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470B1 - 케이블 홀더 - Google Patents

케이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470B1
KR101389470B1 KR1020120030551A KR20120030551A KR101389470B1 KR 101389470 B1 KR101389470 B1 KR 101389470B1 KR 1020120030551 A KR1020120030551 A KR 1020120030551A KR 20120030551 A KR20120030551 A KR 20120030551A KR 101389470 B1 KR101389470 B1 KR 10138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holder
central portion
side member
transcei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802A (ko
Inventor
최낙진
이하연
Original Assignee
이하연
최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연, 최낙진 filed Critical 이하연
Priority to KR102012003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4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6Cables, cable trees or wire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는, 일정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부에서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부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연장부 및 중앙부와 함께"ㄷ"자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일정길이로 설치되며, 케이블이 끼워지기 위한 길이방향의 제1케이블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주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USB 포트를 구비하여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의 케이블이 짧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USB 포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USB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홀더{Cable holder}
본 발명은 케이블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또는 이어폰 등의 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마우스 또는 이어폰 등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정보화가 진행됨에 따라 각 가정 및 사무실에는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는 각종 업무 또는 기타 엔터테인먼트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컴퓨터에는 주로 데스크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가 용이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컴퓨터에는 마우스의 커서를 제어하는 마우스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그외에도 이어폰 또는 외장하드 등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마우스 또는 이어폰 등의 케이블은 주로 사용자 측에 인접하여 데스크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데스크의 상면에 마우스 케이블, 이어폰 케이블 등이 위치됨에 따라 케이블들끼리 꼬이거나 케이블이 데스크 위의 물체에 걸리는 등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 또는 이어폰 등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홀딩함과 더불어 컴퓨터 주변의 공간 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에스비(USB) 포트를 구비하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는,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모니터 등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케이블 홀더를 구비함에 의해, 컴퓨터의 주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더불어, 케이블이 데스크 상면에서 걸리거나 지저분하게 놓여있는 것을 방지하여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USB 포트를 구비하여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의 케이블이 짧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USB 포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USB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케이블 홀더가 폭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케이블 홀더의 측면부재와 폭조절부재의 구조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폭조절부재가 끼움결합된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모니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케이블 홀더에 구비되는 폭조절부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는 몸체(110), 측면부재(120), 케이블 지지대(1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0)는 일정형상을 가지는 중앙부(112a)와, 상기 중앙부(112a)의 일부에서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2b)를 가진다.
상기 중앙부(112a)는 육면체 형상, 원형, 타원형, 다각면체형, 원형과 다각면체의 혼합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부(112a)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중앙부(112a)는 전방측면, 후방측면, 좌측면, 우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2b)는 예를 들면, 상기 중앙부(112a)의 전방측면과 우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지점에서 전방방향인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구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12b)의 내측면에는 고무재질 또는 탄성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패드(116)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116)에 의해 체결되는 모니터의 가장자리 부위에 체결되는 경우 모니터나 상기 케이블 홀더(10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16) 상에 벨크로(velcro) 테이프이나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등 적층구조로 하여 모니터 등의 가장자리 부위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2b)의 내측면에는 상기 완충패드 대신에 벨크로(velcro) 테이프이나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모니터 등의 가장자리 부위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부(112a)와 상기 연장부(112b)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2b)의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될 수 있으며, 자석이 내장되는 경우, 모니터 등에 체결시 상기 벨크로(velcro) 테이프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별도의 부착수단 등이 필요없이 부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등은 가장자리부분에 철제 프레임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들이 구비될 수 있다. 하나가 구비되는 경우는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두 개이상 즉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예를 들면, 상부면에 제1USB 포트(114a)와 일측면에 제2USB 포트(114b) 등)에는 하나는 컴퓨터와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는 컴퓨터에 연결되는 연결기기들(예를 들면,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휴대단말기 등)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들(예를 들면, 상기 제1USB 포트(114a)나 상기 제2USB 포트(114b))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입A(type A)가 이용되거나, 타입B(type B), 미니 A(Mini-A), 미니 B(Mini-B), 마이크로 A(Micro-A), 마이크로 B(Micro-B) 타입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들이 2개로 구비되는 경우 즉 상기 제1USB 포트(114a)와 상기 제2USB 포트(114b)는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USB 포트(114a)로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2USB 포트(114b)로 출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USB 포트(114a)/제2USB 포트(114b)는 컴퓨터에 연결하고, 상기 제2USB 포트(114b)/제1USB포트(114a)는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를 연결하는 등 일반적인 USB 포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의 케이블이 짧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에 데이터 중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복수의 USB 포트들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 홀더(100)가 USB 허브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USB 포트들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부(112a)의 상부면,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전방측면, 후방측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를 배치하여 복수개의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컴퓨터와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블루투스(blue tooth)송수신 모듈, UWB(ultra wideband) 송수신 모듈, WIFI 송수신 모듈, 무선키보드 송수신 모듈 및 무선마우스 송수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는 컴퓨터와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에는 블루투스(blue tooth)송수신 모듈, WIFI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나 데스크 탑 컴퓨터에는 구비되지 않으며, 무선키보드 송수신 모듈 및 무선마우스 송수신 모듈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송수신 모듈에 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케이블 홀더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의 중앙부(112a)에 내장되는 송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취사선택하여 내장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의 연장부(112b)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도 4의 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115)는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점등되거나 점멸되도록 하여 컴퓨터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115)는 점등이나 점멸시 특정 로고 형태나 회사의 명칭이나 사인 등의 형상이 드러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재(120)는 상기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USB 포트(114a)가 노출되기 위한 홀(126)을 구비한다. 상기 측면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의 일측면에 상기 홀(126)을 통해 상기 제2USB 포트(114b)가 노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연장부(112b) 및 중앙부(112a)와 함께"ㄷ"자 형상의 체결홈(1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면부재(120)는 상기 몸체의 연장부(112b)와 대향하도록 상기 몸체(110)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홈(1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체결홈(140)은 모니터 등의 모서리 부분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부위에 USB 포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USB 포트의 노출을 위한 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측면부재(120)는 탄성재질을 가져 상기 모니터 등의 모서리 부분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결합이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와 상기 측면부재(120)는 탄력적으로 상기 체결홈(140) 부분의 벌림이 가능하도록 스프링 집게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힌지축(118a)에 상기 측면부재(120)가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118a)에 결합된 탄성스프링(118b)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부재(120)의 단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측면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재(120)의 상기 체결홈(140) 형성부분이 벌어지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120)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이 상기 중앙부(112a)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연장부(112b)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118b)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는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일정길이로 설치되며, 케이블이 끼워지기 위한 길이방향의 제1케이블홈(132)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체결을 위해 상기 몸체(110)의 중앙부(112a)의 일 단부에는 "T" 자형 단면을 가진 수용홈(117)이 슬롯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홈(117)은 도면상의 우에서 좌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7)은 외측으로 개방된 좁은 폭의 제1수용홈(117a)과 상기 제1수용홈(117a)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제1수용홈(117a) 보다 넓은 폭의 제2수용홈(117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용홈(117) 내에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회전축(134a) 및 헤드부(134b)가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7)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수용홈(117) 하단은 폐쇄되어 수용홈(117) 내에 수용되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회전축(134a) 및 헤드부(134b)가 하부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단부에는 회전축(134a)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34a)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34a)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헤드부(134b)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4b)는 상기 수용홈(117) 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134a) 및 헤드부(134b)는 "T"자형 수용홈(117) 내에 수용되며, 회전축(134a)은 수용홈(117)의 제1수용홈(117a) 내에서 회전지지되고, 헤드부(134b)는 상기 수용홈(117)의 제2수용홈(117b) 내에서 회전지지되며, 회전축(25) 및 헤드부(25a)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블 홈(132)에 마우스 또는 이어폰 등의 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제1케이블 홈의 깊이 또는 길이는 케이블의 끼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치수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는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특정형상으로 구부리면 다른 외력이 가해질 때까지 그 형상을 유지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는 고무재질,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나무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는 유연성을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제1케이블 홈(132)에 케이블의 끼움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가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를 더 구비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케이블 홀더(100)가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를 더 구비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케이블 홀더(100)의 측면부재(12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구조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케이블 홀더(10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가 끼움결합된 후의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홀더(100)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체결홈(14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두께를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홈(140)에 체결되는 모니터 등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상기 체결홈(14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는 시중에 유통되는 모니터 등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두께에 맞는 폭조절부재를 끼움결합시킴에 의해 다양하게 상기 체결홈(14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가장 작은 두께를 가지는 폭조절부재(210a)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중간두께를 가지는 폭조절부재(210b)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5c는 가장 큰 두께를 가지는 폭조절부재(210c)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일 측면에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가이드 돌기(212)가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일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212a)와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2a)의 단부에서 양쪽 폭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 돌기(212b)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2a)의 끼움결합을 위해, 상기 제1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홈(140)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체결홈(140) 방향으로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홈(122a)과, 상기 가이드 홈(122a)에서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가이드 홈(122a)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122b)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2a)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제1가이드 홈(122a)에 끼워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상기 제2가이드 돌기(212b)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제2가이드 홈(122b)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가 상기 측면부재(120)에 끼워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상기 제2가이드 돌기(212b) 상에는 상기 제2가이드 돌기(212b)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돌출되는 결합돌기(212c)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120)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1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24)는 상기 제1가이드홈(122a)의 일부분이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또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끼움결합시 상기 결합돌기(212c)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124)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212c)의 단부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돌기(212c)는 상기 제2가이드 돌기(212b)에 인접되어 상기 개구(124)에 끼워지는 부분의 직경은 상기 개구(124)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1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돌출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는 상기 결합돌기(212c) 및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돌기(212a, 212b)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재(120)는 제1 및 제2가이드 홈(122a,122b) 및 상기 개구(124)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가 상기 측면부재(120)에 끼움결합됨에 의해 상기 체결홈(140)의 폭 조절이 가능하고, 견고한 끼움결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상기 결합돌기(212c)의 단부에는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제2케이블홈(212d)이 더 구비되어,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경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몸체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이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는 상기 측면부재(120)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홈(140)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몸체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케이블 홀더(100)가 다른 형태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를 구비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상기 케이블 홀더(10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가 끼움결합된 후의 사시도들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는 두께가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경우에 제1방향의 일단부에서 제1방향의 타단부로 갈수록 몸체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두께가 달라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가이드돌기(212)나 제2케이블홈(212d)를 구비함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의 두께를 다르게 하는 이유는 상기 케이블 홀더(100)가 체결되는 모니터 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태가 동일한 평면이 아니고 굴곡이 형성되어 있거나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모니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홀더(100)의 어느 하나의 USB 포트(114a)에는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에 연결된 케이블에 연결된 USB 커넥터(300a)가 연결되고, 다른 USB 포트(114b)에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USB 커넥터(300b)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홀딩을 원하는 케이블(4)(예를 들면 마우스(3)에 연결된 케이블(4))이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제1케이블홈(132)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제2케이블홈(212d)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케이블 홀더(100)는 모니터 등(2)의 일측에 상기 체결홈(140)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두께에 대응하여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폭조절부재(210a,210b,210c)를 체결하여 용이하게 상기 모니터에 부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홀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홀더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케이블 홀더 구조에서 상기 측면부재(120)를 분리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측면부재(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210a,210b,210c)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모두 동일하다.
즉 상기 케이블 홀더는 몸체(110)와 케이블 지지대((130)를 구비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110)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13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는 제조비용 절감 및 사용의 편리성을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9의 케이블 홀더 구조에서 상기 몸체(110)와 상기 측면부재(120)를 결합하는 상기 힌지축(118a)을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힌지축(118a) 분리에 의해 상기 힌지축(118a)과 상기 탄성스프링(118b)가 분리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측면부재(12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몸체(110)에 상기 측면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별도로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별개로 상기 케이블 홀더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10)의 상기 중앙부(112a)와 상기 연장부(112b)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의 체결홈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112b)의 내측면에는 벨크로(velcro) 테이프이나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112b)의 내측면을 이용하여 모니터 등의 가장자리 부위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12b)의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될 수 있으므로, 자석이 내장되는 경우, 모니터 등에 체결시 상기 벨크로(velcro) 테이프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별도의 부착수단 등이 필요없이 부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등은 가장자리부분에 철제 프레임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체결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컴퓨터 모니터 등(2)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케이블 홀더를 구비함에 의해, 컴퓨터의 주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더불어, 케이블(4)이 데스크 상면에서 걸리거나 지저분하게 놓여있는 것을 방지하여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USB 포트를 구비하여 마우스나 키보드, 외장하드, USB 메모리 등의 연결기기의 케이블이 짧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USB 포트가 부족한 경우에는 USB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몸체 120 : 측면부재
130 : 케이블 지지대 140 : 체결홈
210a,210b,210c : 폭조절부재

Claims (19)

  1. 삭제
  2. 일정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부에서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부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연장부 및 중앙부와 함께"ㄷ"자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일정길이로 설치되며, 케이블이 끼워지기 위한 길이방향의 제1케이블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대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컴퓨터 및 컴퓨터 연결기기들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형성되어 데이터 중개기능 또는 USB 허브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의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내장되거나, 블루투스(blue tooth)송수신 모듈, UWB(ultra wideband) 송수신 모듈, WIFI 송수신 모듈, 무선키보드 송수신 모듈 및 무선마우스 송수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모듈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부의 일 단부에는 "T" 자형 단면을 가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단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원형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홈 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체결홈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의 일 측면에는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면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와의 끼움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 상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의 일부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면서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의 끼움결합시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는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의 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제2케이블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조절부재는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홈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탄성재질을 가지거나, 상기 몸체의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재는 탄력적으로 상기 체결홈 부분의 벌림이 가능하도록 스프링 집게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을 구성하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완충패드, 벨크로테이프, 양면 테이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거나, 상기 완충패드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가 적층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포트를 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점등되거나 점멸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5. 일정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부에서 제1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일정길이로 설치되며, 케이블이 끼워지기 위한 길이방향의 제1케이블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컴퓨터 및 컴퓨터 연결기기들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USB 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의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내장되거나, 블루투스(blue tooth)송수신 모듈, UWB(ultra wideband) 송수신 모듈, WIFI 송수신 모듈, 무선키보드 송수신 모듈 및 무선마우스 송수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모듈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을 구성하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완충패드, 벨크로테이프, 양면 테이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거나, 상기 완충패드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가 적층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KR1020120030551A 2012-03-26 2012-03-26 케이블 홀더 KR10138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51A KR101389470B1 (ko) 2012-03-26 2012-03-26 케이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51A KR101389470B1 (ko) 2012-03-26 2012-03-26 케이블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2A KR20130108802A (ko) 2013-10-07
KR101389470B1 true KR101389470B1 (ko) 2014-04-29

Family

ID=4963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51A KR101389470B1 (ko) 2012-03-26 2012-03-26 케이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6727A1 (zh) * 2016-03-16 2017-09-21 邢皓宇 一种鼠标固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21U (ja) * 1993-07-15 1995-03-03 サンワサプライ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マウス等のホルダ
KR19990022709U (ko) * 1999-04-08 1999-07-05 김승일 마우스와이어행거
KR200285530Y1 (ko) * 2002-05-11 2002-08-13 박종석 전선 홀더를 구비한 마우스 보드 크립
KR200295181Y1 (ko) 2002-08-30 2002-11-18 황인재 마우스 와이어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21U (ja) * 1993-07-15 1995-03-03 サンワサプライ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マウス等のホルダ
KR19990022709U (ko) * 1999-04-08 1999-07-05 김승일 마우스와이어행거
KR200285530Y1 (ko) * 2002-05-11 2002-08-13 박종석 전선 홀더를 구비한 마우스 보드 크립
KR200295181Y1 (ko) 2002-08-30 2002-11-18 황인재 마우스 와이어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2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3559B2 (en) Mobile phone case structure capable of standing, clamping and coiling
US9036340B1 (en) Reversible folio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i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US8917505B2 (en) Positionable stand for computing device
US20220279264A1 (en) Electronic device
US20100206925A1 (en)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US20160269065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cable
US11418868B2 (en) Earphone and head-mounted earphone
US10321239B2 (en) Microphone
TWM488833U (zh) 具有usb接頭之數位產品
TW201212786A (en) Electronic device
CN202551124U (zh) 一种带夹扣的手机保护壳
US20080316693A1 (en) Housing with rotatable cover assembly
US7523242B2 (en) Docking device
KR101389470B1 (ko) 케이블 홀더
CN106690725B (zh) 电子装置保护套
US86576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llapsible plug
US8076584B2 (en) Power adapter with cable organizer
KR101173820B1 (ko)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US20090019666A1 (en) Hanging type earphone with a hinge unit
TWI568330B (zh) Combined multi - functional protective shell
CN204442607U (zh) 一种蓝牙耳机
JP6060753B2 (ja) 電子装置
KR200476384Y1 (ko)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WI673601B (zh) 筆記型電腦
KR101508771B1 (ko) 이탈이 방지되는 태블릿 p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