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290B1 -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290B1
KR101388290B1 KR1020140013057A KR20140013057A KR101388290B1 KR 101388290 B1 KR101388290 B1 KR 101388290B1 KR 1020140013057 A KR1020140013057 A KR 1020140013057A KR 20140013057 A KR20140013057 A KR 20140013057A KR 101388290 B1 KR101388290 B1 KR 10138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martphone
cover
attachment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코
Priority to KR102014001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2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mart phone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protection case comprises: a rear surface cover part divided into a rear surface attachment par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rear surface non-attachment part no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by a hinge line, wherein the rear surface non-attachment part is reinforced by a plate-shaped reinforcing core; a front surface cover par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reinforced by a plate-shaped reinforcing core; and a flexible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rear surface non-attachment part and the front surface cover part to be able to rotate. The cover becomes a stand for obliquely erecting the smart phon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when the rear surface non-attachment part is rotated by the hinge line to form a predetermined first angle with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art, and is rotated by the connection part to form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with the front surface cover part. The front surface cover part includes a first folding rib at one edge facing the connection part. The folding rib contacts with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front surface cover part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and supports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stand state.

Description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Smartphone protective case with stand functio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본 발명은 스탠드 기능을 갖는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판형 심재를 설치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고, 커버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기능과 이 커버 닫힘 상태에서 커버의 원치 않는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절곡 리브를 포함하되, 이 절곡 리브가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스탠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징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내구성 그리고 동작의 신뢰성이 크게 형상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ry smart 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stand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t least partly to install a plate-shaped core material in the cover to have rigidity, and to secure the cover closed state and in the cover closed state It includes a bending rib that acts to restrain the unwanted flow of the cover, but in a stand state in which the bending rib stands the smartphone inclinedly, the smartphone is able to support the housing in which the smartphone is sto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ly shaped diary smart phone protective case.

스마트폰은 휴대 전자 단말기의 일종으로 기존 휴대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모두 포함한다. 즉, 스마트폰은 기존 휴대폰의 기능과,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이 통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 의 휴대폰과는 달리 다양한 그리고 수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smartphone is a typ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both the advantages of an existing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hat is, the smartphone integrates functions of existing mobile phones, data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fax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nternet access. In addition, unlike existing mobile phones that have been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used only for a given function, smartphones are able to install, add or delete various and numerous applications as desired.

이러한 스마트폰은 터치 패널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복잡하고 충격에 취약한 수많은 전자소자들이 내장되어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들고 다니므로 예기치 못한 떨어뜨림과 같은 사고에 의해 손상 될 우려가 높다.These smart phon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and there are many complicated and vulnerable electronic devices inside. Mobile phones, such as smart phones, are carried by the user, which is likely to be damaged by accidents such as unexpected drops.

위와 같은 이유로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이용된다. 다양한 타입의 보호 케이스가 알려져 있지만, 근래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터치 패널을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다이어리형 보호 케이스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For these reasons, a protective case is used to protect the smartphone from external impacts. Various types of protective cases are known, but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 diary type protective case including a cover rotatable to cover or open the touch panel of a smart phone has been increasing.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한국등록특허 제10-124602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갖는 하드 케이스(즉, 하우징)와, 하드 케이스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스마트폰의 전면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커버(또는,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다이어리형 보호 케이스로는, 스마트폰의 전면 터치 패널이 커버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전화수신 및 기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커버에 뷰창(view window)을 형성한 것이 있다. A diary type smartphone protection cas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46026. According to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protective case includes a hard case (i.e., a housing) having a space in which the smartphone is seated, and a cover (or cover) that rotates at one side of the hard case to cover or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In addition, a conventional diary type protective case has a view window formed on a cover so that the front touch panel of the smart phone is hidden by the cover and the phone can receive and check the state of the device.

또한, 독일특허공개 DE202012102205는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워 사용자가 스마트폰 정면의 패널을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배면 또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지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제1 커버부와, 연결부에 의해 제1 커버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정면 터치패널을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는 일측 모서리에 가까우 제1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측 모서리에 가까운 제2 부분은 스마트폰 또는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힌지선에 의해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그 힌지선과 연결부에 의해,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삼각대 또는 스탠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탠드 상태를 신뢰서 있게 유지하는 구성을 결여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German patent publication DE202012102205 discloses a smartphone case in which the smartphone is inclined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view the panel on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ortion and the first cover portion that is part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back of the housing housing the smartphon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t includes a second cover portion that can selectively cover the touch panel. The first cover part is close to one edge, and the first par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housing by the adhesive, and the second part close to the other edge is separated from the back of the smartphone or the hous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folded by the hinge line, and by the hinge line and the connecting part, the smartphone case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pod or stand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inclined. However,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lacks a configuration for reliably maintaining the stand state.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이 수용된 하우징을 지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닫힘 상태에서 고정하는 수단과 별도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이 수용된 하우징을 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경제성, 내구성, 커버 기능의 신뢰성, 더 나아가, 사용의 편이성이 모두 떨어진다. On the contrary, in the related ar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diary type smartphone protective case provided with a means for supporting a smartphone or a housing in which a smartphone is accommodated while the smartphone is inclined has been made. This research has been made in such a manner as to further include a means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or the housing housing the smartphone separately from the means for fixing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the closed state. This approach is inferior in economy, durability, reliability of the cover function, and furthermore, ease of use.

한국등록특허 제10-1246026호Korean Patent No. 10-1246026 독일특허공개 DE202012102205German Patent Publication DE20201210220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커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판형 심재를 설치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고, 커버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기능과 이 커버 닫힘 상태에서 커버의 원치 않는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절곡 리브를 포함하되, 이 절곡 리브가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스탠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징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내구성 그리고 동작의 신뢰성이 크게 형상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plate-shaped core material at least partially in the cover to have rigidity, and to secure the cover closed state and to restrain unwanted flow of the cover in the cover closed state. Including a stand-by rib, the bent rib inclined to support the housing in which the smartphone is housed in the stand state of the smartphone to provide a diary type smartphone protective case that is highly economical, durable and reliable in operation. It 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힌지선을 경계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된 배면 부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는 배면 비부착부로 구분되되, 배면 비부착부는 판형 보강 심재에 의해 강성을 갖는, 배면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정면을 열거나 닫도록 제공되며 판형 보강 심재에 의해 강성을 갖는 정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비부착부와 상기 정면 커버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연성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 비부착부가 상기 힌지선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면 부착부와 미리 정해진 제1 각도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정면 커버부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스탠드 상태가 되며, 상기 정면 커버부는 제1 절곡 리브를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일측 모서리에 구비하며, 상기 절곡 리브는, 상기 정면 커버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정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접하고, 상기 스탠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을 지지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housing in which the smartphone is accommodated, and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in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the cover, the hinge line bordering the A rear cover part which is divided into a rear attachment part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nd a rear non-attachment part not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rear non-attachment part has rigidity by a plate-shaped reinforcing core material; A front cover part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front of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housing and having rigidity by a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And a flexible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rear non-attachment portion and the front cover portion, wherein the non-back non-attaching portion is rotated by the hinge line to form a first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ar attachment portion and is rota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cov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with the front cover part, the cover is in a stand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stored in the housing is inclined, and the front cover part has a first bent rib at one side edge facing the connection part. The bending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part closes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nd supports the second side of the housing in the stand sta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면 비부착부는 상기 연결부 부근에 형성된 제2 절곡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절곡 리브는, 상기 배면 비부착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접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과 접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ck non-attachment portion has a second bent rib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bent rib, the second non-attachment portion of the housing in the state that the non-back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2 is in contact with the si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절곡 리브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구멍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세워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bent rib is erected with one side of the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s an axi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면 커버부의 단면 구조는 상기 판형 보강 심재 및 상기 판형 보강 심재 상에 적층된 쿠션층을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 사이에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로만으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배면 비부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 부착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상기 피혁 외피 사이에 쿠션층만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비부착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 사이에 판형 보강 심재만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ront cover portion includes the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and the cushion layer laminated on the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k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lining fabric and leather skin It is made of a roman has flexibility, the back non-attachment is formed in a region including one side edge of the back cover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ack attachment portion includes only a cushion layer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kin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non-back side portion includes only a plate-shaped reinforcing core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kin.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판형 심재를 설치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고,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접하여 커버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기능과 이 커버 닫힘 상태에서 커버의 원치 않는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절곡 리브를 포함하되, 이 절곡 리브가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스탠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징의 제2 측면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내구성 그리고 동작의 신뢰성이 크게 형상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 심재를 갖고 하우징 배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설치된 배면 비부착부가 다른 절곡 리브를 구비하며, 이 배면 비부착부에 구비된 절곡 리브는 스탠드 상태 이외의 상태, 즉, 배면 비부착가 하우징 배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모든 상태에서 하우징의 제2 측면과 접하여 커버의 원치 않는 변형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part of the plate-shaped core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cover to have rigidity, and the function of fixing the cover closed st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and serving to restrain unwanted flow of the cover in the cover closed state. Diary-type smartphones including a bending rib, wherein the bending rib allows the smartphone to support the second sid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smartphone is inclined in a stand state, so that economic efficiency,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operation are greatly increased. Protective cases can be implement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non-attachment portion having a plate-shaped core material and provided so as not to be attached to the housing back side has different bending ribs, and the bent ribs provided in the back non-attachment portion are in a state other than the stand state, that is, the rear ratio.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of the housing is minimized in all states where the attachment is in parallel contact with the housing back to minimize unwanted deformation or twisting of the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평면 및 저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스탠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스탠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커버의 정면 커버부를 뷰창을 포함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 도시된 커버의 배면 비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커버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front of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 shown in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S. 1 and 2.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illustrated in FIGS. 1 to 3.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plane and a bottom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illustrated in FIGS. 1 to 4B.
6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from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 stan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 stan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over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S. 1 to 9 cut to include a view window.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ck non-attachment portion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S. 1 to 10.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art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S. 1 to 1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ar attachment part of the cover illustrated in FIGS. 1 to 10.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 및 실시예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평면 및 저면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스탠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스탠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커버의 정면 커버부를 뷰창을 포함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 비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커버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Figure 1 And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 2, FIGS.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FIGS. 5A and 5A. 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ures 1 to 4b,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from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in a stan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view showing a stand in a stand stat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cover of the cover shown in Figures 1 to 9 to include a view window, Figure 11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on-back attached portion of the cover shown in Figs. 1 to 10,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ver shown in Figs. 1 to 10, Fig. 13 is shown in Fig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back attachment part of the covered cover.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는 커버(10)와 하우징(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o 9,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 and the housing 20.

상기 하우징(20)은,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대략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좋다. 스마트폰이 상기 하우징(20) 내에 수납될 때, 터치패널이 있는 스마트폰의 정면은 리세스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배면은 하우징(20)의 리세스 바닥과 접해 있게 된다. 스마트폰의 배면 측에 있는 카메라 및/또는 후레쉬 라이트를 노출시키도록 하우징(20)의 배면 측에는 홀(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스마트폰의 상단, 하단 및/또는 측면들에 위치하는 여러 기구들, 예컨대, 안테나, 이어폰 잭, 충전 포트, 볼륨 조절부 및/또는 전원버튼 등을 노출시키는 형상을 자신의 상단, 하단 및/또는 양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20 includes a substantially concave recess in which a smartphone is housed, and is made of polycarbonate (PC) to have good durability. When the smartphone is housed in the housing 20, the front face of the smartphone with the touch panel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recess and the back face of the smartphone is in contact with the recess bottom of the housing 20. [ A hole (s)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housing 20 to expose the camera and / or the flashlight on 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The housing 20 may also be configured to expose various devices located at the top, bottom and / or sides of the smartphone, such as an antenna, earphone jack, charging port, volume control, and / On the upper, lower, and / or both sides of the frame.

상기 커버(10)는 유연성 연결부(13)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배면 커버부(12)와 정면 커버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배면 커버부(12)와 정면 커버부(14)는 상기 연결부(13)가 있는 영역을 제외하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배면 커버부(12)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징(20)의 배면 측에 항상 위치하며, 상기 정면 커버부(14)는,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제1 상태, 즉, 커버 닫음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정면을 덮어 가릴 수 있도록 위치한다.The cover 10 includes a rear cover portion 12 and a front cover portion 14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by a flexible connection portion 13. The rear cover part 12 and the front cover part 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xcept for a region where the connection part 13 is present. The rear cover part 12 is alway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20 in which the smartphone is accommodated, and the front cover part 14 is in the first state shown in FIGS. 1 to 5B, that is, the cover is closed. In the state, it is positioned to cover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0.

상기 연결부(13)는 유연성을 가져 상기 배면 커버부(12)에 대한 상기 정면 커버부(14)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정면 커버부(14)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정면 커버부(14)에 의해 가려졌던 스마트폰의 정면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정면을 노출시킬 수 있는 커버 열림 상태는 상기 정면 커버부(14)의 다양한 회동 각도 및 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면 커버부(14)가 상기 배면 커버부(12)에 대하여 180도를 이루도록 회동된 상태, 즉, 상기 정면 커버부(14)와 상기 배면 커버부(12)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제2 상태, 즉, 커버 완전 열림 상태(도 6 및 도 7에 도시함)로 정의한다.The connection portion 13 has flexibility so as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with respect to the rear cover portion 12. The rota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The front of the smartphone that has been screened by can be exposed. The cover open state, which can expose the front face of the smartphone, can be defined by various rotation angles and positions of the front cover part 14.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ront cover portion 14 is rotated to form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ar cover portion 12, that is, the front cover portion 14 and the rear cover portion 12 are the same. A state located on the plane is defined as a second state, that is, a cover fully open state (shown in FIGS. 6 and 7).

상기 배면 커버부(12)는 상기 하우징(20)의 배면에 부착된 배면 부착부(122)와, 상기 하우징(20)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배면 비부착부(1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는 배면 커버부(12)의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는 중간 영역에 형성된 채 상기 연결부(13)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부착부(122)는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의 일측단을 제외한 타측단과 상단 및 하단을 ㄷ 형태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면 커버부(12)는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연결부(13)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는 배면 커버부(12) 중에서도 배면 비부착부(122)와 정면 커버부(14) 사이를 연결한다. The rear cover part 12 includes a back surface attachment part 122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a back surface unattached part 124 that is not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20. At this time, the backside unattached portion 12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 in an intermediate region including one side edge of the backside cover portion 12. [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2 is formed so as to enclose the other end,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4 except for one end in a form. The rear cover part 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 at one side edge of the backside unattached part 124. Therefore, the connection portion 13 connects the backside unattached portion 122 and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14 among the backside cover portions 12.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면 커버부(14)는 전체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더 바람직하게는, STS 304 박판을 보강 심재로 포함하여 강성을 갖는 반면,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배면 커버부(12)에 대하여 상기 정면 커버부(14)의 회동을 허용하는 유연성을 갖도록 보강 심재 없이 피혁 외피와 안감 원단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면 커버부(14)는 상기 연결부(13)의 변형을 통해 대략 360도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20)에 수납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정면을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커버부(12)는 상기 배면 부착부(122)와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 사이의 경계에 상기 연결부(13)와 평행한 힌지선(123)을 포함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front cover part 14 is entirely made of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more preferably STS 304 thin plate as a reinforcing core material, while the connecting part 13 has a stiffness, And is made of only a leather outer shell and a lining fabric without a reinforcing core so as to have flexibility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with respect to the cover portion 12. [ The front cover 14 can smoothly rotate within a range of about 360 degrees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3 to selectively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housing 20. [ The rear cover portion 12 includes a hinge line 123 parallel to the connection portion 13 at a boundary between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2 and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4.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가 힌지선(123)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면 부착부(122)와 미리 정해진 제1 각도(a°)를 이루는 한편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가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정면 커버부(14)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b°)를 이룰 때, 상기 커버(10)는 하우징에 수납된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삼각대를 형성하며, 이러한 상태를 스마트폰 스탠드 상태, 즉, 제3 상태라 정의한다. 스탠드 상태를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하우징에 수납되면 스마트폰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와 상기 배면 부착부(122)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a°)에 이를 때가지 증가한다.The back non-attaching portion 124 is rotated by the hinge line 123 to form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 °) with the back surface attaching portion 122 while the back non-attaching portion 124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 the cover 10 forms a tripod that tilts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housing when the front cover 14 is at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b ° with respect to the front cover 14, It is defined as a smartphone stand state, that is, a third stat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stand state, when the smartphone is housed in the housing, due to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the angle between the back-side non-attachment portion 124 and the back- ).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는 정면 커버부(14)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더 바람직하게는, STS 304 박판을 보강 심재로 포함하여 강성을 갖는다. 상기 삼각대의 세변 중 두 개의 변을 이루는 배면 비부착부(124)와 정면 커버부(14)는 보강 심재로 적용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에 의해 강성을 가지며, 나머지 한 변을 구성하는 배면 부착부(122)는 보강 심재 없이 안감 원단, 피혁 외피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 쿠션층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강성을 갖는 하우징(20)에 부착되어 있어 강성을 부여 받는다.The backside unattached portion 124 has a stiffness includ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more preferably a STS 304 thin plate as a reinforcing core, like the front cover portion 14. The rear unbonded portion 124 and the frontal cover portion 14 which form two sides of the three sides of the tripod have rigidity by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applied as a reinforcing core member, (122) is made of a lining fabric, a leather outer shell, and an EVA (Ethylene Vinyl Acetate) cushion layer without a reinforcing core, but is attached to the rigid housing (20).

한편, 상기 정면 커버부(14)는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연결부(13)와 연결되는 한편 그 일측 모서리와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에는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절곡 리브(142)를 구비한다. 제1 절곡 리브(142)는 정면 커버부(14)의 타측 모서리에서 대략 사각형으로 연장된 부분을 대략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절곡 리브(142)가 정면 커버부(14)에 포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면 커버부(14)가 상기 스마트폰의 정면을 가리는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절곡 리브(142)가 상기 하우징(20)의 제1 측면(21)과 맞물리듯이 접하여 상기 커버(10)의 형태를 오랜 시간 비틀림 변형 없이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가 스마트폰을 삼각대 형태로 세우는 스탠드 상태, 즉,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곡 리브(142)는 상기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하우징(20)의 제1 측면(21)과 상기 하우징(20)의 제2 측면(22)은 서로 대향한다.The front cover part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 at one corner, and has a first bending rib 142 bent at an opposite corner thereof to be bent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first bending ribs 142 are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dge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bending rib 142 includes a part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included in the front cover part 14. [ The first bending rib 14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21 of the housing 20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14 covers the front of the smartphone, ) Without any distor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first bending rib 142 i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22 of the housing 20 in which the smartphone is housed in a stand state in which the cover 10 stands on a tripod shape of the smartphone,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tilted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side surface 21 of the housing 2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 of the housing 20 are oppos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배면 커버부(12)의 배면 비부착부(124)는 상기 연결부(3)에 형성된 구멍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세워진 제2 절곡 리브(1242)를 일측 모서리에 구비하며, 상기 제2 절곡 리브(1242)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틸 박판에 의해 강성을 갖는 배면 비부착부(124)로부터 돌출 연장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된 부분으로 배면 비부착부(124)와 마찬가지로 강성을 갖는다. 상기 제2 절곡 리브(1242)는, 스마트폰 정면의 노출 또는 가림에 상관없이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2)가 하우징(20)의 배면과 접해 있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측면과 맞물리듯이 접하여 상기 하우징(12)을 정위치에서 유지시켜준다.In addition, the rear non-attachment portion 124 of the rear cover portion 12 is provided with a second bending rib 1242 on one side of the corner, which is erected with one side of the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 as an axis. The two bent ribs 1242 are formed by bending the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rear non-attachment portion 124 having rigidity by the austenitic steel thin plate and have rigidity similarly to the rear non-attachment portion 124. The second bending ribs 124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2 in a general state in which the rear unbonded portion 1242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20 regardless of exposure or occlus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housing 12 is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상기 정면 커버부(14)는 뷰창(143)이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 영역에 걸쳐 대략 0.3mm 두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을 적층 단면 내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면 비부착부(124)는 전 영역에 걸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을 적층 단면 내에 포함한다. 반면, 상기 연결부(13)는 배면 커버부(12)에 대한 정면 커버부(14)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없이 유연성 재료로만 이루어진다. 배면 부착부(122)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하우징(2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커버(10)에 적용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은 거의 무자성이므로 전자 또는 전자기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은 탄성 복원 특성이 우수하여 커버(10)를 영구 변형 없이 원래의 형상으로 유지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The front cover portion 14 include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0.3 mm in almost all the areas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view window 143 is provided. Further, the backside unattached portion 124 include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in the lamination cross section over the entire area.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ithout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so as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with respect to the rear cover portion 12. [ The back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2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housing 20, for example, by an adhesive. Since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applied to the cover 10 is almost non-magnetic,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is excellent in elastic restoring property and contributes greatly to keeping the cover 10 in its original shape without permanent deformation.

상기 뷰창(143)은 투명 플라스틱, 더 구체적으로는, 투명 카보네이트 수지 소재로 형성된 투명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뷰창(143)을 통해 정면 커버부(14)가 스마트폰의 정면 터치패널을 가린 상태에서, 발신자 확인, 전화 수신 및 거절 그리고 기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view window 143 is made of transparent plastic, more specifically, a transparent member formed of a transparent carbonic resin material. The user can confirm the caller identification, the call reception and the rejection, and the device status while the front cover part 14 covers the front touch panel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view window 143. [

도 10을 참조하면, 정면 커버부(14)의 적층 단면은 안감 원단(H)을 최하층으로 포함하고 최상층으로 예컨대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을 포함하는 합성 피혁 외피(L)를 포함한다. 상기 안감 원단(H)과 상기 피혁 외피(L) 사이에는 상기 안감 원단(H) 상에 적층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I)과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I) 상에 적층된 EVA 쿠션층(J)이 개재된다. 상기 EVA 층(J) 상에는 피혁 외피(L)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EVA 쿠션층(J)은 정면 커버부(14)에 우수한 쿠션감과 우수한 그립성을 제공하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I), 더 구체적으로는 STS 304 박판(I)은 정면 커버부(14)에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STS 304 박판(I)은 약 0.3mm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비틀림에 대한 탄성 복원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열 팽창 또는 열 수축이 거의 없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STS 304 박판(I)의 특성들은 스마트폰 케이스(1)가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게다가 STS 304 박판(I)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또는 전자기의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Referring to FIG. 10, the laminated cross sec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includes a lining fabric H as a lower layer and a synthetic leather outer shell L including, for example, polyurethane (PU) as the uppermost layer. And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I) laminated on the lining fabric (H) and an EVA (I) laminated o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I) are arranged between the lining fabric (H) The cushion layer J is interposed. On the EVA layer (J), a leather outer cover (L) is laminated. The EVA cushion layer J provides excellent cushioning and excellent gripping property to the front cover part 14 and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I, more specifically the STS 304 thin plate I, 14). In addition, the STS 304 thin plate (I)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0.3 mm, and has elastic recovery properties against twisting, and has almost no thermal expansion or heat shrinkag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S 304 thin sheet I contribute greatly to keep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smartphone case 1 intact over time. In addition, the STS 304 thin sheet I minimizes the influence of electrons or electromagnetic waves,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정면 커버부(14)에는 뷰창(143)의 형성을 위해 안감 원단(H), STS 304 박판(I), EVA 쿠션층(J) 및 합성 피혁 외피(L)를 차례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안감 원단(H)과 STS 304 박판(I)의 단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1 개구부(O1)와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큰 크기로 상기 EVA 쿠션층(J)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O1)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제2 개구부(O2)와. 상기 합성 피혁 외피(L) 단면에 내측을 향하는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3 개구부(O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cover part 1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ining fabric H, the STS 304 thin plate I, the EVA cushion layer J and the synthetic leather sheath L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o form the view window 143 .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EVA cushion layer J with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O1 located over the end face of the lining fabric H and the STS 304 thin plate I, A second opening O2 forming a step between the openings O1 and O2; And a third opening (O3) formed so as to includ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wardly in a cross section of the synthetic leather shell (L).

카보네이트 수지 재료로 형성된 투명 부재(K)가 상기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뷰창(143)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부재(K)는 상기 제1 개구부(O1)에 끼워지는 제1 부분(k1)과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크기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개구부(O2)에 끼워지는 제2 부분(k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의 외곽 돌출부는 상기 EVA 쿠션층(J)의 단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제3 개구부(O3) 아래에서 상기 피혁 외피(L)와 상기 STS 304 박판(I)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투명 부재(K)의 모서리가 피혁 외피(L)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투명부재(K)와 개구부 사이에 틈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상기 피혁 외피(L)는 상기 투명부재(K)를 향해 경사져서 급격한 단차를 줄이는 경사면을 포함한다.A transparent member (K) formed of a carbonic resin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form the view window (143). The transparent member K includes a first portion k1 sandwiched by the first opening O1 and a second portion k2 protruding outwardly in a size larger than the first portion O1 and sandwiched by the second opening O2. (k2). The outer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embedded between the leather outer shell L and the STS 304 thin plate I below the third opening O3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EVA cushion layer J. [ The edges of the transparent member K are not covered with the outer skin L of the leath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re is no fear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member K and the opening. The leather covering (L)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transparent member (K) to reduce a sharp step.

도 11을 참조하면, 배면 비부착부(124)의 적층 단면은 안감 원단(H)을 최하층으로 포함하고 최상층으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을 포함하는 피혁 외피(L)를 포함한다. 상기 안감 원단(H)과 상기 피혁 외피(L) 사이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I)이 개재된다. 포함한다. 정면 커버부(14)와는 달리 EVA 쿠션층은 생략된다. 배면 비부착부(14)에서의 EVA 쿠션층 생략은 연결부(13)와의 매끄러운 연결을 돕고, 배면 비부착부(14)의 원활한 회동을 도우며, 불필요한 재료 증가로 인한 비용 상승을 줄여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laminated cross section of the back non-attachment part 124 includes a leather outer shell L including a lining fabric H as a lower layer and a polyurethane as a top layer.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in plate (I)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ing fabric (H) and the leather outer cover (L). . Unlike the front cover portion 14, the EVA cushion layer is omitted. The omission of the EVA cushion layer in the rear unbonded portion 14 helps smooth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 helps smooth rotation of the rear unbonded portion 14, and reduces the cost increase due to unnecessary material increas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3)의 적층 단면은 안감 원단(H)을 최하층으로 포함하고 최상층으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을 포함하는 피혁 외피(L)을 포함한다. 피혁 외피(L)가 안감 원단(H) 상에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피혁 외피(L)와 안감 원단(H) 사이에 유연성을 갖는 층을 추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laminated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3 includes a leather jacket L including a lining fabric H as a lower layer and a polyurethane as a top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ther covering L is directly laminated on the lining cloth H but it is also conceivable to add a layer having flexibility between the leather covering L and the lining cloth H,

도 13을 참조하면, 배면 부착부(122)의 적층 단면은 안감 원단(H)을 최하층으로 포함하고 최상층으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을 포함하는 합성 피혁 외피(L)를 포함한다. 상기 안감 원단(H)과 상기 피혁 외피(L) 사이에는 EVA 쿠션층(J)이 개재된다. 상기 EVA 쿠션층(J)은 상기 안감 원단(H) 상에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I)은 배면 부착부(122)의 하우징에 대한 용이한 부착을 위해 생략되는 것이 좋다.Referring to FIG. 13, the laminated cross section of the back attachment part 122 includes a lining fabric H as a lower layer and a synthetic leather outer shell L including polyurethane (PU) as the uppermost layer. An EVA cushion layer (J)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ing fabric (H) and the leather outer cover (L). The EVA cushion layer J may be directly laminated on the liner fabric H and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I may be omitted for easy attachment to the housing of the rear surface attachment portion 122 It is good.

배면 커버부(12)와 정면 커버부(14) 모두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놓이는 면에 피혁 외피(L)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수납된 보호 케이스가 미끄러운 면에 놓이더라도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피혁 외피(L) 직하에 제공될 수 있는 EVA 쿠션층(J)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그립감 및 쿠션감을 향상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피혁 외피(L)를 도와 스마트폰 호보 케이스의 밀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Both the back cover portion 12 and the front cover portion 14 are provided with the leather covering L on the side where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 is placed so that the protection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smartphone is placed on a slippery side . At this time, the EVA cushion layer J, which can be provided right under the leather outer cover L, plays a role of improving the grip feeling and cushion feeling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and also helps the leather outer cover L to suppress the jamming of the smartphone hobo case .

자세히 설명되지 않지만, 상기 정면 커버부(14)의 회동에 따른 스마트폰의 열림 또는 닫음을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온/오프되거나 자동으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수납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수납 포켓의 위치는 정면 커버부(14)의 내측면이 고려될 수 있다.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touch panel display of the smartphone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 off or automatically recognized by recogniz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cover part 14. [ Although not shown,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1 may have a credit card or a transportation card storage pocke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pocket may be considered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portion 14.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 커버부(14)의 하부에 홈 버튼 누름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커버 누름부(149)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1)를 닫은 상태, 즉, 정면 커버부(14)로 스마트폰의 정면을 가린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홈 버튼을 눌러 시계 및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home button pressing part 149 under the front cover part 14. The home cover pressing portion 149 is used to check the state of the clock and the device by pressing the home button of the smartphone while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1 is closed, that is, the front cover 14 covers the front side of the smartphone And receive calls.

1: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10: 커버
12: 배면 커버부 14: 정면 커버부
20: 하우징 21: 제1 측면
22: 제2 측면 122: 배면 부착부
124: 배면 비부착부 123: 힌지선
142: 제1 절곡 리브 1242: 제2 절곡 리브
1: smartphone protective case 10: cover
12: back cover part 14: front cover part
20: housing 21: first side
22: second side 122: back attachment portion
124: back non-attached portion 123: hinge line
142: first bending rib 1242: second bending rib

Claims (4)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힌지선을 경계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된 배면 부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는 배면 비부착부로 구분되되, 배면 비부착부는 판형 보강 심재에 의해 강성을 갖는, 배면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정면을 열거나 닫도록 제공되며 판형 보강 심재에 의해 강성을 갖는 정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비부착부와 상기 정면 커버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연성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 비부착부가 상기 힌지선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면 부착부와 미리 정해진 제1 각도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정면 커버부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스탠드 상태가 되며,
상기 정면 커버부는 제1 절곡 리브를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일측 모서리에 구비하며, 상기 절곡 리브는, 상기 정면 커버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정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접하고, 상기 스탠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In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housing in which the smartphone is accommodated, and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he cover is divided into a back attachment part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ousing and a non-back attachment part not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ousing, the back cover being rigid by a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Wealth; A front cover part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front of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housing and having rigidity by a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It includes a flexible connec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back non-attachment and the front cover,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housing when the rear non-attachment portion rotates by the hinge line to form a first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ar attachment portion and rotates by the connecting portion to form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ront cover portion. It becomes the stand state to put the stored smartphone inclinedly,
The front cover part includes a first bent rib at one corner facing the connecting part, and the bent ri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while the front cover part closes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nd is in the stand state. In, Smart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second side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 비부착부는 상기 연결부 부근에 형성된 제2 절곡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절곡 리브는, 상기 배면 비부착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접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과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ck non-attachment portion has a second bent rib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bent rib, the second non-attached portion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non-back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Smart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ac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 리브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구멍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ending ribs are erected with one side of a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s an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 커버부의 단면 구조는 상기 판형 보강 심재 및 상기 판형 보강 심재 상에 적층된 쿠션층을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 사이에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로만으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배면 비부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 부착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상기 피혁 외피 사이에 쿠션층만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비부착부의 단면 구조는 안감 원단과 피혁 외피 사이에 판형 보강 심재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ront cover portion includes the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and a cushion layer laminated on the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hell, and the cross-s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hell. It is made of a flexible and the back non-attached portion is formed in an area including one side edge of the back cover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ack attachment portion includes only a cushion layer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kin ,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non-back portion is a smart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ly a plate-shaped reinforcement core between the lining fabric and the leather skin.
KR1020140013057A 2014-02-05 2014-02-05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KR101388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57A KR10138829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57A KR10138829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290B1 true KR101388290B1 (en) 2014-04-23

Family

ID=5065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57A KR10138829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2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33A (en) * 2014-07-24 2016-02-03 김충부 Mobile phone case having erecting means
KR20190091928A (en) 2018-01-30 2019-08-07 이종석 Stand for potable electric devices
KR20200076898A (en) 2018-12-20 2020-06-30 백승호 Smart phon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58Y1 (en)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KR20130007352U (en) * 2012-06-15 2013-12-26 푸-이 수 A protect cover for skin attach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52U (en) * 2012-06-15 2013-12-26 푸-이 수 A protect cover for skin attachment
KR200466058Y1 (en)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33A (en) * 2014-07-24 2016-02-03 김충부 Mobile phone case having erecting means
KR101602320B1 (en) * 2014-07-24 2016-03-10 김충부 Mobile phone case having erecting means
KR20190091928A (en) 2018-01-30 2019-08-07 이종석 Stand for potable electric devices
KR20200076898A (en) 2018-12-20 2020-06-30 백승호 Smart phon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431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having cover with opaque and transparent regions
US10591956B2 (en) Foldable case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EP3280290B1 (en)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62099B2 (en) Mobile device case
KR200446444Y1 (en)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US10256860B2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US20170250721A1 (en) Exterior cover
US20140069824A1 (en) Protective bumper case
US10848195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KR101388290B1 (e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US96843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member
US20140339130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285669B1 (en) Cov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19199B1 (en) A cellular phone case
KR200473279Y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101591302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101393145B1 (e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KR200472573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KR101417854B1 (en) Case with two bodies for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87954A (en) The cellular phone case
KR20180002873U (en) Mobile phone case
CN212065918U (en) Waterproof bag
KR20130017804A (en) Lcd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0467529Y1 (en) Cellular phone case
KR101559742B1 (e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