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18B1 -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18B1
KR101389918B1 KR1020120111104A KR20120111104A KR101389918B1 KR 101389918 B1 KR101389918 B1 KR 101389918B1 KR 1020120111104 A KR1020120111104 A KR 1020120111104A KR 20120111104 A KR20120111104 A KR 20120111104A KR 101389918 B1 KR101389918 B1 KR 10138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oice call
fiber sheet
unit
resi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054A (ko
Inventor
김상운
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김경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김경, 김상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Priority to KR102012011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통화 과정에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다량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Smart phone having function of sheltering electric wave}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통화 과정에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다량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전자기기는 구동 과정에 다량의 전자파를 발생하고,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파는 주변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할 뿐 아니라, 인체에 노출될 경우에 뇌종양이나 뇌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기의 경우 3G나 4G 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하는 과정에 다량의 전자파가 방출되며, 최근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폰은 송수신부와 터치 스크린부가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관계로, 사용자의 두부와 밀착된 케이스의 전면을 통해 다량의 전자파가 방출되므로 사용자는 음성 통화과정에 다량의 전자파에 노출되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즉, 스마트폰의 통한 일반적인 음성통화 과정은, 전자파가 방출되는 케이스의 전면에 두부를 밀착시켜 음성통화를 실시하고, 이와 밀착된 사용자의 두부에는 다량의 전자파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당 분야에서는, 전자파의 발생, 및 외부 방출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전자기기에 있어 전자파의 차폐 방법으로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갖는 은(Ag) 등의 전자파 차폐물질을 도포하여 부품 간의 차폐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보다 견고한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해,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성형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성형기술은 생산 속도가 느려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고, 생산과정에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한편, 1mm 이하의 성형두께를 갖는 케이스를 성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제조 공정상 추가적으로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므로,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의 증가가 야기된다.
또한, 전자의 차폐물질 도포 방법은 차폐물질은 전기를 잘 통하는 도전성이 재질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동전압 하향 등으로 인하여 차단막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우수한 전도성 물질로 처리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가격 상승과 품질의 한계를 초래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부가 설치된 형태의 스마트폰을 구현함에 있어, 음성통화 과정에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두부에 직접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함고, 특히 케이스의 두께를 1mm 내지 0.3mm 이하의 얇은 두께로도 성형하도록 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메인 보드부와 통신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며,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통화부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음성 통화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배면을 두부를 밀착시켜 음성통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수지 시트층에 의해 섬유 시트층이 경화하여 고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섬유시트, 및 수지 시트층에 의해 메인 보드부와 터치 스크린부, 및 통신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차폐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 시트층은 탄소 섬유시트, 유리 섬유시트, 또는 금속 섬유시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시트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에폭시, 폴리프로펠렌 등을 시트형상으로 예비 성형한 열가소성 수지 시트가 채택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 시트층은 탄소분말, 유리섬유 분말 또는 금속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수지필름이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의 두께는 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음성 통화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배면에는 키 패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키 패드부에 형성된 키 버튼을 통해 키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갖는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음성 통화부를 통해 전자파의 조사 없이 안정된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전자파의 안정된 차폐가 가능한 카본 섬유시트나, 유리 섬유시트, 금속 섬유시트, 금속사를 내설한 관계로, 메인 보드부와 터치 스크린부, 및 통신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안정적인 차폐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의 배면을 두부에 밀착시켜 음성 통화하는 과정에, 두부와 밀착된 케이스의 배면으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안정된 차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음성통화 과정에 전자파의 노출이 억제되고, 또 케이스에 내설된 카본 섬유시트나 유리 섬유시트, 금속 섬유시트, 또는 금속사 등의 고유 문양에 의해 향상된 외관성을 겸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설된 섬유시트에 의해 안정된 내구성을 갖는 한편, 섬유시트와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열간 압착시켜 성형되어, 1mm 내지 0.3mm의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케이스의 배면에 별도의 키 패드부가 형성된 관계로, 음성 통화과정에 케이스를 뒤집어 터치 스크린부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를 통해 다양한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어, 키 입력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상태와, 배면 구성, 및 단면 구성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있어, 케이스의 성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있어,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를 전면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상태와, 배면 구성, 및 단면 구성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있어, 케이스의 성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있어,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를 전면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1)은, 기본적으로 전면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수용되는 메인 보드부(20), 및 3G, 4G 등의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40); 및 케이스(10)의 전면에 배치되어 개구부(10a)를 폐쇄하며,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부(30)가 설치된 형태이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따른 세부적인 도면의 도시, 및 작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마트폰을 구현함에 있어, 통상 터치 패드부(30)가 배치되는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음성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통화부(50)를 케이스(10)의 배면에 배치하여, 음성 통화 과정에 발생되는 다량의 전자파가 사용자의 두부에 직접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되어 음성 통화를 구현하는 음성 통화부(50)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1)와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5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의 전면에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61)와 스피커(62) 및 마이크(63)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부(60)를 배치하여, 카메라(61)와 스피커(62)와 마이크(63), 및 터치 스크린부(30)가 형성된 케이스(10)의 전면으로 화상 통화를 구현하도록 한다.
따라서, 두부와 스마트폰(1)의 밀착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상황 즉, 터치 스크린부(30)를 조작하거나 문자나 화상 통화를 실시하는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케이스(10)의 전면을 활용한다.
그리고, 두부와 스마트폰(1)과의 밀착이 요구되는 음성 통화과정에서는 사용자는 화상 통화부(60)가 형성된 케이스(10)의 전면이 아닌 케이스(10)의 배면을 두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음성 통화부(50)의 마이크(52)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스피커(62)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수득하는 음성 통화를 구현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은 음성 통화부(50)의 배치구조를 개량하여 음성 통화과정에 메인 보드부(20)나, 통신부(40), 그리고 터치 스크린부(30) 등의 각 전자부품에서 각각 방출되는 전자파는 케이스(10)에 차폐되므로, 음성 통화과정에 사용자의 두부에 전자파가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의 구성하는 케이스(10)를 개량하여, 음성 통화부(50)가 형성된 케이스(10)의 배면으로 메인 보드부(20)나 통신부(40), 그리고 터치 스크린부(30)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전자파가 안정되게 차폐되어, 사용자의 두부로 다량의 전자파가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를 수지 시트층(12)에 의해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갖는 섬유 시트층(11)이 소정의 형상으로 경화하여 고착된 형태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 시트층(12)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에폭시, 폴리프로펠렌 등을 시트형상으로 예비 성형한 열가소성 수지 등이 채택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 시트층(11)을 형성하는 섬유시트(11')로는 우수한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갖는 탄소 섬유시트, 유리 섬유시트, 금속 섬유시트, 금속사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전자파의 안정된 차폐기능을 갖는 탄소 섬유시트(11')와, 예비 성형된 열가소성 재질의 수지 시트(12')를 교번되게 적층하고, 이를 가열 및 가압을 통해 소정의 형태로 고착시킨 형태의 케이스(10)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섬유시트(11')로는, 탄소섬유 단일 또는 탄소섬유와 금속섬유의 교직시트, 탄소섬유와 금속사의 교직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탄소섬유 단일시트 기타섬유 단일시트 등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섬유시트(11')와 수지시트(12')는 저항 발열되는 하형(110)과 상형(120) 사이에서 열간 압착되어, 소정형상의 케이스(10)로 성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몰드액이나 수지 성형액을 섬유시트 사이에 주입하고 이를 경화시켜 섬유시트(11')가 고착된 케이스(10)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형상으로 예비 성형된 수지 시트(12')를 열간 압착시켜 섬유시트(11')가 내설된 케이스(10)를 성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의 제작에 따른 작업의 간편성과 향상된 생산성을 확보하고, 특히 주위 오염이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열 가소성 재질의 수지 시트와 섬유시트를 교번되게 적층한 다음, 이를 열간 압착시켜 성형된 케이스는 1mm 내지 0.3mm의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때, 상기 예비 성형된 수지 시트(12')에 탄소 분말이나 유리분말, 또는 금속분말이 혼합하면, 섬유 시트층(11)과, 수지 시트층(12)에 혼합된 탄소 분말, 유리분말, 금속분말에 의해 보다 향상된 전자파 차폐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스(10)를 채택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은, 음성 통화부(50)가 형성된 케이스(10)의 배면을 두부에 밀착시켜 진행되는 음성 통화 과정에, 메인 보드부(20)나 통신부(40), 그리고 터치 스크린부(30)에서 각각 방출되는 전자파가 케이스(10)를 형성하는 섬유 시트층(11)과 수지 시트층(12)에 의해 안정되게 차폐되므로, 음성 통화과정에 사용자의 두부에 다량의 전자파가 도달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통화부(50)가 형성되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케이스(10)의 배면에 키의 가압하여 키를 입력하는 가압형의 키 패드부(70)를 형성하여, 음성 통화 과정에 발생되는 키 신호의 입력을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부를 통하지 아니하고도,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키 패드부(70)를 구성하는 각 키 버튼도,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수지 시트층(12)에 섬유시트층(11)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하면, 케이스(10)의 배면으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차폐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은, 음성 통화 과정에 케이스(10)를 뒤집는 과정 없이도 키 신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고, 또 손에 물기가 묻어 터치 스크린부(30)의 인식이 어려운 상태에서도,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70)를 통해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근접센서(53)를 배치하면,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위해 케이스(10)의 배면을 두부에 밀착시키면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부(40)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폐되므로, 터치 스크린부(30)의 구동에 따른 전류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 터치 스크린부(30)의 구동에 따른 전자파의 발생이 예방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은 전자파의 차폐기능을 갖는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된 음성 통화부(50)를 통해 전자파의 조사 없이 안정된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케이스(10)의 배면에 별도의 키 패드부(70)가 형성된 관계로, 음성 통화과정에 케이스(10)를 뒤집어 터치 스크린부(30)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70)를 통해 다양한 키 신호의 입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되는 키 패드부(70)를 케이스(10)에 힌지(71)구조로 고정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71)구조를 통해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된 키 패드부(70)를 전면으로 회전시켜, 전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부(30)을 보면서 키 패드부(70)를 통해 키를 가압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터치 스크린부(30)의 터치에 의해 손가락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국부적으로 가려지는 현상이 예방되고, 특히 반복적인 키 입력을 요하는 게임 등을 실행할 경우에 터치 스크린부(30)와 손가락의 반복적인 미끄림(마찰)에 의해 손가락 부위에 통증이 발생이 예방될 수 있고, 손에 물기가 묻어 정전식 터치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키 패드부(70)를 통한 안정된 키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보드부(20)에 키 패드부(7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나 감지센서(미도시)를 부가하여, 키 패드부(70)를 전면으로 회전시키면 메인 보드부(20)는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된 음성 통화부(50)의 전류를 차단하고, 또 키 패드부(70)를 배면으로 회전시키면 메인 보드부(20)는 터치 패널부(30)의 전류를 차단하여, 비 사용 구성요소의 전류의 차폐를 통해 절전성과 구동에 따른 전자파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스마트폰
10. 케이스 10a. 개구부
11. 섬유 시트층 12. 수지 시트층
20. 메인 보드부 30. 터치 스크린부
40. 통신부 50. 음성 통화부
51. 스피커 52. 마이크
53. 근접센서
60. 화상 통화부 61. 카메라
62. 스피커 63. 마이크
70. 키 패드부 71. 힌지
110. 하형 120. 상형

Claims (5)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메인 보드부와 통신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며,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통화부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음성 통화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배면을 두부를 밀착시켜 음성통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수지 시트층에 의해 섬유 시트층이 경화하여 고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섬유시트, 및 수지 시트층에 의해 메인 보드부와 터치 스크린부, 및 통신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차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시트는 섬유시트와 교번되게 적층된 다음, 열간 압착에 의해 케이스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층은 탄소 섬유시트, 금속 섬유시트 또는 금속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송수신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배면에는 키 패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키 패드부에 형성된 키 버튼을 통해 키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1020120111104A 2012-10-08 2012-10-08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10138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04A KR101389918B1 (ko) 2012-10-08 2012-10-08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04A KR101389918B1 (ko) 2012-10-08 2012-10-08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54A KR20140045054A (ko) 2014-04-16
KR101389918B1 true KR101389918B1 (ko) 2014-04-29

Family

ID=5065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04A KR101389918B1 (ko) 2012-10-08 2012-10-08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501A (ko) 2015-06-10 2016-12-20 오현석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소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150Y1 (ko) 2001-09-16 2001-12-28 김양주 핸즈프리가 내장된 휴대폰
KR20140023011A (ko) * 2012-08-16 2014-02-26 김기환 디스플레이면에 통화용 스피커가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150Y1 (ko) 2001-09-16 2001-12-28 김양주 핸즈프리가 내장된 휴대폰
KR20140023011A (ko) * 2012-08-16 2014-02-26 김기환 디스플레이면에 통화용 스피커가 없는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501A (ko) 2015-06-10 2016-12-20 오현석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54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752B1 (ko) 이동 단말기
CN105094225B (zh) 移动终端
CN104582379B (zh) 移动终端
CN103997549B (zh) 移动终端
CN102122750B (zh)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天线
CN103581375B (zh) 移动终端
CN104935686B (zh) 移动终端
US983229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1873407B1 (ko) 이동 단말기
KR101387731B1 (ko) 포인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3982334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CN107026326A (zh) 移动终端
CN103379199B (zh) 移动终端
CN104537366A (zh) 触摸按键和指纹识别实现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4538741B (zh) 缝隙天线及具有导电边框的电子设备
US20100056232A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741931A (zh) 移动终端
CN102413206A (zh) 移动终端
CN103329634A (zh) 具有用于麦克风的声学通道的印刷电路板
CN107231765A (zh) 终端和电子设备
US20140267139A1 (en) Touch Sensitive Surface with False Touch Prote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29182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JP2013143771A (ja) イメージモジュール、これを備える移動端末機、及びイメージ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389918B1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13007645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