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625B1 -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 Google Patents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625B1
KR101393625B1 KR1020120136248A KR20120136248A KR101393625B1 KR 101393625 B1 KR101393625 B1 KR 101393625B1 KR 1020120136248 A KR1020120136248 A KR 1020120136248A KR 20120136248 A KR20120136248 A KR 20120136248A KR 101393625 B1 KR101393625 B1 KR 10139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in
lock
key hea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강
윤혁준
한솔
박관선
Original Assignee
김유강
박관선
한솔
윤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강, 박관선, 한솔, 윤혁준 filed Critical 김유강
Priority to KR102012013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2Key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st operation was locking or unlock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the locked state of a door by installing a lock confirmation unit on a key head, thereby increasing a crime prevention effect.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emotional stability by relieving anxiety caused by not confirming a locking device when a person leaves a place.

Description

문 잠금 확인용 열쇠{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본 발명은 열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문 잠금 확인용 열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for confirming a door lock so as to confirm a door lock state.

일반적으로, 귀중한 물건을 보관하는 금고나 일반 가정의 출입문 및 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자물쇠는 위,아래쪽이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자물쇠에 대응하는 열쇠를 임의의 어느 한쪽으로 끼워 넣고 돌릴 경우 잠금장치가 작동하게 된다.Generally, locks used for safes for storing valuables, doors of general households, automobiles, etc., are made upside down symmetrically, so that wh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lock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locks, The device will operate.

상기 자물쇠에 열쇠를 넣고 통상 오른쪽 방향으로 돌리면 열쇠와 자물쇠의 홈이 톱니바퀴처럼 짝을 이루면서 자물쇠가 잠기게 된다.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 and normally turned to the right, the key and the groove of the lock are locked like a cogwheel.

자물쇠를 열쇠로 잠그는 도중에 열쇠 머리를 잡아서 당기게 되면 상기 열쇠가 자물쇠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끝까지 열쇠를 돌려 자물쇠를 잠그고 난 후 잡아서 당길 경우 열쇠를 자물쇠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key is held while the lock is locked with the key, the key is not separated from the lock. When the lock is locked to the end and then pulled, the key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

이와 다르게, 열쇠를 잠그고 난 후 다시 왼쪽으로 돌려 원래 위치에서 잡아서 당길 경우 열쇠를 자물쇠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you can lock the key and then turn it to the left again to detach the key from the lock if you pull it from its original position.

반대로 자물쇠를 여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가능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lock is opened, it is possible to turn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하지만, 자물쇠의 잠금이나 열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문의 손잡이 부분을 잡아당겨 보거나 돌리는 방법으로 확인해야 하며 이와 같은 확인 과정 말고는 눈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it is necessary to pull or pull the knob of the door to check whether the lock has been opened or closed.

특히, 외출시에 열쇠를 자물쇠 구멍에 넣어 자물쇠를 잠근 경우라 하더라도 얼마간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잊어버리는 예가 많아 외출 중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되돌아가 재확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욱이 자물쇠를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귀중품의 도난 등을 걱정하는 정신적인 불안감을 야기한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lock is locked by putting the key in the lock hole at the time of going o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lock is forgotten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Therefore, If you go out for a long time without unlocking, it causes mental anxiety to worry about theft of valuables.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68023호(2003.08.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68023 (Aug. 19, 20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쇠 머리에 간단하게 잠금 확인수단을 설치하여 문의 잠금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for easily confirming a locking state of a door by simply installing a locking confirmation means on a ke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 잠금 확인용 열쇠는, 자물쇠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를 개폐하는 열쇠 레버와, 손잡이 부분인 열쇠 머리를 포함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열쇠 머리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측 임의의 한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oor lock check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lever inserted into a lock hole to open and close the lock, and a key head as a handle portion, And an operation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key head and slidab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partially protruding in any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열쇠 머리의 대응하는 경계면에 접촉하여, 열쇠 머리에 대한 작동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so as to limit movement of the actuating pin relative to the key head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interface surface of the key head.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구와, 상기 작동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ing pin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a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ing pi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sion.

상기 작동핀의 그 양측에 작동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한 면이 상기 열쇠 머리의 일측 경계면에 접촉시 열쇠 머리의 타측 경계면 외부로 맞은편 플랜지가 돌출되도록 작동핀의 길이가 상기 열쇠 머리의 폭보다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ctuating pi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tuating pin, the stopper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The length of the actuating pin is formed to be twice or more the width of the key head so that the flange opposite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interface of the key head is protruded.

상기 요홈의 개구면은, 상기 스톱퍼의 돌출구가 요홈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reces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ss.

상기 작동핀에는 잠금 상태나 해정 상태를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ration pins are formed with display portions of different colors so as to indicate the lock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상기 표시부는, 문자, 그림 또는 도형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by being represented by a character, a figure, or a figure.

상기 돌출구와 접하는 핀삽입공의 테두리에는 원호형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arc-shaped chamfer is formed on the rim of the pin insertion hol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문 잠금 확인용 열쇠에 의하면, 열쇠 머리에 잠금 확인수단을 설치하여 문의 잠금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방범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외출시 잠금장치의 미확인으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oor lock confirma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lock confirmation means is provided on the key hea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lock state of the door,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effect. Thereby relieving anxiety and obtaining an emotion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 잠금 확인용 열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 잠금 확인용 열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lock confirma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or lock confirma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이하, 도 1 내지 도 3c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1 to 3C.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쇠(K)는 번호 열쇠와 전기적 장치를 장착한 열쇠를 제외한 열쇠로서, 상기 열쇠(K)는 크게 자물쇠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를 개폐하는 열쇠 레버(100)와, 손잡이 부분인 열쇠 머리(200)로 나누어진다. 1 and 2, a key 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ey except a key in which a number key and an electric device are mounted, and the key K is largely inserted into a lock hole, And a key head 200 as a handle portion.

상기 열쇠 레버(100)는 자물쇠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통상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특정 형상의 절개홈(120)이 형성되어 있다.The key lever 100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Usually,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key lever 10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10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has a cu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열쇠 머리(200)는 납작한 판 형상으로, 일측에는 줄이나 열쇠고리 등을 매달 수 있도록 걸이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key head 200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hook hole 210 is formed at one side to hang a string or a key ring.

이와 같이 형성된 통상의 열쇠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공(210)의 인접한 부근에 핀삽입공(20)이 형성되고, 상기 핀삽입공(20)에는 열쇠 머리(20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동핀(10)이 삽입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n insertion hole 2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ooking hole 210, and the pin insertion hole 20 is provided with a key- The operation pin 10 is insert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operation pin 10.

이때, 후술하는 돌출구(31)와 접하는 상기 핀삽입공(20)의 테두리에는 원호형 모따기(21)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n arc-shaped chamfer (21)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1)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작동핀(10)의 설치 위치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열쇠(K)의 열쇠 머리(200)를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이 상기 작동핀(10)을 손쉽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user holds the key 200 of the key K by using the thumb and forefinger, the thumb and the forefinger can easily move the operation pin 10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pressed.

상기 작동핀(10)은 양측에 작동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1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열쇠 머리(200)로부터 작동핀(1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actuating pin 10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flange 1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ctuating pin 10 so that the actuating pin 10 is not released from the key head 200.

특히, 상기 플랜지(11)의 외측면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접촉하는 면으로 그 접촉면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1 is preferably a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humb of the user, and the contact surface thereof is formed to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핀(10)의 수직 단면은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형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actuating fin 10 has a circular structu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동핀(10)은 상기 열쇠 머리(200)의 핀삽입공(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측의 임의의 한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 가능하게 된다.The operation pin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slide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of the key head 200 and can be partially protruded in any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여기서, 상기 열쇠 머리(200)에 대한 작동핀(10)의 돌출 방향은 상기 자물쇠의 잠금 상태 및 해정 상태와 관련이 있다.Here,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10 with respect to the key head 200 is related to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lock.

예컨대, 사용자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열쇠(K)를 쥔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자물쇠의 잠김 방향)으로 돌리게 될 경우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상기 작동핀(10)을 밀게 되므로 열쇠(K)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작동핀(10)이 돌출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the key K in the right direction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 while holding the key K by using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right hand, the thumb of the right hand pushes the operation pin 10, The operation pin 10 protrudes in a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 (K).

반대로 사용자가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열쇠(K)를 쥔 상태에서 왼쪽 방향(자물쇠의 해정 방향)으로 돌리게 될 경우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상기 작동핀(10)을 밀게 되므로 열쇠(K)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왼쪽 방향)으로 작동핀(10)이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urns the key K in the left direction (the direction of unlocking the lock) while holding the key K using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left hand, the thumb of the left hand pushes the operation pin 10, The operation pin 10 protrudes in a direction (left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10.

물론, 오른손으로 열쇠(K)를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으로 각각 돌릴 수도 있다.Of course, the key K can be turned rightward and leftward with the right hand,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열쇠 머리(200)에 대한 작동핀(10)의 돌출 방향에 따라 자물쇠의 잠금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lock is lock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10 with respect to the key head 200.

이때, 사용자는 잠그고자 하는 자물쇠의 잠김 방향과 해정 방향을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At this time, the user should recognize in advance the locking direction and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 to be locked.

이와 같이 상기 열쇠 머리(200)에 대해 작동핀(10)이 좌,우측의 임의의 한 방향으로 돌출시 사용자는 추후 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작동핀(10)의 돌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야 한다. When the operation pin 10 protrudes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key head 200, the user maintains the projecting state of the operation pin 10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the lock state of the lock shall.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핀(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쇠 머리(200)에 형성된 핀삽입공(20)의 폭방향을 따라 작동핀(10)이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작동핀(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톱퍼(30)가 돌출 형성된다. The operation pin 1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pin 10 so that the operation pin 10 can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maximally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formed in the key head 200, The stopper 30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10.

따라서, 상기 열쇠 머리(200)의 대응하는 경계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스톱퍼(30)가 돌출되므로 작동핀(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stopper 30 protrudes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interface of the key head 200,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pin 10 is restricted.

여기서, 상기 스톱퍼(30)는 상기 작동핀(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 형상의 돌출구(31)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stopper 30 includes a spherical protrusion 3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ing pin 10.

특히, 상기 돌출구(31)가 상기 핀삽입공(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내주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완충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핀(10)의 외주면에는 요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5)에는 돌출구(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protrusion 31 is mov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and a groove 2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pin 10 so that the protrusion 31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elastically buffer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elastic member 33 formed of a compres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sion 31 is provided in the groove 25.

즉, 상기 작동핀(10)이 상기 핀삽입공(20)을 따라 이동 시 상기 스톱퍼(30)의 돌출구(31)는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핀삽입공(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핀(10)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쪽 맞은편 플랜지(11)가 열쇠 머리(200)의 경계면에 접촉할 경우 상기 스톱퍼(30)의 돌출구(31)가 핀삽입공(20)을 벗어나 탄성적으로 인장되면서 열쇠 머리(200)의 맞은편 경계면에 접촉함으로써 작동핀(10)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actuating pin 10 moves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the protrusion 31 of the stopper 30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mov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The protrusion 31 of the stopper 30 is moved out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when the opposite flange 11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10 contacts the interface of the key head 200. [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pin 10 is restricted by contacting the opposite face of the key head 200 while being sexually stretched.

이때, 상기 스톱퍼(30)는 작동핀(10)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랜지(11)의 한 면이 상기 열쇠 머리(200)의 일측 경계면에 접촉시 열쇠 머리(200)의 타측 경계면 외부로 맞은편 플랜지(11)가 돌출되도록 작동핀(10)의 길이(T)가 상기 열쇠 머리(200)의 폭(t)보다 대략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topper 30 is preferably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operation pin 10, and when one side of the flange 11 contacts one side surface of the key head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T of the actuating pin 10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wice or more than the width t of the key head 200 so that the flange 11 op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interface protrudes.

또한, 상기 요홈(25)의 개구면은, 상기 스톱퍼(30)의 돌출구(31)가 요홈(25)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구(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구(31)의 상측 일부만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surface of the recess 25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31 so that the protrusion 31 of the stopper 30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ss 25, It is preferable that only a part thereof protrudes.

한편, 상기 핀삽입공(20)에 대해 작동핀(10)의 양측 노출 부위에는 잠금 상태나 해정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40)가 형성되는바, 상기 잠금 상태나 해정 상태를 나타내는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거나 잠금 상태나 해정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그림 또는 도형 형태로 표시되어 있어, 상기 작동핀(10)의 돌출 방향의 확인 없이 표시된 색상 또는 문자를 통해 자물쇠의 잠금 상태를 신속하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exposed portions of the pin 10 with respect to the pin insertion hole 20, a display unit 40 indicating a locked state or a unlocked state is formed, and different colors indicating the lock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are displayed Or locked or unlocked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nfirm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through the displayed color or characters without confirmi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10.

본 발명에 따른 문 잠금 확인용 열쇠의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door lock confirma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3A to 3C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먼저, 문을 잠그기 위하여 열쇠(K)의 열쇠 레버(100)를 자물쇠 구멍에 삽입하고, 정회전(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이하에서는 이를 정회전이라 칭함)을 시키게 되면 자물쇠가 잠겨지게 된다.First, in order to lock the door, the key lever 100 of the key K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and the lock is locked when the lock key is rotated forw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mal rotation) do.

이때,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상기 열쇠 머리(200)의 작동핀(10)은 상기 열쇠 레버(100)의 정회전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핀삽입공(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집게손가락쪽으로 돌출된다. At this time, by the thumb of the right hand, the operation pin 10 of the key head 200 slides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of the key lever 100, Respectively.

동시에, 상기 작동핀(10)과 함께 상기 핀삽입공(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스톱퍼(30)가 핀삽입공(20)을 벗어나 탄성적으로 인장되면서 작동핀(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30, which is slid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in 10, is elastically stretched out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in 10 do.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열쇠(K)를 자물쇠로부터 인출하게 되는바, 상기 스톱퍼(30)에 의해 상기 작동핀(10)의 잠금 표시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로 인출된다.In this state, the user pulls the key K out of the lock, and the lock pin of the operation pin 10 is pulled out by the stopper 30.

따라서, 상기 열쇠(K)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문을 잠그고 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문의 잠금 상태가 의심되는 경우 색상이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열쇠(K)의 잠금 상태를 보면 즉시 잠금을 확인할 수 있고, 만일 잠금 상태가 아닌, 열쇠(K)의 해정 상태로 표시될 경우는 부주의로 문을 잠그지 않고 나온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즉시 돌아가서 문을 잠그면 된다.Accordingly, since the key K is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if a user suspects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has been locked for a considerable time after locking the door, And if it is displayed in the unlocked state of the key (K) other than the unlocked stat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oor has been inadvertently unlocked, so turn it back and lock the door immediately.

상기한 잠금 상태에서 귀가하여 열쇠(K)의 열쇠 레버(100)를 자물쇠 구멍에 삽입하고, 반대 방향으로 돌려 문을 열 경우 전술한 작동의 반대 작동이 이루어진다.When the key lever 100 of the key K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and the door is opened by turn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즉, 상기 열쇠 레버(100)를 자물쇠 구멍에 삽입하고, 역회전(상기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자물쇠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임)을 시키게 되면 자물쇠가 해정된다.That is, when the key lever 100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and is caused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the lock is unlocked.

이때, 왼손의 엄지손가락이나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에 의해 상기 열쇠 머리(200)의 작동핀(10)은 상기 열쇠 레버(100)의 역회전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핀삽입공(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pin 10 of the key head 200 is slid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key lever 100 by the thumb of the left hand or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And is protruded.

동시에, 상기 작동핀(10)과 함께 상기 핀삽입공(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스톱퍼(30)가 핀삽입공(20)을 벗어나 탄성적으로 인장되면서 작동핀(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30, which is slid along the pin insertion hole 2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pin 10, is elastically stretched out of the pin insertion hole 2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in 10 do.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열쇠(K)를 자물쇠로부터 인출하게 되는바, 상기 스톱퍼(30)에 의해 상기 작동핀(10)의 해정 표시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로 인출된다.In this state, the user takes out the key K from the lock, and the stopper 30 pulls out the state in which the unlocking indication of the operation pin 10 is retained.

이때, 열쇠(K)에는 해정 상태가 특정 색상이나 문자 등으로 표시된다. At this time, the key K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or character.

한편, 열쇠를 잠그거나 해정할 때 사용하는 손이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습관에 대응하여 열쇠의 잠금상태와 해정상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and used to lock or unlock a key may be different from user to user,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key in response to a user's habi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작동핀 11 : 플랜지
20 : 핀삽입공 21 : 모따기
25 : 요홈 30 : 스톱퍼
31 : 돌출구 33 : 탄성부재
40 : 표시부
10: Operation pin 11: Flange
20: pin insertion hole 21: chamfer
25: groove 30: stopper
31: projecting portion 33: elastic member
40:

Claims (8)

자물쇠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를 개폐하는 열쇠 레버와, 손잡이 부분인 열쇠 머리를 포함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에 있어서,
상기 열쇠 머리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측 임의의 한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작동핀을 포함하며,
상기 열쇠 머리의 대응하는 경계면에 접촉하여, 열쇠 머리에 대한 상기 작동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A key for a door lock check comprising a key lever inserted into a lock hole to open and close the lock and a key head as a handle portion,
A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key head and slidable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insertion hole and partially protruding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rotru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so as to limit movement of the actuating pin relative to the key head in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interface surface of the key head Key for locking confi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구와,
상기 작동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A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tuating pin,
And a resilient member provided on a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pi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의 그 양측에 작동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한 면이 상기 열쇠 머리의 일측 경계면에 접촉시 열쇠 머리의 타측 경계면 외부로 맞은편 플랜지가 돌출되도록 작동핀의 길이가 상기 열쇠 머리의 폭보다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of claim 3,
A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ctuating pi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tuating pin,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actuating pin is formed to be twice or more as wide as the width of the key head so that a flange facing one surface of the flange protrudes outside the other side interface of the key head when the flange contacts one surface of the key head. Key for locking confi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개구면은, 상기 스톱퍼의 돌출구가 요홈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ning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에는 잠금 상태나 해정 상태를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operation pins are formed with display portions of different colors so as to indicate the lock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문자, 그림 또는 도형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in a character, figure or fig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와 접하는 핀삽입공의 테두리에는 원호형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 확인용 열쇠.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rc-shaped chamfer is formed on a rim of the pin insertion hol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KR1020120136248A 2012-11-28 2012-11-28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KR101393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48A KR101393625B1 (en) 2012-11-28 2012-11-28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48A KR101393625B1 (en) 2012-11-28 2012-11-28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625B1 true KR101393625B1 (en) 2014-05-09

Family

ID=5089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248A KR101393625B1 (en) 2012-11-28 2012-11-28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25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045B2 (en) Dual-lock type padlock having double reminding function
KR102475979B1 (en) Window locking device with lock display function
US9708833B2 (en) Swivel lock system with manual override
US20060243005A1 (en) Padlock with fully integrated dual locking systems
US20060272368A1 (en) Dual locking device
US8274788B2 (en) Locking mechanism and portable computer utilizing the same
JP2010168882A (en) Cylinder lock protection device
US8659910B2 (en) Lock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93625B1 (en) Key for door lock confirmation
JP2010248818A (en) Zipper lock
WO2011051991A1 (en) Device for signalling the opening or closing condition of a lock
US20080178649A1 (en) Lock with indicator and multiple key-operable core
TWI373549B (en) Combination lock
JP5022055B2 (en) Compound lock assembly
JP6097157B2 (en) Push button lock
JP6497708B2 (en) Dial-type code lock for fasteners
JP2001311330A (en) Lock device using magnet
JP3897315B2 (en) Locking / unlocking confirmation device
JP4702682B2 (en) Thumb turn device
JP5943501B2 (en) Card lock for bag
JP2014194124A (en) Inside lock
JP3134156U (en) Lock confirmation display device
JP2014105487A (en) Plane handle
JP5962415B2 (en) Media slot door
JP6943354B2 (en) Mechanical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