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63B1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363B1
KR101395363B1 KR1020130056482A KR20130056482A KR101395363B1 KR 101395363 B1 KR101395363 B1 KR 101395363B1 KR 1020130056482 A KR1020130056482 A KR 1020130056482A KR 20130056482 A KR20130056482 A KR 20130056482A KR 101395363 B1 KR101395363 B1 KR 101395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mage
template
video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철운
김동주
한우진
유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5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3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all terminal for combining a video call image with template content to store a combina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The control method of a video cal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erforming a video call with a terminal of a secondary user while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user,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and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user,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image;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user,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user while performing the video call; combining the template content with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secondary user, and displaying a combination; and storing a photo image, in which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 are combined with one another.

Description

영상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화 단말기,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terminal for storing a video call video in combination with a template content,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화 단말기,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terminal, a control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for storing a video call video in combination with a template content.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음성 통화에 머물던 통신 서비스가 영상 통화를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mmunication service which stayed in the voice call can support the video call.

그러나 이러한 영상 통화는 장소의 제약, 비용, 불필요함 등의 이유로 크게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특히 서로의 얼굴을 보며 통화하는데 큰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유저도 많은 게 사실이다.However, such a video call is not greatly activated due to restrictions on location, cost, and unnecessaryness. Especially, there are many users who do not feel great value for talking to each other.

즉, 영상 통화 그 자체만으로는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큰 요인이 없어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 video call itself is not activated because there is no big factor that attracts users' attention.

따라서 영상 통화와 다른 기능이 결합되어 사용자들에게 재미 또는 만족을 줌과 더불어 영상 통화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의 제시가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it is desired to present a technique for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video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fun or satisfaction to users by combining video call and other functions.

공개특허 10-2009-0010674Patent Document 10-2009-001067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영상 통화시 사용자들에게 재미 또는 만족을 주는 한 방안으로서 특정 템플릿 이미지와 통화 영상이 결합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화 단말기,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ecessit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capturing a picture in which a specific template image and a call video are combined, A call terminal for storing an image in combination with a template content, a control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 모듈과;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대응되는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템플릿 공유부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제2 통화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결합 사진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call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A camera module; A storage unit;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transmitted to a partner terminal, and while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partn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A template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a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call image from a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on the display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template content; And a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for storing a combined picture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 모듈과;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제2 통화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한 결합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결합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합 영상 공유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결합 사진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call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A camera module; A storage unit;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transmitted to a partner terminal, and while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partn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call image from a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with the template content in the templat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 the display unit ; A combined image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for storing a combined picture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대응되는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추출된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ideo call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a camera module to a counterpart terminal, Performing a video call with a partner terminal while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two call video images; Transmitting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ile a video call is being performed;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 the template content and displaying the second call image; And storing a combined photograph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추출된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결합한 결합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call terminal,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a camera module is transmitted to a counter party terminal and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is received from the counter party terminal, ; ≪ / RTI >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ile a video call is being performed;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storing a combined photograph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통화를 하는 중에 소정의 템플릿 콘텐츠가 영상 통화 단말기 간에 공유될 수 있고, 또한 해당 템플릿 콘텐츠와 통화 영상이 서로 결합되어 스틸 사진 이미지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어 영상 통화 당사자들에게 영상 통화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template contents can be shared among video call terminals during a video call, and the template contents and call imag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stored as one image like a still picture ima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n of the video call to the video call parties.

특히, 템플릿 콘텐츠의 투명 영역에 사용자들의 얼굴이 들어오는 경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필요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Particularly, when a user's face enters a transparent area of a template content, the user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stored.

이러한 사용자 편의성 및 재미를 제공함으로써 결국 영상 통화 빈도수를 높여 이동통신사의 통화 수익이 증대될 수 있다.By providing such convenience and fun, the number of video calls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call revenu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통화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영상 통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video cal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video call terminal of FIG. 1,
FIG. 3 and FIG. 4 are flowcharts of control operations of a video call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illustrate exampl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ideo call terminal.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ntir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video call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ntir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first call terminal 100 and a second call terminal 200.

도 1에서 이동통신망에는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 간의 영상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의 기능은 기 공지된 것이므로 편의상 생략하였다.1, at least one server for supporting a video call betwe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it is omitted for convenience.

제1 통화 단말기(100) 및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상호간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등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는 물론이고, 유선랜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유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즉,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상호간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are capable of performing mutual video calls and are connected to a wireless LA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t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That is,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nclude all kinds of terminals capable of performing a video call with each other.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는 반드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만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망 및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호간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can not always perform a video call only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perform mutual video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network and a wired Internet, for examp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기 특히 제1 통화 단말기(100)의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functional blocks of the video call terminal, particularly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화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모듈(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템플릿 공유부(150), 추출부(160), 표시 제어부(170), 결합 사진 생성부(180), 얼굴 인식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camera module 120, a storage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template sharing unit 150, an extraction unit 160, A display control unit 170, a combined photograph generation unit 180, and a face recognition unit 190. [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사용 중에 필용한 각종 정보들이 표시되는 곳으로서, 특히 영상 통화 중에는 통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예를 들어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 입력을 받는 터치패널(미 도시함)과 결합하여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used during use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in particular, a call image can be displayed during a video call. 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low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and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not shown) coupled to a touch panel It is possi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카메라 모듈(120)은 영상 통화를 위한 피사체 촬영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1 통화 단말기(100)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120)을 구성 및 기능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amera module 12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for video call, and can photograph the user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camera module 120 for video communication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저장부(130)는 제1 통화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 또는 제1 통화 단말기(100)의 특정 동작에 따라 실시간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특히 저장부(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is a space in which the application or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or the data gener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stored, At least one template content may be stored.

여기서 템플릿 콘텐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화 영상과 결합하기 위해 준비된 것으로서, 정지 이미지 파일, 또는 동적 이미지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mplate content is prepared for combining with the call image as described later,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ill image file or a dynamic image file.

이러한 템플릿 콘텐츠는 불투명 영역과 복수 개의 투명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불투명 영역은 소정의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영역이고, 투명 영역은 통화 영상이 결합될 영역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세 개의 템플릿 콘텐츠가 나타나 있는데, 이 중 첫 번째 템플릿 콘텐츠에는 두 개의 투명 영역(111,112)과 그 투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불투명 영역(113)이 포함되어 있다. 즉, 투명 영역은 통화 영상과의 결합을 위해 남겨둔 특정 영역에 해당한다.The template content is composed of an opaque region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regions, wherein the opaque region is a reg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the transparent region corresponds to an area to which a call image is to be combined. For example, in FIG. 5B, three template contents selectable by the user are shown. In the first template content, two transparent regions 111 and 112 and an opaqu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the transparent region 113). That is, the transparent area corresponds to a specific area reserved for association with a call image.

여기서 불투명 영역(113)에 해당하는 콘텐츠는 정지 이미지일 수도 있고, 또는 움직이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두 번째 콘텐츠에서 사람의 팔 동작이 고정되지 않고 계속 움직일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paque region 113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or example, in the second content of FIG. 5 (b), the arm movement of a person may move without being fixed.

이러한 템플릿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using such template content will be given later.

저장부(130)는 전원 차단시에도 그 저장된 데이터 등이 보존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130 is preferably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stored data is stor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통신부(140)는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통화 영상(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므로 '제1 통화 영상'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즉,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화 영상(본 실시예에서는 제2 통화 단말기(2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므로 '제2 통화 영상'이라 함)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a call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referred to as 'first call image' since it i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transmits the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the first video call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200 Quot; video "), while performing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s terminal.

얼굴 인식부(190)는 제1 통화 영상과 제2 통화 영상에서 각각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얼굴 인식부(190)는 제1 통화 영상에서는 제1 통화 단말기(100)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게 되고, 제2 통화 영상에서는 제2 통화 단말기(200)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The face recognition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face in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respectively. That is, the face recognition unit 190 recognizes the face of the user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n the first call image and recognizes the face of the user of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n the second call image.

템플릿 공유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대응되는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mplate sharing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partner terminal while the video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being perform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템플릿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콘텐츠의 공유를 위한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templat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template sharing signal for sharing the templat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구체적인 예로써 템플릿 공유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한 후 템플릿 공유 신호에 포함시켜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상대방 단말기 즉, 제2 통화 단말기(200)에 템플릿 콘텐츠가 전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다른 예로써 상대방 단말기에 템플릿 콘텐츠가 이미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템플릿 공유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콘텐츠의 아이디 등이 포함된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As a concrete example, the template sharing unit 150 may extract the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transmit the template sharing signal to the partn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template contents are already stored in the other terminal, the template sharing unit 150 stores the template content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this case, May transmit the template sharing signal including the ID of the templat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partner terminal.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제1 통화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템플릿 콘텐츠가 무엇인지 알게 되고 해당 선택된 템플릿 콘텐츠 제1 통화 단말기(100)와 마찬가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통화 단말기(200)에서 템플릿 콘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은 제1 통화 단말기(100)에서 템플릿 콘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에 대응되므로 제1 통화 단말기(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Accordingly,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knows what template contents are selected i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can display the selected template contents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call terminal 100. The manner in which the template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corresponds to the manner in which the template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omitted.

추출부(16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제2 통화 영상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tracting unit 160 extracts a second call image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표시 제어부(170)는 영상 통화에 따른 통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표시 제어부(170)는 영상 통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표시 제어부(170)는 제1 통화 영상 및 추출부(160)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a ca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call.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may cause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the template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uring the video call. Further,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by the second call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combination with the template content.

특히, 표시 제어부(170)는 템플릿 콘텐츠의 복수 개의 투명 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제1 통화 영상 및 제2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의 불투명 영역의 콘텐츠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템플릿 콘텐츠와 제1 통화 영상 및 제2 통화 영상이 결합한 상태의 예는 도 6(a)에 도시되었다.In particular,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may combine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regions of the template contents with the contents of the opaque regions of the template contents, and display the combined images on the display unit 110. [ An example of the state in which the template content,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are combined is shown in Fig. 6 (a).

결합 사진 생성부(180)는 제1 통화 영상, 제2 통화 영상 및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합 사진 생성부(180)는 표시 제어부(170)에 의해 제1 통화 영상, 제2 통화 영상 및 템플릿 콘텐츠가 모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의 화면을 캡처하여 이미지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combined picture generating unit 180 stores the combined pictur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130. For example, the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180 captures a screen in a state where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ar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 ≪ / RTI >

이때, 결합 사진 생성부(180)는 앞서 설명한 얼굴 인식부(19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과 제2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이 복수 개의 투명 영역 안에 각각 들어와 있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시점의 결합 이미지(즉, 제1 통화 영상, 제2 통화 영상과, 템플릿 콘텐츠의 결합 이미지)를 마치 사진 찍듯이 처리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If the user's face of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user face of the second call image ar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areas, respective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190, (I.e., a combined image of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at a corresponding point in time, and stores the combined image in the storage unit 130 as if it were a photograph.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신호 및 제어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ignals and control flows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 간에는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단계 S1).First, it is assumed that a video call is being performed betwe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1).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템플릿 사진 찍기 메뉴의 선택을 감지하면(단계 S3), 적어도 하나의 템플릿 이미지를 표시한다(단계 S5). 템플릿 사진 찍기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는 도 5(a)에 도시되었고, 총 3 개의 템플릿 이미지가 표시된 예는 도 5(b)에 도시되었다.Wh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detects the selection of the template photographing menu from the user (step S3), it displays at least one template image (step S5). An example of a process of selecting a template photographing menu is shown in Fig. 5 (a), and an example in which a total of three template images are shown is shown in Fig. 5 (b).

이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템플릿 이미지의 선택을 감지하면(단계 S7), 제1 통화 단말기(100)는 그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에 대응되는 템플릿 이미지 공유 요청 신호를 현재 영상 통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 단말기 즉,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9).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lects the template image (step S7), the first call terminal 100 transmits the template image sharing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mplate image to the other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200 (step S9).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통화 단말기(200)에도 제1 통화 단말기(100)에 저장된 것과 같은 템플릿 이미지들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템플릿 이미지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면 된다.It is assumed that the template images stored i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re also stored in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first call terminal 100 may generate a template image sha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unique ID that can specify a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 the template image sharing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템플릿 이미지는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불투명 영역(113)과 통화 영상과의 결합 표시를 위한 투명 영역(111,112)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ncludes transparent regions 111 and 112 for combining display of the opaque region 113 and the call image,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를 표시하고(단계 S11), 마찬가지로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수신된 템플릿 이미지 공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템플릿 이미지를 표시한다(단계 S13).The first call terminal 100 displays the selected template image (step S11), and similarly,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displays the templat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mplate image sharing request signal (step S13).

즉,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에는 제1 통화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일한 템플릿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이다.That is, the same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또한 제1 통화 단말기(100)와 제2 통화 단말기(200)는 표시된 템플릿 이미지 투명 영역에 통화 영상을 결합하여 표시한다(단계 S15, 단계 S17).Also,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combine and display the call image in the displayed template image transparent area (steps S15 and S17).

예를 들어 제1 통화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표시된 템플릿 이미지에 두 개의 투명 영역 즉, 제1 투명 영역과 제2 투명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통화 단말기(100)는 표시되는 템플릿 이미지의 제1 투명 영역에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 통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영상은 템플릿 이미지의 제2 투명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used as a reference, when the displayed template image includes two transparent areas, that is, a first transparent area and a second transparent area, the first call terminal 100 displays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displayed in the first transparent area of the template image and the call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s displayed on the second And is displayed in the transparent area.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제2 통화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통화 단말기(200)는 표시되는 템플릿 이미지의 제2 투명 영역에 제2 통화 단말기(2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1 통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영상은 템플릿 이미지의 제1 투명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The second call terminal 200 displays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n the second transparent area of the displayed template image, And the call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displayed in the first transparent area of the template image.

이처럼 템플릿 이미지의 제1 투명 영역에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통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영상은 템플릿 이미지의 제2 투명 영역에 표시된 상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way,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s displayed in the first transparent area of the template image, and a call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s displayed in the second transparent The state shown in the area is as shown in Fig. 6 (a).

즉, 도 6(a)를 살펴보면 템플릿 이미지의 투명 영역(111,112)에는 영상 통화하고 있는 사람들의 얼굴이 각각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6 (a), it can be seen that the faces of people who are in a video call appear in the transparent regions 111 and 112 of the template image,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도 6(a)와 같이 사용자의 사진 찍기 선택이 감지되면(단계 S19),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진 찍기를 실행하고(단계 S21), 해당 사진을 저장한다(단계 S23).6 (a), the first call terminal 100 executes a picture taking operation (step S21) and stores the picture (step S23) .

이후 제1 통화 단말기(100)는 템플릿 이미지 공유 해제 요청 신호를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S25),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200)는 템플릿 이미지 표시를 해제하고(단계 S29), 마찬가지로 제1 통화 단말기(100)도 템플릿 이미지 표시를 해제한다(단계 S27). 예를 들어 제1 통화 단말기(100) 및 제2 통화 단말기(200)는 다시 영상 통화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call terminal 100 transmits a template image sharing cancell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25), so that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cancels the template image display (step S29 ,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lso releases the template image display (step S27). For example,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may return to the video call screen again.

촬영된 즉, 캡처된 사진은 각종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사진 앨범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 앨범에서 해당 캡처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저장된 캡처하다 사진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aptured image, that is, the captured image may be stored in a photo album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storing various photo images, and the captured photo may be identified in the photo album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s shown in Fig. 6 (b).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신호 및 제어 흐름의 다른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signal and control flow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por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 3 may be omitted or simplified.

우선,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단계 S31)부터 템플릿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단계 S37)은 도 3의 단계 S1 내지 단계 S7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다.First, the process of selecting a template image (step S37) from the process of performing a video call (step S31) is the same as the process from step S1 to step S7 of FIG.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를 직접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S39),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제1 통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템플릿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단계 S43)이 도 3과 차이가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ll terminal 100 directly transmits the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39), and accordingly,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transmits the first call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template im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step S43) differs from that of FIG.

이는 제2 통화 단말기(200)에 미리 템플릿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This assumes that a template image is not stored in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n advance.

또한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를 표시하고(단계 S41) 표시된 템플릿 이미지 투명 영역에 통화 영상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과정(단계 S45)에서, 투명 영역에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단계 S49) 사진 찍기를 실행한다(단계 S51).In additio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displays the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step S41), an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call image in the displayed template image transparent area (step S45) (Step S49), a picture is taken (step S51).

즉, 템플릿 이미지에 제1 투명 영역과 제2 투명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제1 투명 영역에 제1 통화 단말기(100)의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고, 제2 투명 영역에 제2 통화 단말기(200)의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자동으로 사진 찍기를 실행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transparent area and the second transparent area are included in the template image, the first call terminal 100 recognizes the user face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in the first transparent area, Area of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is recognized.

즉, 영상 통화를 할 때 카메라 모듈과 통화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 당사자의 모습이 투명 영역에 나타날 수도 있고, 또는 통화 당사자의 배경이 투명 영역에 나타날 수도 있는데, 투명 영역에 통화 당사자들의 얼굴이 정확히 표시되고 있는 시점에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사진 찍기를 실행하는 것이다. 일 예로 제1 통화 단말기(100)는 일종의 화면 캡처하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a video call is made, the face of the calling party may appear in the transparent area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speaker, or the background of the calling party may appear in the transparent area. The first call terminal 100 executes photographing. For example, the first call terminal 100 can perform a kind of screen capture.

여기서 얼굴 인식 기술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since the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corresponds to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제1 통화 단말기(100)는 템플릿 이미지 제거 요청 신호를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S55),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200)는 템플릿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단계 S59).Thereafter, the first call terminal 100 transmits a template image removal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55),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can delete the template image (step S59) .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통화 단말기(200)에 템플릿 콘텐츠의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이 존재함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템플릿 콘텐츠의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이 제1 통화 단말기(100)에만 구비되고, 제2 통화 단말기(200)는 제1 통화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template contents. However, only the first call terminal 100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template contents,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may perform only a function of receiving a call image from the first call terminal 100. [

이러한 경우의 제1 통화 단말기(100)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단말기(100)의 기능 블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first call terminal 100, that is,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mitted or simplified.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모듈(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결합 영상 공유부(150'), 추출부(160'), 표시 제어부(170'), 결합 사진 생성부(180'), 얼굴 인식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 a camera module 120', a storage unit 130 ', a communication unit 140' An association image sharing unit 150 ', an extraction unit 160', a display control unit 170 ', a combined image generation unit 180', and a face recognition unit 190 '.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모듈(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추출부(160'), 표시 제어부(170'), 결합 사진 생성부(180'), 얼굴 인식부(190')의 기능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Here, the display unit 110 ', the camera module 120', the storage unit 13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extraction unit 160 ',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the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180 ' ), And the function of the face recognizing unit 19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결합 영상 공유부(150')는 표시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된 결합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 즉,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bined image sharing unit 150 'transmits the combined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

즉, 표시 제어부(170')는 통신부(140')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제1 통화 영상 및 추출부(160')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한 결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게 되는데, 결합 영상 공유부(150')는 이러한 표시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된 결합 영상을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first call image to the templat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second call image The combined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7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The combined image sharing unit 150 'displays the combined image combined with the template contents o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단말기(100)과 제2 통화 단말기(200)간의 제어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trol procedure betwe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도 8은 도 3과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도 3의 제1 통화 단말기(100)가 제2 통화 단말기(200)에 템플릿 이미지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단계 S9) 대신에 템플릿 이미지의 투명 영역에 통화 영상이 결합된 결합 영상을 전송하고(단계 S17'),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가 제1 통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결합 영상을 표시한다(단계 S18')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FIG. 8 is almost the same as FIG. 3, except that the first call terminal 100 of FIG. 3 transmits a template image sharing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9) (Step S17 '),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displays the combined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call terminal (step S18').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통화 단말기(200)가 템플릿 이미지의 처리를 위한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does not have to separately perform a function for processing a template imag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단말기(100)과 제2 통화 단말기(200)간의 또 다른 제어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Another control process between the first call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9는 도 4와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도 4의 제1 통화 단말기(100)가 제2 통화 단말기(200)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이미지를 전송하는(단계 S9) 대신에 템플릿 이미지의 투명 영역에 통화 영상이 결합된 결합 영상을 전송하고(단계 S47'), 이에 따라 제2 통화 단말기가 제1 통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결합 영상을 표시한다(단계 S48')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FIG. 9 is almost the same as FIG. 4, except that the first call terminal 100 of FIG. 4 transmits the templ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econd call terminal 200 (Step S9) (Step S47 '), and the second call terminal displays the combined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call terminal (step S48').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computer readable medi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제1 통화 단말기 200 : 제2 통화 단말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카메라 모듈
130 : 저장부 140 : 통신부
150 : 템플릿 공유부 160 : 추출부
170 : 표시 제어부 180 : 결합 사진 생성부
190 : 얼굴 인식부
100: first call terminal 200: second call terminal
110: display unit 120: camera module
130: storage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template sharing unit 160:
170: display control unit 180:
190: Face Recognition Unit

Claims (11)

(a)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b)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대응되는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추출된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
(a) transmitting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a camera module to a counterpart terminal,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Performing a video call;
(b) transmitting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ile a video call is being performed;
(c)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 the template content and displaying the second call image;
(d) storing a combined pictur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템플릿 콘텐츠를 상기 템플릿 공유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b) extracts the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the extracted template content to the partner terminal by including the extracted template content in the template sharing signal.
(a)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b)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추출된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결합한 결합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c) 상기 결합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
(a) transmitting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a camera module to a counterpart terminal,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Performing a video call;
(b)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ile a video call is being performed ;
(c)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 storing a combined pictur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콘텐츠는 불투명 영역과 복수 개의 투명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템플릿 콘텐츠의 복수 개의 투명 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의 불투명 영역의 콘텐츠와 결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template content comprises an opaque region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regions,
Wherein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regions of the template content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opaque region of the template cont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통화 영상과 상기 제2 통화 영상에서 각각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과 상기 제2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영역 안에 각각 들어와 있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시점의 결합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d)
Recognizing a user's face in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respectively;
If the user face of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face of the user of the second call image ar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area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call terminal.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3.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 모듈과;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대응되는 템플릿 공유 신호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템플릿 공유부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제2 통화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결합 사진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A display unit;
A camera module;
A storage unit;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transmitted to a partner terminal, and while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partn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A template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a template shar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a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call image from a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on the display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template content;
And a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for storing, in the storage unit, a combined picture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템플릿 공유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mplate sharing unit extracts the templat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the template sharing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 모듈과;
저장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제1 통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통화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제2 통화 영상이 포함된 제2 영상 통화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 통화 신호에서 제2 통화 영상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템플릿 콘텐츠에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와 결합한 결합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결합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합 영상 공유부와;
상기 제1 통화 영상, 상기 제2 통화 영상 및 상기 템플릿 콘텐츠를 결합한 결합 사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결합 사진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A display unit;
A camera module;
A storage unit;
A first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 video shot through the camera module is transmitted to a partner terminal, and while receiving a second video call signal including a second call video from the partn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cond call image from a second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with the template content in the templat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video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 the display unit ;
A combined image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combined picture generation unit for storing, in the storage unit, a combined picture image combining the first call image, the second call image, and the template contents.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콘텐츠는 불투명 영역과 복수 개의 투명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템플릿 콘텐츠의 복수 개의 투명 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통화 영상 및 상기 제2 통화 영상을 상기 템플릿 콘텐츠의 불투명 영역의 콘텐츠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Wherein the template content comprises an opaque region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regions,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combines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areas of the template contents with the contents of the opaque area of the template contents and displays the combination on the display unit Call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 영상과 상기 제2 통화 영상에서 각각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사진 생성부는 상기 얼굴 인식부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과 상기 제2 통화 영상의 사용자 얼굴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영역 안에 각각 들어와 있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시점의 결합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s face in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second call image, respectively,
When the user face of the first call image and the face of the user of the second call image ar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areas for a preset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And storing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KR1020130056482A 2013-05-20 2013-05-20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395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82A KR101395363B1 (en) 2013-05-20 2013-05-20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82A KR101395363B1 (en) 2013-05-20 2013-05-20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363B1 true KR101395363B1 (en) 2014-05-14

Family

ID=5089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82A KR101395363B1 (en) 2013-05-20 2013-05-20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3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206A (en) * 1992-05-18 1994-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evice for using plural images in common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206A (en) * 1992-05-18 1994-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evice for using plural images in common and it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2005B2 (en) Screen capture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988279B1 (en) Operating Method of User Function based on a Face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78127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ice
CN114710575B (en) Display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20276680A1 (en) Video Call Display Method Applied to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CN110231905B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895861A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20230421900A1 (en) Target User Focus Tracking Photograp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9001330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24575A1 (en) Shooting method and device
CN106023083A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ombined image
CN108920113A (en) Video frame images Method of print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056332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20240086580A1 (en)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4356195B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US10950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udio-visual infor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395363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deo call image and template to sav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6528197B (en) Shooting method and device
CN114780268A (en)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327206A (en) Mess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679511A (e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00000936A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cessing individual information
CN114330403B (en) Graphic cod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EP3937485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2262452A1 (en) Video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