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31B1 - A toilet stool for child - Google Patents

A toilet stool for chi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331B1
KR101390331B1 KR1020120035502A KR20120035502A KR101390331B1 KR 101390331 B1 KR101390331 B1 KR 101390331B1 KR 1020120035502 A KR1020120035502 A KR 1020120035502A KR 20120035502 A KR20120035502 A KR 20120035502A KR 101390331 B1 KR101390331 B1 KR 10139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infant
housing
uni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3148A (en
Inventor
채인기
Original Assignee
채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인기 filed Critical 채인기
Priority to KR102012003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31B1/en
Publication of KR2013011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아용 변기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유아의 용변이 저장되는 변기통과,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유아가 용변을 볼 때 멜로디나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에게 용변 마침을 알려주는 회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변기 본체 또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거나 유아가 변기에서 일어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싱부와, 상기 변기통에 배설물이 유입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싱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1센싱부 및 제2센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아 용변을 시작할 때 사운드나 멜로디를 들려주어 용변 중 지루함을 달래주고 부모에게 유아가 배설을 시작한 것을 알려주며, 용변 완료 후 변기로부터 일어설 때 축하의 멜로디 및/또는 음성을 들려주어 유아에게 성취감을 부여하고 부모에게는 유아가 용변 완료한 것을 알려줌에 의해 부모가 유아가 용변을 마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infan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body and the toilet bowl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toilet body and the infant's toilet is stored,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to generate a melody or sound when the infant sees the toilet, the infant toilet And a circuit unit that informs the parent of the toilet finish when finished, the circuit unit being detachably fixed to the toilet body, and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or the housing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or the infant wakes up in the toilet. A first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a second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when excrement flows into the toilet bowl, a speaker built in the housing,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peaker accordingly, the infant sitting on the toilet and tells a sound or melody when starting the toilet Parents by soothing boredom and letting parents know that the infant has begun excretion, listening to the melody and / or voice of congratulations when they stand up from the toilet after completing the toilet, giving the infan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letting the parents know that the infant has completed the toil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do not have to wait until the infant finishes the toilet.

Description

유아용 변기{A TOILET STOOL FOR CHILD} Toilet seat for infants {A TOILET STOOL FOR CHILD}

본 발명은 유아가 용변을 볼 때 사운드나 멜로디를 발생시키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에게 유아의 용변 마침을 알려주는 유아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toilet that generates a sound or melody when the infant sees the toilet, and notifies the parent of the toilet when the infant finishes the toilet.

일반적으로 1개월부터 24개월 사이의 유아는 프로이드의 이론에 따르면 성격형성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는 시기로서 대부분의 유아는 영아기를 거쳐 2~6세의 유아기로 접어들면 영아기 때 수많은 배변 교육과 시행착오를 거쳐 점차적으로 배변을 가리게 된다. 이러한 영아기 시기에 영아 스스로가 배변에 대한 의사표시를 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윌등히 빠르게 배변을 가릴 뿐 아니라 원만한 성격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n general, infants between 1 and 24 month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ity formation, according to Freud's theory. Most infants are infants aged 2 to 6 years of age. After a mistake, it gradually masks the bowel movement. If you can motivate infants to express their bowel movements during these infancy, they can help to develop a good personality as well as cover the bowel movements much faster than otherwise.

유아기는 사람의 성장단계 중 그 사람의 정서적 기질과 습관 및 인격의 기초가 형성되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기에는 유아가 가능하면 조기에 바른 정서 및 생활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좋은 생활습관과 정서가 유아 스스로 자발적인 흥미 속에 자연스럽게 몸에 밸 수 있도록 배려해 주는 것이 좋다. Infancy is a very importan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a person, in which the basis for his emotional temperament, habits, and personality is formed. Therefore, in this early childhood, the child should b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where the child can learn the correct emotions and lifestyles as early as possible, and preferably, the children should be well-balanced with their own spontaneous interests. It is good to give.

한편 배변훈련은 유아가 가장 먼저 겪는 사회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귀여움만 받던 아이가 처음으로 '안돼'라는 소리를 듣는 것이 바로 이때이다. 따라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할 때 아이들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다. 이 훈련이 어려워지면 자칫 융통성이 부족하고 의심이 많은 아이로 자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특히 5~6세가 될 때까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이는 자신감도 없고 우울해 하며 자기 주장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raining for bowel movements, on the other hand, is the first socialization process for infants. It is at this time that a child who received only cuteness hears the sound of 'no'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children are under considerable stress when training for urine cover. Experts believe that if this training becomes difficult, it is likely to grow into a less flexible and suspicious child. In particular, a child who does not cover urine until they are 5 or 6 years old may not have self-confidence, be depressed, and may not be able to assert themselves.

이와 관련하여 유아로 하여금 조기에 좋은 대소변 가리기 습관을 스스로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유아기의 바람직한 생활습관 및 정서함양에 가장 도움이 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it is the most helpful for the early life habits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o be able to acquire a good habit of masking feces early on.

종래의 어린이용 변기는 변기로서의 단순기능만을 갖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유아의 정서를 다소 고려한 것이라 할지라도 변기 몸체를 동물모양으로 만들거나 또는 변기 몸체에 여러 가지 재미있는 장식모양을 붙여서 어린이의 시각적 흥미만을 끌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Most children's toilets have only simple functions as toilets, and even though children's emotions are somewhat considered, they make the toilet body animal-shaped or attach various interesting decorations to the toilet body to attract children's visual interest. It was just enough.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변기로서는 어린이로 하여금 지정된 장소, 즉 변기에서 바른자세로 용변을 보는 것에 자발적인 흥미를 느끼도록 할 수 없어 어린이가 스스로 용변을 가릴 수 있는 정도로 성장하기까지는 매 용변시마다 부모가 어린이를 일일히 변기에 억지로 얹혀서 용변을 보게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such a toilet does not allow a child to feel spontaneous interest in seeing the toilet in a designated place, that is, the toilet, so that the parent can take care of the child at each toilet until it grows to the extent that the child can cover the toilet himself.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forced to see the toilet to be put on the toilet.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길러진 용변습관을 어린이의 자발적인 흥미 속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닌 억지로 길러진 것이므로 올바른 용변습관을 익히는데 많은 시일이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어린이의 바른 정서적 기질함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addition, the cultivated habits thus raised are not naturally formed in the spontaneous interests of the child, but are forcibly raised,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the correct lavatory habits and negatively affects the right emotional temperament of the child.

종래의 유아용 변기는 실용신안공보 실1996-0008578(1996년 10월 04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대의 일측 적소에 이 좌대에 앉는 유아의 체중에 의해 눌리어 작동될 수 있는 제1 스위치를 설치하고, 변기 본체의 일측 적소에는 소변의 접촉에 의해 통전 작동되는 제2 스위치를 설치하며, 이 변기의 다른 적소에는 상기 스위치(S1)(S2)들이 함께 통전되었을 때 일정의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장치가 설치된다. A conventional infant toilet is provided with a first switch that can be pressed by a weight of an infant sitting on the seat in one place of the seat, as disclosed i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08578 (October 04, 1996). In addition, a second switch that is energized by contact of urine is installed in one pl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other place of the toilet generates sound when the switches S1 and S2 are energized together. The device is install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변기는 용변자세를 바르게 갖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로 하여금 변기 사용에 대한 흥미는 유발할 수 있으나, 어린이가 용변 기간동안 어린이를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할 수 없거나, 또는 어린이가 용변을 완료한 상태에서 부모가 배설물 처리와 어린이에 대한 용변 후However, such a conventional toilet bowl can have a right to have a toilet posi- tion and at the same time induce a child's interest in using the toilet, but the child can not see the toilet in a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during the toilet period, Or after the child has completed the stool, after the parent dispose of the feces and after the stool for the child

뒤치장을 할 시점을 알 수 없어 부모가 계속하여 어린이의 용변보는 과정을 감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t is inconvenient for parents to keep an eye on the child's bowel movements because they do not know when they will be embellished.

더욱이 상기 변기의 음향발생장치는 제1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턴온되는 것을 구동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먼저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좌대, 변기 본체 및 받침대 간의 구조가 명확하지 않고, 제1스위치가 좌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어린이의 체중 압력으로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용변중의 어린이의 자세변화에 따라 제1스위치의 턴온 상태가 턴오프될 수 있으며, 제2스위치는 변기 본체의 전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어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어린이가 소변을 볼 때까지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응답시간에 지연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스위치의 센싱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작동할 여지가 있다. Moreover, the acoustic generator of the toilet is a driving requirement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turned on, but first, the structure between the seat, the toilet body, and the pedestal forming the housing structure is not clear, and the first switch is mounted on the seat. Sinc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operated by the weight pressure of the child, the turn-on state of the first switch may b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child in the toilet, and the second swit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half of the toilet body. In the case of seeing the child does not work until the urine occurs a delay in the response time or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sensing of the switch can not be made, there is a possibility of malfunction.

그리고, 다른 종래의 유아용 변기는 미합중국 특허 제5,008,964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other conventional infant toilet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008,964.

상기한 다른 종래의 유아용 변기는 중앙에 요홈을 갖는 변기의자 베이스와, 요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설물 용기 및 의자시트를 갖는 뮤직/스피치 발생 어린이용 변기의자로서, 시트와 의자 사이에 설치되어 어린이가 시트 위에 앉을 때 클로즈되는 압력감지 스위치와, 용기 하부에 센서가 설치되어 용기로 도입되는 용변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용변 습기 감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The other conventional children's toilet is a music / speech-producing children's toilet seat having a toilet seat base having a recess in the center, and a fecal container and a chair sea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ss,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chair. And a pressure sensing switch that is clos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and a senso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o detect a toilet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이 경우 스위치의 클로징과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와 클록 펄스가 타이밍/컨트롤 회로로부터 발생되면, 제어신호와 클럭 펄스에 응답하여 스위치가 의자에 앉아 있는 어린이에 의해 클로즈될 때 데이터 기억회로로부터 음악 사운드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음악 사운드로 변환하는 곡(tune) 발생회로로부터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어린이를 즐겁게 하는 음악 사운드를 발생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signal and the clock pulse are generated from the timing / control circuit in response to the closing and sensing signals of the switch, the music from the data storage circuit is closed when the switch is closed by a child sitting in a chair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clock pulse. From a tune generating circuit that accesses sound data and converts it into musical sounds, it generates musical sounds that entertain the child while sitting in a chair.

그 후, 제어신호와 클럭 펄스에 응답하여 용기로 용변을 배설하는 어린이에 의해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 데이터 기억회로로부터 액세스된 스피치 메세지 데이터를 스피치 사운드로 변환하는 스피치 발생회로로부터 어린이를 축하하는 음성을 발생한다.Then, a voice congratulating the child from a speech generating circuit that converts the speech message data accessed from the data storage circuit into speech sound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hild excreted into the container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clock pulse. Occurs.

따라서 상기한 유아용 변기는 어린이가 의자에 앉을 때 즐거운 노래 또는 멜로디를 들려주며, 용변이 검출된 경우 축하의 음성 메세지를 들려주는 것에 의해 어린이에게 변기의자를 사용하게 할 동기를 제공하여 빠르게 용변교육을 시킬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potty for the baby to listen to a pleasant song or melody when the child sits on the chair, and if the toilet is detected by giving a voice message of congratulations to the child by providing a motivation to use the potty chair quickly education To make it possible.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변기는 어린이가 의자에 앉을 때마다 멜로디 발생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노래가 연주되므로 어린이가 변기의자를 놀이도구로 사용하는 경우 건전지의 소모가 크게 발생하며, 또한 용변 배설 기간이 길게 된 경우 이에 따른 음성 메세지가 모두 송출된 이후에는 어린이가 의자로부터 일어나는 시점을 알 수 없어 용변 완료한 어린이의 뒤치장과 배설물의 처리를 위해 용변이 끝날 때까지 부모가 한눈을 팔지 못하고 어린이를 감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a melody generator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ever a child sits in a chair and a song is played, the conventional infant toilet uses a large amount of battery when the child uses the toilet seat as a play tool, and also has a long period of fecal excretion. In this case, after all the voice messages are sent out, the child cannot know when the child is coming out of the chair, so the parents do not sell their eyes until the end of the stool for the disposal of the children's dung and feces. There is a problem.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722호에는 요홈을 갖는 받침대, 중앙에 구멍을 갖고 받침대 위에 놓여지는 좌대 및 상기 요홈에 수납되는 용기를 구비하며 용변 교육 기능을 갖는 어린이 변기에 있어서, 어린이가 좌대에 앉아서 배설을 시작한 제1상태와 어린이가 좌대로부터 일어난 제2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어린이 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제1상태에 대응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고 제2상태에 대응하여 트리거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어린이가 배설을 시작한 것을 부모에게 알려주며 배설하는 동안 어린이를 즐겁게 해주는 제1 소리를 발생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어린이에게 용변완료를 축하하는 제2소리를 발생하는 사운드/멜로디 발생회로와, 상기 사운드/멜로디 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증폭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가청음으로 변환하는 가청음 발생부로 구성되는 용변 교육 기능을 갖는 어린이 변기가 제안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38722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has a pedestal having a groove, a seat having a hole in the center and placed on the pedestal and a container housed in the groove, toilet training function In the children's toilet having a child toilet, Child stat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child is sitting on the bed and started excretion and the second state of the child from the bed, generating a trigge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te A trigger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stopping generation of a trigger signal in response to two states, and in response to the trigger signal, notifying a parent that a child has begun excretion and generating a first sound to entertain the child during excretion; Sounds / Melody Feet, which generates a second sound for the child in response to the blockage of A children's toilet having a toilet training function comprising a live circuit and an audible sound generator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sound / melody generating circuit and then converting the amplified output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722호의 어린이 변기는 어린이 상태 검출수단이 용기 하부를 관통하여 상부면으로부터 배면으로 소정 거리를 갖고 매입설치되어 배설물의 습기에 의해 도통되는 제1 및 제2 습기 검출용 센싱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습기 검출용 센싱단자와 직렬로 접속되며 어린이가 좌대에 앉을 때 도통되고 어린이가 좌대로부터 일어날 때 비도통 상태로 설정되는 제1 및 제2 접촉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 children's toilet of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9-0038722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in which the child state detecting means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rear surfac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is connected by moisture of excrement. First and second contact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oisture detecting sensing terminal and the first and second moisture detecting sensing terminal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witches being turned on when the child is sitting on the seat and in a non-conductive state when the child is lifted from the seat. Consists of

따라서, 어린이가 용기를 받침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받침대로 소변을 보는 경우 받침대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제1 및 제2 접촉 스위치와 스피커를 포함한 내부의 회로장치가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when a child urinates with a pedestal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pedestal,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ternal circuit device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witches and speakers installe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destal may malfunction or fail.

또한,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722호의 어린이 변기는 하우징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성형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children's toilet of th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3872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ousing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assembly and formability are inferior.

실용신안공보 제1996-0008578호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08578 미합중국 특허 제5,008,964호United States Patent No. 5,008,964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722호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38722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가 변기에 앉아 용변을 시작할 때 사운드나 멜로디를 들려주어 용변 중 지루함을 달래주고 부모에게 유아가 배설을 시작한 것을 알려 주며, 용변 완료 후 변기로부터 일어설 때 축하의 멜로디나 사운드를 들려주어 유아에게 성취감을 부여하고 부모에게는 유아가 용변 완료한 것을 알려줌에 의해 유아 스스로 변기에 용변을 보고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여 용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sten to the sound or melody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and start to stool to soothe the boredom of the toilet and to inform the parents that the infant started excretion, congratulations melody or sound when standing up from the toilet after toilet completion By provid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the infant by telling the parents to know that the child has completed the toilet by providing a stool education for the stool education by providing a motive to see the toilet on the toilet by yourself and quickly rise u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운드나 멜로디를 발생하는 스피커, 사운드나 멜로디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하나의 회로 유닛에 내장되고, 회로 유닛을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여, 회로 유닛의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하고, 변기 본체를 물청소할 때 회로 유닛을 변기 본체에서 분리한 후 변기 본체를 물청소할 수 있어 청소가 쉽고 회로 유닛이 수분으로 인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that generates sound or melod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or melody generatio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circuit components are mounted is built in one circuit unit, and the circuit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body.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circuit unit, and when cleaning the toilet body, the circuit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body and the toilet body can be cleaned, which is easy to clean and prevent the circuit unit from malfunctioning due to moisture. It is to provide a baby pot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로 유닛에 부모의 목소리나 유아가 좋아하는 멜로디나 사운드를 직접 녹음하여 용변시 유아에게 들려줄 수 있어 유아가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toilet which can be recorded to the infant at the time of stool by recording the voice of the parent or the infant's favorite melody or sound directly in the circuit unit. .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변기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유아의 용변이 저장되는 변기통과,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유아가 용변을 볼 때 멜로디나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에게 용변 마침을 알려주는 회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변기 본체 또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거나 유아가 변기에서 일어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싱부와, 상기 변기통에 배설물이 유입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싱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1센싱부 및 제2센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t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ilet body, the toilet bowl is detachably housed in the toilet body and the infant's toilet is stored, the melody or sound when the infant is installed on the toilet body when viewing the toilet And a circuit unit configured to inform the parent when the infant finishes the toilet, and the circuit unit includes a housing detachably fixed to the toilet body, and installed on the toilet body or the housing. A first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child sits on the toilet or a second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when excrement flows into the toilet bowl, a speaker embedded in the housing, the first sensing unit, and a second sens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eaker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ensing unit.

본 발명의 변기 본체에는 유아가 변기에 앉을 때 완충 작용을 하는 서스펜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센싱부는 서스펜션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스펜션이 탄성 변형되면 온(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타입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ile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spension that buffers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toilet, the first sens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spension switch type sensor for generating an ON signal when the suspension is elastically deformed is us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서스펜션은 변기 본체의 상면에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변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누르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protrudes integr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to open the elastic force while open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to generate.

본 발명의 제1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변기통에 배설ㅁ물이 유입되면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인가하는 정전용량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excrement of water into the toilet bow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ive sensor for detect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applying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is used.

본 발명의 하우징과 변기 본체 사이에는 하우징을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변기 본체의 제2바디의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걸림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제2바디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걸림홀에 걸림되고, 하우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걸림홀에서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housing and the toile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 fastening unit for detachably fastening the housing to the toilet body, the fastening unit is at least two engaging hol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of the toilet body and And a hinge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and a hinge shaft formed in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when the housing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the hole, the rotation of the hous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locking projectio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본 발명의 회로 유닛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제어유닛을 포함한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부모의 목소리나 유아가 좋아하는 사운드나 멜로디를 직접 녹음할 수 있는 녹음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ircui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various circuit components including a control unit are mounted, and a recording unit capable of directly recording a voice of a parent or a child's favorite sound or mel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녹음 유닛은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마이크와, 누르면 녹음이 진행되는 녹음버튼과, 녹음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시켜주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cor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hon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the recording button is pressed recording proceeds, and the LED lamp to visually confirm the recording st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변기는 유아가 변기에 앉아 용변을 시작할 때 사운드나 멜로디를 들려주어 용변 중 지루함을 달래주고 부모에게 유아가 배설을 시작한 것을 알려주며, 용변 완료 후 변기로부터 일어설 때 축하의 멜로디 및/또는 음성을 들려주어 유아에게 성취감을 부여하고 부모에게는 유아가 용변 완료한 것을 알려줌에 의해 부모가 유아가 용변을 마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유아 스스로 변기에 용변을 보고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여 용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tt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othe the boredom of the toilet by telling the sound or melody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and starts the toilet, and tells the parents that the infant started excretion, when standing up from the toilet after toilet completion Convenience melody and / or voices give infants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inform parents that the child has completed the potty, so parents don't have to wait for the child to finish the potty. There is an advantage to the toilet training by providing a motivation to see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변기는 사운드나 멜로디를 발생하는 스피커, 사운드나 멜로디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하나의 회로 유닛에 내장되고, 회로 유닛을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여, 회로 유닛의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하고, 변기 본체를 물청소할 때 회로 유닛을 변기 본체에서 분리한 후 변기 본체를 물청소할 수 있어 청소가 쉽고 회로 유닛이 수분으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fan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that generates sound or melod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sound or melod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circuit components are mounted is built in one circuit unit, and the circuit unit is mounted on the toilet body.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circuit unit, and it is easy to clean the toilet unit after removing the circuit unit from the toilet body when the toilet body is cleaned.It is easy to clean and prevents the circuit unit from malfunctioning with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변기는 회로 유닛에 부모의 목소리나 유아가 좋아하는 멜로디나 사운드를 직접 녹음하여 용변시 유아에게 들려줄 수 있어 유아가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용변 교육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ot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the voice of the parents or infants favorite melody or sound directly to the circuit unit can be heard to the infant during the toilet so that the infant can feel more intimacy, improve the toilet training effect.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레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회로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서스펜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에 유아가 앉은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회로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이 분리된 변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작동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g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unit of a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spension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circuit unit of an infan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body in which a toilet bow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ot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of.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는 변기 본체(10)와, 변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유아의 용변이 저장되는 변기통(20)과, 변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아가 용변을 볼 때 멜로디나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에게 용변 마침을 알려주는 회로 유닛(30)을 포함한다. 1 to 3, the potty for a ba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ilet body 10, the toilet bowl 20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toilet body 10 and the toilet of the baby is stored, Removably mounted on the toilet body 10 includes a circuit unit 30 to generate a melody or sound when the infant sees the toilet and to inform the parents of the toilet finish when the infant finishes the toilet.

변기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바디(12)와, 제1바디(12)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변기통(20)이 삽입되는 제2바디(14)로 구성된다. The toilet body 10 includes a first body 12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econd body 14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12 and into which the toilet bowl 20 is inserted.

제1바디(12)의 후방에는 등받이부(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1바디(12)의 상면에는 변기통(20)의 플랜지부(22)가 접촉되는 안착면(18)이 형성되고, 이 안착면(18)에는 복수의 지지 돌기(40)가 형성되어 변기통(20)의 플랜지부(22) 내면에 접촉된다. The back part 16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2, and a seating surface 1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2 to contact the flange part 22 of the toilet bowl 20.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40 ar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8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toilet bowl 20.

제2바디(14)의 하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42)에 형성된 결합구멍(52)에는 변기를 지지하는 레그(44)가 장착된다. A plurality of protrusions 4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legs 44 for supporting the toilet are mounted in the coupling holes 52 formed in the protrusions 42.

레그(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끼움홈(46)이 형성되고 다수로 분할되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부(48)와, 고정부(48)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바디(14)의 하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바닥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부(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그(44)는 소프트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러버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에 접촉될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leg 44 includes a fixing part 48 and a fixing part 48 that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46 recessed into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nings. 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 includes a support portion 50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The leg 44 is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contacting the floor.

제2바디(14)의 하면에는 레그(44)의 끼움홈(46)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멍(52)이 형성되고, 돌출부(42)의 하면에는 레그(44)의 지지부(50)가 삽입되어 레그(44)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로 돌출되는 격벽(54)이 형성된다. A coupling hole 52 into which the fitting groove 46 of the leg 44 is fitted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 and the supporting portion 50 of the leg 44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2. And a partition wall 54 protruding in a ring shape to prevent the leg 44 from shaking.

변기통(20)은 전면에 변기통(20)을 변기 본체(10)에서 빼낼 때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24)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방향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된다. The toilet bowl 20 has a handle portion 24 for holding by the hand when the toilet bowl 20 is pulled out of the toilet body 10 in the front surface, and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upp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seating the hips of the infant (22) is formed.

회로 유닛(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변기에 앉으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싱부(60)와, 변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32)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통(20)에 용변을 보면 배설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싱부(62)와, 제1센싱부(60)와 제2센싱부(6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메시지 녹음 재생부(91)와 스피커(66)를 제어하는 제어유닛(64)과, 하우징(32)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유닛(64) 등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6)과, 사운드나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스피커(66)와, 회로 유닛(30)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ircuit unit 30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60 that generates a signal when an infant sits on the toilet, a housing 32 detachably coupled to the toilet body 10, and a housing.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62 and the first sensing unit 6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62 to detect feces and generate a signal when looking at the toilet in the toilet bowl 20.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in the housing 32 and mounted with various circuit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64 to control the mess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91 and the speaker 66 according to an applied signal. 36, a speaker 66 for generating sound or melody, and a battery 34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30.

상기 제어유닛(64)은 내부에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제1메모리장치(ROM)와 신호 처리 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메모리장치(RAM)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CU)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지된 다른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MCU)는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타이머,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변환기 등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메모리장치(ROM)는 다른 종류의 비휘발성 메모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4)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메모리장치가 제어유닛(64)로부터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64 may use a microcontroller (MCU) having a first memory device (ROM) having a system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a second memory device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under signal processing. However, other well-known signal processing devices may be used. The microcontroller (MCU) preferably includes a timer, an analog-to-digital (A / D) converter,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 / A) converter, and the like necessary for system control. The first memory device ROM may use another type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course, the control unit 64 is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and the first and second memory devices are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64.

여기서, 회로 유닛(30)은 제1센싱부(60)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하우징(32) 내부에 내장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고, 이 회로 유닛(30)은 변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Here, the circuit unit 30, except for the first sensing unit 60, the other parts are built into the housing 32 is formed in a single module form, the circuit unit 30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body (10) Possibly mounted.

제1센싱부(60)는 회로 유닛(30)의 상면 또는 변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으면 그 압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 감지센서나, 변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으면 눌러지면서 온(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스위치 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unit 30 or the toilet main body 10 and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sensing sensor or the toilet main body 10 to generate a signal by detecting the pressure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toilet,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ontact switch sensor that is pressed to generate an ON signal.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에는 유아가 변기에 앉을 때 탄성력을 발생시켜 유아가 보다 안전하게 변기에 앉도록 유도하는 서스펜션(70)이 설치되는 데, 이 서스펜션(70)에 제1센싱부(60)가 설치되어, 서스펜션(70)이 탄성 변형되면 온(ON)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는 제어 유닛(64)으로 전달되는 구조가 적용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toilet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spension 70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seat to guide the infant to sit on the toilet more safely, the suspension 70 ),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installed, and when the suspension 70 is elastically deformed, an 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4.

서스펜션(70)은 변기 본체(10)에 형성된 안착홈(72)에 고정되는 고정판(74)과, 이 고정판(74)의 중앙에서 상측방향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돌출되어 변기통(20)의 플랜지부(22)에 접촉되는 탄성부(75)로 구성된다. The suspension 70 is fixed plate 74 fixed to the seating groove 72 formed in the toilet main body 10, and protrudes in a rhombic shape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74 in an upward direction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toilet 20 ( And an elastic portion 75 in contact with 22).

이러한 서스펜션(70)은 금속이나 러버 재질 등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가 변기통(20)에 앉으면 탄성부(75)가 양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유아가 변기통(20)에 보다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suspension 7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uch as a metal or rubber material, so that when the infant sits in the toilet bowl 20, the elastic portion 75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opening in both directions, and the infant has a toilet bowl 20. So that you can sit safely.

그리고, 서스펜션(70)에는 제1센싱부(60)가 구비될 경우 탄성부(75)가 탄성 변형될 때 제1센싱부(60)가 온(ON)되면서 그 신호를 제어유닛(64)으로 인가한다. In addition, when the suspension 70 is provided with the first sensing unit 60, when the elastic unit 75 is elastically deformed,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turned on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4. Is authorized.

제2센싱부(62)는 변기통(20)에 배설물이 유입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로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 센서가 설치된다. The second sensing unit 62 is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excrement flows into the toilet bowl 20,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but in this embodiment, a capacitive sensor is installed.

정전용량 센서는 하우징(32)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변기통(20)의 배면에 배치되어 변기통(20)으로 배설물이 유입될 때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64)으로 인가한다. The capacitive sensor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2 and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ilet bowl 20 so as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feces flow into the toilet bowl 20 and apply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4. do.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통(20)에 유아가 앉으면 서스펜션(70)이 눌리면서 변기통(20)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변기통(20)의 하면에 제2센셍부(62)가 접촉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기통(20) 배설물이 유입되면 정전용량 센서가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유닛(64)으로 인가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infant sits in the toilet bowl 20, the suspension 70 is pressed while the toilet bowl 20 is lowered, so that the second sensing part 62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20. It becomes the state that became. In this state, when the toilet bowl feces flows in, the capacitance sensor senses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4.

이와 같이, 제2센싱부(62)는 정전용량 센서가 사용되기 때문에 변기통(20)으로 유입된 배설물에 직접 닿지 않는 무접촉 방식으로 배설물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청결성을 유지하고,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As such, since the second sensing unit 62 uses a capacitive sensor, the second sensing unit 62 can grasp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crement in a non-contact manner tha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excrement introduced into the toilet bowl 20, thereby maintaining cleanliness and maintaining and maintaining It is convenient.

그리고, 회로 유닛(30)에는 부모의 목소리나 유아가 좋아하는 멜로디나 사운드를 직접 녹음할 수 있는 녹음 시스템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30 is provided with a recording system capable of directly recording the voice of the parent or the melody or sound that the infant likes.

녹음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유닛(30)의 일면에 설치되는 마이크(92)와, 녹음을 실시할 때 누르는 녹음버튼(90)과, 녹음이 시작되면 점등되어 녹음이 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주는 LED 램프(94)와, 제어유닛(64)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92)를 통해 녹음된 소리를 스피커(66)를 통해 재생하고, LED 램프를 점등시키는 메시지 녹음 재생부(9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recording system includes a microphone 92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unit 30, a recording button 90 that is pressed when recording, and a recording is turned on when recording starts. Message recording and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the sound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92) and the speaker (6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4, and the LED lamp 94 to visually check the LED lamp, (91).

상기 메시지 녹음 재생부(91)는 예를 들어, 단일 메시지 음성 녹음/재생이 가능한 정보저장장치로서 Winbond사의 ISD1810 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mess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91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Winbond's ISD1810 chip as an information storage device capable of recording / reproducing a single message.

이와 같이, 회로 유닛(30)에는 녹음 시스템이 구비되므로 회로 유닛(30)에 저장된 멜로디나 사운드 이외에, 부모가 유아가 평소 좋아하는 멜로디나 사운드 또는 부모의 칭찬하는 목소리를 녹음하여 유아가 용변을 볼 때 들려주어 유아가 용변을 보고 싶어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아의 용변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ircuit unit 30 includes a record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melody or sound stored in the circuit unit 30, the parent records the melody or the sound that the child usually likes or the voice of the parent's praise so that the infant sees the toilet. It can be heard to induce the child to want to see the stool,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the stool education for the infant.

그리고, 회로 유닛(30)은 변기 본체(10)에서 분리되므로 부모가 회로 유닛(30)에 녹음을 실시할 때 회로 유닛(30)을 변기 본체(10)에서 분리한 다음 녹음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ircuit unit 30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main body 10, when the parent records the circuit unit 30, the circuit unit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main body 10 and then recorded. Easy to use

그리고, 회로유닛(30)의 하우징(32)의 일측에는 USB 메모리(95)가 연결되는 USB 연결단자(93)가 설치된다. 즉, USB 메모리(95)에 저장된 사운드 및 멜로디를 스피커(66)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using 32 of the circuit unit 30 is provided with a USB connection terminal 93 to which the USB memory 95 is connected. That is, the sound and melody stored in the USB memory 95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66.

여기에서, 회로 유닛(30)은 변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회로 유닛(30)과 변기 본체(10) 사이에는 결합유닛이 형성된다. Here, the coupling unit is formed between the circuit unit 30 and the toilet body 10 so that the circuit unit 30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toilet body 10.

결합유닛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제2바디(14)의 하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걸림홀(80)과, 하우징(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걸림홀(8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82)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로 유닛(30)에는 힌지로드(89)가 형성되고, 제2바디(14)의 하면에는 힌지로드(8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홈(88)이 형성된다. 9 and 10, at least two engaging holes 8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 of the toilet body 10 and the edges of the housing 32. It is composed of a locking projection 82 which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80). In addition, a hinge rod 89 is formed in the circuit unit 30, and a hinge groove 88 in which the hinge rod 89 is rotatably suppo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

걸림홀(80)은 호 형태로 형성되고, 면적이 넓은 제1부분(84)과, 면적이 좁은 제2부분(86)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82)를 제1부분(84)에 삽입한 후 하우징(32)을 회전시키면 걸림돌기(82)가 제2부분(86)에 걸림되어 회로 유닛(30)을 바디 본체(10)에 고정시킨다. The locking hole 80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formed of a first portion 84 having a large area and a second portion 86 having a narrow area to insert the locking protrusion 82 into the first portion 84. After the housing 32 is rotated, the locking protrusion 82 is locked to the second portion 86 to fix the circuit unit 30 to the body main body 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유닛(30)을 변기 본체(10)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기 본체(10)를 물 청소할 경우 회로 유닛(30)을 변기 본체(10)에서 분리하여 회로 유닛(3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회로 유닛(30)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ircuit unit 30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from the toilet body 10 in a simple manner, when the toilet body 10 is cleaned of water, the circuit unit 30 is removed from the toilet body 10. It can be separat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e circuit unit 30 and thereby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circuit unit 3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us, the operation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t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유아가 변기에 앉으면, 제1센싱부(60)가 작동되어 그 신호를 제어유닛(64)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유닛(64)은 제1센싱부(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회로 유닛(30)의 전원을 온(ON)시킨다(S10,S20). First,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toilet,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activated to apply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4. Then, the control unit 64 turns on the power of the circuit unit 3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60 (S10, S20).

그리고, 유아가 변기에 앉으면 서스펜션(70)이 완충작용을 하여 유아가 변기에 앉을 때의 충격을 흡수해 유아가 편안하게 변기에 앉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the suspension 70 absorbs the shock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and helps the infant sit comfortably on the toilet.

제1센싱부(60)가 서스펜션(70)에 설치될 경우 서스펜션(70)의 탄성 변형시 제1센싱부(60)가 온(ON)되고 그 신호는 제어유닛(64)으로 전달되고, 제어유닛(64)은 회로 유닛(30)의 전원을 온(ON)시킨다. When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installed in the suspension 70, when the suspension 70 is elastically deformed, the first sensing unit 60 is turned on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4. The unit 64 turns on the power supply of the circuit unit 30.

그리고, 유아가 용변을 보면 변기통(20)에 배설물이 유입되고, 이때 제2센싱부(62)가 배설물의 유입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64)으로 인가한다(S30). When the infant sees the toilet, feces flows into the toilet bowl 20, and at this time, the second sensing unit 62 detects the inflow of feces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4 (S30).

여기에서, 제2센싱부(62)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 센서가 사용되므로 변기통(20)의 배설물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무접촉방식으로 배설물의 유입을 검출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sensing unit 62 may use a capacitiv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and generates a signal, so that the excrement of the toilet bowl 20 may detect inflow of excrement in a non-contact manner without directly contacting it. .

제2센싱부(62)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유닛(64)은 스피커(66)를 작동시켜 스피커(66)를 통해 사운드나 멜로디 등 제1음향을 출력하여 유아가 용변을 보는 동안 유아의 기분을 즐겁게 해주고, 부모에게는 현재 유아가 변기에서 용변을 보고 있음을 알려준다(S40). When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62, the control unit 64 operates the speaker 66 to output a first sound such as a sound or a melody through the speaker 66 so that the infant feels while viewing the toilet. To entertain and inform parents that the infant is currently looking at the toilet in the toilet (S40).

이때, 제어유닛(64)은 배설물을 감지한 후 약 2초 정도 경과한 후에 스피커(66)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4 preferably operates the speaker 66 after about 2 seconds after detecting the excrement.

그리고, 제1음향은 물 흐르는 소리, 녹음 유닛으로 녹음한 사운드 또는 멜로디, 미리 저장된 사운드 또는 멜로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제1음향은 물 흐르는 소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oun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uch as water flowing, sound or melody recorded by the recording unit, pre-stored sound or melody. The first sound is preferably used as the sound of water flowing.

이와 같이, 용변을 보는 동안 유아에게 유아가 좋아하는 소리를 들려주어 유아가 용변을 기분 좋게 볼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while watching the stool, the infant hears the child's favorite sound so that the infant can feel the stool comfortably.

그리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고 일어서면 제1센싱부(62)가 오프(OFF)되면서, 그 신호가 제어유닛(64)으로 인가된다(S50). 그러면 제어유닛(64)은 유아가 용변을 마친 것으로 판단하여, 스피커(66)를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제2음향을 출력한다(S60). When the infant stands up after finishing the toilet, the first sensing unit 62 is turned off, and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64 (S50). Then, the control unit 64 determines that the infant has completed the toilet, and outputs the second soun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peaker 66 (S60).

그러면, 부모는 제2음향을 듣고 유아가 용변을 마친 것을 알고 유아의 엉덩이를 닦아주는 등 뒷처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부모는 제2음향을 듣고 유아가 용변을 마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용변을 보는 유아의 곁에서 계속 감시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n, the parent listens to the second sound and knows that the infant has finished the stool, and performs back treatment such as cleaning the infant's hips. In this way, since the parent hears the second sound and knows that the infant has finished the toilet, the parent does not ne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ide of the infa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여기에서, 제2음향은 물 흐르는 소리 등 자연의 소리, 녹음 유닛을 통해 녹음한 음향이나 미리 저장된 음향 중 어느 하나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ound may be any one of a natural sound such as water flowing sound, a sound recorded through a recording unit, or a pre-stored sound.

바람직하게는 제2음향은 유아를 칭찬하는 부모의 음성 등 사전에 미리 녹음된 소리가 사용된다. 제2음향으로 녹음 유닛을 통해 녹음된 유아를 칭찬하는 부모의 목소리가 출력되면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로부터 칭찬을 듣도록 하여 다음에도 용변을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하여 용변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음향은 제어유닛(64)으로부터 제어유닛(64)에 내장된 메모리장치(ROM)나 USB(95)에 저장된 음악이나 노래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를 스피커(66)를 통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second sound is a sound recorded in advance, such as the voice of the parents praising the infant. If the voice of the parents praising the infant recorded through the recording unit as the second sound is output, the infant will hear the praise from the parents when he / she finishes the toilet so that he / she will want to see the toilet again. Can be. The second sound is to play through the speaker 66 a randomly selected one of the memory device (ROM) built in the control unit 64 from the control unit 64 or the music or song stored in the USB 95.

제2음향이 설정 시간 동안 출력된 후 이어서, 약 1초 또는 1초 이상의 시간이 지연된 후 스피커(66)를 통해 제3음향을 출력한다(S70). After the second sound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hird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66 after a delay of about 1 second or more than 1 second (S70).

여기에서, 제3음향은 유아가 좋아하는 노래나 멜로디가 사용된다. Here, the third sound is a song or melody that the infant lik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변기 본체 12: 제1바디
14: 제2바디 20: 변기통
22: 플랜지부 30: 회로 유닛
32: 하우징 34: 배터리
44: 레그 60: 제1센싱부
62: 제2센싱부 64: 제어유닛
66: 스피커 70: 서스펜션
90: 녹음버튼 92: 마이크
94: LED 램프
10: toilet body 12: the first body
14: second body 20: toilet bowl
22: flange portion 30: circuit unit
32: housing 34: battery
44: leg 60: first sensing unit
62: second sensing unit 64: control unit
66: speaker 70: suspension
90: record button 92: microphone
94: LED lamp

Claims (8)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유아의 용변이 저장되는 변기통;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유아가 용변을 볼 때 멜로디나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유아가 용변을 마치면 부모에게 용변 마침을 알려주는 회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변기 본체 또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아가 변기에 앉거나 유아가 변기에서 일어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싱부와, 상기 변기통에 배설물이 유입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싱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1센싱부 및 제2센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변기 본체 사이에는 하우징을 변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변기 본체의 제2바디의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걸림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제2바디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걸림홀에 걸림되고, 하우징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걸림홀에서 걸림이 해제되는 유아용 변기.
Toilet body; A toilet bowl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toilet body and storing a stool of an infant; And a circuit unit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to generate a melody or sound when the infant sees the toilet, and to notify the parent when the infant finishes the toilet.
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housing detachably fixed to the toilet body,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toilet body or the housing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ilet or when the infant wakes up from the toilet, and excrement in the toilet bowl. A second sensing unit which generates a signal when it flows in, a speaker embedded in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ystem according to signals appli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 fastening unit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oilet body to detachably fasten the housing to the toilet body.
The fasten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locking hole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of the toilet bod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s, and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 hinge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the formed hinge groove,
When the housing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when rotating the hous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baby toilet is the locking projectio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에는 유아가 변기에 앉을 때 완충 작용을 하는 서스펜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센싱부는 서스펜션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스펜션이 탄성 변형되면 온(ON)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타입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ile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uspension that buffers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toilet, the first sens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spension when the suspension is elastically deformed switch type sensor that generates an ON signal is used that is used A potty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변기 본체의 상면에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변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누르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spension is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protrudes integr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ile opening in the outward direction Toilet bowl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변기통에 배설물이 유입되면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인가하는 정전용량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ing uni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ilet capacitiv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a capacitanc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pplying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excrement flows into the toilet bow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유닛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제어유닛을 포함한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부모의 목소리나 유아가 좋아하는 사운드나 멜로디를 직접 녹음할 수 있는 녹음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it unit includ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circuit components including a control unit are mounted, and a recording unit capable of directly recording a voice of a parent or a child's favorite sound or melody is provided. A potty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유닛은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마이크와, 누르면 녹음이 진행되는 녹음버튼과, 녹음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시켜주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cording unit is a baby toilet comprising a microphon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the recording button is pressed recording proceeds, and the LED lamp for visually confirming the recording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USB 메모리가 연결되는 USB 연결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housing is a potty,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USB memory.
KR1020120035502A 2012-04-05 2012-04-05 A toilet stool for child KR101390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02A KR101390331B1 (en) 2012-04-05 2012-04-05 A toilet stool for chi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02A KR101390331B1 (en) 2012-04-05 2012-04-05 A toilet stool for chi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48A KR20130113148A (en) 2013-10-15
KR101390331B1 true KR101390331B1 (en) 2014-04-30

Family

ID=4963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502A KR101390331B1 (en) 2012-04-05 2012-04-05 A toilet stool for chi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860B2 (en) * 2012-08-10 2016-03-30 株式会社リッチェル Baby toil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2634A1 (en) 1997-11-03 1999-05-14 Maunier Eugene Toilet training chamber pot
KR19990038722A (en) * 1997-11-06 1999-06-05 채인기 Child toilet seat with stool education function
EP1091679B1 (en) * 1998-07-02 2005-11-16 Iris Whyte Toilet apparatus
KR100811218B1 (en) 2006-09-05 2008-03-07 김상선 Functional teats for play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2634A1 (en) 1997-11-03 1999-05-14 Maunier Eugene Toilet training chamber pot
KR19990038722A (en) * 1997-11-06 1999-06-05 채인기 Child toilet seat with stool education function
EP1091679B1 (en) * 1998-07-02 2005-11-16 Iris Whyte Toilet apparatus
KR100811218B1 (en) 2006-09-05 2008-03-07 김상선 Functional teats for pla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48A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483B1 (en) Potty for Toilet Training
US6698036B2 (en) Potty training device
US5652975A (en) Automatic talking potty apparatus
US6037871A (en) Bathroom hygiene training system
US7891030B1 (en) Child training bathroom toilet
KR960008578Y1 (en) Toilet for child
US7237278B1 (en) Potty training device with means for recording and playing audio clips
US6964595B2 (en) Child's infant-care play center
JP2015519871A (en) Training toilet
US5518405A (en) Musical potty training device
WO2007130439A2 (en) Tissue dispenser with sensory device
US20100043132A1 (en) Sports Theme Potty-Training Apparatus
CN201174248Y (en) Sound controlled motion stabilizing apparatus for human or animal
US20040244111A1 (en) Electronic bassinet rocker
KR101390331B1 (en) A toilet stool for child
US20080178384A1 (en) Heartbeat simulator and sleep aid incorporating the same
US20180247564A1 (en) Potty Train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hemes
US5926864A (en) Musical potty chair
US20040133971A1 (en) Modular potty training system
JP7098627B2 (en) Audio device and usage
KR200290878Y1 (en) Bidet apparatus having music and perfume output system
US20120208155A1 (en) Potty Training Method
JPH09215632A (en) Stool
US7865980B1 (en) Potty training system
KR20230106437A (en) toilet stool for a b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