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779B1 - Free size accessories - Google Patents

Free size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779B1
KR101390779B1 KR1020130028485A KR20130028485A KR101390779B1 KR 101390779 B1 KR101390779 B1 KR 101390779B1 KR 1020130028485 A KR1020130028485 A KR 1020130028485A KR 20130028485 A KR20130028485 A KR 20130028485A KR 101390779 B1 KR101390779 B1 KR 10139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ir
decorative members
member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광수
켄지 타쿠마
Original Assignee
(주)피어링
손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어링, 손광수 filed Critical (주)피어링
Priority to KR102013002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7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e-size accessory which releases the state of tightening a finger if the size of an accessory such as ring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nger, facilitates the long-term usage of the accessory, has a small number of parts, and is easy to assembl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decoration members; a connection part placed at the ends of the decoration members and connecting the decoration members to be able to move; and a spring contained in the connection part to exert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on members. The spring is a leaf spring protected and maintained along the decoration member at the other side. The leaf spring is installed to exert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on members by making the fore-ends thereof contac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part of the decoration member at one side.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n opening restrict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decoration members from being opened beyond a specific angle. The opening restricting device is composed of a guide hole formed on the decoration member at one side, wherein the guide hole is separated from a connection point and is formed on an arc having the connection point as a central point; and a pin or a hook formed on the decoration member at the oth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hole.

Description

프리사이즈 장신구{Free size accessories}Free size accessories {Free size accessories}

본 발명은 프리사이즈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 size ornamental.

일반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를 유지하면서 손가락에 적절하게 딱 맞는 프리사이즈 기능을 가진 반지와 같은 프리사이즈 장신구에 대한 개발요구는 종래부터 있어왔으며, 그 일예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55107호를 통해 개시된 반지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ing a free-sized ornament such as a ring having a free-size function that fits properly on a finger while maintaining a circular ring shap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55107 The ring is known.

상기 반지는 회동환구성체(1)와 슬라이드측 환구성체(3)는 슬라이드측 환구성체(3)에 형성된 가이드구멍(30)에 회동환구성체(1)에 설치되는 안내핀(12)이 끼워져 상호조립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환구성체(1)와 축받이(베어링)측 환구성체(2)는 회동축(20)에 의해 회동환구성체(1)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호 조립된다. 또한, 베어링측 환구성체(2)의 내경에는 판스프링(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4)의 일단은 일 방향의 회동환구성체(1)의 일단부로부터 회동축(20)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말단부(13)에 의하여 내측부터 눌려 덮여지며, 판스프링(4)의 타단은 타방향의 회동환구성체(1)의 타단부로부터 회동축(20)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말단부(13)에 의하여 내측으로 눌려 덮여져 있다.In the ring, the guide pin (12) provided in the rotary ring structure (1)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0) formed in the slide side ring-shaped body (3) Assembled. The rotary ring member 1 and the bearing ring side ring member 2 are assembled together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ry ring constituent 1 by the rotary shaft 20. [ A leaf spring 4 is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bearing-side ring-constituting member 2. One end of the leaf spring 4 is pressed from the inside by a distal end portion 1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one end of the rotary shaft 1 in the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20, And the other end is pushed inwardly by a distal end portion 13 protruded fo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1 in the other direction.

JP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55107호JP Patent Publication No. 2002-355107

그러나, 상기 반지는 반지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한 쌍의 회동환구성체를 회동시키려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말단부에 의해 반지의 안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한 쌍의 회동환구성체가 회동하게 되면 판스프링이 탄성변형되며,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에 의해 한 쌍의 회동환구성체는 반지의 내경을 좁히는 방향의 힘을 받은 상태로 해당 반지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Howev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pair of rotary ring constituent members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the ring acts on the both ends of the plate spr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ing by the distal portion. As a result, the plate spring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pair of rotary ring constituents pivots, and the pair of rotary ring constituents are subjected to a force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An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이와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회동환구성체의 말단부에 의해 반지의 안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At the same time,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inwardly of the ring by the distal end of the rotary ring constituent.

따라서, 손가락의 사이즈보다도 반지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상당히 강한 판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손가락을 너무 단단히 조이게 되므로 장시간의 착용이 어렵다.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ring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nger, a strong repulsive force of the leaf spring acts to tighten the finger too firml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wear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반지는 슬라이드측 환구성체라고 하는 특수한 부품들을 이용하고 있으며, 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를 조립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기 부품들이 장신구의 장식성을 해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ing uses special parts called a slide-side ring structure, and not only has a large number of parts, but also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the r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ts can detract from the ornamental qualities of the ornamen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의 사이즈 보다 장신구의 사이즈가 작더라도 손가락을 너무 단단히 조이지 않게 되어 장기간의 착용이 가능하며, 부품수가 적고 조립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ree-size orna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wear for a long time because the fingers are not tightly fixed even if the size of the ornament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ngers,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ree size ornamental article made of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는, 한 쌍의 장식부재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를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상기 연결부에 내장된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타측의 장식부재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이고, 상기 판스프링은 선단이 일측의 장식부재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일정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규제수단은 일측의 장식부재에 연결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상기 가이드구멍에 결합되도록 타측의 장식부재에 형성된 핀 또는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ree-size ornament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t an end portion of the decorative members so as to allow the decorative members to flow, And the spring is a long leaf spring which is protected along the decorative member on the other side, and the leaf spring is a long leaf spring having a tip end connected to a decorative member at one side, And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are provided to receive the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s formed on a circular arc around the connecting poi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point to one decorative member 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e-hole and a pin or a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 to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름을 확장시키는데에 유연한 탄발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반지에 적용된 경우, 손가락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아 장시간의 착용에도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 flexible elastic force can be imparted to expand the diameter,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r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nger is not strongly pressed and the pain does not accompany the wear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은 개방규제수단을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개방규제수단이 장식성을 해치지 않아 장식성이 우수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s provided at a position which is not conspicuous, so that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does not detract from the decorative property, thereby providing an ornamental with excellent decorative property.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그 조립도 간단하므로 장신구를 경량으로 지닐 수 있으며 가격 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number of parts and simpler assembly than the prior art, it can have a light weight ornaments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요부 종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저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12는 도 6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저면도.
도 18은 도 15의 C-C'선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요부 종단면도.
도 20은 도 15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도 20의 저면도.
도 23은 도 20의 D-D'선 단면도.
도 24는 도 20의 요부 종단면도.
도 25는 도 15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26은 도 20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8은 도 27의 평면도.
도 29는 도 27의 저면도.
도 30은 도 27의 E-E'선 단면도.
도 31은 도 27의 종단면도.
도 31은 도 27의 F-F'선 단면도.
도 33은 도 27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4는 도 33의 평면도.
도 35는 도 33의 저면도.
도 36은 도 33의 G-G'선 단면도.
도 37은 도 33의 종단면도.
도 38은 도 33의 H-H'선 단면도.
도 39는 도 27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0은 도 33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2는 도 41의 평면도.
도 43은 도 41의 저면도.
도 44는 도 41의 I-I'선 단면도.
도 45는 도 41의 요부 종단면도.
도 46은 도 41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7은 도 46의 평면도.
도 48은 도 46의 저면도.
도 49는 도 46의 J-J'선 단면도.
도 50은 도 46의 요부 종단면도.
도 51은 도 41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52는 도 46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4는 도 53의 평면도.
도 55는 도 53의 저면도.
도 56은 도 53의 K-K'선 단면도.
도 57은 도 53의 종단면도.
도 58은 도 53의 L-L'선 단면도.
도 59는 도 53의 프리사이즈 장신구의 지름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0은 도 59의 평면도.
도 61은 도 59의 저면도.
도 62는 도 59의 M-M'선 단면도.
도 63은 도 59의 종단면도.
도 64는 도 59의 N-N'선 단면도.
도 65는 도 53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66 도 59의 요부확대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free-size ornamen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ing; FIG.
2 is a plan view of Fig.
3 is a bottom view of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1;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Fig. 1 is enlarged; Fig.
7 is a plan view of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6;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6;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Fig. 13 is widened. Fig.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lan view of Fig. 15; Fig.
FIG. 17 is a bottom view of FIG. 15;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Fig.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5; Fig.
Fig. 2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Fig. 15 is enlarged; Fig.
Fig. 21 is a plan view of Fig. 20; Fig.
22 is a bottom view of Fig.
2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Fig. 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Fig. 20; Fig.
FIG. 2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5;
FIG. 2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0;
27 is a front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lan view of Fig. 27;
Fig. 29 is a bottom view of Fig. 27; Fig.
3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27;
3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27;
3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27;
Fig. 3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free size ornaments shown in Fig. 27 is widened. Fig.
34 is a plan view of Fig. 33; Fig.
35 is a bottom view of Fig. 33; Fig.
FIG. 3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in FIG. 33;
Fig. 3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3; Fig.
3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in Fig. 33;
3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7;
4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33;
41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plan view of FIG. 41;
Fig. 43 is a bottom view of Fig. 41; Fig.
4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1;
Fig. 4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41; Fig.
Fig. 4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Fig. 41 is enlarged; Fig.
Fig. 47 is a plan view of Fig. 46; Fig.
FIG. 48 is a bottom view of FIG. 46;
FIG. 4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in FIG. 46; FIG.
5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FIG. 46;
5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41;
5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46;
53 is a front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4 is a plan view of FIG. 53; FIG.
55 is a bottom view of Fig. 53; Fig.
FIG. 5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in FIG. 53; FIG.
FIG. 5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53; FIG.
FIG. 5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L-L 'in FIG. 53; FIG.
Fig. 5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ree size ornaments of Fig. 53 is widened; Fig.
60 is a plan view of FIG. 59;
FIG. 61 is a bottom view of FIG. 59;
FIG. 6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M-M 'in FIG. 59; FIG.
Fig. 6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59; Fig.
FIG. 6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N-N 'of FIG. 59;
FIG. 6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3;
6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9;

이하,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 to 12 show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11)는 한 쌍의 장식부재(12)(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는 대칭적인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의 개방단부는 측면이 서로 어긋나게 겹쳐져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ring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13).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provided symmetrically, and the upper open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overlapped with the side faces being shifted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단부는 연결부(14)가 위치되며, 연결부(14)에 결합된 축핀(1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측의 장식부재(12)의 단부에는 일정 폭의 숫부재(12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장식부재(13)의 단부에는 상기 숫부재(12a)에 끼워지는 U자형상의 암부재(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부재(12a)와 암부재(13a)는 축핀(15)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haft pin 15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4, A male member 12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t an end of one decorative member 12 and a U-shaped female member 13a fitted to the male member 12a at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13, Respectively. The male member (12a) and the female member (13a) are coupled through the shaft pin (15).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는 상기 연결부(14)에 내장된 스프링(16)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installed so as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closed by the spring 16 built in the connection portion 14 do.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4)에 내장된 스프링이 타측의 장식부재(13)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16)인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판스프링(1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12)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4 is a long leaf spring 16 that is protected along the decorative member 13 on the other side. The tip end of the leaf spring 16 is connected to the one- (12) and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12) (13) are received in a closing direction.

미설명 부호 13b는 타측의 장식부재(13)에 형성된 고정용 홈이고, 16a는 상기 고정용 홈(13b)에 끼워지는 판스프링(16)의 단부이며, 13c는 판스프링(16)을 보호유지하는 고정용 바이다. 물론, 상기 고정용 바(13c)를 판스프링(16)의 전체를 덮는 길이로 형성한다면 판스프링(16)이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이 좋아지므로 반지(11)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3b denotes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other decorative member 13. Reference numeral 16a denotes an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16 fitted in the fixing groove 13b. . Of course, if the fixing bar 13c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vering the whole of the plate spring 16, the plate spring 16 is not seen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improved, so that the decorative property of the ring 11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연결부(13) 혹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를 닫는 타단에는 일정 각도이상으로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21)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other end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 13 or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13, an opening regulating means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21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개방규제수단(21)은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12)의 축핀(15)의 연결지점에서 일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2)과, 상기 타측의 장식부재(13)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구멍(22)에 결합되는 개방규제핀(23)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21 has a guide hole 22 formed on an arc having a center at the connection poi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onnection point of the shaft pin 15 of the decorating member 12 at one side, And an opening regulating pin (23) formed on the other decorative member (13) and coupled to the guide hole (2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11)를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지름을 확장시키면, 상기 연결부(14)에 내장된 판스프링(16)의 선단이 일측의 장식부재(12)의 단부의 내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반지의 지름이 확장된다. 따라서, 지름을 확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타단은 닫힘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6 to 10, when the diameter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13 are extended to wear the ring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ring is expanded while receiving th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closed because the tip of the decorative member 16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12 at one side. Therefore, when the force for expanding the diameter is release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returns to the closed position.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반지(11)는 손가락에서 빠져버린다.However,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open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orce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is lost, Falls out of his finge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의 연결부(14)의 일측의 외주에 개방규제편(도시 생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지(11)의 장식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개방규제편이 손가락에 접촉되어 손가락에 상처를 주거나 개방규제편의 강도가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opening regulation piec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of the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the decorative property of the ring 11 is deteriorat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ning regulating pie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nger and scars the finger or the strength of the opening regulating piece is difficult to maintain.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4)에서 일정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12)(13)가 개방되려고 하면, 상기 가이드구멍(22)의 단부에 결합된 개방규제핀(23)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2)(13)가 일정 각도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하므로 반지(11)가 손가락에서 빠질 우려가 없다.11 and 12, in this embodiment, when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are to be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the connecting portion 14, The combined opening regulation pin 23 restricts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and 13 from opening beyond a certain angle, so that the ring 11 is not likely to fall off the fingers.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반지(11)의 연결부(14)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13 and 14 show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of the ring 1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에서 일정의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12)(1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31)은 상기 연결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설치된 가이드구멍(32)과, 상기 가이드구멍(32)에 결합되는 개방규제핀(33)으로 구성된다. 그 기능은 도 11 및 도 12의 예와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31 for preventing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2 (13) from ope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the connecting portion (14) A guide hole 32 provided in the guide hole 32 and an opening regulating pin 33 coupled to the guide hole 32. [ Its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xample of Fig. 11 and Fig.

도 15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s. 15 to 24 show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free-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41)는 한 쌍의 장식부재(42)(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는 단부의 연결부(44)에 결합되는 축핀(4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15 to 19, the ring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and the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have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45)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4).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는 상기 연결부(44)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are installed so as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by a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44. [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44)에 내장된 스프링이 타측의 장식부재(43)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46)인 것으로 하고, 상기 판스프링(4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42)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46)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였다.25 and 26,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44 is a long leaf spring 46 which is protected along the other decorative member 43, (4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one decorative member (42) so that the leaf spring (46) is urg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s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를 닫는 타단부에는 일정한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42)(4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51)이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43) is closed by opening regulating means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51 are provided.

이 경우, 개방규제수단(51)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연결부(52)이다.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는 고리형상연결부(52)의 고리부분을 통해 교차된 상태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51 is an annular connecting portion 52 provided at an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43.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are connected in an intersecting manner through the annular portion of the annular connecting portion 52.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41)를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지름을 확장시키면, 상기 연결부(44)에 내장된 판스프링(4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42)의 단부의 내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으면서 지름이 확장된다. 따라서, 지름을 확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타단은 닫힘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20 to 24, when the diameter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43 are extended to wear the ring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ingers, Since the tip of the spring 46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42 on one side, the diameter of the decorative member 42 (43) is enlarged while receiving the force directed in the closing direction . Accordingly, when the force for expanding the diameter is release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returns to the closed position.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반지(41)는 착용된 손가락에서 빠져버린다.However,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are open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orce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is lost, Falls out of the worn fingers.

본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려고 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42)(43)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으므로 상기 반지(41)가 손가락에서 빠질 우려가 없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do not open beyond a certain angle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42 and 43 try to open at a certain angle or more, There is no risk of getting out of your fingers.

도 27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 3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27 to 38 show a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도 27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61)는 한 쌍의 장식부재(62)(63)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측의 장식부재(63)의 단부의 배면에는 공동부(63b)가 형성된 리본형상장식체(63a)가 설치된다.27 to 32, the ring 6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and the decora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On the rear surface of the end of the member (63), a ribbon-shaped decorative member (63a) having a cavity (63b) is provided.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들은 단부의 연결부(64)에 결합되는 축핀(6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Further,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63 are connected in a fluid-tight manner via an axial pin 65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4 of the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는 상기 연결부(64)에 내장된 스프링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단이 닫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are installed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through a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64.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64)에 내장된 스프링이 상기 타측의 장식부재(63)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66)인 것으로 하고, 판스프링(6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62)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66)이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였다.39 and 40,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64 is a long leaf spring 66 that is protected along the other decorative member 63, The front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6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62 on one side so that the leaf spring 66 can apply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s 62,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를 닫는 타단부에는 일정한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62)(6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71)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63) is closed by opening regulating means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71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개방규제수단(71)은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62)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본형상장식체(63a)의 공동부(63b)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구멍(72)와,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62)의 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크(73)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71 includes a guide hole 7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vity portion 63b of the ribbon-shaped decorative member 63a so that the decorating member 62 on one side is inserted, And a hook 73 protrud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62.

도 33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61)를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지름을 확장시키면, 상기 연결부(64)에 내장된 판스프링(6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62)의 단부의 내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으면서 지름이 확장된다. 따라서, 지름을 확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단은 닫힘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33 to 38, when the diameter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63 are extended to wear the ring 61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ingers, Since the tip of the spring 66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one decorative member 62, the diameter of the other decorative member 62 (63) is enlarged while receiving the force directed in the closing direction . Accordingly, when the force for expanding the diameter is released,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return to the closed position.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반지(61)는 착용된 손가락에서 빠져버린다.However,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are open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orce directed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is lost, Falls out of the worn finger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가 일정 각도이상으로 개방되려고 하면 상기 리본형상장식체(63a)의 공동부(63b)의 가이드구멍(72)의 상단에 상기 한쪽의 장식부재(62)의 선단에 상향으로 형성된 후크(73)가 결합되므로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62)(63)가 일정 각도이상으로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반지(61)는 손가락에서 빠질 우려가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63) is to be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72 of the cavity portion 63b of the ribbo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62 and 63 are not opened beyond a certain angle because the hook 73 formed upwar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decorative member 62. [ Therefore, the ring 61 is not likely to come off the fingers.

도 41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41 to 52 show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도 41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81)는 한 쌍의 장식부재(82)(8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는 대칭적인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의 개방단부는 측면이 서로 어긋나게 겹쳐져 있다.41 to 45, the ring 8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decorating members 82 and 83. As shown in Fig. The pair of decorating members 82 and 83 are provided symmetrically, and the upper open ends of the decorating members 82 and 83 overlap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는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84)에 결합되는 축핀(8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haft pin 85 coupled to a connecting portion 84 located at an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는 상기 연결부(84)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installed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closed by a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84.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84)에 내장된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측의 장식부재(83)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86)인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판스프링(16)의 선단이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82)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하였다.51 and 52,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84 is protected along the decorative member 83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nd the front end of the leaf spring 1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one decorative member 82 so that the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nd the other end receives the force in the closing direction.

한편,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를 닫는 타단부에는 일정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82)(8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91)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83) may be provided with opening regulating means 91 for preventing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83) have.

이 경우, 상기 개방규제수단(91)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일측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92)과,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측의 측면에 형성된 핀(93)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91 includes a guide hole 92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83 and a guide hole 9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s 82, 83 As shown in FIG.

도 46 내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81)를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지름을 확장시키면, 상기 연결부(84)에 내장된 스프링(86)의 선단이 일측의 장식부재(82)의 단부의 내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지름이 확장된다. 따라서, 지름을 확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단은 닫힘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46 to 50, when the diameter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83 are extended to wear the ring 81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ingers, Since the tip of the spring 86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one decorative member 82, the diameter of the other decorative member 82 and 83 is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refore, when the force for expanding the diameter is released,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return to the closed position.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반지(81)는 손가락에서 빠져버린다.However,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open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orce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is lost, Falls out of his fing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가 일정한 각도이상으로 개방되려고 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의 일측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92)의 선단부분에 타측의 측면에 형성된 핀(93)이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82)(83)가 일정의 각도이상으로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반지(81)는 손가락에서 빠질 우려가 없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to be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the tip of the guide hole 92 form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nd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82 and 83 are not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the ring 81 does not fall out of the fingers.

도 53 내지 도 66은 본 발명의 프리사이즈 장신구를 반지에 적용한 제 5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3 to 66 show a fifth embodiment in which the free size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ring.

도 53 내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101)는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측의 장식부재(103)의 상단부에는 꽃병 등을 모티브로 한 장식체(103a)가 설치되어 있다.53 to 58, the ring 10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and the ring 101 of the othe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At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103, a decorative body 103a with a vase or the like as a motif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는 장식체(103a)가 설치된 상단측의 연결부(104)에 결합된 측핀(10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ide pin 105 coupled to a connection portion 104 on an upper side provided with a decorative body 103a.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4)는 상기 연결부(104)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하단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4 are installed to receive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by a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04.

도 65 및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04)에 내장된 스프링이 타측의 장식부재(102)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106)인 것으로 하고, 상기 판스프링(106)의 선단을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103)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시켜, 상기 판스프링(106)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였다.65 and 66,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incorpo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04 is a long leaf spring 106 which is protected along the other decorative member 102, The front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10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decorative member 103 on one side so that the leaf spring 106 can exert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s 102,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를 닫는 아래측의 단부에 일정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111)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103) from being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ow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102 (103) Means 111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개방규제수단(111)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측의 장식부재(103)의 두꺼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구멍(112)과,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102)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113)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111 includes a guide hole 112 formed in the thick direction of the decorative member 103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103, And a hook 113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ok 113.

도 59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지(101)를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지름을 확장시키면, 상기 연결부(104)에 내장된 판스프링(106)의 선단이 상기 타측의 장식부재(103)의 단부의 내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단을 닫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으면서 지름이 확장된다. 따라서, 지름을 확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단은 닫힘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59 to 64, when the diameters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are widened so as to wear the ring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ingers, Since the tip of the leaf spring 106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other decorative member 103, the diameter of the leaf spring 106 is enlarged while receiving the force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s 102 do. Accordingly, when the force for expanding the diameter is release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returns to the closed position.

그러나,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가 일정 각도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의 타측의 장식부재(103)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12)의 선단으로 상기 일측의 장식부재(102)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113)가 결합하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102)(103)가 일정 각도이상으로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지(101)가 손가락에서 빠질 우려가 없다.However, when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are opened to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guide holes 112 formed in the decorative member 103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The hooks 113 formed at the tip of the decorative member 102 of one side are engaged with the ends of the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so that the decorative members 102 and 103 do not open beyond a certain angle.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ring 101 will fall out of the fingers.

이상, 본 발명을 반지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장식부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다른 장신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팔찌나 발찌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id of a r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ecorative member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rnaments and applied to other ornaments. For example, the decorative member can be variously applied to bracelets and footpieces.

11...반지 12...일측의 장식부재
12a...숫부재 13...타측의 장식부재
13a...암부재 13b...고정용 홈
13c...고정용커버 14...연결부
15...축핀 16...판스프링
16a...단부 21...개방규제수단
22...가이드구멍 23...개방규제핀
31...개방규제수단 32...가이드구멍
33...개방규제핀 41...반지
42...장식부재 43...장식부재
44...연결부 45...축핀
46...판스프링 51...개방규제수단
52...고리형상연결부 61...반지
62...장식부재 63...장식부재
63a...리본형상장식체 63b...공동부
64...연결부 66...판스프링
71...개방규제수단 72...가이드구멍
73...후크 81...반지
82...장식부재 83...장식부재
84...연결부 86...판스프링
91...개방규제수단 92...가이드구멍
93...핀 101...반지
102...장식부재 103...장식부재
103a...장식체 104...연결부
105...축핀 106...판스프링
111...개방규제수단 112...가이드구멍
113...후크
11 ... ring 12 ... decorative member on one side
12a ... male member 13 ... decorative member on the other side
13a ... arm member 13b ... fixing groove
13c ... fixing cover 14 ... connection portion
15 ... axis pin 16 ... leaf spring
16a ... end portion 21 ... opening regulating means
22 ... guide hole 23 ... open regulating pin
31 ... opening regulating means 32 ... guide hole
33 ... opening regulation pin 41 ... ring
42 ... decorative member 43 ... decorative member
44 ... connecting portion 45 ... a pivot pin
46 ... plate spring 51 ... opening regulating means
52 ... ring connection 61 ... ring
62 ... decorative member 63 ... decorative member
63a ... ribbon-shaped decorative body 63b ... cavity
64 ... connection part 66 ... leaf spring
71 ... opening regulating means 72 ... guide hole
73 ... hook 81 ... ring
82 ... decorative member 83 ... decorative member
84 ... connection part 86 ... leaf spring
91 ... opening regulating means 92 ... guide hole
93 ... pin 101 ... ring
102 ... decorative member 103 ... decorative member
103a ... Decorative body 104 ... Connection
105 ... axis pin 106 ... leaf spring
111 ... opening regulating means 112 ... guide hole
113 ... hook

Claims (4)

한 쌍의 장식부재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를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상기 연결부에 내장된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타측의 장식부재를 따라 보호유지되는 긴 판스프링이고,
상기 판스프링은 선단이 일측의 장식부재의 단부의 내주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장식부재의 타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일정 각도이상으로 한 쌍의 장식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규제수단은 일측의 장식부재에 연결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상기 가이드구멍에 결합되도록 타측의 장식부재에 형성된 핀 또는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사이즈 장신구.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a connecting portion positioned at an end of the decorative members to connect the decorative members to each other to allow the decorative members to flow, And a spring (not shown)
The spring is a long leaf spring which is protected and held along the other decorative member,
Wherein the leaf spring is installed such that its tip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one decorative member and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decorative member is closed,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opening regulating means for preventing a pair of decorative members from being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The opening regulating means includes a guide hole formed on a circular arc around the connecting poi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point to one decorative member and a pin or a hook formed on the other decorative member to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Featuring free size orname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28485A 2013-03-18 2013-03-18 Free size accessories KR101390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485A KR101390779B1 (en) 2013-03-18 2013-03-18 Free size accesso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485A KR101390779B1 (en) 2013-03-18 2013-03-18 Free size accesso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779B1 true KR101390779B1 (en) 2014-04-30

Family

ID=5065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485A KR101390779B1 (en) 2013-03-18 2013-03-18 Free size accessor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7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99A1 (en) * 2017-06-02 2018-12-06 심흥섭 Ornament fastening device
CN109567330A (en) * 2018-12-04 2019-04-05 深圳市鼎晟珠宝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ring of ring
KR20190133835A (en) * 2018-05-24 2019-12-04 이연서 Bracelet using salloloic acetate recycling blo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16A (en) * 1998-03-12 1999-09-21 Yasuo Aeba Ring
US20030177787A1 (en) * 2002-03-25 2003-09-25 Li-Sheng Kuo Adjustable circumference finger ring
JP3806873B2 (en) * 2003-03-24 2006-08-09 株式会社ジュエリータクマ Tightening structure for jewelry
KR101285183B1 (en) 2012-03-30 2013-07-11 박성열 Free size finger 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16A (en) * 1998-03-12 1999-09-21 Yasuo Aeba Ring
US20030177787A1 (en) * 2002-03-25 2003-09-25 Li-Sheng Kuo Adjustable circumference finger ring
JP3806873B2 (en) * 2003-03-24 2006-08-09 株式会社ジュエリータクマ Tightening structure for jewelry
KR101285183B1 (en) 2012-03-30 2013-07-11 박성열 Free size finger r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99A1 (en) * 2017-06-02 2018-12-06 심흥섭 Ornament fastening device
KR20180132244A (en) * 2017-06-02 2018-12-12 심흥섭 Conclusion equipment of jewelry
KR101991792B1 (en) * 2017-06-02 2019-06-21 심흥섭 Conclusion equipment of jewelry
KR20190133835A (en) * 2018-05-24 2019-12-04 이연서 Bracelet using salloloic acetate recycling block
KR102082209B1 (en) * 2018-05-24 2020-02-27 이연서 BRACELET USING cellulose ACETATE RECYCLING BLOCK
CN109567330A (en) * 2018-12-04 2019-04-05 深圳市鼎晟珠宝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ring of 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185B1 (en) Earring
US20150101364A1 (en) Jewel Shall Clasp Protector
KR101390779B1 (en) Free size accessories
US20080302382A1 (en) Hair hoop structure
US10470532B2 (en) Adjusting device for bracelet
JP2014158633A (en) Free size accessory
KR102249344B1 (en) Earring Earrings
US9775456B2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KR200468401Y1 (en) tongs decoration earring
JP3177051U (en)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KR100919609B1 (en) Earring with tension-spring
KR200431089Y1 (en) Pendent coupling loop combition structure
KR200322802Y1 (en) Fancy goods, length of which can be controlled
KR101991792B1 (en) Conclusion equipment of jewelry
KR200373539Y1 (en) Flexiblly deformable ornament with its length
KR200420503Y1 (en) Accessories
JP2001502223A (en) Watch or accessory bracelet with articulated ring and flexible packing
JP2017159003A (en) Accessory such as bracelet having displacement prevention structure
KR200291091Y1 (en) A wrist watch
JP3145052U (en) Pulley for jewelry
KR200205271Y1 (en) An apparatus for jointing the ends of chain composed an accessary
ITRM980035A1 (en) ACCESSORY FOR EARS IN PARTICULAR EARRING
JP2016073424A (en) Engagement tool for ornament
KR20110094547A (en) Accessory
KR200348880Y1 (en) Accessory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