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17B1 -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17B1
KR101389717B1 KR1020120053877A KR20120053877A KR101389717B1 KR 101389717 B1 KR101389717 B1 KR 101389717B1 KR 1020120053877 A KR1020120053877 A KR 1020120053877A KR 20120053877 A KR20120053877 A KR 20120053877A KR 101389717 B1 KR101389717 B1 KR 10138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put signal
graphic
setting
highligh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9770A (en
Inventor
박승용
서종철
조성미
한풍석
김태기
Original Assignee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17B1/en
Publication of KR2013012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시키고, 상기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한다.Provided are a graphic user interface based display device and a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Here,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oin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user finger; A screen display unit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icons representing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a screen state on a screen; And a detailed setting item for a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one graphic icon is popped up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one graphic icon amo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nd a setting value input signal for the detail setting item. And a screen controller for setting the screen state.

Descriptio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 user interface-based display device and a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set a screen state of a display device using a pointing device.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 들은 모니터 하단에 화면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Currently, display devices are usually provided with a menu button to set a screen state at the bottom of the monitor.

그런데 이러한 메뉴 버튼은 위치 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텍스트 또는 작은 이미지 타입으로 메뉴를 설명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기 어렵다. However, these menu buttons describe menus in text or small image types due to location limitations, and thus are not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뉴얼을 통해 메뉴 버튼의 기능을 확인하거나 또는 해당 메뉴 버튼을 일일히 클릭해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enter the desired menu only by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menu button through the manual of the display apparatus or by clicking the menu button one by one.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진입하였더라도 세부 설정값을 세팅할 경우 역시 설정값 입력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버튼을 번갈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설정값 입력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 원하는 설정값을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enters the desired menu, when setting the detailed setting value, several buttons are alternately pressed to input the setting value. Therefore, when the setting value input is unfamiliar, it is not easy to input the desired setting value,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그래픽 아이콘 형태로 화면 상에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setting menu for adjusting the screen state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menu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graphic icon and input the screen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using the poin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phic user interface based display device and a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시키고, 상기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graphic user interface-bas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oin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 finger;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a screen state and at least one graphic icon representing a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menu on the screen; And a detailed setting item for a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one graphic icon is popped up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one graphic icon amo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nd a setting value input signal for the detail setting item. And a screen controller for setting the screen state.

또한, 상기 화면 표시부는,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unit,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정해진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Highlight one graphic icon while arrangi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f a screen,

상기 화면 제어부는,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옆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 들 중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I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is transmitted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a graphic is loc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mong graphic icons positioned next to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You can switch the highlighting with the icon.

또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In addition, the pointing device,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고, 사전에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광량의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광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상기 화면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light reflected by the user's finger is collected and the light is continuously collected without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may be output to the screen controller.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는,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변위를 분석하여 이동 방향이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나열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강조 표시할 그래픽 아이콘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input signal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listed, and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he graphic icon to be highlighted.

또한, 상기 화면 표시부는,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unit,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with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lis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creen,

상기 화면 제어부는,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방향이 왼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왼쪽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 방향이 오른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오른쪽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If the moving direction is to the left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switch the highlighting to the graphic icon located to the left of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and if the moving direction is to the right, highlight the highlighted You can switch to the graphic icon located to the right of the graphic icon.

또한, 상기 화면 표시부는,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unit,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수직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while listi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상기 화면 제어부는,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방향이 위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위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 방향이 아래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아래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If the moving direction is upward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switch the highlighting to the graphic icon located above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and if the moving direction is downward, highlight the highlighted graphic. You can switch to the graphic icon below the icon.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는,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누름 동작-상기 누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누르는 동작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in which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wherein the press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presses the pointing device with a finger, a detailed setting item of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printed.

또한,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 In addition, the detailed setting item,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entering a setting value of the screen,

상기 화면 제어부는,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강조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을 화면 상에 나열시키고, 나열된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를 상기 이동 방향에 위치한 항목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When the one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is highlighted and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are arranged on the screen, and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in the listed directions is generated, the highlighted item is located in the moving direction. Can be converted to

또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은,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각각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을 포함하고,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for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for inputting a setting value, respectively;

상기 화면 제어부는,The screen control unit,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상기 안내하는 부분에 표시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coincides with the moving direction displayed on the guiding part, the set valu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또한,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In addition, the detailed setting item,

모든 설정 값을 사전에 정의된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t can include a Normal Preset item to set all setting values to a predefined default valu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그래픽 아이콘들을 화면 상에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wherein the display apparatus based on a graphic user interface includes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a screen state and a plurality of graphic icons representing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menu. 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while being listed on the screen; And switching the highlighting to a graphic icon loc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또한,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 개의 그래픽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Further, while one graphic icon of a plurality of graphic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is highlighted, the detailed setting item for the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graphic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Popping on; And setting the screen state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input signal for the detailed setting item.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는, 상기 누름 동작-상기 누름 동작은 사용자 손가락으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누르는 동작임-에 따른 입력 신호일 경우 수행된다.The popping-up step is performed when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wherein the press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pointing device with a user finger.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finger movement i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or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상기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는 단계; 사전에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광량의 변화없이 상기 수집하는 단계가 반복되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수집된 광량이 기 정의된 광량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oll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user's finger; Determin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when the collecting is repeated without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collected light amount exceeds a predefined light amount threshold, determin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또한,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는,In addition, the pop-up step,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나열된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시키고,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s list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entering a setting value on the screen highlighted,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정하는 단계 사이에,Between the popping up and the setting step,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이 나열된 방향으로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를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항목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occu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are lis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a highlight display into an item loca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또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은, 각각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을 포함하고,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may each include 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for guid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for inputting a setting value.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Wherein the setting step comprises:

강조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안내하는 부분에 표시된 이동 방향의 이동 변위를 가지는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selecting the highlighted item;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having a movement displacement in a movement direction indicated on the guiding portion;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t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plac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그래픽 아이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쉽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menu for adjusting the screen state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menu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ic ic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etting menu.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화면 상태를 전부 조정할 수 있다.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설정을 위한 메뉴, 확인, UP, DOWN과 같은 여러 개의 입력 버튼을 일일이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심플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screen states can be easily adjusted using only the pointing device.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does not need to have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such as menu, confirmation, UP, and DOWN for setting screens, and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mprove aesthetics by forming a simple appearanc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예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reen example of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i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example of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ic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raphic user interface based display apparatus and a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팅 디바이스(101), 화면 표시부(103), 저장부(105) 및 화면 제어부(10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pointing device 101, a screen display 103, a storage 105, and a screen controller 107.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스크탑용 모니터, 텔레비전용 모니터와 같은 독립적인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모니터를 모두 포함한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ll monitors that are integrated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independent devices such as desktop monitors and television monitors.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 제어부(107)로 출력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below. Here, the pointing device 101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controller 107.

일반적으로 포인팅 디바이스는 화면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즉 포인팅 디바이스 위에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 상에서 이동한다. In general, a pointing device is a device that implements the same pointing technique as in a personal computer (PC) by creating and moving a cursor or pointer on a screen through a finger movement, that is, a finger placed on a pointing device. Move the cursor (or point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you move.

여기서, "손가락"은 일반적인 손가락 외에도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포인팅 디바이스(101)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물체가 될 수 있다.Here, the "finger" may be understood as another part of the body in addition to the general finger, and may be another replaceable object that enables the pointing device 101 to grasp the movement even if it is not the body.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In this case, the pointing device 101 may sense a physical contact of the user's finger or light reflected by the user's finger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ly.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와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101 may be classified into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finger and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여기서, 누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101)을 누르는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스와이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빗자루로 쓸어내리듯이 피킹하는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Here, the pressing operation means an input operatio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pointing device 101 with a finger. The swipe gesture refers to an input gesture in which the user picks as if the user sweeps the broom with a finger.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두 가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101 may distinguish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finger according to two embodiments.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포인팅 디바이스(101)에 근접한 사용자 손가락에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inting device 101 collects light reflected from the user's finger by irradiating light on the user's finger proximate the pointing device 101.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전에 정의된 특정 시간(t) 동안 광량의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광이 수집되면,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화면 제어부(107)로 출력한다. 이때, 기 정의된 특정 시간은 초 단위이며, 예를 들어, "1초"일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ight is continuously collected without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t, the pointing device 101 output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to the screen controller 107. Here, the predefined specific time is in seconds, and may be, for example, "one second ".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수집된 광량이 기 정의된 광량(光量) 임계치를 초과하면,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화면 제어부(107)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pointing device 101 col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user's finger and output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screen controller 107 when the collected light amount exceeds a predefined light amount threshold.

이때, 스와이프 동작으로 판단하기 위한 특정 시간(t) 및 광량(光量) 임계치는 포인팅 디바이스(101)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specific time t and the light quantity threshold for determining as a swipe operation ar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of the pointing device 101.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01)가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는 수단은 터치패드 또는 돔 스위치(doom switch)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inting device 101 senses a physical contact of a user's finger.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contact by the pointing device 101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touchpad or a dome switch, and various other means may be adopted.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에 따른 이동 변위가 기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면,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화면 제어부(107)로 출력한다. 이때, 기 정의된 특정 시간은 초 단위이며, 예를 들어, "1초"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inting device 101 output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to the screen controller 107 when a movement displacement due to physical contact of the user's finger occurs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fined specific time is in seconds, and may be, for example, "one second ".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이동 변위 없이 특정 지점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 시간이 기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면,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화면 제어부(107)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pointing device 101 output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to the screen controller 107 when a physical contact time of a user's finger at a specific point occurs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moving displacement.

이때, 스와이프 동작과 마찬가지로 누름 동작으로 판단하기 위한 특정 시간(t)은 포인팅 디바이스(101)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In this case, as in the swipe operation, a specific time t for determining as a pressing operation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of the pointing device 101.

화면 표시부(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The screen display 103 is provided outside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이때, 화면 표시부(103)는 화면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메뉴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그래픽 아이콘은 설정 메뉴 및 해당 메뉴의 설정값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텍스트(text) 및/또는 이미지(image)를 결합하여 표시한 아이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메뉴의 설정값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진입 없이도 화면에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 설정 메뉴의 설정값들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een display unit 103 displays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the screen state and one or more graphic icons representing setting values of the menu under the control of the screen controller 107 on the screen. Here, the graphic icon is an icon displayed by combining text and / or imag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etting menu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menu.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menu in advance through the graphic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additional entry to confirm the setting value of the menu.

또한, 화면 표시부(103)는 화면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그래픽 아이콘이 선택되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 위로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시킨다. In addition, when a specific graphic icon is selected while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screen controller 107, the screen display 103 pops up detailed setting items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on the screen on which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displayed. .

또한, 화면 표시부(103)는 화면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정해진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한다. 그리고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구성하며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 역시 화면의 정해진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 이때, 나열 방향은 화면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unit 103 highlights one graphic icon in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screen control unit 107. And configures detailed setting items of the graphic icon. Also, a plurality of items for selecting or inputting the setting values of the screen are also list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screen, and one item is highlighted. At this time, the array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이러한 강조 표시는 하이라이트(highlight), 다른 그래픽 아이콘 또는 다른 항목에 비해 화면 앞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크게 표시하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Such highlighting may be implemented by highlighting, protruding in front of the screen, or displaying larger than other graphic icons or other items.

저장부(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및 화면 제어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05 store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control function.

화면 제어부(107)는 저장부(105)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표시부(103)의 화면 출력 및 화면 상태 설정을 제어한다. The screen controller 107 controls screen output and screen state setting of the screen display 103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05.

이러한 화면 제어부(107)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화면 상에 팝업시킨다. 그리고 팝업된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상태를 설정한다.The screen controller 107 pops up a detailed setting item for the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selected graphic ico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while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creen state is set according to the set value input signal for the pop-up detailed setting item.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상에 그래픽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의 입력 값에 따라 화면을 설정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기반의 장치이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et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value of a setting menu indicated by a graphic icon selec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while displaying a graphic icon on the screen. Graphic User Interface (GUI) based device.

한편, 화면 제어부(107)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reen controller 107 may display one or more graphic icons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예이이다.2 is a screen example of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ic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5개의 그래픽 아이콘(200)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때, 5개의 그래픽 아이콘(200)은 각각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 'COLOR' 아이콘(203), 'DISPLAY' 아이콘(205), 'LANGUAGE' 아이콘(207), 'EXIT' 아이콘(209)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5개의 그래픽 아이콘은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상태에서 특정 그래픽 아이콘 예를 들어 제일 처음에 나열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은 강조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screen display unit 103 outputs five graphic icons 200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five graphic icons 200 ar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COLOR' icon 203, 'DISPLAY' icon 205, 'LANGUAGE' icon 207, and 'EXIT' icon 209, respectively. ). In addition, the five graphic icon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and a specific graphic icon, for example,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listed first is highlighted.

화면 표시부(103)는 상기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 'COLOR' 아이콘(203), 'DISPLAY' 아이콘(205), 'LANGUAGE' 아이콘(207)을 표시함에 있어서,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텍스트(text) 또는/및 이미지(image)를 이용하여 함께 표시한다. 예를 들어,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에는 화면 밝기 및 명암대비에 대한 설정값이 텍스트 또는/및 도식화된 이미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OLOR' 아이콘(203)에는 모니터의 R, G, B 값이 텍스트 또는/및 도식화된 이미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display 103 displays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the 'COLOR' icon 203, the 'DISPLAY' icon 205, and the 'LANGUAGE' icon 207 as described above. Display the values together using text or / and image. For example,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may display setting values for screen brightness and contrast through text or / and a graphical image. Similarly, the 'COLOR' icon 203 may display R, G, and B values of the monitor via text or / and a graphical image.

여기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은 화면의 밝기 및 명암대비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Here,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represents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screen.

'COLOR' 아이콘(203)은 화면의 R/G/B 값을 조절하여 색상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The 'COLOR' icon 203 represents a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color by adjusting the R / G / B value of the screen.

'DISPLAY' 아이콘(205)은 화면의 좌우, 상하 이동과, 화면의 좌우, 상하 늘림과, 선명도와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The 'DISPLAY' icon 205 represents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up and down, and sharpness and ratio of the screen.

'LANGUAGE' 아이콘(207)은 메뉴 팝업(Menu popup)의 언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나타낸다.'LANGUAGE' icon 207 represents a menu for setting a language of a menu popup.

'EXIT' 아이콘(209)은 메뉴 팝업을 닫기 위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EXIT' icon 209 represents a setting menu for closing a menu popup.

이때,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방향이 수평 방향이면서 오른쪽 방향인 경우, 현재 강조 표시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의 오른쪽 옆에 위치한 'COLOR' 아이콘(203)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이 수평 방향이면서 왼쪽 방향인 경우, 현재 강조 표시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의 왼쪽 옆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그 이전의 아이콘인 'EXIT' 아이콘(209)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한다. 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ler 107 of FIG. 1 switches the highlighting to a graphic icon locat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For example, when the moving direction is horizontal and right, the highlight is switched to the 'COLOR' icon 203 located next to the right side of the currently highlighted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When the moving direction is horizontal and left, since there is nothing next to the left side of the currently highlighted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the highlighting is switched to the 'EXIT' icon 209 which is the previous icon.

여기서,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201)은 다른 그래픽 아이콘(203, 205, 207, 209)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201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the other graphic icons 203, 205, 207, and 209.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예이다.3 is a screen example of displaying one or more graphic ic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5개의 그래픽 아이콘(200)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때, 5개의 그래픽 아이콘(200)은 각각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 'COLOR' 아이콘(203), 'DISPLAY' 아이콘(205), 'LANGUAGE' 아이콘(207), 'EXIT' 아이콘(209), 'Monitor Power Off' 아이콘(2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5개의 그래픽 아이콘은 화면의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상태에서 특정 그래픽 아이콘 예를 들어 제일 처음에 나열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은 강조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creen display unit 103 outputs five graphic icons 200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five graphic icons 200 ar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COLOR' icon 203, 'DISPLAY' icon 205, 'LANGUAGE' icon 207, and 'EXIT' icon 209, respectively. ), A 'Monitor Power Off' icon 211 is included. The five graphic icon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and a specific graphic icon, for example,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listed first is highlighted.

여기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 'COLOR' 아이콘(203), 'DISPLAY' 아이콘(205), 'LANGUAGE' 아이콘(207), 'EXIT' 아이콘(209)은 도 2와 동일하다. 그리고 'Monitor Power Off' 아이콘(211)은 모니터 전원 끄기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Here, the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the 'COLOR' icon 203, the 'DISPLAY' icon 205, the 'LANGUAGE' icon 207, and the 'EXIT' icon 209 are the same as in FIG. 2. In addition, the 'Monitor Power Off' icon 211 represents a monitor power off setting menu.

이때,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서 위 방향인 경우, 현재 강조 표시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의 위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그 이전의 아이콘인 'Monitor Power Off' 아이콘(211)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서 아래 방향인 경우, 현재 강조 표시된 'BRIGHTNESS CONTRAST' 아이콘(201)의 아래에 위치한 'COLOR' 아이콘(203)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한다.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ler 107 of FIG. 1 switches the highlighting to a graphic icon locat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For example, if the moving direction is vertical and upward, since there is nothing above the currently highlighted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the highlight is switched to the previous icon, 'Monitor Power Off' icon 211. do. When the moving direction is vertical and downward, the highlight is switched to the 'COLOR' icon 203 located below the currently highlighted 'BRIGHTNESS CONTRAST' icon 201.

여기서,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201)은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Here,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201 may be highlighted.

또한, 화면 제어부(107)는 도 4, 도 5, 도 6, 도 7과 같이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ler 107 may pop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of the graphic icon as illustrated in FIGS. 4, 5, 6, and 7.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4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그래픽 아이콘들(200)들 위에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도 2의 201)의 세부 설정 항목(213)을 팝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display 103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201 of FIG. 2) on the graphic icons 2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

이때, 세부 설정 항목(213)은 복수의 항목 즉 BRIGHTNESS, CONTRAST,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 및 OK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at is, BRIGHTNESS, CONTRAST, Normal Preset, and OK.

이때,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은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201)의 모든 설정 값을 사전에 정의된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OK는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해 선택 또는 입력된 설정값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이다. In this case, the normal preset is an item for setting all setting values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201 to a predefined default value. OK is an item for selecting a set value selected or input for each of a plurality of items.

이러한 복수의 항목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며, 이중 하나의 항목은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수직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항목으로 강조 표시가 전환된다. 즉 BRIGHTNESS 항목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수직 이동 방향이 위 방향이면, OK 항목이 강조 표시되고, 수직 이동 방향이 아래 방향이면, CONTRAST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These plurality of items are list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of which is highlighted. In this state, the highlight display is switched to an item loc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That is, if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is upward while the BRIGHTNESS item is highlighted, the OK item is highlighted. If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is downward, the CONTRAST item is highlighted.

이처럼,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항목의 설정값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s such, when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is generated in the highlighted state, the setting value of the highlighted item may be input.

이때, 강조 표시된 항목은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215)을 포함한다. 이전 설정값은 숫자로 표시되고, 이동 방향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ighlighted item includes 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215 for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a user's finger for inputting the setting value. The previous setting value may be displayed by numbers, and the moving direction may be displayed by an image.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항목의 안내하는 부분(215)에 표시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왼쪽일 경우 BRIGHTNESS의 설정 값을 감소시키고,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오른쪽일 경우 BRIGHTNESS의 설정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screen controller 107 of FIG. 1 inputs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coincides with the moving direction ◀ ▶ shown in the guiding part 215 of the item. The set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is left, the setting value of BRIGHTNESS may be decreased, and w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is right, the setting value of BRIGHTNESS may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5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그래픽 아이콘들(200) 위에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도 2의 203)의 세부 설정 항목(213)을 팝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creen display 103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203 of FIG. 2) on the graphic icons 2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이때, 세부 설정 항목(213)은 복수의 항목 즉 Red, Green, Blue,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 및 OK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항목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며, 이중 하나의 항목은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수직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항목으로 강조 표시가 전환된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at is, red, green, blue, normal preset, and OK. These plurality of items are list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of which is highlighted. In this state, the highlight display is switched to an item loc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이처럼,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항목의 설정값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s such, when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is generated in the highlighted state, the setting value of the highlighted item may be input.

이때, 강조 표시된 항목은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217)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highlighted item includes 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217 for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a user's finger for inputting the setting value.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항목의 안내하는 부분(217)에 표시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고 설정된 값은 숫자 및 이미지로 표시한다.The screen controller 107 of FIG. 1 inputs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coincides with the moving direction ◀ ▶ shown in the guiding part 217 of the item. The set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ignal, and the set value is displayed by numbers and images.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6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그래픽 아이콘들(200) 위에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도 2의 207)의 세부 설정 항목(213)을 팝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creen display 103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207 of FIG. 2) on the graphic icons 2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이때, 세부 설정 항목(213)은 복수의 항목 즉 Horizontal Position, Vertical Position, Aspect ratio, Phase, Pixel Clock,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 및 OK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항목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며, 이중 Horizontal Position 항목은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수직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항목으로 강조 표시가 전환된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at is, a horizontal position, a vertical position, an aspect ratio, a phase, a pixel clock, a normal preset, and an OK. The plurality of item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ual horizontal position items are highlighted. In this state, the highlight display is switched to an item loc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이처럼,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Horizontal Position 항목의 설정값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s such, when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is generated in the highlighted state, the setting value of the highlighted horizontal position item may be input.

이때, 강조 표시된 항목은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219)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highlighted item includes 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219 for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a user's finger for inputting the setting value.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항목의 안내하는 부분(219)에 표시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고 설정된 값은 숫자 및 이미지로 표시한다.The screen controller 107 of FIG. 1 inputs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coincides with the moving direction ◀ ▶ shown in the guiding part 219 of the item. The set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ignal, and the set value is displayed by numbers and image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이 팝업된 화면예이다.7 is a screen example in which a detailed setting item of a graphic icon is popped 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부(103)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그래픽 아이콘들(200) 위에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도 2의 209)의 세부 설정 항목(213)을 팝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creen display 103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of the selected graphic icon (209 of FIG. 2) on the graphic icons 2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이때, 세부 설정 항목(213)은 복수의 항목 즉 하나 이상의 언어 항목들과, OK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며, 이중 제일 처음의 언어 항목(English)은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핑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수직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항목으로 강조 표시가 전환된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setting item 213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at is, one or more language items and OK, and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which the first language item English is highlighted. In this state, the highlight display is switched to an item loc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ing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transferr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이처럼,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언어가 선택되며, OK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언어로 설정된다. As such, when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device 101 is generated in the highlighted state, the highlighted language is selected, and when the OK item is selected, it is set to the selected language.

이제,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ow, the screen control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화면 표시부(도 1의 103)를 제어하여 일정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고, 제일 처음에 위치한 그래픽 세팅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세팅 아이콘을 초기 화면에 출력한다(S101).Referring to FIG. 8, the screen control unit 107 of FIG. 1 controls the screen display unit 103 of FIG. 1 to display one or more graphic setting icons, which are arranged in a lin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graphic setting icon located first is highlighted. Output to the initial screen (S101).

여기서, 초기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의 전원이 온 된 후, 가장 먼저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혹은 화면 설정 모드의 시작 화면일 수 있다.Here, the initial screen may be a screen that is output first after the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1 is turned on. Or it may be a start screen of the screen setting mode.

다음, 포인팅 디바이스(도 1의 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S103)하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이 누름 동작인지 또는 스와이프 동작인지를 판단한다(S105).Next, when the input device 101 (in FIG. 1)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S103), the pointing device (101)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is a pressing or swiping operation (S105).

이때, S105 단계에서 누름 동작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107)는 강조 표시된 그래픽 세팅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한다(S107).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 pressing operation, the screen control unit 107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 of the highlighted graphic setting icon (S107).

혹은, S105 단계에서 스와이프 동작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107)는 입력 신호의 이동 변위를 분석한다(S109).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 swipe operation, the screen control unit 107 analyzes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input signal (S109).

다음, 화면 제어부(107)는 이동 변위의 이동 방향이 S101 단계에서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나열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11).Next, the screen control unit 107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displacement coincides with the arranging direction of the graphic icon displayed in step S101 (S111).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화면 상태의 변화없이 S103 단계가 다시 시작된다.At this time, if it does not match, step S103 is restarted without a change in the screen state.

반면, 일치하면, 이동 변위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한다(S113).On the other hand, if it matches, the highlighting is switched to the graphic icon loca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ement displacement (S113).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8의 S107 단계 이후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series of processes after step S107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화면 제어부(도 1의 107)는 화면 표시부(도 1의 103)를 제어하여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을 특정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 및 특정 항목을 강조 표시하여 출력한다(S201).Referring to FIG. 9, the screen control unit 107 of FIG. 1 controls a screen display unit 103 of FIG. 1 to list a plurality of items constituting detailed setting items of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in a specific direction and to specify the specific items. Highlight and output (S201).

다음, 포인팅 디바이스(도 1의 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S203)하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이 누름 동작인지 또는 스와이프 동작인지를 판단한다(S205).Next,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is generated (S203), the pointing device (101 of FIG. 1)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is a pressing operation or a swiping operation (S205).

이때, S205 단계에서 누름 동작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107)는 강조 표시된 항목의 선택을 감지한다(S207). 그러면, 강조 표시된 항목의 세팅값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ing operation in step S205, the screen controller 107 detects the selection of the highlighted item (S207). Then, the setting value of the highlighted item can be input.

다음, 화면 제어부(107)는 S207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의 세팅 값 입력을 위한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에 정의된 방향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한다(S209).Next, the screen controller 107 detects the swipe motion in the direction defined in the part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for inputting the setting value of the item selected in step S207 (S209).

다음, 화면 제어부(107)는 스와이프 동작의 이동 변위에 따라 선택된 항목의 세팅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변경한다(S211).Next, the screen control unit 107 changes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item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wipe operation (S211).

다음, 화면 제어부(107)는 누름 동작이 감지(S213)되면, S211 단계에서 변경된 세팅 값으로 설정한다(S215).Next,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detected (S213), the screen control unit 107 sets the setting value changed in step S211 (S215).

다음, 화면 제어부(107)는 OK 항목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217). Next, the screen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an OK item is selected (S217).

이때, OK 항목이 선택되지 않으면, S203 단계가 다시 시작된다.At this time, if the OK item is not selected, step S203 is started again.

반면, OK 항목이 선택되면, 화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세팅 값을 세부 설정 항목에 모두 적용(S219)시킨 후, 단계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K item is selected, the screen control unit 107 applies the set value to all the detailed setting items (S219), and then ends the step.

한편, S205 단계에서 스와이프 동작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107)는 스와이프 동작의 이동 변위를 분석한다(S221).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wipe operation in step S205, the screen controller 107 analyzes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swipe operation (S221).

다음, 이동 변위의 이동 방향이 S201 단계에서 복수의 항목의 나열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23).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ement displacement coincides with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tems in step S201 (S223).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화면 상태의 변화없이 S203 단계가 다시 시작된다.At this time, if it does not match, step S203 is started again without a change in the screen state.

반면, 일치하면, 화면 제어부(107)는 이동 변위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항목을 강조 표시한다(S225).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match, the screen controller 107 highlights an item loca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ement displacement (S22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5)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시키고, 상기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은,
각각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누름 동작-상기 누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누르는 동작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출력시키고,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이 상기 안내하는 부분에 표시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display device,
A pointing device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 finger;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a screen state and at least one graphic icon representing a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menu on the screen; And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one graphic icon amo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 detailed setting item for a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one graphic icon is popped up on the screen, and a setting value input signal for the detail setting item is displayed. A screen controller for setting the screen state accordingly;
The detailed setting item,
It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entering a setting value of the screen,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A plurality of items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setting value of a screen, each including a portion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for inputting a setting value,
The screen control unit,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in which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wherein the press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presses the pointing device with a finger, a detailed setting item of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utput it,
And the setting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w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coincides with the movement direction displayed on the gui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정해진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옆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 들 중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display unit displays,
Highlight one graphic icon while arrangi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f a screen,
The screen control unit,
I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is transmitted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a graphic is loc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mong graphic icons positioned next to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Display device that toggles highlighting with ic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고, 사전에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광량의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광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상기 화면 제어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inting device comprising:
And collecting light reflected from a user's finger and output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to the screen controller when the light is continuously collected without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변위를 분석하여 이동 방향이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이 나열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강조 표시할 그래픽 아이콘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reen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the graphic icon to be highlighted by analyzing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are lis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방향이 왼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왼쪽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 방향이 오른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오른쪽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een display unit displays,
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with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lis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creen,
The screen control unit,
If the moving direction is to the left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switch the highlighting to the graphic icon located to the left of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and if the moving direction is to the right, highlight the highlighted Display device that switches to a graphic icon located to the right of the graphic ic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의 수직 방향으로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방향이 위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위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 방향이 아래쪽일 경우, 강조 표시를 상기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의 아래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전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een display unit displays,
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while listing the one or more graphic icons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 screen control unit,
If the moving direction is upward while the one graphic icon is highlighted, switch the highlighting to the graphic icon located above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and if the moving direction is downward, highlight the highlighted graphic. Display device that switches to a graphic icon located below the icon.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강조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을 화면 상에 나열시키고, 나열된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를 상기 이동 방향에 위치한 항목으로 전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ailed setting item,
It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entering a setting value of the screen,
The screen control unit,
When the one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is highlighted and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are arranged on the screen, and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in the listed directions is generated, the highlighted item is located in the moving direction. Display device to switch to.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
모든 설정 값을 사전에 정의된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노멀 프리셋(Normal Preset) 항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ailed setting item,
Display device including a Normal Preset item for setting all setting values to a predefined default valu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메뉴 및 해당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그래픽 아이콘들을 화면 상에 나열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그래픽 아이콘으로 강조 표시를 전환하는 단계;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 개의 그래픽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강조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설정 메뉴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는, 누름 동작-상기 누름 동작은 사용자 손가락으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누르는 동작임-에 따른 입력 신호일 경우 수행되고,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나열된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시키며,
상기 세부 설정 항목은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은, 각각 이전 설정 값을 표시하는 부분 및 설정 값 입력을 위한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강조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는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안내하는 부분에 표시된 이동 방향의 이동 변위를 가지는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reen by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Highlighting one graphic icon in a state in which a setting menu for adjusting a screen state and a plurality of graphic icons representing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menu are arranged on the screen;
Switching highlighting to a graphic icon loc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of a user finger;
With one graphic icon of a plurality of graphic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highlighted, a detailed setting item for the setting menu indicated by the graphic icon pops up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highlighted graphic icon. Making a step; And
Setting the screen state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input signal for the detailed setting item;
The pop-up may be performed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in which the press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pointing device with a user's finger. The pop-up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setting value of a screen. With the item highlighted, it will pop up the detailed setting items listed.
The above detailed setting items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each include a portion for displaying a previous setting value and a portion for guid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for inputting a setting value,
Wherein the setting step comprises: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selecting the highlighted item;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having a movement displacement in a movement direction indicated on the guiding portion;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t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splacement
And a screen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가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는 단계;
사전에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광량의 변화없이 상기 수집하는 단계가 반복되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수집된 광량이 기 정의된 광량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finger movement i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pe operation or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The determining step,
Coll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user's finger;
Determin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when the collecting is repeated without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ing that the collected light amount exceeds the predefined light amount threshold a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nd a screen control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는,
화면의 설정값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나열된 세부 설정 항목을 팝업시키고,
상기 팝업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정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항목이 나열된 방향으로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강조 표시를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항목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pping up step,
Pops up the detailed setting items list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for selecting or entering a setting value on the screen highlighted,
Between the popping up and the setting step,
I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occu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ifferent items are listed, converting the highlighted display to an item loca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pe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KR1020120053877A 2012-05-21 2012-05-21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KR101389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877A KR101389717B1 (en) 2012-05-21 2012-05-21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877A KR101389717B1 (en) 2012-05-21 2012-05-21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770A KR20130129770A (en) 2013-11-29
KR101389717B1 true KR101389717B1 (en) 2014-04-29

Family

ID=4985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877A KR101389717B1 (en) 2012-05-21 2012-05-21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774A (en) 2003-05-27 2004-1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ultimedia reproducing method
KR20080065050A (en) * 2007-01-08 2008-07-11 크루셜텍 (주) Mobil phone having optical pointing device and thereof method
JP2012053581A (en) 2010-08-31 2012-03-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Display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of operation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774A (en) 2003-05-27 2004-1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ultimedia reproducing method
KR20080065050A (en) * 2007-01-08 2008-07-11 크루셜텍 (주) Mobil phone having optical pointing device and thereof method
JP2012053581A (en) 2010-08-31 2012-03-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Display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of operatio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770A (en)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3491B (en) Page rapid navigat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P3424208B1 (en) Movable user interface shutter button for camera
US1010833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window management on extending screens
KR1007977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CN102929520B (en) The input of touch screen terminal and output intent and device
US20120306740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using virtual i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US201100579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102809A1 (en) Coordinate Detec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Touch Panel
WO2015172520A1 (en) Touch control assembly,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JP2011221640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H11203044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167084A1 (en) Information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KR20110121926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ransparent pop-up contained add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which is selected in the touch screen
KR20130061527A (en) Method for calibrating touch screen sensitivitie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20221970A1 (en) User interface modification
CN105589636A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ed for realizing virtual pointer control on touch screen
US20220276756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00033214A (en) Automatic switching method of input-mode by input pattern
US8872618B2 (en) Unlock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04168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settings menu interface display control method
JP59113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device
JP2010061493A (en) Information processor, flick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389717B1 (en) Display apparatu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JP6737239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10963137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