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628B1 -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 Google Patents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628B1
KR101386628B1 KR1020110014285A KR20110014285A KR101386628B1 KR 101386628 B1 KR101386628 B1 KR 101386628B1 KR 1020110014285 A KR1020110014285 A KR 1020110014285A KR 20110014285 A KR20110014285 A KR 20110014285A KR 101386628 B1 KR101386628 B1 KR 10138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fixing
mount
block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799A (ko
Inventor
이진성
이정관
함덕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1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6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05Locks for connecting guns to thei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41A23/16Testing mounts

Abstract

본 발명의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총열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탄환의 발사시 총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마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마운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탄두의 파편으로부터 마운트 및 총열을 보호하는 제1보호부 및 제2보호부; 및 상기 제2보호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에서 발사된 탄환이 충돌하는 시험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GUN FIXING MOUNT AND SYSTEM FOR TESTING FRAGMENT IMPACT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한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두의 파편충격시험시 탄환를 발사하는 총열을 탈착 가능하게 마운트에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총열을 신속하게 마운트에 장착,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험이 가능한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군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량 살상무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무기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무기의 화력을 좌우하는 것은 탄두의 폭팔력이다.
따라서, 최첨단 전투함이나 비행체 등과 같은 첨단무기의 구비뿐만 아니라 탄두의 화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한 국가의 전쟁수행력을 향상시키는 지름길이다. 통상적으로 탄두의 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좋은 고폭화약을 개발하고 이를 탄두에 적용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탄두의 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세계 각국에서는 고폭화약 및 탄두의 개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또한 현재 많은 탄두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탄두의 폭팔력 향상과 아울러, 탄두개발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탄두의 안정성이다. 즉,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확보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으로 인해 탄투가 폭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탄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작된 탄두에 대하여 충격실험을 실행하여 탄두가 설정된 내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실험해야만 한다. 파편충격시험은 탄두에 포탄의 파편이 충돌할 때 파편에 의한 탄두의 내성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파편의 충격량에 대응하는 탄환을 상기 탄두에 발사하여 이 탄환의 충격에 대한 내성에 대한 실험이다.
이러한 파편충격시험은 총열을 파편충격시험 시스템에 배치한 후, 탄두에 탄환을 발사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파편충격시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탄두를 시험하는 총열을 고정하여 시험을 실행해야만 합니다.
도 1은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에서 총열을 고정하는 마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10)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 위에 설치되고 고정홀이 형성되어 총열(2)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3)와, 상기 고정케이스(13)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환의 발사시 발생하는 총열(2)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쇼크업소버(shock absorber;15) 및 스프링(17)과,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5)를 고정케이스(13)에 연결하는 쇼크업소버 커넥터(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10)에서는 총열(2)에 탄환이 장착되어 발사되면, 총열(2)에 인가되는 충격이 유압쇼크업소버(15) 및 스프링(17)에 의해 흡수되어 마운트(10)가 발사에 의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탄환의 발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1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10)에서는 고정케이스(13)에 총열 고정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총열(2)이 상기 홀에 삽입되어 고정케이스(13)에 고정된다. 이때, 총열(2)은 고정케이스(13)와 단단하게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고정케이스(13)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총열(2)은 마운트(10)로부터 분리가어렵다.
그런데, 탄두에 대한 파편충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경 및 형태의 총열(2)로 시험을 실행해야만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총열(2)이 마운트(10)와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총열(2)이 설치된 마운트(10) 자체를 교체하여 시험을 진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마운트(10)의 크기는 대단히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이러한 마운트(10)를 다른 종류의 총열(2)로 시험을 할 때마다 교환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총열을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고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구경 및 형태의 총열을 이용하여 탄두의 파편충격시험이 가능한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총열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탄환의 발사시 총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설치되어 총열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총열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유압쇼크업소버 고정블록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쇼크업소버와, 상기 유압쇼크업소버에 단부에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유압쇼크업소버 와 함께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압쇼크업소버를 슬라이딩블록에 연결하는 쇼크업소버 커넥터로 이루어진 마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마운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호부; 상기 제1보호부 후방에 배치되어 제1보호부와 함께 탄두의 파편으로부터 마운트 및 총열을 보호하는 제2보호부; 및 상기 제2보호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에서 발사된 탄환이 충돌하는 시험체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 및 슬라이딩블록에 설치되어 총열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총열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호부는 탄환이 발사되는 총열의 전면에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총열에서 정상적인 궤도로 발사된 탄환이 통과하는 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총열에서 발사되어 비정상적인 궤도로 진행하는 탄환이 충돌하는 복수의 프로텍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험체는 탄두를 포함하며, 총열의 구경은 시험체에 인가되는 충격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마운트에 총열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경의 총열을 마운트에 장착하여 파편충격시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험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시험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마운트에 총열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총열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의 제1보호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보호부의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1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편충격 시험시스템(101)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프레임(103)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3) 상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총열(102)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운트(11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3)의 상부 타측에 상기 마운트(110)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보호부(140)의 후방, 즉 제1보호부(130)의 반대편에는 실험하고자 하는 탄두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3)은 일측방향, 즉 탄환이 발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마운트(110)와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3)과 시험체인 탄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3) 상에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때, 제2보호부(140)는 제1보호부(1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보호부(130)와 함께 탄두가 폭팔하여 발생하는 파편에 의해 마운트(110)와 총열(10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3)은 파편충격 시험시스템(101)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파편충격 시험시스템(101)의 실내와 같이 바닥이 편평한 장소에서 실행될 수도 있지만, 그 위험성을 감안하면 야외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와 같이, 파편충격시험을 야외에서 실행하는 경우 지면이 편평하지 않기 때문에, 실험에 문제가 발생하지만, 상기 베이스프레임(103)을 설치하여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3)의 시험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편충격시험시에는 필요한 장비, 예를 들면 마운트(110)와 보호부만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3) 위에 설치하여 시험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운트(110)에는 총열(102)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마운트(110) 자체의 교환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경 및 형태의 총열(102)을 마운트(110)에 고정시킨 후 파편충격시험을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다양한 시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마운트(110)에는 충격흡수수단이 구비되어 총열(102)에서 탄환이 발사될 때 총열(102)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의해 마운트(11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는 마운트(11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마운트(110)에 고정된 총열(102)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 상기 탄두의 파편이 마운트(110) 및 총열(102)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마운트(110) 및 총열(10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에는 각각 총열(102)에서 발사된 탄환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보호부(130)의 홀은 그 위치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마운트(110)에 장착되는 총열(102)에 따라 홀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제1보호부(130)의 홀 주위에는 홀을 통과하지 않는 탄환이 충돌하는 프로텍터(protector)가 설치된다. 총열(110)부터 탄환이 발사되어 정상적인 궤도를 따라 탄환이 진행하는 경우 탄환은 제1보호부(13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1보호부(130)의 뒤쪽 방향으로 진행한 후 제2보호부(14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실험대상인 탄두에 충돌하지만, 탄환이 비정상적인 궤도를 따라 진행하는 경우 탄환이 상기 프로텍터에 충돌하게 되어 파편충격시험이 무산된다. 상기 프로텍터는 통상적으로 세라믹 플레이트, 강화된 유리섬유 구조물, 알루미늄 스틸 장갑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복합재질의 장갑판으로 이루어져 비정상적인 궤도를 따라 진행하는 탄환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제1보호부(130)가 파괴되거나 파편이 발생하여 마운트(110)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보호부(140)의 홀은 별도의 홀 위치나 크기 조절 수단없이 상기 제1보호부(130)에 형성되는 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보호부(140)의 후면에는 총열(102)에서 발사된 탄환이 충돌하는 시험체(즉, 탄두)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측정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총열(102)에서 발사되는 탄환은 비상시 탄두에 충돌하는 파편을 가정한다. 즉, 총열에서 발사되어 탄두에 충돌하는 탄환이 실제 비상사태에서 발생하여 탄두에 충돌하는 폭탄의 파편을 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비상사태에서 탄두에 충돌하는 파편에 의한 충격은 폭팔하는 폭탄의 종류, 폭팔의 양상, 폭팔하는 폭탄과 탄두 사이의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파편충격시험시에도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탄환을 탄두에 충돌시켜야만 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상황에서의 시험을 위해 본 발명의 총열(102) 및 탄환은 다양한 구경 및 직경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30mm 직경의 탄환이 주로 사용되지만,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여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는 탄환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탄두에 인가되는 충격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총열에서 발사되는 탄환의 속도를 다양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편충격 시험시스템(101)의 마운트(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110)는 베이스(112)와, 상기 베이스(112) 위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125)과, 상기 복수의 고정블록(125)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122)과, 상기 복수의 고정블록(125)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122)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블록가이드(124)와,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블록(18) 위에 설치되어 시험되는 총열을 고정하는 복수의 총열고정부(113)와, 상기 슬라이딩블록(122) 하부에 설치되어 총열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 총열을 통해 슬라이딩블록(122)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과,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을 슬라이딩블록(122)과 연결하는 쇼크업소버 커넥터(118)로 구성된다.
고정블록(125)은 하면이 베이스(112) 상부에 적어도 2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12)의 상면과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블록(125)의 상면에는 V자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록(122)이 상기 V자 홈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125)과 슬라이딩블록(122)의 표면에는 그리스 등이 도포되어 고정블록(152)과 슬라이딩블록(122) 사이에 그리스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122)이 상기 고정블록(125) 위에서 마찰없이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블록 가이드(124)는 상기 고정블록(125)의 상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블록(122)을 가이드한다. 이때, 슬라이딩블록 가이드(124)는 고정블록(125)의 상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일변이 V자 홈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블록(122)이 상기 고정블록(125)의 V자 홈에 배치될 때, 상기 슬라이딩블록 가이드(124)의 연장된 영역이 슬라이딩블록(122)의 상면의 일부 영역과 접촉하게 되어 슬라이딩블록(122)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15)와 스프링(117) 및 쇼크업소버 커넥터(118)는 베이스(112)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17)은 유압쇼크업소버(115)의 단부 및 쇼크업소버 커넥터(118)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15)와 스프링(117) 및 쇼크업소버 커넥터(118)는 유압쇼크업소버 고정블록(119)에 고정되어 베이스(112) 상면에 설치된다
총열고정부(113)는 슬라이딩블록(122)의 상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 설치되어 총열을 고정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열고정부(113)는 총열을 고정시키는 2개의 총열고정블록(127a,127b)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의 중앙영역에는 동일한 지름의 반원이 형성되어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을 합쳤을 때 상기 반원들이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총열은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 사이의 원통형상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경의 총열이 수납 가능하게 된다. 즉, 작은 구경의 총열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이 동심을 유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어뎁터를 장착하게 되며, 좀더 큰 구경의 총열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내경에 총열의 외경을 맞추어 고정하면 된다.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 사이의 원통에 삽입된 총열은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을 볼트(128) 등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127a) 및 제2총열고정블록(127b)에는 서로 연통하는 나사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볼트(128)를 나사구멍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총열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총열고정부(113)에 총열(2)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구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은 쇼크업소버 고정블록(119)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은 쇼크업소버 커넥터(118)를 통해 슬라이딩블록(12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블록(122)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즉, 총열고정부(113)에 고정되는 총열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 총열(102)에는 탄환의 발사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작용이 작용하여 충격이 인가되는데, 이 충격에 의해 슬라이딩블록(122)은 고정블록(125)의 상부에서 탄환이 발사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며, 이 슬라이딩이동에 의해 상기 쇼크업소버 커넥터(118)가 상기 슬라이딩블록(122)과 함께 이동하여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에 압력이 인가된다. 이 압력은 상기 유압쇼크업소버(115) 및 스프링(117)의 복원력에 의해 흡수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블록(122)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총열로부터 탄환이 발사되는 경우에도 충격에 의해 마운트(110) 자체가 움직이지 않고 슬라이딩블록(122), 즉 총열(102)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총열(102)에 대한 조준점의 새로운 조절없이 새로운 탄환을 연속하여 발사할 수 있게 된다.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는 마운트(110)에 고정된 총열(102)에서 발사된 탄환이 시험체에 충돌하여 폭팔할 때 파편 등에 의해 마운트(110)나 마운트(110)에 고정된 총열(10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마운트(110)와 과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운트(110)로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부(130)는 상기 마운트(1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에 형성되고 마운트(110)에 설치되는 총열(102)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총열(102)로부터 발사되는 탄환이 비정상적인 궤도로 진행되는 경우 발사된 탄환이 충돌하는 복수의 프로텍터(protector;134)와, 상기 복수의 프로텍터(134) 사이에 형성되어 총열(102)로부터 발사되어 정상적인 궤도로 진행하는 탄환이 통과하는 홀(136)과, 상기 프로텍터(134)를 본체(131)에 고정시키는 바인더(132)로 구성된다.
복수의 프로텍터(134)는 바인더(132)에 의해 본체(131)에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바인더(132)에는 복수의 프로텍터 고정볼트(133)가 구비되어 상기 프로텍터 고정볼트(133)에 의해 프로텍터(134)를 본체(131)에 고정시킨다. 상기 프로텍터(134)는 바인더(132)상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탄환이 통과하는 홀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한다. 즉, 복수의 프로텍터(134)를 좌우로 이동하여 프로텍터(134) 사이의 공간인 홀의 크기 및 위치를 총열에서 발사되는 탄환의 궤적에 따라 조절한 후, 프로텍터 고정볼트(133)에 의해 프로텍터(134)를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홀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34)는 직사각형상의 장갑으로서, 세라믹 플레이트, 강화된 유리섬유 구조물, 알류미늄 장갑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복합재질의 장갑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금속보다 그 강도가 강하다. 따라서, 총열(102)에 의해 발사되는 탄환이 제1보호부(130)의 홀(136)을 통과하는 정상적인 궤도가 아니라 비정상적인 궤도를 따라 진행할 때 상기 탄환이 프로텍터(134)에 충돌하므로, 탄환에 의해 제1보호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보호부(140)에는 홀(146)이 형성된다. 이때, 제2보호부(140)의 홀(146)은 제1보호부(130)의 홀(136)과 조준되어 있다. 상기 제2보호부(140)의 홀(146)은 제1보호부(130)의 홀(136)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총열(102)에서 발사되어 탄환이 제1보호부(130) 및 제2보호부(140)의 홀(136,146)을 각각 투과하여 제2보호부(140)의 뒤쪽의 탄두에 충돌하여 상기 탄두가 폭팔하는 경우, 탄두의 파편은 제2보호부(14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마운트(110)와 총열(10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운트(110)에 총열(102)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탈착가능하게 장착하여 다양한 구경과 형태의 총열(102)을 마운트(110)에 장착하여 탄자충격시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편충격시험 시스템에 의한 파편충격시험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시험하고자 하는 탄두를 베이스프레임(103)에 배치한 후, 총열(102)을 마운트(110)의 총열고정부(113)에 의해 고정한 후, 조준점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총열(102)의 조준점 조절과 함께 제1보호부(130)의 프로텍터(134)를 바인더(132)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조준점에 따른 홀(136)의 위치를 조절한 후 볼트에 의해 상기 프로텍터(134)를 본체(131)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총열(102)에 의해 탄환을 발사하면, 탄환은 제1보호부(130)에 형성된 홀(136) 및 제2보호부(140)에 형성된 홀(146)을 통과하여 제2보호부(140)의 후면으로 진행하여 배치된 탄두에 충돌하게 된다. 이때, 파편충격시험 시스템에 설치된 각종 측정장비들, 예를 들면, 속도측정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 의해 발사된 탄환에 대한 각종 정보가 측정된다.
그 후, 다른 충격량에 대한 탄두의 안정성 시험을 위해 다른 구경을 갖는 새로운 총열(102)에 의해 탄환을 발사하여 탄두에 충돌할 경우, 장착된 총열(102)을 총열고정부(113)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총열(102)을 총열고정부(113)에 장착한 후, 동일한 시험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총열을 마운트에서 착탈 가능하게 파편충격 시험시스템을 형성하므로, 다양한 파편에 의한 탄두의 안정성 시험시 총열을 간단하게 마운트에서 분리한 후 다른 특성의 총열을 고정시킨 후 시험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저렴한 파편충격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구조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이 다른 예나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창안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102 : 총열
110 : 마운트 111 : 베이스
113 : 총열고정부 115 : 유압쇼크업소버
117 : 스프링 118 : 쇼크업소버 커넥터
122 : 슬라이딩블록 124 : 슬라이딩블록 가이드
125 : 고정블록 127a,127b : 총열고정블록
130,140 : 보호부 131 : 본체
132 : 바인더 134 : 프로텍터
136,146 : 홀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
    슬라이딩블록에 설치되어 총열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총열고정부;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유압쇼크업소버 고정블록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쇼크업소버;
    상기 유압쇼크업소버에 단부에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유압쇼크업소버 와 함께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및
    상기 유압쇼크업소버를 슬라이딩블록에 연결하는 쇼크업소버 커넥터로 구성된 총열고정용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고정부는,
    내부에 반원이 형성된 제1총열고정블록; 및
    내부에 반원이 형성되어 제1총열고정블록과 결합될 때 총열이 고정되는 원통을 형성하는 제2총열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고정용 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과 제2총열고정블록는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과 제2총열고정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상이 가변되어 다양한 구경의 총열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고정용 마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고정부는 볼트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총열고정블록과 제2총열고정블록을 볼트에 의해 결합하여 총열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고정용 마운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과 슬라이딩블록 사이에는 그리스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록이 고정블록을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고정용 마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블록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열고정용 마운트.
  8.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총열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탄환의 발사시 총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설치되어 총열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총열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유압쇼크업소버 고정블록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쇼크업소버와, 상기 유압쇼크업소버에 단부에 설치되어 총열의 탄환발사시 유압쇼크업소버 와 함께 총열고정부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압쇼크업소버를 슬라이딩블록에 연결하는 쇼크업소버 커넥터로 이루어진 마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마운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호부;
    상기 제1보호부 후방에 배치되어 제1보호부와 함께 탄두의 파편으로부터 마운트 및 총열을 보호하는 제2보호부; 및
    상기 제2보호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에서 발사된 탄환이 충돌하는 시험체로 구성된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블록; 및
    슬라이딩블록에 설치되어 총열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총열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는,
    탄환이 발사되는 총열의 전면에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총열에서 정상적인 궤도로 발사된 탄환이 통과하는 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총열에서 발사되어 비정상적인 궤도로 진행하는 탄환이 충돌하는 복수의 프로텍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체는 탄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시험체에 인가되는 충격의 크기에 따라 총열의 구경을 달리하여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KR1020110014285A 2011-02-17 2011-02-17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KR10138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85A KR101386628B1 (ko) 2011-02-17 2011-02-17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85A KR101386628B1 (ko) 2011-02-17 2011-02-17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99A KR20120094799A (ko) 2012-08-27
KR101386628B1 true KR101386628B1 (ko) 2014-04-18

Family

ID=4688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285A KR101386628B1 (ko) 2011-02-17 2011-02-17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65B1 (ko) * 2015-04-09 2016-09-21 국방과학연구소 비활성탄 회수시설 및 발사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77B1 (ko) * 2013-07-10 2015-02-23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장 내 대구경 날개안정철갑예광탄 쉘 멈춤장치
KR101677985B1 (ko) * 2015-04-23 2016-11-21 국방과학연구소 탄두 성능 시험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43435B1 (ko) * 2019-12-19 2021-04-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강화유리의 충격 시험장치
RU2730795C1 (ru) * 2020-03-19 2020-08-2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Калашников" Узел закрепления ствола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в баллистическо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и
CN112611255B (zh) * 2020-12-06 2022-11-22 西安昆仑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火炮闭锁机抽壳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3503769B (zh) * 2021-07-20 2022-10-25 哈尔滨工业大学 基于轻气炮的冲击力测量实验装置及其安装方法
RU2768052C1 (ru) * 2021-10-26 2022-03-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N 9" (АО "Завод N 9") Стенд испытательный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оруди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417A (ko) * 2008-10-16 2010-04-26 국방과학연구소 약실교환형 총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탄자파편충격시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417A (ko) * 2008-10-16 2010-04-26 국방과학연구소 약실교환형 총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탄자파편충격시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65B1 (ko) * 2015-04-09 2016-09-21 국방과학연구소 비활성탄 회수시설 및 발사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99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628B1 (ko)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편충격 시험시스템
KR101291023B1 (ko) 외부 모듈 조립체
US11421963B2 (en) Lightweight enhanced ballistic armor system
CN102192690B (zh) 一种气体炮过载试验检测装置
CN102226672B (zh) 一种气体炮过载试验防护箱
US8468926B2 (en) Ballistic armor system
KR101301060B1 (ko) 고무블럭을 이용한 총알의 튕김을 방지하는 방탄용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방탄장치
KR101488702B1 (ko) 고폭탄 폭발시험용 실내시험장의 방폭구조물
CN108061489B (zh) 一种用于标准破片撞击试验用炸药爆轰驱动式发射装置
KR100984166B1 (ko) 방탄장치
US9157705B1 (en) Projector for defeating buried mines
KR101386627B1 (ko) 총열고정용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탄자충격 시험시스템
KR100672806B1 (ko) 함선 상에 대구경 포를 통합하는 방법
FI126824B (en) Directed splitter weapon
WO2005066578A1 (en) Firearms clearance system
CN111562043A (zh) 爆炸比冲测量平台
RU2204107C2 (ru) Бронезащита от пуль со сталь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Runefors et al. Tactical Depressurization of Hydrogen and CNG Tanks Using Rifles and Other Projectiles
CN213068033U (zh) 爆炸比冲测量平台
RU2303228C2 (ru) Противотанковая система "бородино-812" с гильзой "полтава-712"
ES2934475T3 (es) Conjunto de arma y torreta que comprende dicho conjunto
KR100247726B1 (ko) 경전투용 차량의 부가 장갑 키트 및 장착 장치
RU22047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пульное и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инициирования кумулятивных гранат
EP3120103A2 (en) Lightweight enhanced ballistic armor system
ES2585243B1 (es) Cabeza de guerra para misiles guiados y minas de ataque a distan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