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114B1 - Intermediate pour stopper of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Intermediate pour stopper of portable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0114B1 KR101390114B1 KR1020120109367A KR20120109367A KR101390114B1 KR 101390114 B1 KR101390114 B1 KR 101390114B1 KR 1020120109367 A KR1020120109367 A KR 1020120109367A KR 20120109367 A KR20120109367 A KR 20120109367A KR 101390114 B1 KR101390114 B1 KR 101390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stopper
- locking
- locking member
- free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유로 마개의 세정성 뿐만 아니라 액체가 체류하기 쉬운 마개 본체측의 걸어맞춤부의 세정성을 향상한다.
뚜껑(4)은, 대략 수평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마련된 잠금부재(29)와, 상기 잠금부재(29)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39)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29)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눌러 움직일 때에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에 접촉하고, 전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위한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경사지는 접촉 경사면을 뒷부분에 마련하고, 앞부분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춰지는 걸어멈춤부(5)를 구비한다. 승강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이 상부에 배치되어 시인성이 높은데다가, 뚜껑(4)이 전부 열려 세정성이 높다. Not only the cleaning property of the flow path plug is improved, but also the cleaning property of the engaging portion on the plug main body side on which the liquid is easily retained is improved.
The lid 4 includes a locking member 29 provided to freely retreat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pressing means 39 for applying a force to the locking member 29 in a stopping direction, and the locking member 29 ) Is in contact with the stop release inclined surface when the stop release button 40 is moved by pressing, and the contac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obliquely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for sliding forward to provide a rear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5 that is locked to the locking recess 28 that protrudes in the inward direction. The lifting stop release button 40 is disposed at the upper side, so that visibility is high, and all the lids 4 are opened, so that the washing ability is high.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개의 주입구 또는 음용구(飮用口)를 덮는 뚜껑이 마개 본체에 축으로 지지되어, 뚜껑이 닫힌 상태로 걸어멈춰지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for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lid covering an injection port or a drinking appliance of a stopper is supported by a stopper body on a shaft, and is stopped with the lid closed.
종래, 이 종류의 것으로서, 음용구를 마련한 마개 본체에 한쪽으로 열리는 뚜껑을 자유로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리고, 뚜껑에 마련되는 잠금부재는, 걸어맞춤부와 걸어벗기는 걸어벗김부재와, 이 걸어벗김부재를 한쪽으로 열리는 뚜껑과 외면(外面)끼리가 면 일치한 것을 보통의 상태로 하여 덮어 외면으로부터의 누름 조작으로 걸어벗김부재를 퇴피 동작시키는 잠금 해제 조작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Conventionally, it is known that the lid which opens to one side to the stopper main body which provided the drinking implement was opened and closed freely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the locking member provided in a lid is a fastening part, The locking operation is a lock release operation member which retracts the sliding member by operating the pressing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by covering the cladding member with a lid which is opened to one sid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ladding member in a normal state. What is equipped with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또한, 마개 본체에 걸어멈춤받이부를 외측을 향하여 마련하고, 뚜껑에 이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그리고 걸어멈춤편부에 마련한 걸어멈춤조를 걸어멈춤받이부에 자유로이 걸고 떼어지도록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Further, it is known that the stopper part is provided on the stopper body toward the outside, the moving part is provided on the li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topcock provided on the stopper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stopper part can be freely hanged off.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게다가, 용기 본체의 상단 입구부내에 어깨 부분을 사이에 두고 중간 마개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고, 어깨 부분에 컵 겸용의 뚜껑을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리고 중간 마개에 액통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액통로에 밸브 본체를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In addition, the middle plug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shoulder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up li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liquid passage is provided at the middle cap. It is known that the valve body is freely detached from the passag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4).
용기 중간 마개의 걸어맞춤 해제 방법으로서, 각 부분으로부터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조 방향이 외측을 향하기 때문에, 내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부가 필요하다. 내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부인 경우 유로(流路)를 피하기 위해 반드시 좌우에 걸어맞춤부가 2개소 이상 필요하고, 한쪽의 걸어맞춤부만이 걸리는 "한쪽 걸림"의 위험성이 있어 누설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해제시에 잡아당기는 행위가 필요하고, 누르는 행위에 비해 조작성, 시인성(視認性)이 나쁘다. Various methods are proposed from each part as a disengaging method of a container middle stopper. In the prior art of the said
상기 특허문헌 2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걸어맞춤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밀기 슬라이드 방식으로 더욱더 면 일치가 되는 외관이 되기 때문에, 어떻게 열면 좋은지 알기 어려워, 시인성이 나쁘다. In the prior art of the said patent document 2, since operation of an engaging part becomes an external appearance which becomes more and more coincident with a sliding slide system,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open it, and visibility is bad.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동부가 뚜껑 천정면에 크게 나타나 있어, 뚜껑을 닫을 때에 이동체를 잘못 조작해 버릴 우려가 있어, 조작성이 나쁘다. Moreover, in the prior art of the said
게다가, 상기 특허문헌 4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조작부가 승강식(昇降式)으로 눈으로 보기 쉬워 시인성이 높지만, 액 통로만 개폐되기 때문에, 유로로부터 옆쪽으로 흩날린 액체의 세정이 곤란하여 세정성이 나쁠 우려가 있다. Moreover, in the prior art of the said patent document 4, since an operation part is easy to see by a lift type, and visibility is high, since only a liquid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washing | cleaning of the liquid scattered laterally from the flow path is difficult, and it is washable. This might be bad.
따라서, 본 발명은, 유로 전체나 마개 본체, 뚜껑의 세정성을 향상하고 또한, 뚜껑에 마련되는 해제용 조작부의 오조작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확실한 동작을 실현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컵을 단단히 조였을 때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움직였을 때, 그 상태로 걸어멈춤 해제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오작동이 생기기 어렵고, 게다가,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과도하게 내리 누른 경우에도, 뚜껑 하체(下體)와 뚜껑 상체(上體)가 분해되는 일 없이,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leanliness of the entire flow path, the plug body, and the lid, to reduce the mis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lid, and to realize reliable operation. In addition,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the cup is tightened firmly, the stoppa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or a malfunction may occur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stoppage release button in this state when the stoppage release button is moved. In addition, even if the locking release button is excessively pressed dow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overall height to be kept low without disassembling the lid lower body and the lid upper body.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되는 마개 본체와,The beverage container intermediate stopper of the invention of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형성된 액 유로와,A liquid flow path formed inside the stopper body,
상기 액 유로의 상부 및 상기 마개 본체의 앞쪽에 마련한 주입구 또는 음용구와, An injection hole or a drinking appliance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passage and in front of the stopper body;
상기 마개 본체의 뒤쪽에서 상기 마개 본체에 자유로이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액 유로를 개폐하는 뚜껑과,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flow path between the axial support portions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to the stopper body from the rear of the stopper body;
상기 뚜껑에 마련되어 상기 액 유로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부재와,An index member provided on the lid to seal the liquid flow path;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와, A stopping part for stopping while the lid is closed,
상기 뚜껑 상부에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마련된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구비하고, It is provided with a stop release operation portion provided to freely lift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주입구 또는 음용구의 외측으로 개방된 걸어멈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The stopper body includes a locking reces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hole or the drinking appliance,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을 구비하고, The stopping release operation portion has a stopping release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oblique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뚜껑은, 대략 수평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마련된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The lid includes a locking member provided to freely advance and retreat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pressing means for applying a force in a stopping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눌러 움직일 때에 상기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에 접촉하고, 전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위한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경사지는 접촉 경사면을 뒷부분에 마련하고, 앞부분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걸어멈춰지는 상기 걸어멈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king member contacts the stop release slope when moved by pressing the stop release operation portion, and provides a contact inclined surface slanted downward oblique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for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rear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recess projecting in the inward direction.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에 상기 뚜껑을 덮도록 컵을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마련하고,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로 걸어멈춤했을 때에 잠금부재의 전방 외면이 상기 뚜껑 외주면보다 외측에 있고, 상기 잠금부재 전방 외면과 상기 컵 내벽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와 걸어멈춤편의 걸어멈춤 거리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container intermediate stopper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provided with a cup freely detachable so as to cover the lid on the beverage container body, and the front of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id is stopped with the lid closed. An outer surface is out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king member front outer surface and the cup inner wall surface is less than the stopping distance between the locking recess and the locking piece.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지수 부재가 자유로이 탈착되게 부착되어 있는 뚜껑 하체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가 배치된 뚜껑 상체로 구성되고, 뚜껑 하체와 뚜껑 상체의 중간부에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제 1 가압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뚜껑 하체는, 상기 잠금부재의 대략 수평방향으로의 진퇴시에, 서로 접촉하여 유도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지는 유도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everage container intermediate stopper of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하체와 상기 뚜껑 상체가, 강제로 끼워맞춰지고, 또한 상기 축지지부를 형성하는 힌지축과 대략 평행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everage container intermediate stopper of Claim 4, the said lid lower body and the said lid upper body are forcibly fitted, and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hinge axis which forms the said shaft support part in Claims 1-3.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with a pin.
청구항 5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접촉 경사면에서 좌우 대칭으로 상기 힌지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로부터 상기 잠금부재 전방 외면에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는 암(arm)부로 구성되고, 상기 주입구 또는 음용구가 상기 암부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everage container intermediate stopper of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가 상부로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높은데다가, 상방으로부터 조작하기 쉽다. 가동부는 뚜껑 내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실수로 닿는 일이 없어, 동작이 확실하고 조작성이 뛰어나다. 게다가 뚜껑이 전부 열리기 때문에 세정성도 좋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컵을 단단히 조일 때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워, 걸어멈춤 해제 조작시에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그 부분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동작 확실성이 뛰어나다. 또한, 용기 본체가 감압(減壓)이 되었을 때에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눌러도 열리지 않게 된 경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누르면서 잠금부재에 손가락을 걸어 뚜껑을 열기 쉽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the cup is tightened securely, the stopping of the stopping can be prevented. Moreover, it is easy to visually confirm a movable part, and a user does not consciously disturb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part at the time of a stop release operation. For this reason, it is excellent in operation certainty.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main body is depressurized, when the locking release operation portion is not opened even when the locking release operation portion is pressed, the lid is easily opened by putting a finger on the locking member while pressing the release release operation portion.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아도,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오목부의 상면에 얹혀지기 때문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움직였을 때, 그 상태로 걸어멈춤 해제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아도 다시 걸어멈춰져 뚜껑이 열리지 않게 되는 오작동이 생기기 어렵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과도하게 내리 누른 경우에도, 뚜껑 하체와 뚜껑 상체가 분해되는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even when the locking release button is pressed down excessively, the lid lower body and the lid upper body are not decomposed.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음용구 또는 주입구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뚜껑이 걸어멈춤 상태의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뚜껑이 걸어멈춤 해제 상태의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의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뚜껑이 걸어멈춤 상태의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이 해제 상태의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의 마개의 사시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of the lid in a locked stat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of the said lid in the state which stopp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in the open stat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of the lid in a locked stat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of the lid is released.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of the said lid open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limit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a claim. In addition, not all of the constitutions described below are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보온병 등의 액체 용기의 마개(1)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되는 외부 마개 등으로 칭하는 마개 본체(3)와, 상기 마개 본체(3)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마개 본체(3)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마개 등으로 칭하는 뚜껑(4)과, 상기 뚜껑(4)을 상기 마개 본체(3)에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5)를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외부 용기(6)와 내부 용기(7)의 사이에 진공 등의 단열층(8)을 개재하고 있다. 게다가, 뚜껑(4)의 상방을 덮도록 액체 용기에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외측에 구비한 컵(9)을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마련한다. 이 컵(9)은 바닥부(9D)를 상측을 향하도록 하고, 용기 본체(2)의 머리부 외주의 숫나사부(10)에 컵(9)의 둘레면부(9S)에 형성한 암나사부(11)를 나사식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마개(1)의 중심선(X)은, 용기 본체(2)의 중심선(X)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The
상기 마개 본체(3)는, 상부 앞쪽에 주입구(12)를 상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바닥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부(13)와, 상기 마개부(13)의 하부에 마련되는 용기 본체(2)에의 부착부(14)로 이루어지고, 마개부(13)를 용기 본체(2)의 개구부 안에 삽입하고, 그 하부에 마련된 부착부(14)의 외주에 형성된 숫나사부(15)를 용기 본체(2)의 머리부 내주의 암나사부(16)에 나사식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상기 마개부(13)의 상부 뒤쪽에, 상기 뚜껑(4)이 수평방향의 지지축인 힌지축(4A)에서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개(1)는, 힌지축(4A)과 지름 방향에 대향하는 측, 즉 앞쪽이 주입구(12)가 된다. The
상기 마개부(13)는, 상면의 거의 중앙에, 바닥벽(17U)이 힌지축(4A)측으로부터 주입구(12)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전후방향이 약간 긴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벽(17)이 낮은 쪽에 액통과 구멍(18)을, 높은 쪽에 공기구멍(19)을 각각 뚫어 형성하고, 상기 바닥벽(17)으로부터 상부 개구, 즉 주입구(12)의 사이를 액 유로(20)로 하고 있다. 또한, 부착부(14)의 하부 외주에는, 마개 본체(3)를 용기 본체(2)에 부착했을 때에, 머리부 내주의 암나사부(16)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차부(21)에, 밀착하는 링 형상의 시일부재(22)가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뚜껑(4)은, 오목부(17)에 여유를 가지고 삽입되는 바닥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뚜껑 하체(23)와, 상기 뚜껑 하체(23)의 상부 개구를, 중간부(24)를 사이에 두고 덮는 뚜껑 상체(25)로 이루어지고, 뚜껑 하체(23)의 외주, 바닥면에는 지수 부재인 시일부재(26)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를 닫을 때에는 시일부재(26)는 액통과 구멍(18), 공기구멍(19)을 폐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뚜껑 하체(23)와 뚜껑 상체(25)가, 강제로 끼워맞춰지고, 또한 축지지부를 형성하는 힌지축(4A)과 대략 평행하게, 뚜껑 하체(23)와 뚜껑 상체(25)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27)으로 고정되어 있다. The lid 4 has a lid
상기 뚜껑 상체(25)의 외주면의 전방 하부에는, 걸어멈춤부(5)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마개 본체(3)의 외주면의 전방 상부에는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받이부로서의 걸어멈춤 오목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5)는 뚜껑(4)을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한 잠금부재(29)의 앞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이 잠금부재(29)는 후술하는, 제 1 연결부재인 암부(31), 제 2 연결부재인 날개부(32), 제3 연결 부재인 중간 연결부재(33) 등에 의해 형성된다.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lid upper body 25, the locking
뚜껑 상체(25)는 중심선(X)을 중심으로 한 평면이 원형인 거의 통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의 전방 하측 가장자리에 상측 방향으로 정면이 문형(門型)을 이루어 안팎을 연이어 통하게 한 연통부인 절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4)는 평면이 외주면 하측 가장자리의 주위의, 1/3 이하, 실시예에서는 대략 1/4의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부(34)에 끼워맞춰지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잠금부재(29)의 앞면 하측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걸어멈춤부(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걸어멈춤부(5)는 외주면 하측 가장자리의 정면, 즉 외주면의 전방 하측 가장자리의 중앙에 하측을 향하는 소돌기부(35)를 마련하는 동시에, 이 하측을 향하는 하부(43)에 내측을 향하는, 즉 상하 방향의 뚜껑(4)의 중심선(X)의 방향을 향한 내측을 향하는 소돌기부(36)를 마련하고 있다. 이 내측을 향하는 소돌기부(36)의 하면(36U)은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잠금부재(29)의 전방의 외주면(30S) 하부의 중심선(X)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 1 반지름(L)은, 뚜껑 상체(25)의 외주면(25S)의 중심선(X)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 2 반지름(M)과 같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부재(29)의 전방의 외주면(30S) 하부와 뚜껑 상체(25)의 외주면(25S)은 동일 곡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잠금부재(29)의 전방의 외주면(30S) 상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커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30S) 상부의 중심선(X)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 3 반지름(N)은, 제 2 반지름(M)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부재(29)의 앞면의 둘레면(30S) 상부는 뚜껑 상체(25)의 외주면(25S)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 이 때문에, 잠금부재(29)의 전방의 외주면(30S) 상부, 특히 잠금부재(29)의 상면(30U)에 있어서의 외주면(25S)으로부터의 돌출 개소에 손가락을 걸거나 혹은 손톱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재(29)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절결부(34)의 좌우 끝단과 잠금부재(29)의 좌우 끝단에는, 단차 형상부(37)를 사이에 두고 상하 좌우방향을 위치 결정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있다. The lid upper body 25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shape centering on the center line X, and is a communication part that has a frontal shape in the upper direction at the front lower edg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joint 34 is formed. The
한편, 걸어멈춤 오목부(28)는 뚜껑 상체(25)의 외주면(25S)의 전방에 상방 및 바깥쪽을 개구한 오목 형상으로서, 걸어멈춤 오목부(28)의 내측면의 상부에 걸어멈춤받이용 소돌기(38)가 좌우방향을 따라서 마련된다. 이 걸어멈춤받이용 소돌기(38)는 그 상면(38U)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잠금부재(29)는 상시(常時)에는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 유지할 수 있도록 중공의 중간부(24)에 내장된 스프링 등 제 1 가압수단(39)에 의해 내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 때문에, 잠금부재(29)의 좌우 끝단에는 후방으로 향하여 좌우 한 쌍의 막대형상의 암부(31)가 연결되고, 이 암부(31)의 뒷부분(42)에 내측을 향한 날개부(32)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들 좌우 한 쌍의 날개부(32)의 내측 끝단의 상호간에 뒤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 형상의 중간 연결부재(33)가 연결되어 있어, 이 중간 연결부재(33)와 중간부(24)를 형성하는 전벽(前壁)(24F)과의 사이에 제 1 가압수단(39)이 개재되어, 중간 연결부재(33)를 상시(常時) 후방으로 누르고, 뚜껑을 닫을 때에 걸어멈춤부(5)를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주입구(12)가 좌우 한 쌍의 암부(31)의 내부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게다가, 뚜껑 하체(23)는, 잠금부재(29)의 대략 수평방향으로의 진퇴시에, 날개부(32)의 하면이 서로 접촉하여 유도하는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지는 유도 경사면(45)을 마련하고 있다. The locking member 29 is the first
상기 뚜껑 상체(25)의 상면의 거의 중심선(X)상, 실시예에서는 중심선(X)보다 약간 후방에, 상기 걸어멈춤부(5)와 걸어멈춤 오목부(28)와의 걸어멈춤 유지를 해제하는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이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관통 삽입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은 중심선(X)과 평행한 원통형으로서, 그 상면(40U)은, 상기 걸어멈춤 유지 상태에서는, 뚜껑 상체(25)의 상면과 뚜껑 상체(25)의 상면에 배치된 오목부(25A)의 바닥부와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40U)이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On the substantially center line X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upper body 25, in the embodiment, slightly behind the center line X, the locking holding between the locking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의 하부의 뒤쪽을 향한 면 형상의 앞부분(41)과, 중간 연결부재(33)의 뒤쪽을 향한 면 형상의 뒷부분(42)은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걸어멈춤하고 있다. 또한,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의 하부(43)와 중간부(24)의 바닥벽(24U)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제 2 가압수단(44)이 개재되어 있고, 이 제 2 가압수단(44)은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상술한 높이 위치에 상시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의 앞부분(41)은 그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점차 낮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부재(33)의 뒷부분(42)은 그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점차 낮고 같은 경사 각도가 되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인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의 상면(40U)을 하방으로 눌러, 하부(43)가 하강하면, 뒷부분(42),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5)가 제 1 가압수단(39)에 저항하여 전진함으로써,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와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Then, the
또한, 컵(9)을 정위치에 나사식 결합한 상태에서는, 잠금부재(29)에 있어서의 외주면(30S)의 상단으로부터 컵(9)의 둘레면부(9S)에 있어서의 내벽면까지의 거리(O)가, 걸어멈춤 상태에 있어서의 걸어멈춤부(5)와 걸어멈춤 오목부(28)와의 전후방향의 걸어멈춤 거리(P)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state which screwed the
게다가, 뚜껑 하체(23)의 중간부(24)의 좌우벽(24S)에는, 상기 잠금부재(29)의 대략 수평방향으로의 진퇴시에, 날개부(32)가 서로 접촉하여 유도하는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지는 유도 경사로를 형성하는 상기 유도 경사면(45)을 마련하고 있다. 유도 경사면(45)은 중간부(24)의 좌우벽(24S)에 형성된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의 전후방향의 하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on the left and
힌지축(4A)에는, 뚜껑(4)을 상시 열림방향(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링 형상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탄성 부재는 일단을 마개 본체(3), 타단을 뚜껑(4)에 각각 접속하는 동시에, 이들의 중간을 힌지축(4A)에 감아 장착한 것이고, 마개 본체(3)에 마련한 힌지축(4A)의 베어링(47)과 그 근방에 있는 뚜껑(4)에는, 뚜껑을 열 때에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 소돌기(48), 걸어멈춤받이 소돌기 (49)가 마련되어 있다. The
한편, 도면 중 50은 마개부(13)의 외주면에 형성한 미끄럼 멈춤용 돌기이다. In addition, 50 is a slipper | protrusion stopper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 그 작용을 설명한다.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함으로써, 뚜껑(4)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가압수단(39)의 미는 힘에 따라서 걸어멈춤부(5)는 뒤쪽을 향하여 계속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시일부재(26)에 의해 액통과 구멍(18), 공기구멍(19)을 봉하도록 하고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locking the locking
한편, 뚜껑이 닫힌 상태의 뚜껑(4)을 열 때는,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제 2 가압수단(44)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누르게 하여 하강하고, 앞부분(41)이 하부(43), 나아가서는 걸어멈춤부(5)를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로부터 이탈하여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된다. 이 후, 뚜껑(4)은 제 2 가압수단(44)에 의해서 열림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열리고, 그리고 걸어멈춤 소돌기(48), 걸어멈춤받이 소돌기(49)가 걸어멈춤함으로써, 뚜껑(4)은 비스듬하게 상측을 향하여 유지된다. 이 상태로 용기 본체(2)를 기울여 수납액을 액통과 구멍 (18)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pening the lid 4 with the lid closed, the stop release button 40 is pushed down against the pushing force of the second pressing means 44, and the
이러한 뚜껑을 열 때에 있어서,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만일 걸어멈춤부(5)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었을 때는, 잠금부재(29)의 상면에 있어서의 둘레면으로부터의 돌출 개소에 손가락을 걸거나 혹은 손톱을 걸어 강제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In the case of opening such a lid, even when the stop release button 40 is pressed, when the
또한, 뚜껑을 닫을 때에 있어서, 잠금부재(29)가 후퇴하지 않는 상태이더라도, 컵(9)을 용기 본체(2)에 나사식 결합하면, 컵(9)의 둘레면의 내측이 정위치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던 잠금부재(29)의 슬라이드부재(30)의 둘레면 상부를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잠금부재(29)를 강제적으로 내리 눌러 걸어멈춤부(5)를 걸어멈춤 오목부(28)에 걸어멈춤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d is closed, even if the locking member 29 does not retreat, when the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료용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에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되는 마개 본체(3)와, 상기 마개 본체(3) 내부에 형성된 액 유로(20)와, 상기 액 유로(20)의 상부 또한 상기 마개 본체(3)의 앞쪽에 마련한 주입구(12)와, 상기 마개 본체(3)의 뒤쪽에서 상기 마개 본체(3)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액 유로(20)를 개폐하는 뚜껑(4)과, 상기 뚜껑(4)에 마련되어 상기 액 유로(20)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인 시일부재(26)와, 상기 뚜껑(4)을 닫은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5)와, 상기 뚜껑(4) 상부에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마련된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본체(3)는, 상기 주입구(12)의 외측으로 개방된 걸어멈춤 오목부(28)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는, 하부에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4)은, 대략 수평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마련된 잠금부재(29)와, 상기 잠금부재(29)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1 가압수단(39)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29)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눌러 움직일 때에 각각 테이퍼 형상의 앞부분(41)과 뒷부분(42)에 접촉한 것에 의해, 뚜껑(4)이 힌지축으로 지지되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개폐되므로, 액 유로(20)의 세정성이 좋고, 마개 본체(3)의 걸어멈춤부(5)가 외측에 개방한 걸어멈춤 오목부(28)이기 때문에, 걸어멈춤부(5)에 모인 오염물도 세정하기 쉽다. 게다가, 걸어멈춤부(5)가 1개소이기 때문에, 뚜껑(4)을 닫는 조작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닫힘 조작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the
특히,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40)가 뚜껑(4)의 상부에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높은 데다가, 상방으로부터 조작하기 쉽다. 또한, 뒷부분(42) 등의 가동부는 뚜껑(4) 내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실수로 닿는 일이 없어, 동작이 확실하고 조작성이 뛰어나다. 게다가 뚜껑(4)이 전부 열리기(full open) 때문에 세정성도 좋다. In particular, since the locking release operation part 40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lid 4 can lift freely, visibility is high and it is easy to operate from upper direction. Moreover, since the movable parts, such as the
또한, 잠금 전방 외면이 뚜껑(4)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있어, 잠금부재(29) 전방 외면으로부터 컵(9)의 내벽면까지의 거리(O)가, 걸어멈춤 거리(P)보다 작기 때문에, 컵(9)을 단단히 조일 때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우선적으로 잠금 전방 외면이 컵(9) 내벽에 접촉하여,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밀폐한 채로의 장기 보존에 의한 음료의 온도 강하로 감압이 되었을 때라도,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40)를 누르면서 잠금부재(29)에 손가락을 대기 쉬어 뚜껑(4)을 들어 올리는 것이 용이하다. Further, since the lock front outer surface is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4, the distance O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29 fro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게다가, 상기 뚜껑(4)은, 상기 지수 부재를 자유로이 탈착되도록 부착되는 뚜껑 하체(23)와,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배치하는 뚜껑 상체(25)로 구성되고, 뚜껑 하체(23)와 뚜껑 상체(25)의 중간부에 상기 잠금부재(29)와 상기 제 1 가압수단(39)을 마련하고, 상기 뚜껑 하체(23)는, 상기 잠금부재(29)의 대략 수평방향으로의 진퇴시에, 서로 접촉하여 유도하는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지는 유도 경사면(45)을 마련함으로써,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눌러 움직이고, 잠금부재(29)가 연이어 움직여 걸어멈춤부(5)가 벗겨질 때에, 뚜껑 하체(23)의 유도 경사면(45)에 접촉하여 잠금부재(29)가 미끄러져 움직이기 때문에, 걸어멈춤부(5)가 약간 비스듬하게 전방을 향하여 움직여, 그 상태로 걸어멈춤 해제버튼(40)으로부터 손을 떼어놓아도, 걸어멈춤부(5)가 걸어멈춤 오목부(28)의 상면에 얹혀지기 때문에, 다시 걸어멈춰져 뚜껑(4)이 열리지 않게 되는 오작동이 생기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lid 4 is composed of a lid
또한, 뚜껑 하체(23)와 뚜껑 상체(25)가, 강제로 끼워맞춰지고, 또한 축지지부를 형성하는 힌지축(4A)과 대략 평행하게 삽입되는 고정핀(27)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걸어멈춤 해제버튼(40)을 과도하게 내리 누른 경우에도, 뚜껑 하체(23)와 뚜껑 상체(25)가 분해되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lid
게다가, 잠금부재(29)는, 상기 접촉 경사면에서 좌우 대칭으로 상기 힌지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날개부(32)와, 상기 날개부(32)로부터 상기 잠금부재(29) 전방 외면에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는 암부(31)로 구성되고, 상기 주입구(12)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암부(31) 내부에 수납되게 한 것으로써, 잠금부재(29)가 주입구(12)의 좌우 양쪽 옆을 통과하기 때문에, 주입구(12)의 상부에 잠금부재(29)를 배치하는 경우보다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이 결과 주입구(12)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29 has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는, 각종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개에는 음용구가 마련되는 것이라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the container container stopp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uses. For example, the stopper may be provided with a drinking instrument.
2 : 용기 본체
3 : 마개 본체
4 : 뚜껑
4A : 힌지축
5 : 걸어멈춤부
9 : 컵
12 : 주입구
20 : 액 유로
23 : 뚜껑 하체
25 : 뚜껑 상체
26 : 시일부재(지수 부재)
27 : 고정핀
28 : 걸어멈춤 오목부
29 : 잠금부재
39 : 제 1 가압수단
31 : 암부
40 : 걸어멈춤 해제 버튼(걸어멈춤 해제 조작부)
41 : 앞부분(걸어멈춤 해제 경사면)
42 : 뒷부분(걸어멈춤 해제 경사면)
45 : 유도 경사면
O : 거리
P : 걸어멈춤 거리2:
3: stopper body
4: Lid
4A: Hinge Shaft
5: stop
9: cup
12: inlet
20: liquid euro
23: lid lower body
25: lid upper body
26: seal member (index member)
27: Fixing pin
28: stop recess
29: locking member
39: first pressing means
31: dark
40: stop release button (stop release control panel)
41: front part (stop stopping slope)
42: rear part (hang stop slope)
45: guide slope
O: distance
P: walking distance
Claims (5)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형성된 액 유로와,
상기 액 유로의 상부 및 상기 마개 본체의 앞쪽에 마련한 주입구 또는 음용구와,
상기 마개 본체의 뒤쪽에서 상기 마개 본체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액 유로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마련되어 상기 액 유로를 밀폐하는 지수 부재와,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와,
상기 뚜껑 상부에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마련된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주입구 또는 음용구의 외측으로 개방된 걸어멈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수평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되도록 마련된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걸어멈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조작부를 눌러 움직일 때에 상기 걸어멈춤 해제 경사면에 접촉하고, 전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위한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경사지는 접촉 경사면을 뒷부분에 마련하고, 앞부분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걸어멈춰지는 상기 걸어멈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중간 마개.A stopper body attach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for beverage so as to be detached freely;
A liquid flow path formed inside the stopper body,
An injection hole or a drinking appliance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passage and in front of the stopper body;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flow path between the shaft support part so as to be freely rotated to the stopper body from the rear of the stopper body;
An index member provided on the lid to seal the liquid passage;
A stopping part for stopping while the lid is closed,
It is provided with a stop release operation portion provided to freely lift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The stopper body includes a locking reces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hole or the drinking appliance,
The stopping release operation portion has a stopping release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oblique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lid includes a locking member provided to freely advance and retreat in a horizontal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pressing means for applying a force in a stopping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The locking member contacts the stop release slope when moved by pressing the stop release operation portion, and provides a contact inclined surface slanted downward oblique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for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rear portion, And said stopper which stops at said stopper recess projecting in an inward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18148A JP5263361B2 (en) | 2011-09-30 | 2011-09-30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JPJP-P-2011-218148 | 2011-09-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5973A KR20130035973A (en) | 2013-04-09 |
KR101390114B1 true KR101390114B1 (en) | 2014-04-28 |
Family
ID=4819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9367A KR101390114B1 (en) | 2011-09-30 | 2012-09-28 | Intermediate pour stopper of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263361B2 (en) |
KR (1) | KR101390114B1 (en) |
CN (1) | CN103086059B (en) |
TW (1) | TWI48020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3848B2 (en) * | 2012-01-27 | 2013-09-18 | サーモス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JP5962433B2 (en) * | 2012-10-23 | 2016-08-03 | サーモス株式会社 | Pressurized liquid container |
KR101399683B1 (en) | 2013-04-29 | 2014-05-27 |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 Cap of drink container |
JP5646009B1 (en) * | 2013-07-05 | 2014-12-24 | サーモス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JP6346009B2 (en) * | 2014-07-04 | 2018-06-20 |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Writing instrument |
JP6027647B1 (en) | 2015-06-16 | 2016-11-16 | サーモス株式会社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JP6681745B2 (en) * | 2016-03-01 | 2020-04-15 | サーモス株式会社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JP6509783B2 (en) * | 2016-06-10 | 2019-05-08 | サーモス株式会社 | Cap unit and container for beverage |
CN108113467B (en) * | 2016-11-30 | 2023-05-23 |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 Liquid heating container |
FR3067584B1 (en) * | 2017-06-14 | 2019-08-09 | Seb S.A. | BOTTLE WITH BRAKE ELEMENT AND HOLDING OF THE COVER |
CN107713619B (en) * | 2017-11-28 | 2023-06-20 | 宁波圣汇塑料科技有限公司 | Portable open-close type cup cover and thermos cup |
JP7161339B2 (en) * | 2018-08-10 | 2022-10-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6542A (en) | 1998-10-19 | 2000-04-25 | Zojirushi Corp | Plug for liquid container |
KR200444719Y1 (en) | 2007-08-01 | 2009-05-29 | 이종열 | A vacuum bottle plug |
JP2010023854A (en) | 2008-07-16 | 2010-02-04 | Thermos Kk | Drink container |
JP2011111175A (en) | 2009-11-25 | 2011-06-09 | Pearl Metal Co Ltd | Beverage container stopp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960Y2 (en) * | 1988-07-18 | 1994-03-1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ntainer with lid |
JP2587149Y2 (en) * | 1993-09-06 | 1998-12-14 | アイワ株式会社 | Lid locking device |
TWM244854U (en) * | 2000-09-27 | 2004-10-01 | Nippon Oxygen Co Ltd |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
JP5125157B2 (en) * | 2007-03-08 | 2013-01-23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Open bottle |
CN101525069B (en) * | 2009-03-12 | 2011-07-27 |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 Cover opening mechanism of container with cover |
JP5332815B2 (en) * | 2009-03-31 | 2013-11-06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Bottle lid braking structure |
CN201801039U (en) * | 2010-05-11 | 2011-04-20 |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 Automatic resetting vessel cover |
JP3169208U (en) * | 2011-05-10 | 2011-07-21 | オルゴ株式会社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
2011
- 2011-09-30 JP JP2011218148A patent/JP526336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9-26 CN CN201210363656.0A patent/CN103086059B/en active Active
- 2012-09-28 TW TW101135805A patent/TWI480208B/en active
- 2012-09-28 KR KR1020120109367A patent/KR1013901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6542A (en) | 1998-10-19 | 2000-04-25 | Zojirushi Corp | Plug for liquid container |
KR200444719Y1 (en) | 2007-08-01 | 2009-05-29 | 이종열 | A vacuum bottle plug |
JP2010023854A (en) | 2008-07-16 | 2010-02-04 | Thermos Kk | Drink container |
JP2011111175A (en) | 2009-11-25 | 2011-06-09 | Pearl Metal Co Ltd | Beverage container stopp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80208B (en) | 2015-04-11 |
JP2013075719A (en) | 2013-04-25 |
TW201332850A (en) | 2013-08-16 |
KR20130035973A (en) | 2013-04-09 |
JP5263361B2 (en) | 2013-08-14 |
CN103086059A (en) | 2013-05-08 |
CN103086059B (en) | 2016-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0114B1 (en) | Intermediate pour stopper of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
TWI492734B (en) | Drinks for containers | |
JP3205180U (en) | Container lid structure | |
JP3202797U (en) | Cup lid with self-locking function | |
KR200485780Y1 (en) | Cup lid with nozzle | |
TWI537187B (en) | Drinks for containers | |
CN105636874A (en) | Travel beverage container with drop-down lid | |
JP6027647B1 (en)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
TWI483701B (en) | Drinks for containers | |
JP4449725B2 (en) | Open bottle | |
JP5333812B2 (en) | Container with trigger pump | |
KR101520176B1 (en) | Cap of drink container | |
JP5503042B1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
KR200470852Y1 (en) | Tumbler cap | |
JP5387608B2 (en) | Open bottle | |
KR101373638B1 (en) | Cup cap of one touch type | |
JP3224167U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
KR101476382B1 (en) | oil cap | |
JP5170399B2 (en) | Portable liquid container | |
CN207285943U (en) | Kettle lid structure | |
JP5971610B2 (en) | Operation unit mounting structure of drain plug device | |
WO2008047980A1 (en) | Disposable blood sampling container | |
KR200479030Y1 (en) | One Touch type Water Bottle | |
KR100588600B1 (en) | Safety Cock | |
JP2010022490A (en) | Plug body for beve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