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382B1 -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 Google Patents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382B1
KR101387382B1 KR1020130026874A KR20130026874A KR101387382B1 KR 101387382 B1 KR101387382 B1 KR 101387382B1 KR 1020130026874 A KR1020130026874 A KR 1020130026874A KR 20130026874 A KR20130026874 A KR 20130026874A KR 101387382 B1 KR101387382 B1 KR 10138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ole
pattern
unit patter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원
강보경
임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2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3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diffusion film part diffusing incident light; a first film part laminated on the diffusion film part and has first holes, wherein first unit patterns are repeatedly arranged and formed around the first holes and block the incident light from the diffusion film part; and a second film part laminated on the first film part and has second hole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s, wherein second unit patterns are repeatedly arranged and formed around the second holes to be placed inside the first unit patterns and scatter the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film part. Therefore, different patterns of luminescent images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light radiating from a light source, thereby beautifully decorating a space in which a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Description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식 마감재{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본 발명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을 활용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식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and a finish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m utilizing lighting and an illuminated finish including the same.

건물의 바닥과 천정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는 건물의 구조적인 하중을 견디는 내력용 벽체와, 바닥과 천정 사이를 막음으로써,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구획용 벽체 등이 있다. 이러한 벽체에는 마감재가 설치됨으로써, 차음 기능 및 내화 기능이 강화됨과 아울러 실내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장식 기능도 갖게 된다.The wall installed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of the building includes a load-bearing wall that withstands the structural load of the building, and a partition wall for preventing effective space utilization by blocking the floor and the ceiling. Such a wall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material, so that the sound insulation function and fire resistance function are enhanced, and the decorative function to beautifully decorate the interior space is also provided.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12-0128831에서는 투명한 패널 부재 사이에 금속재질의 매쉬망 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심미적 효과를 구현하는 마감재를 제시하고 있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0128831 proposes a finishing material that realizes an aesthetic effect by interposing a metal mesh net member between transparent panel members.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9-0073801에서 기재하고 있는 마감재 패널에서는 광택용 열가소성 합성 수지판과 인쇄필름층을 통해 심미적 효과를 구현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nish panel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0073801 proposes a configuration that implements the aesthetic effect through the glossy thermoplastic resin plate and the printed film layer.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감재 구성들은 다양한 모양, 색감 및 질감 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구조적 제약이 심하여 심미적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finishing material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severe structural constraint in implementing various shapes, colors, textures, etc., which limits the aesthetic effec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모양, 색감 및 질감 등을 구현하여 심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명식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re easily implement a variety of shapes, colors and textures to provide an illumination finish that can enhance the aesthetic eff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부와, 상기 확산필름부에 적층되고,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필름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제1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1 필름부 및, 상기 제1 필름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제2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2 필름부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ffusion film portion for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and laminated on the diffusion film portion, the first hole is formed, formed around the first hole is incident from the diffusion film portion A first film portion is formed by repeating the first unit pattern for blocking the light to be formed, and a second hole stacked on the first film portion and aligned with the first hole is forme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unit pattern A second film formed around the second hole so as to be positioned and scattering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film may be repeatedly provided, and the film may include a second film part formed to be arran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홀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그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패턴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hole is formed of at least one hole group that is alternately formed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unit pattern is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s a result,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pattern group alternately arran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그룹은 오픈 루프(open-loop) 형태로 하나의 라인(line)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attern group may be formed in one line in an open loop form.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그룹은 은경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attern group may be formed of a silver film.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경막은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ilver film may be formed by a printing metho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위패턴 및 상기 제1 단위패턴은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unit pattern and the first unit pattern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위패턴은 제2 필름부의 표면을 거침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unit pattern may be formed b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m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필름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제3 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film may be further laminated to the second film portion, the third hole is aligned with the second hole is formed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lm portion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to transmi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film.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광원과,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위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부와, 상기 확산필름부에 적층되고,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필름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제1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1 필름부와, 상기 제1 필름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제2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2 필름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식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ght source, a transparent substrate, a diffusion film portion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diffus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laminated on the diffusion film portion, the first hole is formed And a first film part formed around the first hole and arranged to repeat the first unit pattern for blocking light incident from the diffusion film part, and stacked on the first film part to align with the first hole. A second hole is formed, and the second film part is formed around the second hole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unit pattern, and the second unit pattern which scatter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film is repeatedly arran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lluminated finish comprising a film comprising.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illuminated finish, the light source may be disposed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복수 개의 상기 LED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s an illuminated finish, a plurality of said LEDs may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제1 홀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그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패턴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illumination finish, the first hole is formed of at least one hole group which is formed alternately along any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unit pattern is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pattern group alternately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패턴그룹은 오픈 루프(open-loop) 형태로 하나의 라인(line)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an illuminated finish, the pattern group may be formed in one line in the form of an open-loop.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패턴그룹은 은경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illuminated finish, the pattern group may be formed of a silver film.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은경막은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an illuminated finish, the silver film may be formed by a printing method.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제2 단위패턴 및 상기 제1 단위패턴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illumination finish, the second unit pattern and the first unit pattern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제2 단위패턴은 제2 필름부의 표면을 거침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illumination finish, the second unit pattern may be formed b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m portion.

바람직하게는, 조명식 마감재로서, 상기 제2 필름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제3 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s a lighting finish, the third film is laminated on the second film portion, the third hole is aligned with the second hole is formed and the third film portion is configured to be transparent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film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식 마감재에 따르면, 광원과, 제1 단위패턴이 형성된 제1 필름부와 제2 단위패턴이 형성된 제2 필름부를 구비함으로써,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활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발광 이미지를 구현하여 마감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film and the illumination finish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light source, the first film portion formed with the first unit pattern and the second film portion formed with the second unit pattern, by utiliz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By implementing the light emission image of the pattern provides a favorable effect that can beautify the space where th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식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2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적층된 제1 필름부 및 제2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조명식 마감재를 통해 발광되는 장식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ight fin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irst film portion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film portion shown in FIG. 1,
4 is a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first film portion and a second film por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decorative pattern that is emitted through the illuminated finish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식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1 is a view showing a light fin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disclosure that Fig. 1 clearly shows only the main feature parts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to b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 is n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식 마감재는, 필름(100)과, 광원(200)과, 투명 기판(300)을 포함하고, 필름(100)은 확산필름부(110)와. 제1 단위패턴(122)이 형성되는 제1 필름부(120)와, 제2 단위패턴(131)이 형성되는 제2 필름부(130)와, 제3 필름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lluminated finish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m 100, a light source 200, and a transparent substrate 300, and the film 100 includes a diffusion film part 110. )Wow. The first film part 120 on which the first unit pattern 122 is formed, the second film part 130 on which the second unit pattern 131 is formed, and the third film part 140 may be included. .

광원(200)위에 투명 기판(300)이 설치되며, 투명 기판(300) 위에 필름(100)이 적층 형성된다. 여기서, 광원(200)은 LED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LED가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LED는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is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200, and the film 100 is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Here, the light source 200 may be an LED. A plurality of LEDs may be arranged in alignment, and each LED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plane.

광원의(20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제1 단위패턴(122) 및 제2 단위패턴(131)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 될 수 있다. 투명 기판(300)은 광원(200)에서 조사된 빛을 그대로 투과시킨다.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광 투과성이 확보되는 한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s 200 may be various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unit pattern 122 and the second unit pattern 131.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0 as it is. I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bu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light transmittance is secured.

다음으로, 필름(1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ilm 100 is demonstrated.

먼저, 확산필름부(110)는 투명 기판(300)에 적층되어 광원(200)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확산필름부(110)는 광원(200)이 LED인 경우 통상적으로 점광원이 되기 때문에 입사된 빛을 산란시켜 마감재 전체로 빛이 퍼져 나가도록 유도한다.First, the diffusion film unit 110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and serves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0. The diffusion film unit 110 is usually a point light source when the light source 200 is an LED, so as to scatter the incident light to induce the light to spread throughout the finish.

확산필름부(110)는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 투과성이 높은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ffusion film unit 1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first film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제1 필름부(120)는 확산필름부(110)위에 적층되며 제1 홀(121) 및 제1 단위패턴(122)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1 and 2, the first film part 120 may be stacked on the diffusion film part 110, and the first hole 121 and the first unit pattern 122 may b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제1 홀(121)은 제1 필름부(120) 전역에 걸쳐 복수 개가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홀(121)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홀 그룹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홀 그룹들이 반복되어 제1 필름부(120)의 전역에 걸쳐 복수 개의 제1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holes 121 may be formed by perforating the entire first film portion 12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le 121 may be alternately formed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hole group. These hole groups may be repeated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holes 121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film part 120.

이러한 제1 홀(121)을 통해 투명 기판(300)을 투과한 빛이 회절 되면서 풍부한 발광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다.As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is diffracted through the first hole 121, a rich emission image may be transmitted.

제1 단위패턴(122)이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홀(121)을 중심에 두고 이를 둘러싸는 모양을 띈 문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단위패턴(122)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의 장식패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패턴으로서, 다각형의 문양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unit pattern 122 is formed to induce an aesthetic sense, and refers to a pattern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first hole 121 at the center thereof. The first unit pattern 122 is a basic pattern constituting a decorative pattern of the finishing material is formed repeated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polygonal pattern.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1 단위패턴(122)는 하나의 선이 절곡되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육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홀(121)에 대응하여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패턴그룹(A)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그룹(A)내에서 제1 홀(121)이 복열로 구성되며 열방향으로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육각형 형태의 제1 단위패턴(122)이 열방향으로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패턴그룹(A)내의 제1 단위패턴(122)은 오픈 루프(open-loop) 형태로 하나의 라인(li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그룹(A)이 제1 필름부(120) 전체에 걸쳐 반복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벌집 모양의 미감을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unit pattern 122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line, it may be implemented in a hexagonal shape. In addition, the pattern hole A may be alternately formed in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hole 1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n the pattern group A, the first holes 121 are formed in a double row and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unit pattern having a hexagonal shape ( 122) may b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column direction. Meanwhile, the first unit pattern 122 in the pattern group A may be formed as one line in an open loop form. The pattern group A may be repeatedly formed over the entire first film part 120, and may give a roughly honeycomb-like aesthetic.

한편, 제1 단위패턴(122)은 광원(200)에서 조사되어 투명 기판(300)을 투과한 빛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제1 단위패턴(122)은 은경 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은경 처리란, 유리, 동판, 아크릴, 필름 등과 기재의 표면에 은막(Ag)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은용액조에 침지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다양한 문양이나 패턴 형태의 은경을 선택적으로 만들어 내기 힘든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환원제 카트리지가 장착된 프린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양이나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안이 있다.
The first unit pattern 122 blocks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To this end, the first unit pattern 122 may be formed through a silver diameter process. Here, a silver diameter process means the process of forming a silver film (Ag) in the surface of a glass, a copper plate, an acryl, a film, etc. and a base material. There is a method of immersing in the silver solution tank, but it is difficult to selectively create a variety of patterns or patterns of silver, so in recent years there is a way to form the desired pattern or pattern using a printer equipped with a reducing agent cartridge.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2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film part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제2 필름부(130)는 제2 홀(131) 및 제2 단위패턴(132)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름부(130)는 제1 필름부(120) 위에 적층된다. 이때, 제2 필름부(130)에 형성된 제2 홀(131)은 제1 홀(121)과 정렬된다.1 and 3, the second film part 130 may have a second hole 131 and a second unit pattern 132 formed on a surface thereof. The second film part 130 is stacked on the first film part 120. In this case, the second hole 131 formed in the second film part 130 is aligned with the first hole 121.

제2 홀(131)도 제2 필름부(130) 전역에 걸쳐 복수 개가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홀(131)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향을 따라 교변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홀 그룹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홀 그룹들이 반복되어 제2 필름부(130)의 전역에 걸쳐 복수 개의 제2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holes 131 may also be formed by perforating the entire second film portion 13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hole 131 may be symmetrically formed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hole group. These hole groups may be repeated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holes 131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film part 130.

이러한 제2 홀(11)을 통해 투명 기판(300)을 투과한 빛이 회절 되면서 풍부한 발광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다.As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is diffracted through the second hole 11, a rich emission image may be transmitted.

제1 단위패턴(122)은 제2 단위패턴(131) 안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단위패턴(122)도 각형 모양을 갖는 문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 단위패턴(132)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의 장식패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패턴으로서, 제2 홀(131)을 중심에 두고 제2 홀(131)을 둘러싸듯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unit pattern 122 is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unit pattern 131, and the second unit pattern 122 also means a pattern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unit pattern 132 is a basic pattern constituting a decorative pattern of a repetitive material that is repeatedly formed,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hole 131 with the second hole 131 at the center.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1 단위패턴(122) 또한, 육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홀(131)에 대응하여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패턴그룹(B)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그룹(B)내에서 제2 홀(131)이 복열로 구성되며 열방향으로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육각형 형태의 제2 단위패턴(132)이 열방향으로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그룹(B) 또한, 제1 필름부(120) 전체에 걸쳐 반복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벌집 모양의 미감을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unit pattern 122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hexagonal shape. In addition, the pattern hole B may be alternately formed in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hole 13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n the pattern group B, the second holes 131 are formed in a double row and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unit pattern having a hexagonal shape ( 132 may b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column direction. The pattern group B may also be repeatedly formed over the entire first film part 120, and may give a roughly honeycomb aesthetic.

한편, 제2 단위패턴(131)은 제1 단위패턴(122)와 달리. 광원(200)에서 조사되어 투명 기판(300)을 투과한 빛을 산란시켜 그 일부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2 단위패턴(122)은 제2 필름부(130)의 입사면에 대한 거침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위패턴(122)의 거칠기는 장식패턴 및 마감재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The second unit pattern 131 is different from the first unit pattern 122.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00 is scattered to transmit only a part thereof. To this end, the second unit pattern 122 may be formed through rough machining of the incident surface of the second film part 130. The roughness of the second unit pattern 122 may be variously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corative pattern and the finishing material installation environment.

도 4는 적층된 제1 필름부 및 제2 필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조명식 마감재를 통해 발광되는 장식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film portion and the second film portion laminated,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a decorative pattern that is emitted through the illuminated finish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필름부(120) 위에 제2 필름부(130)이 적층되는 경우, 제1 단위패턴(122) 내부에 제2 단위패턴(131)이 위치하게 되며 제1 홀(121)과 제2 홀(131)은 정렬된다. 제1 단위패턴(122)에서는 빛을 차단하고 제2 단위패턴(131)에서는 빛을 산란시키고 일부만을 투과시키며, 제1 홀(121) 및 제2 홀(131)은 빛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식패턴을 조명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second film part 130 is stacked on the first film part 120, the second unit pattern 131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unit pattern 122 and the first hole ( 121 and the second hole 131 are aligned. In the first unit pattern 122, the light is blocked, and in the second unit pattern 131, light is scattered and only a part of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hole 121 and the second hole 131 rotate the ligh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decorative pattern as shown in the illumination.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필름부(120) 위에 제2 필름부(130)가 적층되고, 제2 필름부(130) 위에는 제3 필름부(140)가 적층된다. 이때, 제3 필름부(140)의 제3 홀(141)이 제1 홀(121) 및 제2 홀(131)과 정렬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film part 130 is stacked on the first film part 120, and the third film part 140 is stacked on the second film part 130. In this case, the third hole 141 of the third film part 140 may be form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hole 121 and the second hole 13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확산필름부
120 : 제1 필름부
121 : 제1 홀
122 : 제1 단위패턴
130 : 제2 필름부
131 : 제2 홀
132 : 제2 단위패턴
140 : 제3 필름부
141 : 제3 홀
110: diffusion film portion
120: first film portion
121: the first hole
122: first unit pattern
130: second film portion
131: second hole
132: second unit pattern
140: third film portion
141: third hole

Claims (18)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부;
상기 확산필름부에 적층되고,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필름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제1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1 필름부;및
상기 제1 필름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제2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2 필름부
을 포함하는 필름.
A diffusion film unit for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A first film part stacked on the diffusion film part and having a first hole formed thereon, the first film pattern being formed around the first hole and repeatedly arranged to block light incident from the diffusion film part; and
A second hole stacked on the first film part and aligned with the first hole is formed, and is formed around the second hole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unit pattern, and scatter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film. The second film part formed by repeating the second unit patterns
Film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그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패턴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그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le is formed of at least one hole group that is alternately formed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unit pattern is alternately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Film formed by at least one pattern group dispos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그룹은 오픈 루프(open-loop) 형태로 하나의 라인(li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ttern group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ingle line (line) in the form of an open loop (open-loop).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그룹은 은경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The method of claim 3,
The pattern group is a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silver film.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은경막은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lver film is a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rinting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패턴 및 상기 제2 단위패턴은 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nit pattern and the second unit pattern is a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패턴은 제2 필름부의 표면을 거침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pattern is a fil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m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제3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film part laminated on the second film part, the third film part being aligned with the second hole, the third film part being transparent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film.
광원;
투명 기판;및
상기 투명기판 위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부와, 상기 확산필름부에 적층되고,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필름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제1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1 필름부와, 상기 제1 필름부에 적층되어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제2 단위패턴이 반복되어 배열 형성된 제2 필름부를 포함하는 필름
을 포함하는 조명식 마감재.
Light source;
Transparent substrates; and
A diffusion film portion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laminated on the diffusion film portion, and having a first hole formed around the first hole and incident from the diffusion film portion. A first film portion formed by repeating the first unit pattern for blocking light is arranged and a second hole stacked on the first film portion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hole,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unit pattern. A film including a second film part formed around the second hole so that a second unit pattern for scattering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film is repeated and arranged;
Illuminated finish comprising 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 source is a light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제10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LED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plurality of said LED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그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패턴은 열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그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hole is formed of at least one hole group that is alternately formed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unit pattern is alternately along one of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lluminated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pattern group dispose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그룹은 오픈 루프(open-loop) 형태로 하나의 라인(li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attern group is an illumination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e line (line) in the form of an open-loop (open-loop).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그룹은 은경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The method of claim 13,
The pattern group is a light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silver film.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은경막은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ilver film is an illuminated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rinting metho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패턴 및 상기 제2 단위패턴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unit pattern and the second unit pattern is an illumination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exagonal shap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패턴은 제2 필름부의 표면을 거침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unit pattern is an illumination finis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second film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부에 적층되며,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에서 입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제3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마감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third film part stacked on the second film part, the third hole being aligned with the second hole, the third film part being transparent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film. .
KR1020130026874A 2013-03-13 2013-03-13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KR101387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74A KR101387382B1 (en) 2013-03-13 2013-03-13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74A KR101387382B1 (en) 2013-03-13 2013-03-13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382B1 true KR101387382B1 (en) 2014-04-21

Family

ID=5065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74A KR101387382B1 (en) 2013-03-13 2013-03-13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3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10A (en) * 2016-12-07 2018-06-18 (주)엔디에스 Optical pattern film ligh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905A (en) 2001-09-17 2003-03-28 Clariant (Japan) Kk Optical layered body having controlled diffusing and transmitting characteristic
KR200321969Y1 (en) 2003-05-16 2003-08-06 주식회사 마프로 A advertising Media using Transmission Principle of Light
KR100996685B1 (en) 2008-11-17 2010-11-25 최종민 Lighting Panel for Advertisement, Display-Sheet for th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Sheet
KR101086004B1 (en) 2011-04-14 2011-11-22 나래전기(주) Glass block of facing of bulding using l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905A (en) 2001-09-17 2003-03-28 Clariant (Japan) Kk Optical layered body having controlled diffusing and transmitting characteristic
KR200321969Y1 (en) 2003-05-16 2003-08-06 주식회사 마프로 A advertising Media using Transmission Principle of Light
KR100996685B1 (en) 2008-11-17 2010-11-25 최종민 Lighting Panel for Advertisement, Display-Sheet for th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Sheet
KR101086004B1 (en) 2011-04-14 2011-11-22 나래전기(주) Glass block of facing of bulding using l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10A (en) * 2016-12-07 2018-06-18 (주)엔디에스 Optical pattern film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5263B (en) Luminescent panel with transparent honeycomb shape support panel
US20130148357A1 (en) Acoustic light panel
JPWO2007049823A1 (en)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method in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CN104766553B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abula rasa
JP2005519431A5 (en)
TWI732067B (en) Light guide with patterned ink
JP2005221661A (en) Decorating device
KR101387382B1 (en) Film and finishing material with lighting
FI118066B (en) Instruction marking, especially fire safety marking in floor or wall
US20140071671A1 (en) T-bar lamp
JP2009121139A (en) Wall surface panel
JP3211553U (en) Lighting device
DE20207216U1 (en) Building board for ceilings, walls or floors
KR100732651B1 (en) Lighting-tile apparatus increase combination by sliding
US8540390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wall, a ceiling, or a floor
CN104854397B (en) Illuminate item, lighting system, Panel supporting elements and modular panels system
CN110446887B (en) Light guide with patterned ink
RU187085U9 (en) Light diffuser sheet for LED panels with frontal radiation input
IT201800006340A1 (en) LED ILLUMINATING BODY
JP5148386B2 (en) 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6113324A (en) Lighting fixture
JP2006322966A (en) Light emitting plate
KR200458966Y1 (en) cover for lighting
JP3142033U (en) 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9080981A (en) Plane light emi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