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164B1 -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164B1
KR101388164B1 KR1020120114517A KR20120114517A KR101388164B1 KR 101388164 B1 KR101388164 B1 KR 101388164B1 KR 1020120114517 A KR1020120114517 A KR 1020120114517A KR 20120114517 A KR20120114517 A KR 20120114517A KR 101388164 B1 KR101388164 B1 KR 10138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nner
winding rod
placard
po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12011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1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acar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first housing disposed at the lower part and a second housing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housing to be able to rotate on the first housing so as to open and close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and which has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 placard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 placard winding bar which is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to be able to rotate and on which the placard is wound to be unrolled; and a winding bar joint supporter disposed to be able to collapse and rotate relative to the housing, such that the placard winding bar is detachably joined to the supporter. Therefore,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acard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short time and display a placard easily because the placard winding bar on which the placard is wound is conveniently attached to the winding bar joint supporter in a detachable manner.

Description

현수막 게시 장치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Banner Posting Device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을 게시하는 구조를 개선한 현수막 게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po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ner pos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posting a banner.

일반적으로 인도와 같은 길 위에서나 행사장 등에서 광고 메시지의 전달을 목적으로 현수막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many banner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advertising messages on roads such as India or at an event venue.

이러한 현수막은 양단을 철사나 로프 등을 사용하여 도로변이나 교차로 등 공공장소의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에 묶는 방법으로 설치되지만, 최근에는 별도의 현수막 게시 장치에 의해 설치되기도 한다. These banners are installed by using both wires and ropes to tie streets, street lamps, power poles, etc. in public places such as roadsides and intersections, but recently they are installed by separate banner posting devices.

현수막 게시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0101호(2008년09월1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banner post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0101 (registered on September 18,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설치과정이 까다롭고 설치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difficult and may take a long time to install.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ake a lot of production costs because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아울러, 특허문헌 1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설치되는 장소가 무대와 같은 실내장소로만 국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place to be installed can be limited to only indoor places such as a stage.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0101호(2008년09월18일자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60101 (registered September 18,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시간 동안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현수막이 편리하게 게시될 수 있는 현수막 게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ner post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for a short time and the banner can be conveniently posted.

또한,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현수막 게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is to provide a banner posting device that can be made easier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아울러, 실내나 실외 또는 수중 등에서도 설치가 가능해짐으로써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 현수막 게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even indoors, outdoors, or underwater to provide a banner posting device tha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하부에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부에 형성된 현수막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가 구비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현수막이 풀림 가능하도록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 및, 상기 현수막 권취봉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nn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to open or close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 housing including a second housing rotatably provided with a hinge, the second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 banner out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anner winding ro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and wound around the banner; And a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uch that the banner winding ro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현수막은 그 일단이 상기 현수막 권취봉에 연결되고, 상기 현수막의 타단에는 상기 현수막이 부양력에 의해 상기 현수막 권취봉으로부터 풀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양체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필요시 상기 현수막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현수막의 일부 영역이 걸림 가능한 풀림 방지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one end of the banner is connected to the banner winding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banne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banner can be released from the banner winding rod by the flotation force.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loosening part is provided to secure a portion of the banner to prevent loosening.

상기 풀림 방지부는 외부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anti-loosening unit is driven by a driving unit operated by an external input signal.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놓이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거치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타측이 힌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is hinged to the housing so that one side is placed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a state mounted on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is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combine.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현수막 고정 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nner fixing rings provided to be movable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서 양단부 중 일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의 일측이 거치되는 거치 홈이 형성된 거치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cradl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one side of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pivoting on the housing so that the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it further comprises a leg port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housing Do.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우징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에 현수막이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이 편리하게 착탈 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가 짧은 시간 동안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현수막이 편리하게 게시될 수 있다. First, the banner post winding rod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banner posting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for a short time and the banner can be conveniently posted.

둘째, 현수막 게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의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is simplified, the production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may be convenient and the production cost may be reduced.

셋째, 실내나 실외 또는 수중 등에서도 현수막 게시 장치의 설치가 가능해짐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가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ird, the banner posting device can be installed indoors, outdoors, or underwater, so that the banner posting devic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place.

넷째, 하우징 내부에 풀림 가능하도록 현수막을 배치하고 현수막 배출구를 통해 현수막을 인출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풀림 방지부를 구비하고 현수막의 단부에 부양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 편리하게 현수막을 부양체의 부양력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광고 메시지 등을 보다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Fourth, the banner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banner can be released, the banner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banner outlet,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anti-loosening part and a support bod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ner to conveniently support the banner when necessary. By using the flotation force of the upwardly deployed it can be used to more easily and effectively deliver advertising messages.

다섯째, 풀림 방지부가 외부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를 일렬로 복수로 배치한 상태에서 동시에 현수막이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광고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Fifth, the anti-loosening unit is driven by a drive unit operated by an external input signal, so that the banners can be unfolde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anners are placed in a row, thereby delivering an advertisement message or the like. The effect can be increased.

여섯째, 하우징이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됨으로써 현수막 및 현수막 권취봉의 교체 및 재장착 작업이 용이 해질 수 있다. Sixth,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reby facilitating replacement and remounting of the banner and the banner winding rod.

일곱째, 하우징을 지지하는 다리부가 휴대시 간편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우징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에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의 운반시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다. Seventh, the leg supporting the housing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ateral shape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when carrying, and is provided to be hinged pivotally on the housing, so that the carrying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가 휴대 운반될 때에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현수막 게시 장치의 다리부가 펼쳐져 설치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권취봉 결합 지지대에 현수막 권취봉이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권취봉 결합 지지대가 하우징에 대해 회동 전개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의 현수막이 풀림 방지부에 의해 걸려 상측으로 전개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풀림 방지부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현수막이 상측으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의 하우징에서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 및 물림부가 구비된 영역을 도시한 부분 영역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의 다리부가 전개되어 하우징을 지지할 때에 다리부의 전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다리 고정구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영역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에 의해 현수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gs are folded when the placard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g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of FIG. 1 is extended and a housing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bottom surface there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is opened by rotating the second housing of FIG. 2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vertically placed so that the banner winding rod is easily mounted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the banner is caught by the release preventing unit and deploy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reventing unit of FIG. 5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the banner is deployed upward;
FIG. 7 is a partial region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gion having a latching portion and a bleed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second housing from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housing in the housing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8 is a partial reg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eg fastener is fastened so that the deployment state of the leg portion is firmly fixed when the leg portion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to support the housin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nner is unfolded by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현수막(6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현수막(60)이 풀림 가능하도록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70)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 권취봉(7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우징(20)의 내부에서 하우징(20)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banner 60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forms an appearance, and the housing 20. It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interior of the placard winding rod 70 is wound around the banner 60 is unwindable, and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banner winding rod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winding rod engaging support 80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in the interior of the 20.

이에 따라,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제작이 편리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is simplified, the manufacture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may be convenient and the production cost may be reduc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다리부(35)가 펼쳐져 설치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20)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30)에 대해 회전되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g part 35 of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10 is unfolded so that the housing 20 is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and FIG. 3 is a view of the second housing of FIG. 4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20 is opened by rotating the first housing 30.

하우징(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구비된 제1 하우징(30)과, 제1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1 하우징(30)의 상부에서 제1 하우징(30)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현수막 배출구(41)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43)가 구비된 제2 하우징(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ousing 2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30 provided below and a first housing (not shown) to open or close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30 with respect to the outside. The second housing 40 is provided to be rotatably hi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nner outlet 41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ereon. .

이에 따라, 하우징(20)이 제1 하우징(30)과, 제1 하우징(30)에 대해 회전하여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하우징(40)으로 구성됨으로써 현수막(60) 및 현수막 권취봉(70)의 교체 및 재장착 작업이 용이 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using 20 is composed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which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0 to open or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20. ) And the replacement of the banner winding rod 70 may be facilitated.

도 2a는 제2 하우징(40)의 개폐 덮개(43)가 닫혀 현수막 배출구(41)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제2 하우징(40)의 개폐 덮개(43)가 열려 현수막 배출구(41)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2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of the second housing 40 is closed and the banner outlet 41 is closed. FIG. 2B is a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of the second housing 40 being open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41 was opened.

개폐 덮개(43)의 상부에는 덮개 손잡이(45)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개폐 덮개(43)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A cover handle 45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0.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하우징(20)은 수중 배치시 유수에 의한 표면 마찰이 최소화 되도록 외면이 유선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20)은 물에 의해 쉽게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계열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 is preferably made of a streamlined or circular outer surface so as to minimize the surface friction due to running water when placed underwater. Here, the housing 20 may be made of a stainless or plastic material that is not easily corroded by water.

좀더 구체적으로,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폐쇄도록 제1 하우징(30)을 향해 제2 하우징(40)이 회전되어 결합되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20 is preferably provid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ed and coupled toward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20 is clos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하우징(20)에서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30)에 대해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21) 및 물림부(23)가 구비된 영역을 도시한 부분 영역 사시도이다. FIG. 7 illustrates a locking portion 21 and a hook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cond housing 40 from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housing 30 in the housing 20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reg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gion provided with 23).

도 7a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개방되도록 제2 하우징(40)의 일측이 제1 하우징(30)으로부터 회전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폐쇄되도록 제2 하우징(40)의 일측이 제1 하우징(30)을 향해 회전되어 결합되고 걸림부(21)가 회전되어 물림부(23)에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FIG. 7B is the housing 20. 1, a 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ed and coupled toward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inner space thereof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nd the locking portion 21 is rotated to be engaged with the bite 23. to b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중 어느 하나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걸림부(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중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21)가 회전되어 걸림부(21)가 맞물리도록 물림부(23)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7, any one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atching portion 21 provided in a hook shape, and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are rotatable. The other part of the housing 40 is provided with a catching portion 23 so that the catching portion 21 is rotated to engage the catching portion 21.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휴대 운반 시나 내부에 현수막(60)이 장착된 후 게시 준비시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any one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may be removed from the oth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r when the banner 60 is mounted therein.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and relea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걸림부(21)는 제1 하우징(30)에 구비되고, 물림부(23)는 제2 하우징(40)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21 is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locking portion 23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40.

한편, 하우징(20)의 측면에는 하우징 손잡이(25)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현수막 게시 장치(10)를 들고 휴대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and carry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하우징 손잡이(25)는 하우징(20)에서 제1 하우징(30)의 측면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ndle 25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30 in the housing 2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서 양단부 중 일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의 일측이 거치되는 거치 홈(33)이 형성된 거치대(31)가 구비된다. 3 and 4, a cradle 31 having a mounting groove 33 on which one side of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mount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one end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이에 따라,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하우징(20)으로부터 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세워져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현수막(60)이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70)이 끼워진 후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다시 하우징(20)의 내부에서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일 때에 거치대(31)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from the housing 20 so that the banner winding rod 70 in which the banner film 60 is wound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fitted. After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again pl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 can be fixed to one side by the holder 31 is fix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거치대(31)는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의 내측면으로부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31 is provided in a pair up and down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respectively,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It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to protrude so as to exten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from the inner side of the.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폐쇄되게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30)에 대해 회전되어 닫히면 제1 하우징(30) 및 제2 하우징(4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상하 거치대(31)가 서로 합쳐져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인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is closed to the outside,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are closed. The upper and lower cradles 31 formed on each other may be joined together to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l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는 하우징(2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리부(35)가 회동 전개시 하우징(20)이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eg part 35 formed in the housing 20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housing 2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housing 20 is installed during rotation deployment. The hinge rot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을 지지하는 다리부(35)가 휴대시 간편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우징(20)에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운반시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leg part 35 supporting the housing 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housing 20 so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when being carried, and is hinged to the housing 20. By being folded, carrying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may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가 휴대 운반될 때에 다리부(35)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g part 35 is folded when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in a portable man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5)는 하우징(20)의 원통 형상에 대응되게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고, 제1 하우징(30)의 하부에 구비된 다리 힌지부(36)에 의해 하우징(20)에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the leg part 35 is provid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housing 20, an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ortion 36 is provided to be hinged on the housing 20.

한편, 다리부(35)의 하단부에는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다리부(35)가 상호 이어지도록 다리 연결부(37)가 일체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35, the leg connecting portion 37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leg portions 35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구비된 다리부(35)를 일체로 연결하는 다리 연결부(37)에 의해 다리부(35)에 의한 하우징(20)의 지지가 좀더 견고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of the housing 20 by the leg part 35 may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leg connection part 37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leg parts 35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have.

이렇게 구비된 다리부(35) 및 다리 연결부(37)의 구성은 하우징(20)의 측면상으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leg part 35 and the leg connection part 37 provided in this way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to be symmetrical on the side of the housing 20.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다리부(35)가 전개되어 하우징(20)을 지지할 때에 다리부(35)의 전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우징(20)의 측면상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다리부(35) 사이에는 다리 고정구(39)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legs 35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re deployed to support the housing 20, the housing 20 is firmly fixed so that the deployed state of the legs 35 is firmly fix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g fastener 39 is fasten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35 provid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pair.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는 필요 시 현수막(6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하게 회전된 위치에서 현수막(60)의 일부 영역이 걸림 가능해 지도록 후크(hook)의 형상으로 마련된 풀림 방지부(5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housing 20 may have a hook to allow a portion of the banner 60 to be caught in a regularly rotated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banner 60 from loosening if necessary. The anti-loosening part 50 provided in the shape of) is rotatably provided.

이에 따라,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설치 후 현수막(60)이 게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을 때에 현수막(60)이 후술할 부양체(61)의 부양력에 의해 상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풀림 방지부(50)가 현수막(60)을 가로막는 위치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현수막(60)의 게시 여부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양체(61)는 현수막(60)을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하우징(20)이 물 속(수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20)이 적정 깊이 이상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浮力)을 갖는 적정 크기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Accordingly, when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banner 60 from being posted after installation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the banner 60 is unfolded upward by the buoyancy force of the support body 61 to be described later. By placing 50 at a position blocking the banner 6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whether or not the banner 60 is posted.
The support body 61 keeps the banner film 6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20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as well as the housing 20 while the housing 20 is floating in the water. It is, of course, made of an appropriate size having buoyancy so as not to sink more than depth.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풀림 방지부(50)는 제2 하우징(40)의 내측면에서 개폐 덮개(43)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경첩 부위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폭의 현수막(60)에 대응되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서 가급적 양단부가 아닌 중앙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oosening part 5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hinge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can be rotate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20 as close to the center as possible so as to perform its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banner 60 of various widths that can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 .

풀림 방지부(50)는 외부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5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부(51)는 전원부에 연결되고 구동부(51)에 전기적인 입력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anti-loosening part 50 is provided to be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ing part 51 such as a motor operated by an external input signal.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unit 51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so that an electrical input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51.

이에 따라, 풀림 방지부(50)가 외부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5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를 일렬로 복수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사용자 1인이 혼자서도 구동부(51)로 입력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복수의 현수막(60)들이 동시에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광고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anti-loosening unit 50 is driven to rotate by the driving unit 51 operated by an external input signal, so that one user can drive the unit alone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is arranged in a plurality. By inpu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51, the plurality of banners 60 may be simultaneously deployed upwards, thereby increasing the visual effect of transmitting an advertisement message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현수막(60)이 풀림 방지부(50)에 의해 걸려 상측으로 전개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풀림 방지부(50)가 구동부(5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현수막(60)이 상측으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banner 60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is caught by the release preventing unit 50 and developed upward, and FIG. 6 is an release preventing unit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50 wa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drive part 51, and the banner film 60 expanded upward.

현수막(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현수막 권취봉(70)에 연결되고, 현수막(60)의 타단에는 현수막(60)이 부양력에 의해 현수막 권취봉(70)으로부터 풀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양체(61)가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one end of the banner 60 is connected to the banner winding rod 70, and the other end of the banner 60 is a banner winding rod 70 by flotation. The support body 61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released.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에 풀림 가능하도록 현수막(60)을 배치하고 현수막 배출구(41)를 통해 현수막(60)을 인출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20)에 풀림 방지부(50)를 구비하고 현수막(60)의 단부에 부양체(61)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 편리하게 현수막(60)을 부양체(61)의 부양력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광고 메시지 등을 보다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nner 60 is disposed in the housing 20 so as to be freed from the housing 20, and the banner 60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banner outlet 41, and the anti-loosening part 50 is provided in the housing 20. And by providing the support body 61 at the end of the banner 60, the user can conveniently expand the banner 60 using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body 61, if necessary, and use the advertisement message. It can be delivered more easily an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는 실내나 실외 또는 수중 등에서도 그 설치가 가능해짐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가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는 그 특징대로 육상의 실내나 실외 또는 수중에서도 문자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현수막(60)에는 교육 내용, 기타 홍보 문구, 안내 문구 등이 인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doors, outdoors, or underwater,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place. That is,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able to easily transmit a text message indoors, outdoors, or underwater on the ground as its feature, the banner 60, educational content, other promotional phrases, guide phrases, etc. This is prin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는 돌, 웨딩 등의 행사나 수상, 수중 이벤트 또는 기업 컨벤션, 포럼 등의 각종 이벤트나 행사 등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events such as stones, weddings, or various events or events such as awards, underwater events or corporate conventions, forums, and the like.

이러한 현수막(60)은 방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이 방수를 위해 코팅 처리되며, 일 예로 플라스틱 필름, 천류, 종이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현수막(60)의 하단부는 현수막 권취봉(70)에 벨크로, 케이블 타이, 본딩 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The banner 60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or the surface is coated for waterproofing, for example, may be applied to any one material of plastic film, stream, paper. The lower end of the banner 60 may be fixed to the banner winding rod 70 by various methods such as Velcro, cable ties, and bonding.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 결합 지지대(80)는 일측이 하우징(20)의 거치대(31)에 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놓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우징(20)의 거치대(31)로부터 이격되어 거치해제된 상태에서는 하우징(2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우징(20)에 타측이 힌지 결합되도록 타측에 지지대 힌지(81)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laced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in a state that one side is mounted on the cradle 31 of the housing 20, Figure 4 As shown in, when one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31 of the housing 20, the support hinge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housing 20 so as to sta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81).

이에 따라, 하우징(20)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현수막(60)이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70)이 편리하게 착탈 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가 짧은 시간 동안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현수막(60)이 편리하게 게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acard posting device 10 is provided i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so that the banner winding rod 70 in which the banner 60 is wound is conveniently detached. It can be easily installed for a short time and the banner 60 can be conveniently po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는 지지대 힌지(81)에 의해 제1 하우징(30)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hinged to the first housing 30 by the support hinge 81.

도 4는 도 3의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현수막 권취봉(70)이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하우징(20)에 대해 회동 전개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to be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banner winding rod 70 is easily mounted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of FIG. 3. to be.

또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현수막 고정 링(83)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nner fixing ring 83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현수막 고정 링(83)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fixing ring 83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이에 따라, 현수막(60)이 권취되는 현수막 권취봉(70)의 길이가 현수막(60)의 폭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경우, 현수막 권취봉(70)을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끼워 장착시킬 때에 한 쌍의 현수막 고정 링(8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의 길이방향에서 현수막 권취봉(70)이 끼워진 위치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풀림 방지부(50)가 현수막(60)을 가로막는 위치에서는 현수막(60)의 상측 전개를 가로막고 풀림 방지부(50)가 구동부(51)에 의해 회전되어 현수막(60)의 상측 전개를 허용하는 위치에서는 현수막(60)이 현수막 배출구(41)를 통해 제대로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ength of the banner winding rod 70 on which the banner 60 is wound is differently provided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banner 60, the banner winding rod 70 may be fitted to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banner fixing ring 83, the position where the banner winding rod 70 is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not shifted from side to side. At the position where the banner 60 is blocked, the banner 60 is blocked at the upper side of the banner 60, and the release preventing unit 50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51 to allow the banner 60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banner 60. It can be properly deployed upward through the outlet (41).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a method of using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우선, 휴대 운반된 현수막 게시 장치(10)의 하우징(20)을 향해 접혀진 다리부(35)를 회동 전개하여 하우징(20)이 설치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도록 다리부(35)가 하우징(20)을 지지하며 현수막 게시 장치(10)가 설치되도록 한다. First, the leg 35 is rotated to expand the leg 35 folded toward the housing 20 of the mobile banner display apparatus 10, so that the leg 35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banner posting device 10 is to be installed.

다음에, 물림부(23)에 맞물려 고정된 걸림부(21)를 회전시켜 걸림부(21)가 물림부(23)로부터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제2 하우징(40)을 열어 제1 하우징(30)에 대해 제2 하우징(40)을 회전시켜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 Next, the engaging portion 21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3 is rotated to release the engaging portion 21 from the engaging portion 23 and the second housing 40 is opened to ope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3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is opened to the outside.

제1 하우징(30)의 거치대(31)에 거치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의 일측을 거치대(31)로부터 이격시키며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회동 전개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세워진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는 별도의 현수막(60)이 권취된(감겨진) 현수막 권취봉(70)을 끼워 장착한다. 이와 같이 현수막(60)이 감겨져 있는 현수막 권취봉(70)을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게시(또는 광고)하고자 하는 현수막(60)이 하우징(20) 내부에 마련된다.
One side of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mounted on the holder 31 of the first housing 30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31 and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It is fully developed to be built.
The vertically mounted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fitted with a banner (wound) banner winding rod 70 wound on a separate banner 60. In this way, by mounting the banner winding rod 70 on which the banner 60 is wound to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the banner 60 to be posted (or advertise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

이때, 현수막(60)의 폭 크기나 현수막 권취봉(70)의 길이에 맞게 권취봉 결합 지지대(80) 상에서 한 쌍의 현수막 고정 링(83) 사이의 간격과 위치가 조절되도록 현수막 고정 링(83)을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nner fixing ring 83 to adjust the interval and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banner fixing ring 83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according to the width size of the banner 60 or the length of the banner winding rod 70. ) Can be moved.

현수막 권취봉(70)이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장착된 상태에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권취봉 결합 지지대(80)를 힌지 회동시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의 일측이 거치대(31)의 거치 홈(33) 상면에 놓이도록 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banner winding rod 70 is mounted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hinged so that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One side of the coupling support 80 i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3 of the holder (31).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30)을 향해 회전시켜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폐쇄되도록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30)에 닫고, 물림부(23)에 걸림부(21)가 맞물리도록 하여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30)에 결합시킨다. The second housing 40 is closed on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is closed to the outside by rotating the second housing 40 toward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bite 23 The second housing 4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0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21.

이때, 현수막 권취봉(70)에 권취된 현수막(60)의 상단부에 부양체(61)가 연결되도록 제2 하우징(40)의 개폐 덮개(43)를 열어 현수막 배출구(41)를 통해 현수막(60)의 상단부에 부양체(61)를 연결하고, 풀림 방지부(50)에 의해 현수막(60)이 걸리도록 하여 현수막(60)이 전개되지 못하도록 해둔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of the second housing 40 is opened so that the support body 6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nner 60 wound around the banner winding rod 70. The support body 6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nd the banner 60 is caught by the release preventing part 50 so that the banner 60 is not developed.

마지막으로, 풀림 방지부(50)에 의한 현수막(6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현수막(60)이 부양체(61)의 부양력에 의해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사용자가 구동부(51)에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풀림 방지부(50)가 현수막(60)의 상측 전개를 가로막는 위치로부터 현수막(60)의 상측 전개를 허용하는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Finally, the user applies an input signal to the driving unit 51 so that the latching state of the banner 60 by the anti-loosening part 50 is released and the banner 60 is developed upward by the flotation force of the support body 61. Thus, the anti-loosening part 50 is rotated from a position that blocks the upward development of the banner 60 to a position that allows the upward deployment of the banner 60.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20)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 현수막(60)이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70)이 편리하게 착탈 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현수막 게시 장치(10)가 짧은 시간 동안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현수막(60)이 편리하게 게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posting device is provided by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housing 20 so that the banner winding rod 70 on which the banner 60 is wound is conveniently detached. 10 may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short time, and the banner 60 may be conveniently pos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 하우징 30 : 제1 하우징
31 : 거치대 33 : 거치 홈
35 : 다리부 40 : 제2 하우징
41 : 현수막 배출구 43 : 개폐 덮개
50 : 풀림 방지부 51 : 구동부
60 : 현수막 61 : 부양체
70 : 현수막 권취봉 80 : 권취봉 결합 지지대
20: housing 30: first housing
31: holder 33: mounting groove
35: leg 40: second housing
41: banner outlet 43: opening and closing cover
50: loosening prevention part 51: drive part
60: banner 61: flotation
70: banner winding rod 80: winding rod combined support

Claims (7)

하부에 구비된 제1 하우징(30)과, 상기 제1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30)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부에 형성된 현수막 배출구(41)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43)가 구비된 제2 하우징(40)을 포함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현수막(60)이 풀림 가능하도록 권취된 현수막 권취봉(70); 및
상기 현수막 권취봉(7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절첩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 결합 지지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The first housing 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0 is hi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0 to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30 to the outside. A housing 20 including a second housing 40 rotatably provided and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43 for opening and closing a banner outlet 41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anner winding rod 70 rotatably supported in the housing 20 and wound around the banner 60 to be released; And
A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such that the banner winding rod (70) is detachably coupled;
Banner post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60)은 그 일단이 상기 현수막 권취봉(70)에 연결되고, 상기 현수막(60)의 타단에는 상기 현수막(60)이 부양력에 의해 상기 현수막 권취봉(70)으로부터 풀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양체(61)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20)에는 필요시 상기 현수막(6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현수막(60)의 일부 영역이 걸림 가능한 풀림 방지부(5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banner 60 is connected to the banner winding rod 70, and the other end of the banner 60 allows the banner 60 to be released from the banner winding rod 70 by flotation. The support body 61 is connected,
The housing (20) is a banner po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loosening portion (50) that can be caught in the partial area of the banner (60)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banner (60) if necessa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부(50)는 외부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51)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nti-rolling unit (50) is a banner po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by a drive unit (51) operated by an external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80)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2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놓이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거치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하우징(20)에 타측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laced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when one side is mounted on the housing 20 and the housing is releas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20. Bann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housing (20) so as to stand perpendicular to the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현수막 고정 링(8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Banner w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nner fixing ring (83) provided to be movable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서 양단부 중 일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취봉 결합 지지대(80)의 일측이 거치되는 거치 홈(33)이 형성된 거치대(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Placard pos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surface 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3 on which one side of the winding rod coupling support 80 is mounted. Devi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이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힌지 회동 절첩되게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2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리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housing 20 is provided to be hinged on the housing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housing 20 is installed, and further includes a leg part 35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housing 20. Banner po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114517A 2012-10-16 2012-10-16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KR101388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17A KR101388164B1 (en) 2012-10-16 2012-10-16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17A KR101388164B1 (en) 2012-10-16 2012-10-16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164B1 true KR101388164B1 (en) 2014-04-23

Family

ID=5065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17A KR101388164B1 (en) 2012-10-16 2012-10-16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1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6U (en) * 2015-09-25 2017-04-04 이상진 Banner stand using a paper
KR102049318B1 (en) * 2018-11-28 2019-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ghtning Ban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59U (en) * 2008-10-16 2010-04-26 안승훈 rotationrotation type placard hois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59U (en) * 2008-10-16 2010-04-26 안승훈 rotationrotation type placard hoist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6U (en) * 2015-09-25 2017-04-04 이상진 Banner stand using a paper
KR200484848Y1 (en) * 2015-09-25 2017-10-31 이상진 Banner stand using a paper
KR102049318B1 (en) * 2018-11-28 2019-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ghtning Ban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725B2 (en) Inflatable three-dimensional display
DE69901604D1 (en) PORTABLE DISPLAY DEVICE WITH A FOLDING SCREEN
TW200836141A (en) Flexible display
KR10138816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placard
US10184265B2 (en) Automatically deploying shielding apparatus
US20180240380A1 (en) Pole-mounta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JP2002278489A (en) Portable flag supporting device
KR20100107931A (en) All-purpose fence
KR102255800B1 (en) Triangular billboard using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KR101362660B1 (en) Rotating wind banner for landscape architecture
JP5849260B2 (en) Pylon device
KR20110125540A (en) Gyro banner stand
KR200471123Y1 (en) Airtube advertising apparatus
KR101167282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lacard underwater
US7363874B1 (en) Flag display apparatus
KR200419860Y1 (en) Screen hanging device for lubritorium
DK1033150T3 (en) display device
CN207009036U (en) A ki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bus station billboard
KR100991706B1 (en) We are a signboard install
KR20170023253A (en) Hanging device for advertising signboard
KR101263620B1 (en) The flagpole which make flag to spread at all times
KR200330625Y1 (en) A banner mount
KR200220039Y1 (en) In equipment signboard fold a hanging
KR102098949B1 (en) Portable pedestrian crossing pedestrian signal educational device
KR200443425Y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afty f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