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299B1 -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 Google Patents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299B1
KR101389299B1 KR1020120084948A KR20120084948A KR101389299B1 KR 101389299 B1 KR101389299 B1 KR 101389299B1 KR 1020120084948 A KR1020120084948 A KR 1020120084948A KR 20120084948 A KR20120084948 A KR 20120084948A KR 101389299 B1 KR101389299 B1 KR 10138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ents
longitudinal
zipp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952A (ko
Inventor
현상윤
Original Assignee
현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상윤 filed Critical 현상윤
Priority to KR102012008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2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내용물을 외부로 짜내기 위해 양면을 눌러서 압착할 때 단순히 황방향 폭 일부만 길이방향을 따라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서 내부에 잔류됨이 없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가 내장된 액체 튜브가 개시된다. 액체 튜브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1 단부와 밀폐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액상 또는 젤 형태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 및 본체의 내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본체가 압착될 때 본체의 내부 공간을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의 배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liquid tube having longitudinal discharging guide contained therein}
본 발명은 치약, 물감, 액상 화장품, 액상 의약품 등과 같은 액상 또는 젤 형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액체 튜브(liquid tub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양면을 눌러서 압착할 때 단순히 횡방향 폭 일부만 길이방향을 따라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서 내부에 잔류됨이 없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튜브는 치약, 물감, 액상 화장품, 액상 의약품 등과 같은 액상 또는 젤 형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용기로서, 후단에서 압착될 때 선단의 배출구에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액체 튜브는 통상 내용물이 어느 정도 배출된 후부터는 내부에 남은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양면이 눌러져 압착되더라도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눌러지지 않는 다른 부분 쪽으로 이리 저리 밀리게 된다. 따라서, 튜브 내의 내용물이 조금 남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알뜰하게 짜내기 위해서는 튜브의 횡방향 폭 전체를 튜브 후단에서부터 튜브 선단쪽으로 차근차근 눌러주어야 한다. 이때, 중간 부분을 누르는 경우가 발생하면, 내용물이 황방향으로 밀리거나 튜브 후단 쪽으로 역류하게 되어 다시 튜브의 횡방향 폭 전체를 튜브 후단에서부터 튜브 선단쪽으로 차근차근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종래의 액체 튜브는 후단에서부터 말거나 후단에서 단을 지어 접으면서 내용물을 짜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튜브의 재질에 따라 튜브가 잘 말려지지 않거나 또는 튜브가 말려지더라도 말아 놓은 부분이 저절로 풀려지거나 느슨하게 되어 내용물이 다시 횡방향으로 밀리거나 역류할 수 있고 또 튜브를 구부리는 동안 튜브가 찢어져 내용물이 튜브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액체 튜브는 위와 같은 사용상의 번거로움 또는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들 대부분이 튜브를 차근차근 눌러서 내용물을 알뜰하게 짜내는 노력을 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수 회 이상 더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내부에 잔류된 상태에서 버려지는 등 자원낭비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짜내기 위해 양면을 눌러서 압착할 때 단순히 황방향 폭 일부만 길이방향을 따라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서 내부에 잔류됨이 없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함과 함께 자원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액체 튜브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1 단부와 밀폐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액상 또는 젤 형태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 및 본체의 내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본체가 압착될 때 본체의 내부 공간을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의 배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는 적어도 한 개의 지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지퍼부는 본체의 내측 표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간격은 손가락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퍼부는, 본체의 내측 표면의 제1 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결합홈, 및 내측 표면의 제1 면에 대향하는 내측 표면의 제2 면에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홈과 대응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각각 반원형 또는 원호형 단면, 삼각형 단면, 원형 단면, 또는 단부가 라운드된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퍼부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서로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록킹부는 결합홈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 및 결합돌기의 하부에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턱에 대향하게 형성된 걸림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홈이 내측 표면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돌출 설치된 보스부 내에 형성될 경우, 지퍼부는, 보스부의 양측에서 내측 표면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형성되고 본체가 압착될 때 보스부와 내측 표면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사이의 구석공간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강부는 보스부의 양측에서 보스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표면의 제1 면 또는 제2 면 쪽으로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내용물은 치약, 물감, 액상 또는 젤 형 화장품, 액상 또는 젤 형 의약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튜브는 본체의 내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본체가 압착될 때 본체의 내부 공간을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 배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한 개의 지퍼부를 구비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튜브는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본체의 양면을 후단에서부터 눌러서 압착할 때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의 지퍼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누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서 내부에 잔류됨이 없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함께 더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튜브 내부에 잔류된 상태에서 튜브와 함께 버려지는 등의 자원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튜브의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의 제1 및 제2 지퍼부를 보이기 위해 본체를 일부 절개하여 펼쳐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지퍼부의 제1 및 제2 결합홈과 제1 및 제2 결합돌기의 변형 예들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지퍼부에 각각 적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보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액체 튜브(1)는 액상 또는 젤 형태의 내용물, 예를 들면, 치약을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치약튜브로서, 본체(10), 및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치약을 담을 수 있도록 PVC(polyvinyl chloride; 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0)는 좌측 단부(도 1 기준)에서 뚜껑(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배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서 양면, 즉, 상면과 하면이 압착되어 밀폐되어 있다.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는 본체(10)의 내측 표면(30; 도 2)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본체(10)가 치약을 배출구를 통해 짜내기 위해 본체(10)의 후단에서부터 상면과 하면이 압착될 때 본체(10)의 내부 공간(36)을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의 배출 공간(36a, 36b, 36c)으로 구획한다.
이를 위해,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는 본체(10)의 내측 표면(3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지퍼부(21a, 2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퍼부(21a, 21b)는 본체(10)의 내측 표면(30)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가 본체(10)의 내측 표면(3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정 간격은 손가락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사용자가 치약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짜내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와 함께 후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압착할 때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어떤 배향으로 위치하더라도 빈틈없이 눌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퍼부(21a)는 제1 결합홈(23a), 및 제1 결합돌기(25a)를 포함한다. 제1 결합홈(23a)은 내측 표면(30)의 제1 면(31)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제1 보스부(23) 내에 형성되고, 제1 결합돌기(25a)는 내측 표면(30)의 제2 면(33)에 제1 결합홈(23a)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1 결합홈(23a)과 대응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 지퍼부(21b)는 제2 결합홈(23b), 및 제2 결합돌기(25b)를 포함한다. 제2 결합홈(23b)은 내측 표면(30)의 제2 면(33)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제2 보스부(23') 내에 형성되고, 제2 결합돌기(25b)는 내측 표면(30)의 제1 면(31)에 제2 결합홈(23b)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2 결합홈(23b)과 대응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은 반원형 또는 원호형 단면을 갖는 홈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는 반원형 또는 원호형 단면을 갖는 돌기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 23a", 23b"; 23a"', 23b"')은 삼각형 단면, 원형 단면, 또는 단부가 라운드된 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 25a", 25b"; 25a"', 25b"')는 삼각형 단면, 원형 단면, 또는 단부가 라운드된 사각형 단면을 갖는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과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가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에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을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에 각각 록킹하는 제1 및 제2 록킹부(27, 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록킹부(27)는 제1 결합홈(23a)의 입구에 형성된 제1 걸림턱(27a), 및 제1 결합돌기(25a)의 하부에 제1 걸림턱(27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걸림턱(27a)에 대향하게 형성된 제1 걸림홈(27b)으로 구성되고, 제2 록킹부(27)는 제2 결합홈(23a)의 입구에 형성된 제2 걸림턱(28a), 및 제2 결합돌기(25b)의 하부에 제2 걸림턱(28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걸림턱(28a)에 대향하게 형성된 제2 걸림홈(28b)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은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에 돌출 설치된 제1 및 제2 보스부(23, 23')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 내의 치약을 배출구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손가락에 의해 눌러서 압착하더라도, 제1 및 제2 보스부(23, 23')와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 사이의 구석공간 및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의 하부와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 사이의 구석공간에 축적되는 치약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치약 잔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치약을 짜내기 위해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압착될 때 제1 및 제2 보스부(23, 23')와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 사이 및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의 하부와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 사이에 구석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는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과 맞물려 결합될 때 하부를 포함한 전체부분이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 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는 각각, 제1 및 제2 보스부(23, 23')의 양측에서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강부(38, 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부(38)는 제1 보스부(23)의 양측에서 제1 보스부(23)의 상단으로부터 제1 면(31) 쪽으로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38a, 38b)으로 구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강부(39)는 제2 보스부(23')의 양측에서 제2 보스부(23')의 상단으로부터 제2 면(33) 쪽으로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및 제4 경사면(39a, 39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와 제1 및 제2 보강부(38, 39)의 구성에 따라, 치약을 짜내기 위해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후단으로부터 압착될 때,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은 제1 내지 제4 경사면(38a, 38b, 39a, 39b)과 접촉하여 그 사이의 치약이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를 구비한 액체 튜브(1)의 내용물, 즉, 치약을 짜내는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치약을 필요한 양 만큼 배출구를 통해 짜내기 위해 손가락을 사용하여 뚜껑(40)을 배출구로부터 제거한 다음, 본체(10)의 후단의 상면과 하면에 필요한 양을 짜낼 수 있는 힘을 가하여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필요한 양을 짜낼 수 있는 길이 만큼 길이방향으로 압착한다. 그 결과, 튜브(1) 내의 치약은 필요한 양 만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공지의 지퍼백의 지퍼부를 밀폐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의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과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도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압착된 길이 만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리도록 압착하여 누른다.
그 결과, 제1 및 제2 결합돌기(25a, 25b)는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압착된 길이 만큼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에 각각 삽입됨과 함께 제1 및 제2 록킹부(27, 28)에 의해 제1 및 제2 결합홈(23a, 23b) 내에 록킹된다. 이때,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공간(36)은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압착된 길이 만큼 후단에서부터,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길이방향의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에 의해 본체(10)의 내측 표면(30)의 제1 및 제2 면(31, 3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은 각각 독립적으로 배출구(및 아직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공간(36)) 쪽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손가락에 의해 눌러서 압착할 때,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 내부의 치약은 각각 독립적으로 배출구(및 아직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공간(36))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튜브(1) 내부의 치약이 어느 정도 배출된 후 내부에 남은 치약을 외부로 짜내기 위해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을 각각 별도로 누르더라도, 치약은 해당하는 제1, 제2 또는 제3 배출공간(36a, 36b, 또는 36c)을 통해서만 이동하고, 종래의 액체 튜브와 같이 치약이 눌러지지 않은 다른 배출공간(36a, 36b, 또는 36c)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가 본체(10)의 내측 표면(3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간격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어떤 배향으로 위치하더라도 빈틈없이 눌려질 수 있도록 손가락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액체 튜브에서와 같이 튜브(1) 후단에서부터 배출구 쪽으로 튜브(1)의 횡방향 폭 전체에 걸쳐 동시에 눌러줄 필요없이 간단히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의 각각을 별도로 눌러서 압착해 주면, 각 배출공간(36a, 36b, 36c) 내의 치약은 배출구까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종래의 액체 튜브에서와 같이 치약을 짜내기 위해 튜브(1)의 횡방향 폭 전체에 걸쳐 동시에 눌러주는 번거로움 없이 튜브(1) 내의 치약을 알뜰하게 짜내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각 배출공간(36a, 36b, 36c)의 중간 부분을 누르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치약이 눌러진 배출공간(36a, 36b, 또는 36c)을 통해서만 이동하고 종래의 액체 튜브에서와 같이 눌러지지 않은 다른 배출공간(36a, 36b, 또는 36c)으로 횡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손가락 굵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좁은 폭을 가지는 해당 배출공간(36a, 36b, 또는 36c)만 후단 쪽에서부터 압착해 주면 쉽게 치약을 다시 배출구 쪽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치약을 짜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후단에서부터 필요한 양을 짜낼 수 있는 길이 만큼 누름과 함께 제1 및 제2 지퍼부(21a, 21b)를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이 압착된 길이 만큼 결합시켜 본체(10)의 내부 공간(36)을 제1, 제2 및 제3 배출공간(36a, 36b, 36c)으로 구획하는 동작에 따라 튜브(1)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치약은 사용자의 치솔에 공급된다.
그후, 뚜껑(40)이 다시 본체(10)의 배출구에 결합되면, 튜브(1)로부터 치약을 짜내는 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동작은 튜브(1) 내부의 치약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튜브(1)는 본체(10)의 내측 표면(3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본체(10)가 압착될 때 함께 압착되어 본체(10)의 내부 공간(36)을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 배출공간(36a, 36b, 36c)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한 개의 지퍼부(21a, 21b)를 구비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튜브(1)는 치약을 짜내기 위해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후단에서부터 눌러서 압착할 때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20)의 지퍼부(21a, 21b)를 길이방향을 따라 누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치약이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서 내부에 잔류됨이 없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액체 튜브와 비교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치약을 짜내기 위해 튜브(1)가 압착될 때 치약이 튜브(1)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횡방향으로 이리저리 밀려짐에 따라 치약을 완벽히 짜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튜브 내부에 잔류된 상태에서 튜브와 함께 버려지는 등의 자원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액체 튜브(1)는 치약튜브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액상 또는 젤 형 내용물, 예를 들면, 물감, 액상 화장품, 액상 의약품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튜브 10: 본체
20: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 21a, 21b: 지퍼부
23, 23': 보스부 23a, 23b: 결합홈
25a, 25b: 결합돌기 27, 28: 록킹부
27a, 28a: 걸림턱 27b, 28b: 걸림홈
30: 내측 표면 31, 33: 면
36: 내부 공간 36a, 36b, 36c: 배출 공간
38, 39: 보강부 38a, 38b, 39a, 39b: 경사면

Claims (11)

  1.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1 단부와 밀폐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액상 또는 젤 형태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압착될 때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기 배출구 쪽에서 합쳐지는 복수 개의 길이방향의 배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는 적어도 한 개의 지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퍼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 표면의 제1 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결합홈; 및
    상기 내측 표면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상기 내측 표면의 제2 면에 상기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과 대응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 표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돌출 설치된 보스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지퍼부는, 상기 보스부의 양측에서 상기 내측 표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압착될 때 상기 보스부와 상기 내측 표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사이의 구석공간에 상기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내측 표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지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은 손가락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는 각각, 반원형 또는 원호형과, 삼각형과, 원형과, 단부가 라운드된 사각형 중에서 하나의 단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부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에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결합홈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결합돌기의 하부에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대향하게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스부의 양측에서 상기 보스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표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쪽으로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치약과, 물감과, 액상 또는 젤 형태의 화장품과, 액상 또는 젤 형태의 의약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튜브.
KR1020120084948A 2012-08-02 2012-08-02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KR10138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48A KR101389299B1 (ko) 2012-08-02 2012-08-02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48A KR101389299B1 (ko) 2012-08-02 2012-08-02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52A KR20140017952A (ko) 2014-02-12
KR101389299B1 true KR101389299B1 (ko) 2014-04-25

Family

ID=5026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948A KR101389299B1 (ko) 2012-08-02 2012-08-02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15A (ko) * 2019-12-23 2021-07-01 임희원 알뜰형 치약 튜브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293A (ko) * 2008-01-21 2009-07-24 공문식 잔량제거수단을 갖는 튜브형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293A (ko) * 2008-01-21 2009-07-24 공문식 잔량제거수단을 갖는 튜브형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15A (ko) * 2019-12-23 2021-07-01 임희원 알뜰형 치약 튜브용기
KR102284793B1 (ko) 2019-12-23 2021-08-02 임희원 알뜰형 치약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52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734A (en) Wedge activated zipper
CA2082487C (en) Reclosable plastic bag with sliderless zipper
US3248012A (en) Slide adapters for resilient tubes
US4976380A (en) Device for emptying tubes
KR100978528B1 (ko) 알약 정량배출장치
JPH0735172B2 (ja) 押し出し式の容器
US20160068303A1 (en) Interlinking containers
KR100699521B1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102396503B1 (ko)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RU249568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аппликатор
KR101389299B1 (ko) 길이방향 배출 가이드를 구비한 액체 튜브
US3938897A (en) Toothbrush with dentifrice cartridge
US20060104548A1 (en) Resealable package with guiding ridges
RU2298514C9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риведения в состояние готовности стапелированных пленочных или лист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200488770Y1 (ko)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US4036412A (en) Elastomeric cartridge with slitted nozzle tip
US20170247149A1 (en) Fluid dispensing device
KR200497302Y1 (ko) 튜브짜개
US6186362B1 (en) Extractor for emptying tubes
CN109803897A (zh) 在其两个基本互相相对的端部处可打开以及可重新封闭的容器
KR200309883Y1 (ko) 압입식 파스너가 형성된 압출튜브
US6189737B1 (en) Squeezable tube clip and retainer
CN215286092U (zh) 一种用于将填充物完全挤干净的包装盒
KR200264270Y1 (ko) 튜브용기짜개
KR200361202Y1 (ko) 내부에 지퍼가 형성된 튜브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