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782B1 - 발전용 선박 - Google Patents

발전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782B1
KR101388782B1 KR1020130072062A KR20130072062A KR101388782B1 KR 101388782 B1 KR101388782 B1 KR 101388782B1 KR 1020130072062 A KR1020130072062 A KR 1020130072062A KR 20130072062 A KR20130072062 A KR 20130072062A KR 101388782 B1 KR101388782 B1 KR 101388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fuel
natural gas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이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우 filed Critical 이경우
Priority to KR102013007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발전용 선박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로부터 가스 상태의 발전용 연료를 공급 받아, 상기 발전용 연료를 가스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 저장부;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 개의 발전 유닛이 설치되는 발전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와 일단이 연결된 연료 공급 파이프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 공급유닛;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에 설치된 송전유닛 측으로 공급하는 변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연료 저장소가 건설된 해안가에 마련된 부두에 계류될 때,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용 선박{Ship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본 실시예는 발전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발전소는 육상에 대규모로 설치되는 설비를 필요로 하며, 건설기간도 최소 3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매년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적절한 시간 안에 대응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발전소로 원자력 발전소와 화력 발전소를 예로 들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및 화력 발전소는 기본적으로 증기터빈을 이용하는 발전설비이고, 증기터빈을 구동하는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열원으로 원자력 발전은 핵연료, 화력발전은 석탄, 석유 또는 천연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러한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는 발전설비의 운전을 위해 많은 양의 냉각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는 해수를 냉각수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안가에 설치된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소 및 화력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부지매입, 인허가, 주변 지역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주변지역 주민들의 민원 등이 선결되어야 하며, 이후에 지반을 조성하는 기초 토목공사, 건설공사, 각종 설비의 주문 및 설치 등의 공사가 이뤄지므로, 발전소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까지는 최소한 3년이상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및 화력 발전소는 증기를 생산하고, 증기터빈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소용량의 설비로는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와 화력 발전소는 최소 500MW급 이상의 대형 발전소로 건설 되므로, 이는 발전소 건설 소요 기간을 연장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최근 석탄 가격의 하락으로 인한 석탄 화력발전소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많은 CO2의 배출,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등의 배출 등으로 인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국내에서 발생하여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전력 공급을 시작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발전설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액화 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해상 발전설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60994 호(2013.04.29. 등록)
본 발명은 천연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CO2의 배출이 적고, 기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으면서도, 발전설비 구축시간을 최대 1.5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발전용 선박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로부터 가스 상태의 발전용 연료를 공급 받아, 상기 발전용 연료를 가스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 저장부;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 개의 발전 유닛이 설치되는 발전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와 일단이 연결된 연료 공급 파이프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 공급유닛;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에 설치된 송전유닛 측으로 공급하는 변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연료 저장소가 건설된 해안가에 마련된 부두에 계류될 때,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되는 연료는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고, 상기 연료 저장소는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은 육상에 설치되는 대규모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 및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에서 운반되는 천연가스의 BOG(Boil-off Gas)를 회수하는 BOG 회수장치; 및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 및 BOG 회수장치와 연결되는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는 상기 BOG 회수장치에서 우선적으로 회수된 천연가스를 우선적으로 상기 연료 저장부에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복수 개의 5 내지 500MW급 발전기들이 직렬 및 병렬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는 연료전지, 풍력, 태양력 및 조력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보조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발전부는 상기 천연가스 발전기들의 구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생산하고, 천연가스 발전기들의 전력 생산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추가 작동되어 부족한 전력 생산량을 보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용 선박을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 하는 제도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제도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발전용 선박을 항만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유닛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발전기 또는, 천연가스 및 디젤 중 어느 하나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상기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열을 보일러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천연가스 복합 화력 발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육상에 설치되는 발전소에 비해 인허가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액화 천연가스를 이송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연소하여 제거하거나, 도시가스 등과 같이 가스 공급 유로에 공급하거나, 압축 등을 통해 액화 천연가스(LNG) 저장탱크로 다시 주입하는 증발가스(BOG, Boiled-off Gas)를 회수하여 이를 발전에 이용할 수 있어 발전용 연료 구입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육상 발전소에 비해 저렴하고 빠른 시간 내에 선박을 건조 또는 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부족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발전 시설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와 같은 기존의 항만 시설을 이용하기 때문에 육상 발전소와 같은 환경 영향평가와 토지 구매 등과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발전 설비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발전용 선박 건조는 물론, 벌크선이나 컨테이너 운반선 등과 같이 내부 공간이 넉넉한 폐선 또는 노후선 등을 재활용하여 발전용 선박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의 내부 개념도, 그리고,
도 4는 천연가스 공급을 위한 연결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의 내부 개념도, 그리고, 도 4는 천연가스 공급을 위한 연결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100)은 연료 저장부(110), 발전부(120) 및 변전유닛(130)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부(110)는 육상에 설치된 연료 공급유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료 공급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디젤 등과 같은 액상의 석유연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료 공급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액화 천연가스(LNG) 저장탱크들로 구성되는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와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에서 외부 공급을 위해 천연가스를 이송하는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13)에서 기화된 증발가스인 BOG를 회수하기 위한 BOG 회수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는 육상에 대규모로 설치되며, 액상의 천연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시설이다. 상기 BOG 회수장치(12)는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에서 사용을 위해 저장 또는 공급되는 액화 천연가스의 저장 또는 이송 중에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off Gas)(BOG)를 BOG 회수유로(14)를 통해 회수한다.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와 BOG 회수장치(12)에 의해 발전용 선박(100)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15)와 연결포트(16)를 통해 연료 저장부(110)로 이송될 수 있다.
연료 저장부(110)는 발전용 선박(100)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료 공급유닛(10)에서 공급되는 천연가스를 가스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탱크의 압력은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대기압(1.01325bar) 내지 250bar로 마련된 수 있다. 최대 압력을 250bar로 구성하는 것은 가스상태로서는 가장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의 일반적인 저장압력이기 때문이다.
상기 연료 저장부(110)는 액체 상태의 액화 천연가스(LNG)를 장기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저장 목적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상기 연료 공급유닛(10)에서 공급되는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후술할 발전부(120) 측으로 공급함에 있어, 일정 시간 분량의 버퍼(buffer) 연료를 임시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료 저장부(110)는 액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복잡한 온도 및 압력 유지를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연료 저장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분배유로(115)를 통해 후술할 천연가스 발전부(12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소용량 발전기(121a)에 각각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할 경우, 상기 연료 저장부(110)는 액체 상태의 액화 천연가스(LNG)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용 선박(100)을 연료 공급유닛(10)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기 어려울 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 저장부(110)에 공급되는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연료 공급유닛(11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유닛(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 저장부(110)와 연통되는 발전용 선박(100) 측에 설치되는 주입 포트(111a)와 일단이 상기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15)와 연결되는 연료 공급 파이프(112)와 연결되는 공급 포트(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 및 공급 포트(111a)(111b)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천연가스 이송 파이프의 규격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가 건설된 항만에서 직접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공급 받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발전용 선박(100)을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가 건설된 해안가에 마련된 부두에 계류하기가 어려워,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11)로부터 직접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공급받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연료 저장부(110)를 액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기(121a)의 경우에는 작동을 위해 천연가스 대비 1~8%의 경유 등을 보조연료(pilot fuel)로서 사용하게 되며, 연료 저장부(110)에 보조연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전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가스 발전부(121)와 연료전지를 포함한 보조 발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가스 발전부(121)는 내부에 복수 개의 발전기(121a)가 병렬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발전기(121a)는 5 내지 500MW급의 비교적 소용량 발전기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발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전기를 그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료 상황 및 수급에 따라 등유, 휘발유, 경우 등과 같은 액상의 석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석탄 등과 같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소형 발전기(121a)는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발전기 이외에도, 천연가스 및 디젤 중 어느 하나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상기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열을 보일러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천연가스 복합 화력 발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합 화력발전기는 2번에 걸쳐 발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화력발전에 비해 열효율이 10% 이상 높으며, 공해가 적고 정지 후 재가동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소용량의 발전기(121a)를 복수 개로 구성하면, 발전용량을 간편하게 증감할 수 있으며, 발전용 선박의 크기에 맞추어 천연가스 발전부(121)를 구성할 수 있다.
보조 발전부(122)는 연료전지, 풍력, 태양력 및 조력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발전부(122)는 상기 천연가스 발전기들(121a)의 구동을 위한 펌프 등의 구동 등에 사용되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작동되는 것이 기본적인 원칙이며, 이외에도 천연가스 발전기들(121a)의 고장 등에 따라 천연가스 발전기들(121a)에서 생산된 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 작동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로 보조 발전부(122)를 구성할 경우, 상기 천연가스 발전부(121)에서 생산된 전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미리 축전했다가 천연가스 발전부(121)에서 생산된 전력이 기준치 미만일 경우, 이를 송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풍력이나 태양력 조력 발전 등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별도의 배터리 유닛을 구성하여 미리 충전해 두었다가,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여 송전할 수도 있다.
변전유닛(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부(120)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에 설치된 송전유닛(2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상 변전소의 설계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전유닛(130)은 대략 2,000톤 정도의 무게로 최대 500MW를 처리할 수 있으며, 관련 기술은 현재 지멘스 등의 외국 기업들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상기 송전유닛(20)과 변전유닛(130)은 항만(L) 측에 마련되는 제 1 연결부(21)와 발전용 선박(100) 측에 설치되는 제 2 연결부(121)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송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연결 구조는 가변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변전유닛(130)을 발전용 선박(100)에 설치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송전유닛(20)에 변전시설을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용 선박(100)을 항만(L)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류장치(190)는 항만(L)에 발전용 선박(100)이 파도나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 시에도 요동하지 않도록 발전용 선박(100)의 전방 및 후방 모두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발전부(120)의 가동 중에는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육상에 발전설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최소 3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육상용 발전설비가 건설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의 원인은 인허가, 주변 주민들의 민원, 환경영향평가, 대용량 발전설비 구축으로 인한 기간소요, 장기간의 토목공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일 또는 다수의 발전설비를 탑재한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100)을 제안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계류식 발전용 선박(100)은 대기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천연가스 전용으로 사용하거나, 천연가스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또는 연료전지를 적용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전용 선박(100)에 발전설비를 탑재하여, 발전용 선박(100)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육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육상의 발전설비 건설과정에서 필요한 인허가,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선박으로서의 안전 및 환경보호에 대한 인허가만 획득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전용 선박은 선박안전법 제2조 1항 및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제3조 3호의 가목 또는 4호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 안전관련 사항은 선박안전법에 따른 인허가를 받으면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전용 선박은 운송을 목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형태 및 조건에 따라 선박안전법에 따른 인허가가 면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전용 선박의 배치 위치에 따라 해양환경관리법 2조 16호에서 정하는 선박 또는 2조 17에서 정하는 해양시설에 해당되므로, 환경관련 사항은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라 인허가를 받으면 된다.
선박의 인허가 절차는 육상의 인허가 절차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며, 선박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매우 정형화 되어 있고, 국제화 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 중에 인허가가 이뤄지므로 육상의 인허가에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인허가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전력을 생산하여 육상으로 안정적 공급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전용 선박(100)이 일정한 위치에 계류장치(190)를 통해 고정 되어야 하는데, 발전용 선박의 고정 위치는 각 다른 선박의 항로, 어장, 양식장 등을 피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선박을 계류할 수 있는 항만 내 구역에 계류하거나, 발전용 선박(100)을 접안 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부두에 접안 및 계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발전용 선박(100)을 기존에 선박의 계류 또는 접안이 허용되는 구역에 위치시킬 경우, 주변 지역 주민들에 의한 민원 또한 발생소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박은 육상과 달리 면적에 대한 제한이 비교적 없으므로, 발전용량에 따라 발전용 선박(100)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엔진, 연료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동력원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육상용 발전설비와 달리, 비교적 소용량의 발전설비 다수를 선박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발전용 선박(100)의 건조를 완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선박에 연료용 천연가스 및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석유류의 연료유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설비를 선박의 일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어, 연료가스, 연료유 또는 석탄 보관을 위한 대규모 시설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육상용 발전설비에 비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연료 저장부(110)에 임시 저장되는 연료는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이기 때문에, 천연가스를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냉각장치나 온도유지 장치, 압력제어장치 등의 복잡하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시설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발전부(120)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양 만큼 즉시 육상의 연료 공급유닛(10)을 통해 공급 받기 때문에, 연료 저장부(110)의 무게 변동에 따라 발전용 선박(100)의 홀수선을 유지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보다 저렴하게 발전용 선박을 생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실시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연료 공급유닛 11;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
12; BOG 회수장치 13;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
14; BOG 회수유로 15;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
20; 송전유닛 100; 발전용 선박
110; 연료 저장부 120; 발전부
121; 천연가스 발전부 122; 연료전지 발전장치
130; 변전유닛 190; 계류장치

Claims (10)

  1.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로부터 가스 상태의 발전용 연료를 공급 받아, 상기 발전용 연료를 가스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 저장부;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 개의 발전 유닛이 설치되는 발전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와 일단이 연결된 연료 공급 파이프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 공급유닛;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에 설치된 송전유닛 측으로 공급하는 변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연료 저장소가 건설된 해안가에 마련된 부두에 계류될 때,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용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되는 연료는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고,
    상기 연료 저장소는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인 발전용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닛은,
    육상에 설치되는 대규모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 및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에서 운반되는 천연가스의 BOG(Boil-off Gas)를 회수하는 BOG 회수장치; 및
    상기 액화 천연가스 저장소 및 BOG 회수장치와 연결되는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발전용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복수 개의 5 내지 500MW급 발전기들이 직렬 및 병렬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발전용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연료전지, 풍력, 태양력 및 조력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보조 발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발전부는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 개의 발전 유닛들의 구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발전 유닛들의 전력 생산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추가 작동되어 부족한 전력 생산량을 보충하는 발전용 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발전용 선박을 항만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선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용 액화 천연가스 공급유로는,
    상기 BOG 회수장치에서 우선적으로 회수된 천연가스를 우선적으로 상기 연료 저장부에 이송하는 발전용 선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발전기인 발전용 선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천연가스 및 디젤 중 어느 하나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상기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열을 보일러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천연가스 복합 화력 발전기인 발전용 선박.
  10.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로부터 발전용 연료로 액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공급 받아, 상기 발전용 연료를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연료 저장부;
    상기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연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 받아, 이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 개의 발전 유닛이 설치되는 발전부;
    육상에 설치된 연료 저장소와 일단이 연결된 연료 공급 파이프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료 공급유닛;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에 설치된 송전유닛 측으로 공급하는 변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연료 저장소가 건설된 해안가에 마련된 부두에 계류될 때,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용 선박.

KR1020130072062A 2013-06-24 2013-06-24 발전용 선박 KR10138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62A KR101388782B1 (ko) 2013-06-24 2013-06-24 발전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62A KR101388782B1 (ko) 2013-06-24 2013-06-24 발전용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782B1 true KR101388782B1 (ko) 2014-04-23

Family

ID=5065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062A KR101388782B1 (ko) 2013-06-24 2013-06-24 발전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555A (ko) * 2005-05-02 2006-11-07 박재욱 해상 화력 발전소
KR100766185B1 (ko) * 2005-05-18 2007-10-10 박재욱 해상 복합화력 발전소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00115464A (ko) * 2009-04-20 2010-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 장착식 수소 발전용 플랜트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555A (ko) * 2005-05-02 2006-11-07 박재욱 해상 화력 발전소
KR100766185B1 (ko) * 2005-05-18 2007-10-10 박재욱 해상 복합화력 발전소
KR20100115464A (ko) * 2009-04-20 2010-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 장착식 수소 발전용 플랜트 및 그 설치방법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1222B2 (en) Thermal energy transportation system
WO2019204857A1 (en) Offshore energy generation system
EP4097337A1 (en) An offshore jack-up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CN104021828A (zh) 固定平台式浮动核电站及换料方法
CN203826014U (zh) 半潜式平台浮动核电站
CN104036838A (zh) 移动平台式浮动核电站及换料方法
JP2012094363A (ja) 海上ソーラー発電装置
KR20150026675A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 및 그 가스 발전플랜트의 계류방법
CN203826016U (zh) 固定平台式浮动核电站
KR101260992B1 (ko) 발전플랜트가 탑재된 부유식 구조물
KR20160059065A (ko) 스팀터빈의 복수기 폐열을 재활용하는 부유식 발전선
KR101388782B1 (ko) 발전용 선박
CN104359003B (zh) 液化天然气自发电开式气化系统
KR101279646B1 (ko) 부유식 해상발전소
CN203826015U (zh) 移动平台式浮动核电站
CN202690145U (zh) 一种模块化液化天然气自发电闭式气化装置
KR20160031662A (ko) Bog를 연료로 사용하는 부유식 발전선
KR102201251B1 (ko)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 및 그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의 배기가스 덕트 배치구조
KR20150111567A (ko) 전력공급시스템
KR20210046107A (ko) 부유식 lng 발전 및 수소 생성 시스템을 갖춘 수소 연료전지 복합 발전 플랜트 및 상기 복합 발전 플랜트의 운용 방법
Wyllie Developments in the" LNG to Power" market and the growing importance of floating facilities
El-Nemr et al. Technical and Economical Investig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Supplying Offshore Oil production Facilities at Gulf of Suez Area
KR2015008664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Linden Alternative pathways to a carbon-emission-free energy system
KR20150099931A (ko) 연료유 공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