향후 소용량 충전 모듈(112)를 없애고 대용량 충전 모듈(111)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SMPS의 추가만으로 전체 용량의 증설이 가능하게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MPSs 121, and the SMPS 121 is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AC power and generates DC power using a switching circuit. The SMPS 121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harging modules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r shortage of power between the charging modules. In the future, the small-capacity charging module 112 is eliminated and the large-capacity charging module 11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otal capacity by adding only the SMPS.

충전부(110)는 전원부(120)에서 공급받은 직류 전력을 각 충전포트(93)별로 분배하며, 대용량 충전모듈(111)은 예를 들면 '갤럭시 노트' 등 대용량 스마트폰을 위하여 예를 들면 1A의 전력을 균일하게 분배하며, 소용량 충전모듈(112)은 충전포트(93)별로 500mA의 전력을 균일하게 분배한다. 그리고 충전부(110)는 각 스마트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회선별로 완충 여부를 체크하는 회로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완충시 발생하는 미세 전압 변동을 체크하여 완충 여부를 확인한다.
The charging unit 110 distribute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each charging port 93. The large capacity charg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each charging port 93. For example, And the small capacity charging module 112 uniformly distributes the power of 500 mA per charging port 93. [ The charging unit 110 includes a circuit for checking the charge state of each smartphone and checking whether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or not. For example, the charging unit 110 checks the variation of the minute voltage generated when the smart phone is charged to check whether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교체형 케이블(30) 중 특정 종류의 교체형 케이블(30)의 전기적 구성도이다.9 is an electrical schematic diagram of a particular type of interchangeable cable 30 among interchangeable cables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D1 및 LED2는 충전부(120)로부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LED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LEDs 1 and 2 are LEDs that emit light by receiving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from the charging unit 120, and may be implemented as one LED module as shown in FIG.

그리고,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에서, 스마트폰측 잭(31)은 스마트폰의 충전을 기동시키기 위한 충전 기동 회로부(31-1)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교체형 케이블(30)에서 충전 기동회로부(31-1)는 스마트폰이 충전을 개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측으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로서, 예를 들면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에 대하여 적용되며, 현재의 '갤럭시폰'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the smartphone-side jack 31 includes a charge starting circuit portion 31-1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smartphone. 9, the charging start circuit 31-1 is a circuit for providing a signal to the smartphone side so that the smartphone can start charging. For example, a smart phone such as 'iPhone' Phone, and it does not apply to the current 'Galaxy phone'.

충전 기동회로부(31-1)의 저항들(R1, R2, R3, R4)은 충전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압을 분압하여 스마트폰에 충전을 개시하는 신호로써 특정핀으로 공급한다.The resistors R1, R2, R3, and R4 of the charging start circuit 31-1 divide the charging voltage provided from the charging unit 120 and supply the charging voltage to the specific pin as a signal to start charging to the smartphone.

종래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서는 충전기가 충전 기동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체형 케이블(30)의 스마트폰측 잭(31)에 충전 기동을 알리는 충전기동회로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충전부(120) 및 충전포트(93)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체형 케이블(30)은 임의의 충전포트(93)에 연결해도 됨으로써, 교체형 케이블(30)은 포트 독립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아이폰'등과 같이 충전 기동회로가 필요한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수요가 많은 경우에는 이에 맞는 교체형 케이블(30)을 더 많이 바디(10)의 충전 포트(93)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충전 수요에 플렉시블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체는 생산자가 실시할 수도 있지만 고객에 대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운용하는 운용자가 실시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새로운 전기적 충전 규격을 요구하는 스마트폰이 향후 출시되더라도, 교체형 케이블(30)만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현재 운용중인 멀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서도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onventionally, in a device for charging a smartphone such as an 'iPhone', a charger includes a charge starting circuit. Howe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side jack 31 of the replaceable cable 30 includes a charging circuit that informs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u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martphone, And the charging port 93 may be u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laceable cable 30 may be connected to any of the charge ports 93, so that the replaceable cable 30 has a port-independent effect. Accordingly, when there is a large demand for charging a smartphone requiring a charging starting circuit such as an 'iPhon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placement cable 30 to the charging port 93 of the body 10, It can cope flexibly. The replacement may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operating the multi-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performed by the manufacturer but provides charging service to the customer. In addition, even if a smartphone requiring a new electric charging standard is introduced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ging service even through a multi-charging station currently in operation by newly adding a replacement cable 30 only.

10 : 바디 20 : 도어
21 : 윈도우 30 : 교체형 케이블
40 : 거치 펜스 50 : 번호표
60 : 수납 공간 70 : 힌지부
80 : 자외선 램프 100 : 뒷면커버
10: Body 20: Door
21: Windows 30: Replaceable cable
40: Fixed Fence 50: Number Table
60: storage space 70: hinge portion
80: UV lamp 100: Rear cover

Claims (8)

바디(10)와 도어(20) 사이에 수납 공간(6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60)에 적어도 2 이상의 스마트폰이 상하로, 좌우로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1)으로서,
상기 바디(10)에 어레이로 설치되어 적어도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포트(93);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93) 중 하나에 탈착 가능한 바디측 잭(33)과 타 측에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한 스마트폰측 잭(31)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측 잭(33)과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컬 케이블(32)을 구비하는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는, 상기 바디측 잭(33)의 물리적 규격이 동일하고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의 물리적 규격이 상이한 복수 종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A storage space 6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door 20 and at least two or more smartphones are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60 so as to be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a multi-charging station (1) capable of charging the above-mentioned smart phone,
A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installed in the body (10) in an array and outputting at least DC power for charging the smartphone;
A body side jack (33) detachable to on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ports (93) at one side and a smartphone side jack (31) detachable to a smartphone at the other side, and the body side jack (33) And a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having a curl cable (32) for expandably connecting the smartphone side jack (31)
Wherein the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have a plurality of types of physical standards of the body side jack (33) being the same and different physical specifications of the smartphone side jack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체형 커넥터(30)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에서,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은 스마트폰의 충전을 기동시키기 위한 충전 기동 회로부(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side jack (31) comprises a charging starting circuit (31-1)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smartphone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placeable connectors (30)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 기동 회로부(31-1)는 충전 전압을 전압 분할하는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2,
The charging start circuit section (31-1)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esistors for voltage dividing the charging volt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측 잭(31)을 상기 바디(10)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측 잭(31) 또는 상기 바디(1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자석(31B, 9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gnet 31B or 91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martphone-side jack 31 or the body 10 so that the smartphone-side jack 31 can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body 10 Features a multi-charging st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중, 상기 자석(31B,91)의 자력에 의해서 스마트폰의 거치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smartphone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31B, 91) during the charging of the smart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충전 스테이션(1)은 직립된 상태로 수직면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20)는 빛을 투과 또는 반투과하는 윈도우(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60)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charging station 1 is fixed to a vertical surface in an upright state and the door 20 has a window 2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trans- ferred, And the state of the multi-charging station is confi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스마트폰이 배열되는 위치 또는 이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서 탈착가능하게 배치되는 번호표(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umber table (50) detachably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r at a position where the two or more smartphones are arranged;
And a multi-charging st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번호표(50)는 상기 바디(10)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number table (50) is attached to the body (10) by magnetic force.
KR1020120105674A 2012-09-24 2012-09-24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KR101395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74A KR101395735B1 (en) 2012-09-24 2012-09-24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74A KR101395735B1 (en) 2012-09-24 2012-09-24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326A Division KR20140040185A (en) 2014-01-06 2014-01-06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99A KR20140039499A (en) 2014-04-02
KR101395735B1 true KR101395735B1 (en) 2014-05-16

Family

ID=5065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674A KR101395735B1 (en) 2012-09-24 2012-09-24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7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70B1 (en) * 2014-12-01 2016-12-26 주식회사 나노렉스 Box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2231896B1 (en) * 2020-11-19 2021-03-25 (주)디스티팩토리 Battery rental device and battery rental system including same
KR102522145B1 (en) * 2021-03-10 2023-04-14 (주)청운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42A (en) * 2000-10-26 2001-02-05 김대익 Vending machine allowing various kinds of portable phones to charged
KR20060017941A (en) * 2004-08-23 2006-02-28 백효정 Sterilizing and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56373B1 (en) * 2009-10-06 2010-05-07 (주)유니트론 Wall embedding type terminal charger
KR20110008527A (en) * 2009-07-20 2011-01-27 임지성 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and steriliz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42A (en) * 2000-10-26 2001-02-05 김대익 Vending machine allowing various kinds of portable phones to charged
KR20060017941A (en) * 2004-08-23 2006-02-28 백효정 Sterilizing and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08527A (en) * 2009-07-20 2011-01-27 임지성 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and sterilizing function
KR100956373B1 (en) * 2009-10-06 2010-05-07 (주)유니트론 Wall embedding type terminal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99A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12956B (en) For the chlorination equip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5355862U (en) Box cell -phone charging station is taken care of to electronics
US20100102777A1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9698613B2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tand
KR101395735B1 (en)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KR20110120378A (en) Multi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141187B1 (en) Concent buit in usb charging module
KR20140040185A (en) Multi charge station of wall mounted type
CN204167574U (en) A kind of drawer type band USB wall socket
KR200394764Y1 (en) Multi-charging assembler for mobile phones
CN216627889U (en) Bathroom cabinet capable of being charged wirelessly
JP2007174823A (en) Charger for mobile phone
CN210112197U (en) Bluetooth wireless sharing system and Bluetooth wireless sharing loudspeaker box thereof
CN205017038U (en) Subassembly charges
CN209389744U (en) Mobile power source and the luminous demonstration equipment of LED
CN207677461U (en) Have the pedestal and display of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209786338U (en) Transfer box with it is multi-functional
CN103618349A (en)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source
KR20210067639A (en) Auxiliary Battery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010007942A (en) Vending machine allowing various kinds of portable phones to charged
KR102522145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JP3237823U (en) Controller charging stand
CN211354346U (en) Desktop display heightening table
KR20130085574A (en) Multi accessory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KR20180136258A (en) Smart type multi-electric char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