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331B1 -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331B1
KR101391331B1 KR1020120077469A KR20120077469A KR101391331B1 KR 101391331 B1 KR101391331 B1 KR 101391331B1 KR 1020120077469 A KR1020120077469 A KR 1020120077469A KR 20120077469 A KR20120077469 A KR 20120077469A KR 101391331 B1 KR101391331 B1 KR 10139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editing
level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0318A (en
Inventor
정효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7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331B1/en
Publication of KR2014001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된 편집 UI 화면상에서의 동일한 레벨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복수지정을 통해 속성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컴퓨터에 비해 디스플레이 화면도 작고 입력수단도 불편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문서편집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동작의 단순화를 통해 문서편집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서편집의 정확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반복작업을 감소시켜 문서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by-list-based editing technique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level-by-level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for enabling attribute editing through a plurality of assignments f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same level on an editing UI screen implemented by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ocument edi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mobile smart device having a smaller display screen and an inconvenient inputting means than a personal comput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document editing through simplification of a job operation, It provides the advantage that can be made. That is, it reduces the repetitive work, shortening the time of document work and reducing the fatigue of the user.

Description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level-by-level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diting the level-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된 편집 UI 화면상에서의 동일한 레벨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복수지정을 통해 속성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by-list-based editing technique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level-by-level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for enabling attribute editing through a plurality of assignments f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same level on an editing UI screen implemented by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이동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은 유선단말(예: 개인용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단말에서도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With the spread of mobile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re being used not only in wired terminals (eg personal computers) but also in wireless terminals.

이런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목록 수준에서 텍스트에 대한 문단 속성(글머리 뎁스(depth), 문단 위치 등), 폰트 속성(폰트 크기, 폰트 색상 등) 등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각 라인(line) 별로 속성을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In such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when a user wants to apply paragraph attributes (depth, paragraph position, etc.), font attributes (font size, font color, etc.) to text at the same list level, conventionally, it has been inconvenient to individually modify the attributes for each line.

이러한 라인별로 이루어지는 개별적 속성 수정 방식은 사용자의 반복작업에 의한 시간을 낭비시키며 문서 정리시 누락되는 라인이 발생하여 문서편집 상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개인용컴퓨터에 비해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작고 입력수단이 상대적으로 불편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The individual attribute modification method for each line is a waste of time due to the repeated operation of the user, and a missing line is generated in the document arrangement, which degrades the accuracy of document editing. In particular, this problem has become more prominent in mobile smart devices where the display size is smaller and the input means relatively inconvenient than personal computers.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문서 공동 편집 장치 및 그 방법(특허출원 제10-2000-0017512호)1. Document co-edi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17512)

2. 문서편집장치의 편집문서 수정방법(특허출원 제10-1989-0009396호)
2. Method for editing document edit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o. 10-1989-0009396)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는 문서편집에서 문서 작업의 간편화, 여러 번의 동일한 반복 동작을 감소시켜 문서편집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고 작성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level unit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in order to simplify a document operation in a document editing performed in a mobile smart device and to reduce the number of same repetitive operations, Technology.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은,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편집 또는 문서열람 기능을 수행하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레벨단위의 탐색기능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 1 단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탐색기능 요청시의 입출력부 상의 커서에 대한 좌표 형식의 위치를 탐색하는 제 2 단계; 그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레벨단위로 구분된 목록들을 포함하는 문서상에서 커서가 위치한 항목에 대한 레벨단위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입출력부로 입력한 속성편집 명령에 대응하여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diting a level unit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a list editing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document editing or a document browsing function, A first step of receiving a function request through an input / output unit; A second step in which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searches for a position in a coordinate format with respect to a cursor on the input / output unit when the user's search function is requested; A third step of extracting a level unit for an item where the cursor is located on a document including lists divided into one or more level units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position;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edits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in response to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nput by the user's input / output unit for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extracted above, and implements the input / output unit And a fourth step of:

본 발명에 따른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은,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정범위 입력을 입출력부로부터 수신하는 제 A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제 4 단계는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중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만 속성편집 명령에 따른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A 단계는,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체크박스가 포함된 리스트 팝업창으로 구현하는 단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체크박스에 대한 체크에 따른 응답신호를 입출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수정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of editing a level unit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A of receiving a correction range input desired by the user from the input / output unit in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o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fourth step is configured to perform editing according to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only for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ification range among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In this case, the step A may be implemented as a list pop-up window including a check box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in which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is extracted. And a list editing applicatio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a check of the check box of the user and setting a correction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에서, 제 4 단계는,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속성편집 명령을 분석하는 제 4-1 단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속성편집 명령이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들여쓰기 요청인 경우, 사용자의 들여쓰기 위치 지정에 대응하여 입출력부로부터 들여쓰기 위치 지정 신호를 수신한 뒤,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위치 지정 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들여쓰기 위치로 수정하는 편집을 수행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4-2 단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속성편집 명령이 위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인 경우 그 추출된 항목들에 대한 폰트 속성을 일치시키는 편집을 수행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폰트 속성변경 요청은 폰트 컬러변경 요청,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 폰트 기울기/밑줄 변경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vel unit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include: 4-1) a list editing application analyzes an attribute editing command; I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receives an indentation position designation signal from the input /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indentation position designation of the user in the case where the attribute edit command is an indentation request for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extracted above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to the same indent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signation signal for each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extracted above, and implementing the editing to the input / output unit; I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is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for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level unit in which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s extracted, the editing is performed to match the font attributes of the extracted items to implement the input / output unit Step 4-3. At this time,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ont color change request, a font size change request, and a font tilt / underline change reques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의 목록별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n editing program for each level unit list for performing a list-by-level list-based editing method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컴퓨터에 비해 디스플레이 화면도 작고 입력수단도 불편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문서편집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동작의 단순화를 통해 문서편집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서편집의 정확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반복작업을 감소시켜 문서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ocument edi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mobile smart device having a smaller display screen and an inconvenient inputting means than a personal comput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document editing through simplification of a job operation, It provides the advantage that can be made. That is, it reduces the repetitive work, shortening the time of document work and reducing the fatigu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이 구현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서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의 입출력부로 구현된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목록 편집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mplemented with a level-unit list-based editing method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ist editing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o FIG.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I screen implemented by an input / output unit to a us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overall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diting by level unit list in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list editing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10)에서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에서 입출력부(11)로 구현된 UI(User Interface)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0 suitable for implementing a level-unit-by-level editing method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in the user terminal 10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3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I (User Interface) screen implemented by the input / output unit 11 in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10)은 입출력부(11), 제어부(12), 저장부(15),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를 구비한다. 이때,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와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시스템 메모리 영역(A)에 로딩된다.1, a user terminal 10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 output unit 11, a control unit 12, a storage unit 15,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a list editing application 14,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and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are loaded into the system memory area (A).

여기서 입출력부(11)는 입력부(11a)와 출력부(11b)가 개별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부(11a)와 출력부(11b)와 일체형으로 구비된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출력부(11)를 터치스크린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input / output unit 11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input unit 11a and the output unit 11b separately,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 output unit 11 is formed as a touch screen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put unit 11a and the output unit 11b. In this specification, the input / output unit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ouch scre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는 입출력부(11)를 통한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사용자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을 실행시킴에 따라 미리 설치되어 저장부(15)에 저장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과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을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 로딩한다.The control unit 12 is provided with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previously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as a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1 executes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And loads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into the system memory area (A).

한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의 불러오기 요청에 대응하여 저장부(15)에 저장된 기존의 문서를 입출력부(11)로 구현하거나 신규문서 생성 요청에 대응하여 새로운 문서를 입출력부(11)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구현되는 전자문서에 대한 편집 또는 열람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편집 또는 열람되고 있는 전자문서는 하나 이상의 레벨로 설정된 레벨단위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implements an existing docu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in the input / output unit 11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o load or a new document in response to a new document creation request to the input / output unit 11 ) So that editing or browsing of the electronic document implemented by the user is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thus edited or browsed includes a list of level units set to one or more levels.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저장부(15)는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로 구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예컨대 플래시메모리, MRAM(마그네틱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5 is a non-volatile memory implemented as a main storage device or an auxiliary storage device. The storage unit 15 may be a flash memory, an MRAM (Magnetic RAM), a PRAM ), FRAM (ferroelectric RAM), or the like.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레벨단위 탐색수단(14a), 레벨단위 추출수단(14b), 수정범위 설정수단(14c), 레벨단위 편집수단(14d)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2,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includes a level unit searching unit 14a, a level unit extracting unit 14b, a correction range setting unit 14c, and a level unit editing unit 14d .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o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8,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user terminal 10 on which the level-by-list editing method in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is implemented See you.

레벨단위 탐색수단(14a)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을 통해 문서편집 또는 문서열람 기능을 수행하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출력부(11)에 의해 생성된 레벨단위의 탐색기능 요청을 수신한다.The level unit search unit 14a receives a level-based search function request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unit 11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who has performed a document editing or document browsing function through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

레벨단위 추출수단(14b)은 사용자가 레벨단위의 탐색기능을 요청함에 대응하여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에 의해 구현되는 문서상의 커서에 대한 위치를 좌표 형식으로 탐색한 뒤, 그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문서상의 목록에 대한 레벨단위를 추출한다. 즉, [도 3]과 같이 "1. 첫 번째 형식의 글머리 숫자/기호", "2. 첫 번째 형식의 글머리 숫자/기호", "3. 첫 번째 형식의 글머리 숫자/기호"로 아라비아 숫자로 목록이 구현된 문서를 가정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두 번째에 해당하는 "2. 첫 번째 형식의 글머리 숫자/기호"에 커서를 위치시킨 뒤, 레벨단위의 탐색기능 요청을 입출력부(11)로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레벨단위 추출수단(14b)은 아라비아 숫자로 구현된 목록에 대한 레벨단위를 추출하는 것이다.The level unit extracting means 14b searches fo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document implemented by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in the coordinate format in response to the user requesting the level-based search function, Extract level units for the list on the document.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1. Bullet number / symbol of the first format", "Bullet number / symbol of the first format", "3. Bullet number / symbol of the first format" Assume a document with a list of Arabic numerals. In this document, the user places the cursor in the "second bullet / symbol of the first forma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as shown in FIG. 4, and inputs a search function request of the level unit to the input / output unit 11 . In response to such a request, the level unit extracting unit 14b extracts a level unit for the Arabic numeric list.

[도 3]과 [도 4]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로 구현된 제 1 레벨단위, 원형 아라비아 숫자로 구현된 제 2 레벨단위, ">>"로 구분된 제 3 레벨단위인 3단계로 구별되는 예를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레벨단위 내지 제 3 레벨단위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며, 제 1 레벨단위 내지 제 3 레벨단위 각각에 포함된 항목들을 제 1 목록 내지 제 3 목록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도록 한다.In FIGS. 3 and 4, an example distinguished by a first level unit embodied in Arabic numerals, a second level unit embodied by circular Arabic numerals, and a third level unit separated by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level unit to the third level unit include one or more items, and the item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level unit to the third level unit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to third lists in this specification.

레벨단위 추출수단(14b)은 그 추출된 레벨단위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을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문서상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추출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문서가 현재 입출력부(11) 상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항목들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문서의 범위 내에서의 항목들까지 자유로이 설정가능하다.The level unit extracting means 14b extracts the items included in the extracted level unit list up to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document implemented by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 Here, the predetermined range may be set to items corresponding to pages on the input / output unit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tems within the range of the entire document It is freely configurable.

수정범위 설정수단(14c)은 레벨단위 추출수단(14b)에 의해 추출된 레벨단위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체크박스가 포함된 "리스트 팝업창"을 [도 5]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The correction range setting means 14c can implement a "list popup window" including a check box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level unit list extracted by the level unit extracting means 14b as shown in FIG. 5 .

수정범위 설정수단(14c)은 사용자의 리스트 팝업창 내의 체크박스에 대한 체크에 따라 입출력부(11)에 의해 생성된 수정범위를 정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17). 즉, 리스트 팝업창은 체크박스를 통해 체크된 목록에 대한 동일한 편집을 적용하기 위한 접수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다.The correction range setting unit 14c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the correction range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unit 11 according to the check of the check box in the list pop-up window of the user (S17). That is, the list pop-up window is implemented to perform an acceptance process for applying the same edit to the list checked through the check box.

레벨단위 편집수단(14d)은 수정범위 설정수단(14c)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 뒤,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해 사용자의 입출력부(11)로 입력한 속성편집 명령에 따라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각 항목들에 대한 동일한 편집을 수행하여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After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correction range setting unit 14c, the level unit editing unit 14d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and outputs the attribute edit command (input command) to the input / output unit 11 of the user Output unit 11 by performing the same editing of each item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according to the modified range.

한편, 속성편집 명령은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목록들에 대한 "들여쓰기 요청", "폰트 속성변경 요청"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들여쓰기 요청은 [도 6(a)]와 같이 지정된 동일한 레벨단위를 갖는 목록들 중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대해 사용자가 UI 화면 상으로 들여쓰기 위치지정에 따라 [도 6(b)]와 같이 한번에 정렬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may be "indent request ","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 Here, the indentation request is made to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among the lists having the same level unit designated as [FIG. 6 (a)] according to the indentation position designation on the UI screen ] So that a function capable of sorting at one time is performed.

또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은 [도 7(a)]와 같이 지정된 동일한 레벨단위를 갖는 목록들 중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대해 사용자가 UI 화면 상으로 폰트 속성변경 요청 중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에 따라 [도 7(b)]와 같이 한번에 동일레벨의 폰트 사이즈를 동일하게 변경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s a request to change the font size on the UI screen to the font size change request o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among the lists having the same level unit specified as shown in FIG. 7 (a) As shown in Fig. 7 (b),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font size of the same level at the same time is performed.

한편, [도 7]은 폰트 속성변경 요청 중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을 구현한 예이나, 폰트 속성변경 요청은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 외에 폰트 컬러변경 요청, 폰트 기울기/밑줄 변경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이와 같은 폰트 속성변경 요청 중에서 폰트 컬러변경 요청,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 폰트 기울기/밑줄 변경 요청을 모두 포함시켜 폰트 속성변경 요청을 구현한 예를 나타낸다.
Meanwhile,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font size change request during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but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may include a font color change request, a font gradient / underline change request, etc. in addition to a font size change request, It can be implemented to change a plurality of attributes.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s implemented by including a font color change request, a font size change request, and a font skew / underline change request among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2)는 입출력부(11)를 통한 사용자의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 실행 요청에 따라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과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을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 로딩한다(S11).FIG. 9 is an overall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diting by level unit list in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and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o execute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1. [ Into the system memory area A (S11).

단계(S11) 이후,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의 불러오기 요청에 따라 저장부(15)에 저장된 기존의 문서를 입출력부(11)로 구현하거나 신규문서 생성 요청에 따라 새로운 문서를 입출력부(11)로 구현한 뒤, 문서에 대한 편집 또는 열람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편집 또는 열람되고 있는 문서는 하나 이상의 레벨로 설정된 레벨단위의 목록을 포함하고, 각 목록은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After step S11,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implements the existing docu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in the input / output unit 11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o load or, in response to the new document creation request, (11), and then editing or browsing of the document is performed.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document being edited or viewed contains a list of level units set to one or more levels, and each list includes one or more items.

단계(S12) 이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을 통해 문서편집 또는 문서열람 기능을 수행하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레벨단위의 탐색기능 요청을 입출력부(11)를 통해 수신한다(S13).After step S12,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receives a request for a level-based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who has performed a document editing or document browsing function through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1 (S13).

이에 따라,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사용자의 단계(S13)에서의 탐색기능 요청시의 입출력부(11) 상에서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에 의해 구현되는 커서의 위치를 좌표 형식으로 탐색한 뒤, 그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문서 상의 목록에 대한 레벨단위를 추출한다(S14).Accordingly,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searche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cursor implemented by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on the input / output unit 11 at the time of the search function request at step S13 of the user, The level unit for the list on the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position is extracted (S14).

단계(S14) 이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단계(S14)에서 추출된 레벨단위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을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추출한다(S15).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13)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문서가 현재 입출력부(11) 상의 페이지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문서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설정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After step S14,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extracts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of level units extracted in step S14 to a predetermined range (S15). The predetermined range may be set to a page on the input / output unit 11,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by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reely configurable within the range of the entire document.

단계(S15) 이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은 단계(S15)에서 추출된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예컨대 체크박스가 포함된 리스트 팝업창을 입출력부(11) 상으로 구현한다(S16).After step S15,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implements, for each item extracted in step S15, a list popup window including a check box, for example, on the input / output unit 11 (S16).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사용자의 체크박스에 대한 체크에 따라 단계(S16)에서 구현된 리스트 팝업창에 구현된 항목들 중 수정을 원하는 항목을 나타내는 수정범위에 대한 입력에 따라, 입출력부(11)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17). 즉, 리스트 팝업창은 체크박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목록에 대한 동일한 편집을 적용하기 위한 수정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다.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searches the input / output unit 11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ction range indicating the item desired to be modified among the items implemented in the list popup window implemented in step S16, (S17). That is, the list pop-up window is implemented to perform a process for setting a correction range for applying the same editing to the list checked by the user through a check box.

단계(S17) 이후,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단계(S17)에서 수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의 입출력부(11)로 입력한 속성편집 명령에 따라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각 항목에 대한 동일한 편집을 수행하여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S18).
After step S17,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in step S17, and modifies the respons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nput to the input / output unit 11 of the user f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The same editing of each item corresponding to the range is performed and implemented in the input / output unit 11 (S1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에서 목록에 대한 편집 과정(S18)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입출력부(11)로부터 수신된 속성편집 명령을 분석한다(S21).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iting process (S18) of a list in a level-by-level list editing method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 to FIG. 10,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analyzes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11 (S21).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단계(S18)의 속성편집 명령이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들여쓰기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determines whether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n step S18 is an indentation request f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S22).

단계(S22)의 판단결과 들여쓰기 요청이 입력된 경우라면,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사용자가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한 들여쓰기 위치 지정 신호를 수신한다(S23).If the indentation request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receives the indentation position design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1 (S23).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 각각에 대한 단계(S23)에서 지정된 동일한 들여쓰기 위치로 수정하는 편집 동작을 수행한 뒤,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S24).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performs an editing operation for correcting the same indentation position designated in step S23 for each item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and implements the editing operation in the input / output unit 11 (S24).

한편, 단계(S22)의 판단결과 들여쓰기 요청이 아닌 경우라면, 단계(S18)의 속성편집 명령이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폰트 속성편집 요청은 폰트 컬러변경 요청,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 폰트 기울기/밑줄 변경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indentation request is not the indentation reque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 it is determined in step S25 whether the attribute edit command in step S18 is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f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modification range. The font attribute edit request may include a font color change request, a font size change request, a font skew / underline change request, and the like.

단계(S25)의 판단결과 폰트 속성변경 요청인 경우라면,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14)은 사용자가 입출력부(11)로 입력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에 따라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들 각각에 대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에 따른 편집을 수행한 뒤,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S2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5 that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s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14 displays the font attribute for each of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range according to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nput by the user to the input / output unit 11 After editing according to the change request, the input / output unit 11 implements the editing (S26).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사용자 단말
11: 입출력부
12: 제어부
A: 시스템 메모리 영역
13: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14: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
14a: 레벨단위 탐색수단
14b: 레벨단위 추출수단
14c: 수정범위 설정수단
14d: 레벨단위 편집수단
10: User terminal
11: Input / output unit
12:
A: System memory area
13: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14: List editing application
14a: level unit search means
14b: level unit extracting means
14c: correction range setting means
14d: level unit editing means

Claims (7)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편집 또는 문서열람 기능을 수행하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레벨단위의 탐색기능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탐색기능 요청시의 상기 입출력부 상의 커서에 대한 좌표 형식의 위치를 탐색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레벨단위로 구분된 목록들을 포함하는 문서상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항목에 대한 레벨단위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체크박스가 포함된 리스트 팝업창으로 구현하는 제 4 단계;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체크박스에 대한 체크에 따른 응답신호를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수정범위를 설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중에서 수정범위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상기 입출력부로 입력한 속성편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
A first step of receiving a level-based search function request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who has performed a document editing or document reading function through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through an input / output unit;
A second step in which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searches for a position in a coordinate format with respect to a cursor on the input / output unit when a user's search function is requested;
A third step of extracting a level unit for the item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on a document including lists divided into one or more level unit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earched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implementing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with a list popup window including a check box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A fifth step of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a check of the user's check box and setting a correction range;
And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extracts a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nput by the input / output unit of the user only for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modification range among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And performing the editing on the items included in the input / output unit;
Based on a level-unit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속성편집 명령을 분석하는 제 6-1 단계;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속성편집 명령이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들여쓰기 요청인 경우, 사용자의 들여쓰기 위치 지정에 대응하여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들여쓰기 위치 지정 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상기 위치 지정 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들여쓰기 위치로 수정하는 편집을 수행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6-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ixth step,
A step 6-1 in which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analyzes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When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determines that the attribute editing command is an indentation request for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the indentation designating signal from the input / And performing editing to the same indent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signation signal for each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to implement the editing in the input / output unit ;
Wherein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ocument fil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목록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속성편집 명령이 상기 추출된 레벨단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폰트 속성변경 요청인 경우 상기 추출된 항목들에 대한 폰트 속성을 일치시키는 편집을 수행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6-3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ixth step,
Wherein the list editing application performs edit to match font attributes of the extracted items when the attribute edit command is a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for items included in the lis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evel unit, Step 6-3 to implement the step of FIG.
Wherein th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further compris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폰트 속성변경 요청은 폰트 컬러변경 요청, 폰트 사이즈변경 요청, 폰트 기울기/밑줄 변경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ont attribute change reques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ont color change request, a font size change request, and a font tilt / underline change request.
청구항 1,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레벨단위 목록별 편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editing program for each level unit list for performing a method of editing a level unit list i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20077469A 2012-07-16 2012-07-16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KR101391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69A KR101391331B1 (en) 2012-07-16 2012-07-16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69A KR101391331B1 (en) 2012-07-16 2012-07-16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318A KR20140010318A (en) 2014-01-24
KR101391331B1 true KR101391331B1 (en) 2014-05-27

Family

ID=5014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469A KR101391331B1 (en) 2012-07-16 2012-07-16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3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08B1 (en) * 2017-04-27 2018-07-2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Web document edit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list generation in web documents
KR20210057306A (en)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모카앤제이에스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ation service based on block editor, server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006A (en) * 1982-07-30 1994-06-10 Toshiba Corp Document preparing method
JPH06203023A (en) * 1993-06-29 1994-07-22 Seiko Epson Corp Document edi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006A (en) * 1982-07-30 1994-06-10 Toshiba Corp Document preparing method
JPH06203023A (en) * 1993-06-29 1994-07-22 Seiko Epson Corp Document edi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318A (en) 201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7256B2 (en) Updating data records by adding editing functions to non-editable display elements
US9886436B2 (en) Conversion of documents of different types to a uniform and an editable or a searchable format
RU2679348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t in electronic device
US20170075513A1 (en) Surf Software
US20150106700A1 (en) Display and selection of bidirectional text
US10712933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US20130290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Document Formatting Based on Source Document
US201501544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ten document
US8799255B2 (en) Button-activated contextual search
CN104462232A (en) Data storage method and device
JP201507606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391331B1 (en)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US2015028634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put-proximate and context-based menus
KR201500686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user costumized menu interface
US9965457B2 (en) Methods and systems of applying a confidence map to a fillable form
CN104137098B (en) The method of the promotion navigation WEB page performed by electronic equipment
US20160320948A1 (en) Document and object manipulation
KR20140021847A (en) Method of storing files using default setting of active filder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efault file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US20120079404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searching a folder in a computer system
KR102056710B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orting spread sheet document to relational database
US201503470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150278383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search-integrated note function
KR102029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KR102160249B1 (en) A method for editing a plurality of memo pages stored in portable device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200013297A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of merged cell in spreadsheet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