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24B1 - 다리를 가진 식판 - Google Patents
다리를 가진 식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124B1 KR101395124B1 KR1020120087820A KR20120087820A KR101395124B1 KR 101395124 B1 KR101395124 B1 KR 101395124B1 KR 1020120087820 A KR1020120087820 A KR 1020120087820A KR 20120087820 A KR20120087820 A KR 20120087820A KR 101395124 B1 KR101395124 B1 KR 101395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plate
- legs
- body portio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다리를 가지는 식판, 바람직하게는 식판 본체를 기준으로 식판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다리를 회전시켜 접고 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리를 가진 식판이 개시된다. 다리를 식판 본체에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 말단이 결합부로부터 뻗는 방향이 식판 바닥면과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식판 본체와 밀착시킬 수 있고, 다리를 사용하는 상태(편 상태 혹은 세운 상태)에서는 다리를 반대로 회전시켜 다리의 말단이 결합부로부터 뻗는 방향이 식판 바닥면과 대략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음식을 담아 쉽게 가지고 다니면서 다리를 통해 식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디서나 편한 자세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음식을 담아 쉽게 가지고 다니면서 다리를 통해 식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디서나 편한 자세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을 담는 공간이 구획되어 있어서 음식을 보관하거나 개인의 간편한 식기로 이용될 수 있는 식판에 관한 것이다.
식판은 음식을 담는 공간이 몇 개로 구획되어 밥, 국, 반찬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된 간편한 식사 용기이다. 식판의 각 공간에는 직접 음식을 담거나, 다른 용기에 담아 놓게 된다.
통상, 정형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같은 종류의 식판끼리는 겹쳐서 보관할 수 있고 따라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음식을 종류별로 담기 위한 여러 개의 용기의 역할을 식판 하나로 대신할 수 있으며, 음식을 담는 공간의 깊이도 낮아 식기의 세척도 간편하므로 단체 급식의 개인별 식기로 많이 사용하게 된다.
가정이나 탁아시설, 유아용 교육시설에서도 통상의 식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낮은 연령의 아이들이 음식을 먹기 편하게 하고, 식탁을 어지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 재미있는 형상과 인기있는 캐릭터 디자인을 가진 어린이 식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음식을 하나의 그릇에 놓고 같이 먹는 식생활이 바뀌고 있으며, 먹던 음식을 다시 먹는 경우도 줄어들면서 한번에 먹을만큼만 음식을 덜어 개인별로 제공하는 형태의 식사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요인들은 개인이 식판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는 경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족의 구성원 수가 줄어들고 있고, 가족 내에서도 구성원이 모두 한번에 모여 음식을 먹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적은 수의 사람이 같이 식사를 하게 되므로 구성원별로 음식을 먹기 위하여 상을 차리거나 치우기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이런 상황도 개인이 식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음식을 먹는 경우를 늘리고 있다.
그런데, 개인이 식판을 사용하여 음식을 먹을 때, 식판은 하나의 식기 내에 밥과 국과 반찬 등을 함께 담을 수 있으므로 1회 식사에 필요한 대부분의 식기를 대체할 수 있지만,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식판에 주식과 부식들을 그때그때 덜어 먹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일부 음식이 남게 되면 식판을 냉장고에 넣기보다는 남은 음식을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탁에 식판을 놓고 먹는 경우도 많지만 개인이 혼자서 식사를 하게 되는 경우, 장소의 제약을 받을 필요가 덜하므로 식판을 식당의 식탁에 놓기보다는 다른 장소에 식판을 가져가 음식을 먹게 되는데, 식판을 높을 장소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식판을 바닥에 놓고 바닥에 않아 먹는 경우, 아래를 보면서 허리를 다소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여 불편하게 되고, 무릎과 같은 신체에 놓고 먹기에는 놓을 자리가 불안하고, 음식을 쏟거나 흘릴 위험도 많다.
물론, 방 바닥에 상을 펴거나 탁자를 준비하고 그 위에 식판을 놓을 수도 있지만, 탁자나 상을 준비하는 것 자체가 번거로운 일이 된다. 따라서, 기존에 식판이 가진 장점을 모두 누리면서 한편으로 식판을 가지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편한 자세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식판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식판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쉽게 가지고 다니면서 편한 자세로 식판에 담긴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식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판은 다리를 가지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식판 본체를 기준으로 식판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다리를 회전시켜 접고 펼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식판에서 다리는 스스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3개 이상 통상 4개가 구비되며, 재질은 식판 본체의 재질과 같거나, 더 강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식판 본체를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면 다리도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고, 식판 본체를 합성수지로 형성하면 다리는 합성수지나 이보다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리를 식판 본체에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 말단이 결합부로부터 뻗는 방향이 식판 바닥면과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식판 본체와 밀착시킬 수 있고, 다리를 사용하는 상태(편 상태 혹은 세운 상태)에서는 다리를 반대로 회전시켜 다리의 말단이 결합부로부터 뻗는 방향이 식판 바닥면과 대략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다리와 다리 사이의 수평 거리는 다리가 식판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쪽이 바닥과 접하는 말단부 쪽에 비해 더 짧도록 하면 즉, 다리가 아래쪽으로 가면서 더 넓게 벌어지도록 하면 다리 사용시 식판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판의 다리는 식판 본체와의 결합부에서 단순히 회전시켜 접을 수 있을 뿐 아니라, 2단 이상 복수의 단으로 형성하여 양쪽에서 가운데 쪽으로 힘을 주어 누르면 내측단이 외측단 속의 공간으로 들어가 포개지면서(겹쳐지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양쪽으로 힘을주어 뽑으면 겹쳐진 내측단이 외측단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와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식판에는 식판 위쪽을 덮어서 음식물이 담기는 홈 공간을 닫을 수 있는 밀폐 뚜껑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음식을 담아 쉽게 가지고 다니면서 다리를 통해 식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디서나 편한 자세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 식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에서 AA'선을 따라 잘랐을 때 식판본체와 다리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부분,
도3은 도1의 실시예에서 다리를 접어 식판 본체에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 식판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리 형태, 다리 및 식판 본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리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도1의 실시예의 식판 위쪽에 캡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실시예에서 AA'선을 따라 잘랐을 때 식판본체와 다리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부분,
도3은 도1의 실시예에서 다리를 접어 식판 본체에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 식판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리 형태, 다리 및 식판 본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리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도1의 실시예의 식판 위쪽에 캡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판의 본체(10)는 통상의 식판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평편한 금속 판에 몇 군데의 오목한 홈(13)을 형성하여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구분된 공간을 이룬다. 홈과 홈 사이의 상대적으로 볼록한 부분이 홈(13)이 이루는 오목한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구분된다.
홈(13)이 형성되지 않은 식판 본체(10)의 주변부는 오목한 홈(13)이 형성된 부분에서 주변부 쪽으로 연장된 플랜지(15)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사용자가 식판을 들 때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식판 본체(10)가 이루는 직사각형의 짧은 두 대변 부분에서 플랜지(15) 끝단의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은 그 내측에 파이프형 공간(17)을 형성하고 있고, 이 파이프형 공간(17) 부분에는 각각 ㄷ자형 봉체(20)의 가운데 부분(23)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위치에서 봉체(20)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해 조금 작게 형성되며, 파이프형 공간을 만드는 플랜지의 끝단 부분의 내면과 접하지만 그 내면과의 사이에 조금 틈을 가져 마찰을 일으키면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봉체(20) 가운데 부분(23)이 파이프형 공간(17)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 봉체(20)를 회전시키면 ㄷ자형 봉체(20)의 나머지 부분을 이루는 평행한 두 부분은 본원 발명 식판 본체(10)와 평행한 위치에 올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식판 본체(10)가 이루는 평면과 대략 수직한 위치에서 식판 본체(10)의 2 다리(21)를 이룰 수 있다.
ㄷ 자형 봉체(20)는 식판 본체(10) 하나에 두 개가 결합되므로 다리(21)는 모두 4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식판 본체(10) 부분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4 모서리에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4개의 다리(21)가 식판 본체(10)를 지지하여 다리로서 기능하는 회전위치에서, 도2와 같이 식판 본체를 장변 방향과 평행한 평면에 의해 수직으로 자른 단면에서 볼 때, 파이프형 공간(17)을 이루는 플랜지(15) 끝단의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 가운데 일부를 도면상의 C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하고, 그에 접하는 봉체 부분도 도면상의 C'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봉체(20)를 파이프형 공간(17) 내에서 회전시킬 때 봉체 부분의 평평한 면(C')과 파이프 공간(17)을 이루는 내면 가운데 평평하게 형성된 면(C)이 정합되는 위치에 오면 봉체 단면에서 곡선 부분과 평평한 직선 부분이 만나는 곳이 턱으로 작용하여 봉체(20)가 회전을 하기 어려운 다소 안정적인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식판 다리(21)를 세운 상태에서 식판 본체(10)와 평행한 평면 방향의 외력이 일부 작용하는 경우에도 봉체(20)는 회전하기 어려워 식판은 안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이런 경우, 식판 다리를 세워서 이용하는 중에 식판이 외력을 받더라도 다리가 이 외력에 의해 식판 본체(10)를 기준으로 쉽게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식판이 기울어지거나 엎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위치에서 식판 본체(10)와 봉체(20)가 서로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15) 끝단의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은 일종의 스프링과 같이 탄력을 가지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봉체(20)에서 식판 다리(21)를 이루는 부분을 잡고 힘을 주어 봉체(20)를 회전시키면 턱 위치에서 봉체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식판 플랜지(15) 말단이 변형되어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이 다소 펼쳐지면서 이 부분이 만드는 파이프형 공간(17)은 커지게 되고 봉체(20)는 턱부분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판 다리(21)를 세워서 사용한 뒤에는 다리(21)를 잡고 봉체(20)를 파이프형 공간(17) 내에서 힘을 주어 회전시킬 수 있고, 식판 본체(10)에 다리(21)를 밀착시켜 식판 전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소지나 이동,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2에서 보면 다리(21)와 식판 본체(10)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가 넘어 둔각을 이루고 있다. 다른 다리도 대칭적으로 설치된다면 다리(21)를 세운 상태에서 식판 본체(10)와 둔각을 이루게 되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두 다리를 가정하면 이들 다리와 다리 사이의 수평 거리는 다리가 식판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쪽이 바닥과 접하는 말단부 쪽에 비해 더 짧게 된다. 즉, 다리가 아래쪽으로 가면서 더 넓게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런 구성을 이용하면 다리가 식판과 단순 수직을 이루는 경우와 비교할 때, 식판에 수평한 외력이 작용한다면 다리를 포함하여 식판 전체가 그 힘에 의해 바닥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질 수는 있지만 식판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회전하기는 어렵게 되므로 식판의 음식을 쏟거나 엎을 염려는 줄어들게 된다.
도3은 봉체(20)를 회전시켜 다리(21)를 식판 본체(10)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렇게 다리(21)가 접힌 상태에서 다리가 안정적으로 식판 본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다리 말단의 고무캡(25)으로 감싼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식판 본체(10) 저면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다리 말단의 고무캡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다리(21)가 접힌 상태에서 다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서는 앞서도 살펴보듯이 도2와 같은 다리를 이루는 ㄷ자형 봉체(20)의 가운데 부분(23)과 파이프형 공간을 이루는 플랜지 끝단 부분 사이의 마찰력이 있으므로 이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다리가 세워진 상태에서 이루는 도2와 같은 안정 상태를 하나 더 만드는 방법도 있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식판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두 단변에 있는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형 공간을 ㄷ 자형 봉체(rod:20)의 가운데 부분(23)이 채우고 있고, ㄷ 자형 봉체(20)의 마주 보는 두 평행한 부분이 도3 실시예에서 두 개의 다리(21)를 형성하고 있으나, 도4의 실시예에서는 ㄷ 자형 봉체(20) 대신에 두 개의 ㄱ 자형 봉체(120)를 사용하고 있다. ㄱ 자형 봉체(120)의 수평 부분(123)은 수직 부분에 비해 짧고 식판 본체(10)의 파이프형 공간 부분의 일부만 채우게 되며, 수직 부분은 외관상 드러나는 식판 다리(121)를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4의 실시예에서는 외관상 도3의 실시예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지만 각 식판 다리(121)는 도3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연동됨에 비해 별개로 움직이게 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다리(221, 221')와 식판 본체(10) 부분의 결합부만 본다면 도4의 실시예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단, 같은 파이프형 공간을 이루는 플랜지 끝단의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 171')과 결합하는 두 다리(221, 221')의 끝단 부분은 두 다리와 일체를 이루는 연결부(225, 225')로 이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도5의 실시예에서는 도3의 실시예와 같이 같은 파이프형 공간을 이루는 플랜지 끝단의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 171')에 결합하는 두 다리(221, 221')가 항상 같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 다리의 말단이 연결부(225, 225')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다리가 외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다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식판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단, 두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25, 225')가 도5와 같이 접혀 식판 본체(10)와 접하는 상태에서 식판 본체(10) 중간에 형성된 홈을 이루는 부분과 닿으면 이들 부분 때문에 식판 본체(10)의 홈(1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밀착되기 어렵고 완전히 접힌 상태를 이룰 수 없으므로 접힌 상태에서의 식판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런 경우, 식판 복수 개를 콤팩트하게 겹쳐서 부피를 줄이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사이의 연결부(225, 255')는 접힌 상태에서 홈(13) 부분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힌 상태에서 다리(221)와 다리(221')가 겹치지 않도록 도5에서 나타나듯이 같은 연결부(225, 225')에 의해 연결되는 두 다리(221, 221') 사이의 폭을 다르게 하여 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두 다리가 다른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두 다리 사이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에서 파이프형 공간을 이루는 플랜지 끝단 동그랗게 말린 부분(171)에 다리의 수평으로 절곡된 부분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식판 본체(10)와 다리는 경첩(hinge)이나, 캠핑용 테이블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여러가지 결합수단을 통해 간단히 접고 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리가 세워진 상태에서 안정된 안정 상태를 이루고, 쉽게 다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2의 구성과 다른 여러가지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다른 구성들은 조립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여러 간이 가구에서 보여지는 걸림턱, 일측이 다리 중간에 결합되고 타측이 식판 본체에 결합되어 다리가 식판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자체의 한정된 길이로 인하여 다리가 더 회전하여 벌어지는 것을 막는 보조걸이용 막대나 끈, 보조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기구 구성에서 잘 알려진 것들이므로 여기서는 특별히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6은 앞서의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봉체와 다른 구조의 봉체(320)를 형성하는 수평부(323) 및 다리(321)를 나타내고 있다. 다리(321)는 2단 이상 복수의 단(여기서는 2단)으로 형성되어 양쪽 단부에서 가운데 쪽으로 힘을 주어 누르면 내측단(3213)이 외측단(3211) 속의 공간으로 들어가 포개지면서(겹쳐지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양쪽으로 힘을 주어 뽑으면 겹쳐진 내측단(3213)이 외측단(3211)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와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런 구성은 접는 우산이나, 카메라 삼각대의 다리, 차량 안테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내측단(3211)이 완전히 외측단(321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내측단(3213)에는 외측으로 뻗은 플랜지부(3213')가 외측단(3211)에는 내측으로 뻗은 플랜지부(3211')가 서로 걸리는 턱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내측단과 외측단을 이루는 파이프는 잘 휘어지지 않는 형태, 직경, 벽체 두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긴 다리를 펼쳐서 이용할 때에도 식판이 안정되기 위해 바람직하다. 가령, 원형보다는 각형으로 하고, 직경이나 두께도 가능하면 크게 하고, 재질도 탄성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잘 부러지지 않는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다리(321)가 일단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다리를 이루는 내측단 파이프와 외측단 파이프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파이프들이 다시 겹쳐지는 것을 어느 정도 저지하게 된다. 도6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내측단 파이프의 일부 벽체에 형성된 볼록부가 외측단 파이프 벽체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홈이나 홀 부분에 걸쳐져 턱으로 작용하도록 하면 파이프들이 쉽게 다시 겹쳐지는 것을 막아 다리를 사용할 때 식판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7에서는 식판 위쪽을 덮어서 음식물이 담기는 홈(13) 공간을 닫을 수 있는 밀폐 뚜껑(30)이 식판 본체(10)에 더 결합되어 있다.
식판 본체(1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뚜껑은 내부의 음식물을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이 될 수 있는 합성수지가 적합하다. 뚜껑의 주변부에 있는 탄성 있는 턱부분(31)이 본체 주변부와 결합하여 본체에 고정되며, 액상의 음식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식판 본체(10)의 주변부와 닿는 부분에는 고무나 우레탄폼과 같이 밀폐성이 우수한 패킹재료가 뚜껑(3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식판의 뚜껑(30)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구조와 재질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식판은 다리를 접어서 식판 본체에 밀착시키면 식판 전체의 두께나 부피의 증가도 거의 없게 되므로 식판을 음식을 담은 채로 뚜껑으로 덮어 냉장고에 넣어 쉽게 보관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식판도 상하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 식사를 하기 위해 음식을 차릴 때에도 선반이나 냉장고에서 간단히 꺼내어 원하는 장소로 가서 다리를 세우거나 다리를 세우지 않은 채로 식탁에 얹어 식사를 할 수 있다.
음식을 모두 먹거나 일부 음식을 버리고 세척을 할 때에도 다리를 접어 식판 몸체에 붙이면 설거지에서 걸리적거리는 부분도 없으므로 일반 식판과 거의 비슷하게 편리한 설거지를 할 수 있고, 특히 다리를 금속봉으로 만들면 물에 넣거나 불에 놓고 가열할 때에도 다른 식기에 비해 추가되는 제약이 없다.
특히 캠핑이나 야외 행사에서 다리를 접으면 두께도 적어 다른 식판과 같이 식판끼리 겹쳐서 보관,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식사를 할 때에는 다리를 세워서 마치 종래의 상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다리를 도6과 같이 여러 단을 겹치도록 형성하면 다리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처럼 의자 앞에 놓고 의자에 앉아 식사를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3; 홈
15: 플랜지 17: 파이프평 공간
20, 120, 320: 봉체 21, 121, 221, 221', 321: 다리
25: 고무캡 30: 뚜껑
15: 플랜지 17: 파이프평 공간
20, 120, 320: 봉체 21, 121, 221, 221', 321: 다리
25: 고무캡 30: 뚜껑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음식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분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판형의 본체 부분과
놓이는 바닥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분의 저면을 이격시킬 수 있는 다리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다리 부분은 상기 다리 부분을 상기 본체 부분에 결합시키고 있는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 부분에 밀착된 접힌 상태와 상기 본체 부분의 저면을 상기 바닥에서 이격시킨 편 상태 혹은 세운 상태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과의 관계에서 상기 세운 상태에서 상기 다리 부분의 회전이 어렵게 되는 안정 상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부분는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며,
상기 직사각형의 서로 대응하는 두 변에는 주변부 끝단이 동그랗게 말려서 파이프형 공간을 이루고,
봉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다리 부분 가운데 일부인 수평부가 상기 파이프형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를 이루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파이프형 공간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리 부분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부분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본체 부분에 근접되며,
상기 주변부 끝단 가운데 일부인 평평부는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운 상태에서 상기 평평부에 맞닿는 상기 봉체의 표면 일 부분도 평평하게 이루어져 상기 안정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를 가진 식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부분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식판 부분으로부터 회전하여 이루는 각도가 상기 안정 상태에서 둔각을 이루어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의 양단에 있는 두 다리는 상기 세운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를 가진 식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부분은 복수의 단으로 형성하여 양단에서 가운데 쪽으로 힘을 주어 누르면 상기 복수의 단 가운데 내측단이 외측단 속의 공간으로 들어가 포개지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양쪽으로 힘을 주어 뽑으면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를 가진 식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7820A KR101395124B1 (ko) | 2012-08-10 | 2012-08-10 | 다리를 가진 식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7820A KR101395124B1 (ko) | 2012-08-10 | 2012-08-10 | 다리를 가진 식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1375A KR20140021375A (ko) | 2014-02-20 |
KR101395124B1 true KR101395124B1 (ko) | 2014-05-27 |
Family
ID=5026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7820A KR101395124B1 (ko) | 2012-08-10 | 2012-08-10 | 다리를 가진 식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1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9585B1 (ko) | 2015-06-15 | 2016-08-19 | 변재선 | 접이식 식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7396B1 (ko) | 2015-03-25 | 2016-09-19 | 이준혁 | 식판용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 |
KR101668223B1 (ko) * | 2015-06-18 | 2016-10-21 | 주식회사 리움 | 일회용 식판 |
KR102577936B1 (ko) * | 2022-08-09 | 2023-09-14 | 주식회사 포프베베 | 유아용 식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927Y1 (ko) | 2002-11-19 | 2003-03-31 | 장창국 | 접시 |
JP3171413U (ja) * | 2011-08-19 | 2011-10-27 | 小野 正博 | 多機能皿 |
KR101089688B1 (ko) * | 2008-11-10 | 2011-12-07 | 중앙알칸(주) |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 |
-
2012
- 2012-08-10 KR KR1020120087820A patent/KR101395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927Y1 (ko) | 2002-11-19 | 2003-03-31 | 장창국 | 접시 |
KR101089688B1 (ko) * | 2008-11-10 | 2011-12-07 | 중앙알칸(주) |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 |
JP3171413U (ja) * | 2011-08-19 | 2011-10-27 | 小野 正博 | 多機能皿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9585B1 (ko) | 2015-06-15 | 2016-08-19 | 변재선 | 접이식 식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1375A (ko) | 2014-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102013007688A2 (pt) | Recipiente colapsável e método de produzir um recipiente colapsável | |
US8544390B1 (en) | Lazy susan device with snap fit top and base | |
ES2297329T3 (es) | Recipiente plegable. | |
KR101395124B1 (ko) | 다리를 가진 식판 | |
US10617213B2 (en) | Folding storage stool | |
JP2014104346A (ja) | 食べ物及び飲み物用容器 | |
JP2020500623A (ja) | 強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コップ | |
US20140175103A1 (en) | Wearable bowl for cup | |
US20150150393A1 (en) | Article Holder | |
KR200475341Y1 (ko) | 야외 테이블 | |
US20140312659A1 (en) | Chair with cold protection hand pockets | |
KR200466532Y1 (ko) | 휴대용 컵 | |
US20080251654A1 (en) | Support structure for a limp bag | |
WO2017035339A1 (en) | Protective cov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KR200450595Y1 (ko) | 다기능 회전식 용기 | |
CA2950252A1 (en) |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 |
KR101005917B1 (ko) | 반합 | |
KR200453628Y1 (ko) |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 |
JP7291447B2 (ja) | 容器保持具 | |
US20120145865A1 (en) | Pot and utensil rest | |
US20160058222A1 (en) | Food plate with retaining strap | |
KR101219486B1 (ko) | 야외용 접이식 탁자 | |
KR101790170B1 (ko) | 주방용기 받침대 | |
KR100753111B1 (ko) |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 |
KR101508102B1 (ko) | 욕조 겸용 야외용 다용도 테이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