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072B1 - Ltft-down table - Google Patents

Ltft-down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072B1
KR101386072B1 KR1020130094784A KR20130094784A KR101386072B1 KR 101386072 B1 KR101386072 B1 KR 101386072B1 KR 1020130094784 A KR1020130094784 A KR 1020130094784A KR 20130094784 A KR20130094784 A KR 20130094784A KR 101386072 B1 KR101386072 B1 KR 10138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upport
elevating
screw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3009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0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ifting table. The disclosed lifting table comprises a top plate, a leg part supporting the top plate from the bottom plate, a lift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leg part and lifting the top plate from the leg part, and a lifting operation part operating the lifting part.

Description

승강 테이블{LTFT-DOWN TABLE}Lifting table {LTFT-DOWN TABLE}

본 발명은 승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work in an upright state, seated state, and easy maintenance will be.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를 보거나 독서시 사용하는 가구로써 위판과 다리 및 서랍으로 되어 있다. 예로부터 책상은 받침대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테이블이 있었으나 오늘날의 사무용 책상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실제로 오래되지는 않았다.Typically, a desk is a piece of furniture used for office work or reading, with a top plate, a leg, and a drawer. From the past, the desk was a pretext for a pedestal, but it was not long ago that it was in the form of a desk for today.

그리고, 책상에는 좌식책상과 입식책상이 있다. 좌식은 전통적인 한옥 온돌방용의 독서 필기용이다. 입식은 의자(또는 걸상)와 한 조가 되는 것으로, 보통책상(또는 평책상), 쪽소매책상, 양소매책상, 타자용 책상, 컴퓨터용 책상 등이 있다. And there is a desk and a western table on the desk. The sitting room is for reading writing for a traditional Korean oven room. Standing is a pair of chairs (or stools), usually a desk (or flat desk), a side sleeve desk, a sleeveless desk, a typing desk, and a computer desk.

재료에 따른 구분으로는 목제책상, 철제책상, 목금 혼합책상 등이 있다. 책상의 치수 가운데 기능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이이다.Classifications according to materials include wooden desk, iron desk, and wood mixing desk. Functionally,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the desk is the height.

아울러, 책상높이는 의자의 좌면으로부터 재는 것이 합리적이고, 좌면에서 책상 윗면까지의 거리를 차척이라고도 한다.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desk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and the distance from the seating surface to the top surface of the desk is also referred to as the following.

이러한, 책상은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장시간 앉은 자세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하체의 약화, 허리 디스크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Although the desk is fixed in height,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chair. However, if the user performs the work in the sitting posi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lower body may be weakened and the waist disk may be caus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 출원한 높이조절 책상은 스핀들축과 일직선상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핀들축이 회전되면서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esk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control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tor on a straight line with the spindle axis,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desk while rotating the spindle axis by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2010-0001413호(2010.01.06.)에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height adjustable desk"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1413 (2010.01.06.).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승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ing tab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top plate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such as a user's physical condition, work in an upright state, and work in a sitting stat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작동부를 모듈화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상판의 유동없는 승강에 의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tabl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maintenance by modularizing the lifting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n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by lifting the top plate without flow.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내에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로부터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a leg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from a bottom surface, an elev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eg portion for elevating the upper plate from the leg portion, and an elevating operation portion for operating the elev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levating support portion and the elevating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fram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le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support frame, the elevating support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스크류를 감싸는 승강안내관 및 상기 승강안내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guide tube surrounding the screw and the support block coupled to the lifting guide tube and engaged with the screw.

또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power apply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unit to the screw.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l gear fo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uni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ew.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기어박스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박스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ccommodated in the gearbox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the gearbox is divided into both sides, the interior of the gear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formed.

또한, 상기 레그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eg portion, the lift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made of a pai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ter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bar.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은 승강작동부의 단순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The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the work in the upright state, and the work in the sitting state by the simpl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작동부를 모듈화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odularizes the lifting operation par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and has an effect of easy replacement and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부에 의해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curately operated by the elevating guide portion when the upper plate ascend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noise by the flow preventing member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작동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levating part of the lif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of the lif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lifting operation unit of the lif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lev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작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finition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portion of the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ft unit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ft operation unit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lift operation of a lif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show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100)은 상판(110), 레그부(120), 승강부(130) 및 승강작동부(180)를 포함한다.1 to 8, the lifting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110, a leg part 120, a lifting unit 130, and a lifting operation unit 180.

상판(110)은 물품을 올려둘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목재,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The upper plate 1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on which an article can be placed, and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a circular shape, and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and steel.

레그부(120)는 상판(110)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판(110)의 일정 높이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레그부(120)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122) 및 받침부(122)로부터 상부로 기립 형성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24)를 포함한다.The leg portion 120 supports the top plate 110 from the bottom surface and maintains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top plate 110. [ The leg portion 120 includes a support portion 122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and a support portion 124 formed upwardly from the support portion 122 to support the top plate 110.

승강부(130)는 레그부(120)내에 구비되어 레그부(120)로부터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승강부(130)는 상판(1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40)과, 레그부(120)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150) 및 승강지지부(150)와 치합되고, 지지프레임(140)과 결합되며, 승강지지부(150)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을 승강시키는 스크류(160)를 포함한다.The lift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leg unit 120 to elevate the upper plate 110 from the leg unit 120. The lifting unit 13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frame 14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10, the lifting support 150 and the lifting support 1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leg 120, and the support frame ( It is coupled to the 140, it is provid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support unit 150 includes a screw 160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140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80.

지지프레임(14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동력전달부(184)가 수용되는 케이스(142)와 케이스(142)에 결합되고, 상판(110)을 지지하도록 나란하게 구비되는 지지바(144) 및 지지바(144)에 각각 결합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46)을 포함한다.The support frame 140 is coupled to the case 142 and the case 142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2, is supported, and is provided side by side to support the upper plate 110. And a support bracket 146 coupled to the support 144 and the support bar 144 to support the upper plate 110.

승강지지부(150)는 스크류(160)를 감싸는 승강안내관(152) 및 승강안내관(152)에 결합되어 스크류(160)와 치합되는 지지블럭(154)을 포함한다. 지지블럭(154)은 승강안내관(15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스크류(160)와 치합되어 스크류(160)의 회전 시 지지블럭(154)에 지지되어 스크류(160)가 승강된다.The elevating support part 150 includes an elevating guide tube 152 surrounding the screw 160 and a supporting block 154 coupled to the elevating guide tube 152 and engaged with the screw 160. The support block 15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guide tube 152 and engaged with the screw 160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154 when the screw 160 is rotated so that the screw 160 is elevated.

이때, 스크류(160)의 하단에는 승강안내관(152)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62)가 구비된다. 제1유동방지부재(162)는 합성수지재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안내관(152)의 내측면에 접하므로써, 스크류(160)의 상승 시 스크류(160)가 직선으로 이동되게 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crew 160 is provided with a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16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tube 152.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162 is made of a spherical shap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pipe 152, so that the screw 160 is moved in a straight line when the screw 160 is raised, thereby preventing flow Noise can be suppressed.

승강부(130)는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한 상판(110)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는 승강가이드부(170)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부(170)는 레그부(120)의 둘레를 감싸고, 지지프레임(140)에 연결되는 가이드하우징(172) 및 가이드하우징(172)과 레그부(120)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가이드하우징(172)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175)를 포함한다.The lifting unit 130 includes a lifting guide unit 170 that prevents flow when the upper plate 110 is lif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80 as shown in FIG. 5 or 6. The lifting guide part 170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leg part 120 and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guide housing 172 and the guide housing 172 and the leg part 12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40. The guide rail portion 175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172 is included.

가이드레일부(175)는 지지부(124)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부(176) 및 레일홈부(176)에 수용되도록 가이드하우징(17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돌기부(17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판(110)의 승강 시 지지프레임(140)에 연결되는 가이드하우징(172)은 승강하게 되는데, 가이드레일부(175)를 따라 직선으로 안내된다.The guide rail portion 175 is a rail groove portion 177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using 172 to be accommodated in the rail groove portion 176 and the rail groove portion 17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4. It includes. Therefore, the guide housing 172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40 when the upper plate 110 is raised and lowered, is guid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rail portion 175.

이때, 지지부(124)와 가이드하우징(172) 사이에는 가이드하우징(172)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재(173)가 더 구비된다. 제2유동방지부재(173)는 지지부(124)와 가이드하우징(172)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가이드하우징(172)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24)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In this case, a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173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124 and the guide housing 172 to prevent flow when the guide housing 172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173 prevents the flow of the guide housing 172 by minimiz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support 124 and the guide housing 172, and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24.

그리고, 스크류(160)의 승강 시 가이드하우징(172)에 의해 커버되므로 스크류(1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crew 160 is covered by the guide housing 172 at the time of lifting, the screw 16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does not affect the aesthetics.

승강작동부(180)는 승강부(1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182) 및 동력인가부(182)의 동력을 스크류(16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84)를 포함한다. 동력인가부(182)는 동력전달부(184)와 축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핸들로 이루어진다. 조작핸들은 축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물론, 동력전달부(184)는 스크류(160)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ifting operation unit 180 operates the lifting unit 130, and transmits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unit 182 and the power applying unit 182 rotatably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40 to the screw 160.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184. The power applying unit 182 is axial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and consists of a manipulation handle that protrudes out of the support frame 140. The operating handle is formed eccentrically from the shaft. Of cours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may be made of a drive motor that can directly rotate the screw 160.

동력전달부(184)는 동력인가부(182)의 동력을 스크류(16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다. 즉, 동력인가부(182)의 회전을 스크류(160)의 회전으로 변환시키고 스크류(160)는 회전되어 치합된 지지블럭(154)에 의해 승강되므로 상판(110)을 승강시킨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formed of a bevel gear fo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unit 182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crew 160. That is, the rotation of the power applying unit 182 is converted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160 and the screw 160 is elevated by the support block 154 is rotated and engaged to elevate the top plate 110.

동력전달부(184)는 기어박스(190)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40)에 고정되고, 기어박스(190)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며, 기어박스(190)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184)가 수용되는 수용홈(192)이 형성된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84)인 베벨기어가 수용홈(192)에 수용되어 기어박스(190) 내부에 구비되고, 기어박스(190)는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는 기어박스(19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동력전달부(18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accommodated in the gear box 190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40, the gear box 190 is divided into both side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nside the gear box 190. The receiving groove 192 is accommodated is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bevel gear, which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92 and provided inside the gear box 190, and the gear box 190 is open at both sides to open the inside. It is divided into and formed. This facilitates the opening of the gearbox 190, thereby making it easy to maintain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그리고, 지지프레임(140)에는 케이스(142)가 구비되는데, 기어박스(190)는 케이스(142)에 수용된다. 케이스(142)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기어박스(190)를 수용하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기어박스(190)를 고정한다.And, the support frame 140 is provided with a case 142, the gear box 19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42. The case 142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upper portion to accommodate the gear box 190, and fixes the gear box 19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상기한 레그부(120), 승강부(130) 및 동력전달부(18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판(110)의 양측으로 각각 지지한다. 이때, 동력전달부(184)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즉, 동력전달부(184)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동력인가부(182)인 조작핸들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The leg unit 120, the lifting unit 13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composed of a pai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top plate 1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interconnec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bar.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interconnec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bar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which is the power applying unit 182.

그리고, 한 쌍의 동력전달부(184)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각각의 레그부(120) 내부에 마련되는 스크류(16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동일한 스크류(16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pair of power transmission units 184 ar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This allows the screw 160 provided inside each leg portion 120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same screw 160 can be used.

한편, 지지프레임(140)의 케이스(142)는 분리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승강작동부(180)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를 살펴보면, 케이스(142)로부터 지지바(144)를 분리하면, 상판(110)과 함께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승강조작부의 교체가 용이하다. 즉, 케이스(142)를 포함한 승강작동부(180)가 승강부(130)와 별도로 모듈화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142 of the support frame 140 is removabl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80. Looking at this, by separating the support bar 144 from the case 142, it can be separated with the top plate 110, by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replace the lifting operation unit. That is, the lifting operation unit 180 including the case 142 is modularized separately from the lifting unit 130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lif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판(110)은 레그부(120)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 높이를 유지된다. 그리고, 레그부(120)의 내부에는 승강부(130)가 구비되고, 승강부(130)는 승강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upper plate 110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s 120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In addition, the leg part 1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part 130, and the lifting part 130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110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part 180.

승강부(130)는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0)과, 레그부(120) 내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150) 및 승강지지부(150)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60)로 이루어져 스크류(160)의 회전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을 승강시킴으로써,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30 is screwed to the elevating unit 160 by being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support frame 140 supporting the upper plate 110, the elevating support unit 150 and the elevating support unit 150 provided in the leg unit 120. ) By lifting the support frame 14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160,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upper plate (110).

승강작동부(180)는 조작핸들로 이루어지는 동력인가부(182)와 동력인가부(182)의 회전을 스크류(160)의 회전으로 전달하도록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184)로 이루어진다.Lifting operation unit 180 is composed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184 consisting of a bevel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power applying unit 182 and the power applying unit 182 made of the operation handle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160.

상판(110)이 지지되는 레그부(120)는 상판(110)의 저면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레그부(120)에는 승강부(130)와 동력전달부(184)가 구비되어 상판(110)의 양측으로 지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leg part 120 on which the top plate 110 is supported is provided at the bottom edge of the top plate 110, and each leg part 1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part 130 and a power transmission part 184. By raising and lowering on both sides of 110, it can raise and lower more stably.

동력전달부(184)는 기어박스(190) 내의 수용홈(192)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물질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90)는 양측으로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동력전달부(184)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92 in the gearbox 190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can prevent damage due to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gearbox 190 has a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both sides has the effect of easy maintenan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특히, 지지프레임(140)은 상판(110)의 저면 양측에 마련되는 케이스(142)와,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바(144) 및 지지브라켓(146)으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스(142)에는 기어박스(190)가 구비되고, 케이스(142)는 지지바(144)와의 분리에 의해 상판(110)과 분리될 수 있어 승강작동부(180)는 케이스(142)에 의해 모듈화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In particular, the support frame 140 is composed of a case 14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a support bar 144 and a support bracket 146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10, the case 142 The gear box 190 is provided, the case 142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0 by the separation with the support bar 144, elevating operation unit 180 is modularized by the case 142 maintenance And easy to replace.

또한,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184)는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므로, 각각의 레그부(120)에 구비되는 스크류(160)는 동일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made of a bevel gear is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the screw 160 provided in each leg 120 may use the same component.

이후, 상판(110)의 승강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인가부(182)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184)에 의해 스크류(160)가 회전되게 되고, 스크류(160)는 지지블럭(154)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승강안내관(152)으로부터 승강되어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Then, looking 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top plate 110 as follows.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110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such as physical conditions or work in the upright state, the work in the seated state, as shown in FIG. The screw 160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84 made of a bevel gear, and the screw 16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block 154 so that the screw 160 is elevated from the lifting guide tube 152 to lift the upper plate 110. Elevate.

이때, 스크류(160)의 하단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안내관(152)의 내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62)가 구비되어 스크류(160)는 유동없이 승강될 수 있으며, 스크류(160)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crew 160 is provided with a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16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tube 152 as shown in Figure 4, the screw 160 can be elevated without flow, screw Noise caused by the flow of the 160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판(110)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부(17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즉,상판(110)의 승강에 따라 가이드하우징(172) 또한 상승하게 되는데, 지지부(12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레일홈부(176)에 가이드하우징(172)의 레일돌기부(177)가 수용되어 안내되므로 가이드하우징(172)에 의해 상판(110)은 유동없이 원활히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4)의 외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제2유동방지부재(173)에 의해 지지부(124)와 가이드하우징(172)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므로 흔들림 없는 승강이 가능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of the upper plate 110 is more stable by the elevating guide unit 170. That is, the guide housing 172 also rises as the upper plate 110 moves up and down, and the rail protrusion 177 of the guide housing 172 is accommodated in the rail groove 176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24. Since the guide plate 172 guides the upper plate 110 can be smoothly lifted vertically without flow. At this time, since the clear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124 and the guide housing 172 is minimized by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173 provided at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part 124, the lifting and lowering without shaking is possible, and noise can be suppressed.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의하면, 승강작동부의 단순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승강작동부를 모듈화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판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부에 의해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the work in the upright state, And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is modularized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Accurat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elevation guide unit when the upper plate is lifted and lowered, noise can be suppressed by the flow prevention memb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승강 테이블 110 : 상판
120 : 레그부 122 : 받침부
124 : 지지부 130 : 승강부
140 : 지지프레임 142 : 케이스
144 : 지지바 146 : 지지브라켓
150 : 승강지지부 152 : 승강안내관
154 : 지지블럭 160 : 스크류
162 : 제1유동방지부재 170 : 승강가이드부
172 : 가이드하우징 173 : 제2유동방지부재
175 : 가이드레일부 176 : 레일홈부
177 : 레일돌기부 180 : 승강작동부
182 : 동력인가부 184 : 동력전달부
190 : 기어박스 192 : 수용홈
100: lift table 110: top plate
120: leg portion 122:
124: Support part 130:
140: support frame 142: case
144: support bar 146: support bracket
150: lifting support 152: lifting guide
154: support block 160: screw
162: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170: lifting guide portion
172: guide housing 173: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175: guide rail portion 176: rail groove portion
177: rail protrusion 180: lifting operation
182: power supply unit 184: power transmission unit
190: gearbox 192: receiving groove

Claims (7)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내에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로부터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스크류를 감싸는 승강안내관; 및
상기 승강안내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승강안내관의 상단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기어박스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승강작동부가 수용되는 한 쌍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A top plate, a leg portion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from a bottom surface, a lif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eg portion for lifting the top plate from the leg portion, and a lifting operation portion for operating the lifting portion;
Wherei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fram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lifting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leg portion; And
And a screw engaged with the lifting support and coupled with the support frame, the screw being provided inside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support to lift the support frame by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part;
The elevating support part is an elevating guide tube surrounding the screw; And
A support block coupled to the lift guide tube and engaged with the screw;
The lifting operation unit includes a power apply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portion to the screw;
The support block is detach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guide tub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ceived in a gearbox an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air of cases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part is accommodated;
The eleva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is modularized by the c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 bevel gear fo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applying unit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e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gearbox is divided into two sides;
Lift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gearbox for recei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leg portion, the lifting por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re formed in a pair;
Lift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inter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bar.
KR1020130094784A 2013-08-09 2013-08-09 Ltft-down table KR101386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84A KR101386072B1 (en) 2013-08-09 2013-08-09 Ltft-down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84A KR101386072B1 (en) 2013-08-09 2013-08-09 Ltft-down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072B1 true KR101386072B1 (en) 2014-04-29

Family

ID=5065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784A KR101386072B1 (en) 2013-08-09 2013-08-09 Ltft-down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07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6B1 (en) * 2015-02-17 2015-08-06 장근대 Desk
KR20160058560A (en) * 2014-11-17 2016-05-25 장근대 Lift table
KR20160058559A (en) * 2014-11-17 2016-05-25 장근대 Lift table
JP2019042471A (en)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ダルトン Elevating work plat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21B1 (en)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21B1 (en) 2007-11-22 2008-01-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560A (en) * 2014-11-17 2016-05-25 장근대 Lift table
KR20160058559A (en) * 2014-11-17 2016-05-25 장근대 Lift table
KR101666281B1 (en) * 2014-11-17 2016-10-24 장근대 Lift table
KR101688694B1 (en) * 2014-11-17 2016-12-22 장근대 Lift table
KR101542716B1 (en) * 2015-02-17 2015-08-06 장근대 Desk
JP2019042471A (en)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ダルトン Elevating work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072B1 (en) Ltft-down table
KR20150101797A (en) Height adjustable desk
US10555602B1 (en) Height-adjustable table
KR20100001413A (en) Level control desk
CN209090377U (en) Integrated tables and chairs height and distance adjusting means
CN108836686A (en) A kind of infant care case apparatus
KR101688694B1 (en) Lift table
CN106820658A (en) A kind of concealed cosmetics cabinet with adjustable mirror
KR100932729B1 (en) Work table having hight adjustment function
KR101386083B1 (en) Ltft-down table
KR101394645B1 (en) Left-down table
KR101666281B1 (en) Lift table
CN205093812U (en) Intelligent desk of improvement structure
CN205321670U (en) Multifunctional computer desk
KR101409995B1 (en) Left-down table
CN206808952U (en) A kind of lift tray carriage
US20230000244A1 (en) Liftable table leg and liftable table
CN216019857U (en) Height-adjustable's multi-functional student desk
CN104654366A (en) Height-adjustable stove
CN212497075U (en) Grinding device is used in processing of wardrobe shoe cabinet
CN108383054A (en) It is a kind of building, Decoration Design lift work platform
CN210643706U (en) Intelligent purification water dispenser
CN201515808U (en) Lifting table
CN206357357U (en) A kind of woodwork saws platform structure
CN208640113U (en) A kind of hotel's bed being conveniently replaceabl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