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622B1 -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622B1
KR101385622B1 KR1020120127529A KR20120127529A KR101385622B1 KR 101385622 B1 KR101385622 B1 KR 101385622B1 KR 1020120127529 A KR1020120127529 A KR 1020120127529A KR 20120127529 A KR20120127529 A KR 20120127529A KR 101385622 B1 KR101385622 B1 KR 10138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
aptitude
area
test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희
박상용
조명환
장동현
김흥열
문승현
김희동
박영로
최규성
성해용
Original Assignee
이광희
박상용
조명환
장동현
성해용
김희동
박영로
최규성
김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박상용, 조명환, 장동현, 성해용, 김희동, 박영로, 최규성, 김흥열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102012012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esting an art aptitude via on-line, comprising the steps of: performing an art aptitude test for an applicant through an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or by area divided into: an organization area for discovering a spacial organization ability through arrangement among objects, a tense relationship detecting ability, and an eye flow ability through composition; a shade/light/space area for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light/shade and a shadow, and discovering compatibility between plane and three-dimension; a color area for discovering analytical skills distinguishing colors, change-detecting sensitivity and emotional effects; a visual perception area for discovering a shape ability through decomposition of three-dimension and sides, an inferring ability through surrounding objects, and an agility ability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nd inspiration/intuition area for discovering artwork appreciation ability through linguistic expression for inferring similarity in shape; and notifying the test result of the art aptitude test performed by area through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or by calculating by each area or notifying the final art aptitud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pecific problems wherein images and the like are used by area divided in order to determine the art aptitude, and calculates the art aptitud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nt by area based on a user′s selection (or input) values on the problems provided, and then notifies the art aptitud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nt, and thereby, allowing the applicant for the art aptitude test not to be bored or distracted so as to effectively perform the test effectively.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x) personal information: gender, age, area, whether or not to have art educ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route; (CC) Ex) test example; (DD) Organization area test; (EE) Shade/light/space area test; (FF) Color area test; (GG) Visual perception area test; (HH) Inspiration/intuition area test; (II) End; (S201) Input personal information; (S202) Test an art aptitude; (S203) Calculate a result of the art aptitude; (S204) Display on a screen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 등이 사용된 특정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해 그 결과를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주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esting the art aptitude on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determined areas (eg, constituent areas,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s, color gamuts, visual perceptions) di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art aptitude is determined. Area, inspiration / intuitive area) and provide a specific problem using an image, and calculate the candidate's artistic aptitude for each area based on the user selection (or input) value for the provided problem. It is about an online aptitude test method that informs the candidate.

일반적인 적성검사는 한 사람이 장래의 훈련을 통해 지적·운동적인 것 등 몇 가지 구체적인 반응양식을 터득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지표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 검사는 개인마다 특수한 능력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를 통해 그들이 나중에 어떤 성과를 달성할 것인가 예견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A general aptitude test is intended to give an indication of a person's ability to learn some specific forms of reaction, such as intellectual and athletic, through future training. This test assumes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specific abilities allow them to predict what outcomes they will achieve later.

한편,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적성검사들은 오프라인상에서 종이 문제지로 적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적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se various types of aptitude tests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evaluating aptitude as a paper problem paper offline and a method of checking one's aptitude anytime and anywhere online.

그러나, 전자의 경우나 후자의 경우 모두 결국 글자 체계로 문서화된, 문제유형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문제의 개수 또한 상당하다.However, both the former and latter cases provide a problem type, eventually documented in a letter system, and the number of problems is substantial.

적성검사의 대상에 유아, 초중생이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글자체계로 문서화된 문제가 제공되는 적성검사를 하면서, 지루해 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빈번하다.Given that infant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cluded in the aptitude test, they are often bored or distracted during the aptitude test, which provides a written system of written problems.

이는 상기 적성검사 대상자가 검사 도중 참여를 그만두거나, 자신에 맞지 않는 답을 적어내는 경우로 이어져 적성검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This leads to a case in which the aptitude test subject stops participating in the test or writes out an answer that is not appropriate to the aptitude test, thereby preventing the aptitude test from function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적성 테스트 특히, 미술 적성 테스트를 응시자가 지루해 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n aptitude test method, which enables the test of the aptitude test, in particular, the art aptitude test, to be performed effectively without the test subject being bored or distracted. There is a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은,Online art aptitude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해 온라인으로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테스트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미리 구분된 소정의 미술 적성 영역별로 응시자의 미술 적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미술 적성 영역별로 수행한 미술적성검사의 검사결과를 상기 각 미술 적성 영역별로 산출하여 알려주거나,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최종 미술 적성 여부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미술 적성 영역은 사물 간의 배치를 통한 제1 공간 구성력 영역, 빛/명암의 방향에 따라 공간을 파악하는 제2 명암/빛/공간 영역, 색에 따른 감수성을 파악하기 위한 제3 색채감 영역, 주변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발력을 파악하기 위한 제4 시지각 영역 및, 형태의 유사성 유추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을 파악하기 위한 제5 영감/직관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sting whether a candidate's art aptitude is online using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pre-divided Performing the art aptitude test of the candidate for each predetermined art aptitude area, and calculating the test result of the art aptitude test performed for each art aptitude area by calculating each of the art aptitude areas or informing the test result calculated for each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final art aptitude is based on a result, wherein the art aptitude area identifies the spa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atial constituent force and light / contrast through the arrangement between objects. A second contrast / light / spatial region, a third chromatic region for grasping sensitivity according to color, And at least one of a fourth visual perception region for grasping quickness for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a fifth inspiration / intuition region for grasping the work appreciation through the analogy inference of form. It is don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구성력 영역은 사물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력, 황금 비례와 사물 외곽 간의 긴장관계 파악능력, 소정의 설정 이미지 잘라내기를 통한 화면구성력, 화면 내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compositional force region is a spatial compositional force through the arrangement of objects, the ability to grasp the ten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golden pro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bject, the screen compositional power by cutting a predetermined set image, the ability to grasp the flow of the ey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apabilities.

그리고, 상기 제2 명암/빛/공간 영역은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감수성,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는 명암 감수성, 2차원의 평면과 3차원의 입체 간의 호환성 찾기 능력, 공간에서 물체의 중첩을 인지하는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contrast / light / spatial region has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direction and shadow, contrast sensitivity for detecting a change in contrast, ability to find compatibility between two-dimensional planes and three-dimensional solids, and objects in space. And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grasp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patial perceptual forces for recognizing the overlap of.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색채감 영역은 형태나 색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색을 구분할 수 있는 색채 분석력, 색의 명암 변화를 감지하는 색채 감수성, 색의 온도에 대한 감수성, 색채의 감정 효과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third color gamut is at least any one of color analysis ability capable of distinguishing color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shape or color, color sensitivity for detecting a change in color contrast, sensitivity to color temperature, and emotional effect ability of col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one or more.

그리고, 상기 제4 시지각 영역은 입체와 면을 선으로 해체하는 작업을 통한 형태력, 주변 사물과의 연계를 통한 추론력, 실제 형태와 빈 공간을 통한 형태 파악 능력, 사물의 특징과 동세를 파악하는 순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ourth visual perception region is characterized by the form power through the work of dismantling the three-dimensional and the plane by the line, the reasoning power through the linkage with the surrounding objects, the ability to grasp the shape through the actual form and the empty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behavior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wits to grasp.

바람직하게, 상기 제5 영감/직관 영역은 작가의 창작 동기를 추측하는 작품 찾기 능력, 형태의 유사성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력,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 시각을 통해 판단되는 정보를 촉각으로 환원하는 공감각력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fth inspiration / intuition area has a work finding ability inferring the author's creative motive, idea thinking through similarity of form, work appreciation through language expression, and synesthesia for reducing information judged through vision to tactile sen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그리고, 상기 미술적성여부를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각 영역별 수준(level)과 대표직업 정보, 각 영역별 응시자 평균값과 해당 응시자 본인의 영역별 획득한 값 간의 비교 정보, 적성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멘토로 삼아 볼 수 있는 유명인사 및 디자이너에 대한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notifying whether the artistic aptitude is calculated based on the level and the representative job information for each area, the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the test taker average value for each area and the values obtained for each area of the test taker and the aptitude test result.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information for celebrities and designers can be seen as a men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forms you.

바람직하게, 상기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평균 성적을 산출하는 통계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성별, 나이, 지역, 미술교육경험 유/무, 참여경로를 포함한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before the performing the artistic aptitude test, the individual including the gender, age, region, art educ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path for use by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s statistical data for calculating the average gra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 등이 사용된 특정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해 그 결과를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미술 적성 테스트를 응시자가 지루해 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cular problem in which an image is us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eg, constituent power area, contrast / light / space area, color gamut, visual perception area, inspiration / intuition area) divided to determine the candidate's artistic aptitude. The candidate's boredom in the art aptitude test by calculating the candidate's art aptitude for each area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input) value of the provided problem and informing the candidate of the result. You can do this effectively without getting distra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미술적성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미술적성테스트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입력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UI(User Interface)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력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을 순서대로 도식화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명암/빛/공간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을 순서대로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적성검사 결과를 도식화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online art aptitude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in sequence the art aptitude test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UI) showing an example of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erforming art aptitude test for a constitutional forc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hrough 5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rt aptitude test for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sults of the artistic aptitud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similar por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ncludes a constituent, it is intended that the inclusion of the other constituent (s)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미술적성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art aptitude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크게, 미술적성검사 응시자 단말기(예: PC)(100-1~100-3, ... )와,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가 사용된 문제를 설정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 값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로부터 입력받아 그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이 경우,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에 대한 최종 적성 여부 산출도 가능함)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를 통해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주는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n art aptitude test taker terminal (eg, PC) 100-1 to 100 -3 and ...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st candidate's art aptitude is determined. The problem that the image is used for each area (eg, constituent area,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color gamut, visual perception area, inspiration / intuition area) of the examinee terminal 100-1 to 100- 3, ...), and receives the user selection value for the provided problem from the candidate terminal (100-1 ~ 100-3, ...) based on the value of the candidate's art aptitude Calculation for each area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final aptitude for the candidate's art based on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area) and the result of the candidate terminal (100-1 ~ 100-3, ..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1 to notify the candidate through the It is made of a structure.

여기서,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에 연결된 미술적성검사 응시자의 단말기(예: PC,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로,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가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 등이 사용된 특정 문제들을 제공한 경우, 상기 제공된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받아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는 이렇게 전송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산출하게 된다.Here, the test taker terminal (100-1 ~ 100-3, ...) is a terminal of the art aptitude test candidate connected to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1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PC, smart phone, Tablet PC, etc.), wherein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divides a predetermined area (eg, a composition power area, a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a color gamut, a visual perception area) for discriminating the candidate's art aptitude. In the case of providing specific problems using images, etc. for each inspiration / intuition area, the artistry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receives a user selection (or input) value for the provided problems according to a user key manipulation. Will be sent.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calculates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art aptitude is based on the user selection (or input) value transmitted in this way.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는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로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가 사용된 특정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이 경우,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에 대한 최종 적성 여부 산출도 가능함)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를 통해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즉,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는 사물 간의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 능력과 긴장 관계 파악 능력 및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구성력 영역, 빛/명암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 파악과 평면과 입체 간의 호환성을 파악하기 위한 명암/빛/공간 영역, 색을 구분할 수 있는 분석력과 변화를 감지하는 감수성 및 감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색채감 영역, 입체와 면의 해체를 통한 형태력과 주변 사물을 통한 추론력 및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발력을 파악하기 위한 시지각 영역 및, 형태의 유사성 유추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을 파악하기 위한 영감/직관 영역별로 나누어 응시자의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은 사물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문제와, 황금 비례와 사물 외곽 간의 긴장관계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그리고, 소정의 설정 이미지 잘라내기를 통한 화면구성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및, 화면 내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능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각 문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로 제공한 다음, 해당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100-1~100-3, ... )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또는, 입력)하면(이 경우, 각 문제별로 차등적으로 점수가 설정된 여러 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사용자는 그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임), 선택된 보기에 주어진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적성검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점수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성력 영역의 수준(level)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직업(예: 편집 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실내 디자이너 등) 정보, 그리고, 상기 구성력 영역의 응시자 평균값과 해당 응시자 본인의 구성력 영역에서 획득한 값 간의 비교 정보(이 경우 그래프나 수치 비교표로 제공가능함), 상기 구성력 영역과 타 영역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멘토로 삼아 볼 수 있는 유명인사 및 디자이너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영역별로 미술 적성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명암/빛/공간 영역은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감수성,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는 명암 감수성, 2차원의 평면과 3차원의 입체 간의 호환성 찾기 능력, 공간에서 물체의 중첩을 인지하는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색채감 영역은 형태나 색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색을 구분할 수 있는 색채 분석력, 색의 명암 변화를 감지하는 색채 감수성, 색의 온도에 대한 감수성, 색채의 감정 효과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시지각 영역은 입체와 면을 선으로 해체하는 작업을 통한 형태력, 주변 사물과의 연계를 통한 추론력, 실제 형태와 빈 공간을 통한 형태 파악 능력, 사물의 특징과 동세를 파악하는 순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영감/직관 영역은 작가의 창작 동기를 추측하는 작품 찾기 능력, 형태의 유사성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력,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 시각을 통해 판단되는 정보를 촉각으로 환원하는 공감각력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 한편,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101)가 평균 성적을 산출하는 통계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성별, 나이, 지역, 미술교육경험 유/무, 참여경로를 포함한 응시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is a predetermined area (eg, constituent area, contrast / light /) divided by the test taker terminals 100-1 to 100-3, ... Provides a specific problem in which an image is used for each of a spatial area, a color gamut, a visual perception area, an inspiration / intuition area, and provides a specific problem inputted through the candidate terminal 100-1 to 100-3. Calculate the candidate's art aptitude for each of the areas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input) valu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final aptitude for the candidate's art based on the score calculated for each area). The result is to inform the candidate through the candidate terminal 100-1 to 100-3, ...). That is,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is a compositional force area for grasping spatial compositional ability and tension relationship through arrangement between objects and flow ability of gaze through compos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light / contrast and shadow Contrast / light / space area to grasp and grasp compatibility between plane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ability to distinguish color, sensitivity area to detect change and color area to grasp emotion effect, form power through disassembly of three-dimensional and face Examine the candidate's artistic aptitude by dividing the visual perception area to grasp the reasoning power through the surrounding objects and the quicknes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the inspiration / intuition area to grasp the appreciation power through the expression of similarity of form. do. For example, the method of performing an artistic aptitude test on the constitutive force area may include a problem provided to know spatial compositional power through the arrangement of objects, a problem provided to grasp the tension relation ability between the golden pro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object, and Candidate's terminal (100-1) in order of the problems provided to grasp the screen composition power by cropping the setting image, and each problem provided to know the ability to grasp the flow of the ey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n a predetermined order ~ 100-3, ...), and then the candidate selects (or enters) one of the examples of problems provided through the candidate terminal 100-1 to 100-3, ... (In this case, you will be given multiple views with different scores for each question, and the user will choose one of those views.) Based on the score given to the selected view An aptitude test result for the component force area is provided.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level of the constituent power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an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occupations (eg, an editor designer, an advertisement designer, an interior designer, etc.), and an average value of the test taker and the candidate Recommendations for celebrities and designers that can be used as mentors based on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values obtained in your own constituency area (in this case, available as graphs or numerical comparison tables), and test results of the constituent areas and other area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thus able to examine the aptitude of the art for each area and provide the result. The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has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direction and shadow, contrast sensitivity for detecting changes in contrast, ability to find compatibility between two-dimensional planes and three-dimensional solids, and recognition of object overlap in space.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patial perception force. In addition, the color gamut detects at least one of color analysis ability capable of distinguishing colors without being affected by shape or color, color sensitivity detecting color contrast, sensitivity to color temperature, and emotional effect ability of color.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In addition, the visual perception area has the form power through the work of dismantling the three-dimensional and the plane by the line, the reasoning power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objects, the ability to grasp the shape through the actual form and the empty space, and the quicknes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grasp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The inspiration / intuition area is at least one of the ability to find a work to guess the artist's motivation, creative idea through form similarity, work appreciation through language expression, and synesthesia to reduce the information judged by visual sense. It consists of detailed inspection areas to identify one or more. On the other hand, before performing the art aptitude test, the candidate including the gender, age, region, art educ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path for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1 to use as statistical data for calculating the average grade You can also enter your personal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미술적성테스트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order of the art aptitude test through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평균 성적을 산출하는 통계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성별, 나이, 지역, 미술교육경험 유/무, 참여 경로를 포함한 응시자의 개인 정보를 해당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다(S201).
As shown in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erforming the art aptitude test,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use as statistical data for calculating the average grade, gender, age, region, art education experience No, the candidat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participation path is input from the candidate's terminal (S201).

다음,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응시자 단말기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가 사용된 특정 문제를 설정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여 미술 적성 여부 검사를 수행한다(S202). Next, a predetermined area (eg, compositional power area,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color gamut, visual perception area, inspiration / intuition) that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vid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art aptitude is used by the candidate terminal. The specific aptitude of the image is provided in order according to the setting order in order to perform the art aptitude test (S202).

그리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이 경우,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에 대한 최종 적성 여부 산출도 가능함)하여(S203), 그 결과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준다(S204).
And, based on the user selection (or input) value for the provided problem input through the test taker terminal, calculating whether or not the candidate's art aptitude for each area (in this case, based on the score calculated for each area)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final aptitude for the candidate's art) (S203), and informs the candidate of the result through the candidate terminal (S204).

즉,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는 사물 간의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 능력과 긴장 관계 파악 능력 및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구성력 영역, 빛/명암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 파악과 평면과 입체 간의 호환성을 파악하기 위한 명암/빛/공간 영역, 색을 구분할 수 있는 분석력과 변화를 감지하는 감수성 및 감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색채감 영역, 입체와 면의 해체를 통한 형태력과 주변 사물을 통한 추론력 및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발력을 파악하기 위한 시지각 영역 및, 형태의 유사성 유추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을 파악하기 위한 영감/직관 영역별로 나누어 응시자의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한다.
In other words,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a compositional power area for grasping the spatial composition ability and tension relationship through the arrangement between objects and the flow ability of the eye through the compos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light and contrast and shadow and the plane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s to check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stereoscopic and stereoscopic, analysis ability to distinguish color, color sensitivity to detect the sensitivity and emotion effect to detect changes, form power and objects through the disassembly of three-dimensional and faces Examine the artistic aptitude of the candidate by dividing the visual perception area to grasp the reasoning ability and the quicknes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the inspiration / intuition area to grasp the appreciation of the work through the expression of similarity of form.

예를 들어,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artistic aptitude test on the constitutional area is as follows.

즉, 사물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문제와, 황금 비례와 사물 외곽 간의 긴장관계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그리고, 소정의 설정 이미지 잘라내기를 통한 화면구성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및, 화면 내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능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각 문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응시자 단말기로 제공한 다음, 해당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또는, 입력)하면(이 경우, 각 문제별로 차등적으로 점수가 설정된 여러 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사용자는 그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임), 선택된 보기에 주어진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적성검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problem provided to know the spatial compositional power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 the problem provided to grasp the tension relation ability between the golden pro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object, and the screen configurable power through the predetermined setting image cropping Each problem provided to know the problem and the ability to grasp the flow of gaze through the on-screen composition is provided to the candidate terminal in order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then the candidates view the problems provided by the candidate terminal. If you select (or enter) any one of them (in this case, you will be given multiple views with different scores set for each question, and you will choose which one of those views). Based on the aptitude test results for the constitutional force area will be provided.

예를 들어, 상기 점수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성력 영역의 수준(level 1, level 2, level 3... )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직업(예: 편집 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실내 디자이너 등) 정보, 그리고, 상기 구성력 영역의 응시자들의 평균값과 해당 응시자 본인의 구성력 영역에서 획득한 값 간의 비교 정보(이 경우 그래프나 수치 비교표로 제공가능함), 상기 구성력 영역과 타 영역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멘토로 삼아 볼 수 있는 유명인사 및 디자이너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levels of constituent areas (level 1, level 2, level 3 ...) and their corresponding occupations (e.g., editorial designers, advertising designers, interior designers, etc.)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s, and Mentors calculated based on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the average values of the test takers in the constitutional force area and the values obtained in the test taker's own constituent areas (in this case, may be provided in a graph or a numerical comparison table), and the test results of the constituent areas and the other areas. It will provide you with recommendations for celebrities and designers.

본 발명은 이렇게 소정의 영역별로 미술 적성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thus examines the art aptitude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provides the result.

또 다른 예로, 명암/빛/공간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은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감수성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는 명암 감수성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2차원의 평면과 3차원의 입체 간의 호환성 찾기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 및, 공간에서 물체의 중첩을 인지하는 공간 지각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각 문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응시자 단말기로 제공한 다음, 해당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또는, 입력)하면(이 경우, 각 문제별로 차등적으로 점수가 설정된 여러 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사용자는 그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임), 선택된 보기에 주어진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명암/빛/공간 영역 영역에 대한 적성검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제공 양태는 전술한 구성력 영역의 제공 양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the method of performing artistic aptitude test on the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is provided to identify the sensitivity ability to det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rection and the shadow,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to detect the change in the contrast.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 provided to determin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ability, and each problem provided to grasp the spatial perceptual force to recognize the overlap of objects in the space in a predetermined order In order, and then, when the candidate selects (or enters) any of the views of the questions provided through the candidate's terminal (in this case, multiple views with different grades set for each question) And the user will select one of the views), based on the score given to the selected view It will provide aptitude test results for the light / space area. The providing aspect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viding aspect of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force region.

상기 방식은 나머지 타 영역(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타 영역의 구체적인 세부 검사 영역은 다음과 같다.
The above method is similarly applied to the other areas (color area, visual perception area, inspiration / intuition area), and the detailed inspection area of the other area is as follows.

상기 색채감 영역은 형태나 색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색을 구분할 수 있는 색채 분석력, 색의 명암 변화를 감지하는 색채 감수성, 색의 온도에 대한 감수성, 색채의 감정 효과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color gamut is to identify at least one or more of color analysis ability that can distinguish colors without being affected by shape or color, color sensitivity that detects a change in color contrast, sensitivity to color temperature, and emotional effect ability of color.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그리고, 시지각 영역은 입체와 면을 선으로 해체하는 작업을 통한 형태력, 주변 사물과의 연계를 통한 추론력, 실제 형태와 빈 공간을 통한 형태 파악 능력, 사물의 특징과 동세를 파악하는 순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In the visual perception area, form power through dismantling three-dimensional and faceted lines, reasoning power through linkage with surrounding objects, ability to grasp shape through actual form and empty space, and quickness to grasp features and movements of objects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grasp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또한, 영감/직관 영역은 작가의 창작 동기를 추측하는 작품 찾기 능력, 형태의 유사성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력,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 시각을 통해 판단되는 정보를 촉각으로 환원하는 공감각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inspiration / intuition area is at least one of the ability to find a work to guess the artist's motivation, creative idea through similarity of form, the appreciation of the work through language expression, and synesthesia to reduce the information judged by visual sense. It consists of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identifying abnormaliti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구분한 소정의 영역(예: 구성력 영역, 명암/빛/공간 영역, 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별로 이미지 등이 사용된 특정 문제를 설정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선택(또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해 그 결과를 해당 응시자에게 알려줌으로써(이 경우,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미술에 대한 최종 적성 여부 산출도 가능함), 미술 적성 테스트를 응시자가 지루해 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ag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areas (eg, constituent areas,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s, color gamuts, visual perception areas, inspiration / intuition areas) that are divided to determine the candidate's artistic aptitude. Provide specific questions in order according to the setting order, calculate the candidate's artistic aptitude for each area based on the user selection (or input) value for the provided problem, and inform the candidate (In this case, the final aptitude of the candidate's ar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area.), The art aptitude test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without the candidate getting bored or distrac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입력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UI(User Interface)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력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을 순서대로 도식화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UI) showing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erforming an art aptitude test for a constitution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명암/빛/공간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을 순서대로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적성검사 결과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5A to 5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rt aptitude tests for light / dark / spatial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rt aptitud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평균 성적을 산출하는 통계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성별, 나이, 지역, 미술교육경험 유/무, 참여 경로를 포함한 응시자의 개인 정보를 해당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다.As shown in FIG. 3, before the art aptitude test is performed,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be used as statistical data for calculating an average grade, gender, age, region, art education experience presence / absence, The candidat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participation path is input from the candidate'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는 사물 간의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 능력과 긴장 관계 파악 능력 및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구성력 영역, 빛/명암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 파악과 평면과 입체 간의 호환성을 파악하기 위한 명암/빛/공간 영역, 색을 구분할 수 있는 분석력과 변화를 감지하는 감수성 및 감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색채감 영역, 입체와 면의 해체를 통한 형태력과 주변 사물을 통한 추론력 및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발력을 파악하기 위한 시지각 영역 및, 형태의 유사성 유추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을 파악하기 위한 영감/직관 영역별로 나누어 응시자의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한다.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spatial composition ability and tension relation ability through the arrangement between objects and the composition power region, the direction of light / contrast and the shadow to grasp the flow ability of the eye through the composition and Contrast / light / spatial area to check the compatibility between plane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ability to distinguish color, sensitivity area to detect change, and color gamut to identify emotion effect, form power and object through disassembly of three-dimensional and face Examine the artistic aptitude of the candidate by dividing the visual perception area to grasp the reasoning power and the quicknes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the inspiration / intuition area to grasp the appreciation power through the expression of similarity of form.

예를 들어,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4a ~ 도 4d 참조).For exampl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artistic aptitude test for the constitutional force area is as follows (see FIGS. 4A to 4D).

즉, 사물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4a)와, 황금 비례와 사물 외곽 간의 긴장관계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4b), 그리고, 소정의 설정 이미지 잘라내기를 통한 화면구성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4c) 및, 화면 내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능력을 알기 위해 구비된 각 문제(도 4d)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응시자 단말기로 제공한 다음, 해당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또는, 입력)하면(이 경우, 각 문제별로 차등적으로 점수가 설정된 여러 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사용자는 그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임), 선택된 보기에 주어진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구성력 영역에 대한 적성검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problem (FIG. 4A) provided to know the spatial constituent power through the object arrangement, the problem provided to grasp the tension relation ability between the golden proportion and the object outline (FIG. 4B), and through a predetermined set of image cropping Each problem (FIG. 4D) provided to understand the screen composition ability (FIG. 4C) and the ability to grasp the flow of ey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to the candidate terminal in the order set in advance After providing, the candidate selects (or enters) any of the views of the questions provided through the candidate's terminal (in this case, a number of views with different grades for each question are given and the user views that view). In this case, the aptitude test result for the constitutional force area is provided based on a score given to the selected view.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수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성력 영역의 수준(level 1, level 2, level 3... )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직업(예: 편집 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실내 디자이너 등) 정보, 그리고, 상기 구성력 영역의 응시자들의 평균값과 해당 응시자 본인의 구성력 영역에서 획득한 값 간의 비교 정보(이 경우 그래프나 수치 비교표로 제공가능함), 상기 구성력 영역과 타 영역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멘토로 삼아 볼 수 있는 유명인사 및 디자이너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level of the compositional power area (level 1, level 2, level 3 ...)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and the corresponding occupations (e.g., editing designers, advertising designers) , Interior designers, etc.), and comparison information between the average values of the test takers in the constituent power area and the values obtained in the test taker's own power area (in this case, a graph or a numerical comparison table may be provided), and the test of the constituent power area and other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e mentors will provide recommendations for celebrities and designers.

본 발명은 이렇게 소정의 영역별로 미술 적성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thus examines the art aptitude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provides the result.

또 다른 예로, 명암/빛/공간 영역에 대한 미술적성검사 수행 방법(도 5a ~ 도 5d 참조)은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감수성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5a),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는 명암 감수성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5b), 2차원의 평면과 3차원의 입체 간의 호환성 찾기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문제(도 5c) 및, 공간에서 물체의 중첩을 인지하는 공간 지각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각 문제(도 5d)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응시자 단말기로 제공한 다음, 해당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또는, 입력)하면(이 경우, 각 문제별로 차등적으로 점수가 설정된 여러 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사용자는 그 보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임), 선택된 보기에 주어진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명암/빛/공간 영역 영역에 대한 적성검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제공 양태는 전술한 구성력 영역의 제공 양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artistic aptitude test on the contrast / light / spatial region (see FIGS. 5A to 5D) is a problem provided to identify a sensitivity of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light and shadow (FIG. 5A), Problems (FIG. 5B) provided to grasp the contrast sensitivity of detecting a change in contrast, problems provided to grasp the ability to find compatibility between two-dimensional planes and three-dimensional solids (FIG. 5C), and objects in space Each problem (FIG. 5D) provided to grasp spatial perceptual force for recognizing the superposition of is provided to the candidate terminal in order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then the candidate takes one of the examples of problems provided through the candidate terminal. When selected (or entered) (in this case, you are given multiple views with different scores for each question and the user will select one of those views) Groups will provide a fitness test results for the contrast / light / space area region based on the given point. The providing aspect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viding aspect of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force region.

상기 방식은 나머지 타 영역(색채감 영역, 시지각 영역, 영감/직관 영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same applies to the other areas (color area, visual perception area, inspiration / intuition are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 : 제1 응시자 단말기 100-2 : 제2 응시자 단말기
100-3 : 제3 응시자 단말기 101 :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1: first candidate terminal 100-2: second candidate terminal
100-3: third test taker terminal 101: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laims (8)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해 온라인으로 응시자의 미술 적성 여부를 테스트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미리 구분된 소정의 미술 적성 영역별로 응시자의 미술 적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각 미술 적성 영역별로 수행한 미술적성검사의 검사결과를 상기 각 미술 적성 영역별로 산출하여 알려주거나, 상기 각 영역별로 산출한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응시자의 최종 미술 적성 여부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미술 적성 영역은
사물 간의 배치를 통한 제1 공간 구성력 영역, 빛/명암의 방향에 따라 공간을 파악하는 제2 명암/빛/공간 영역, 색에 따른 감수성을 파악하기 위한 제3 색채감 영역, 주변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발력을 파악하기 위한 제4 시지각 영역 및, 형태의 유사성 유추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을 파악하기 위한 제5 영감/직관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In the art aptitude test method through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using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test the candidate's art aptitude online,
Performing, by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 test of the candidate's art aptitude for each predetermined art aptitude region; And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lculates and informs the test result of the art aptitude test performed for each art aptitude area by each art aptitude area, or the final art of the candidate based on the test result calculated for each area. It includes a step of notifying whether or not aptitude,
Here, the art aptitude region is
Identifying the first spatial constitutive force area through the arrangement between objects, the second contrast / light / space area to grasp spa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light / contrast, the third color gamut to grasp sensitivity according to col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objects Art through on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fourth visual perception area for grasping quickness and a fifth inspiration / intuition area for grasping the appreciation of a work through the expression of similarity of form Aptitude tes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력 영역은
사물 배치를 통한 공간 구성력, 황금 비례와 사물 외곽 간의 긴장관계 파악능력, 소정의 설정 이미지 잘라내기를 통한 화면구성력, 화면 내 구도를 통한 시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mponent force region is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objects, the ability to grasp the tension relation between the golden pro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object, the screen configuration through cutting out a predetermined image, and the ability to grasp the flow of gaz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On-line aptitude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암/빛/공간 영역은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관계를 파악하는 감수성,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는 명암 감수성, 2차원의 평면과 3차원의 입체 간의 호환성 찾기 능력, 공간에서 물체의 중첩을 인지하는 공간 지각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trast / light / space region is
At least one of sensitivity to detect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direction and shadow, contrast sensitivity to detect changes in contrast, ability to find compatibility between two-dimensional planes and three-dimensional solids, and spatial perception to recognize the overlap of objects in space On-line art aptitude test method comprising the detailed inspection area to determine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색채감 영역은
형태나 색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색을 구분할 수 있는 색채 분석력, 색의 명암 변화를 감지하는 색채 감수성, 색의 온도에 대한 감수성, 색채의 감정 효과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color gamut
Detailed inspection area to grasp at least one or more of color analysis ability that can distinguish colors without being affected by shape or color, color sensitivity that detects change in color intensity, sensitivity to color temperature, and emotional effect ability of color On-line art aptitude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시지각 영역은
입체와 면을 선으로 해체하는 작업을 통한 형태력, 주변 사물과의 연계를 통한 추론력, 실제 형태와 빈 공간을 통한 형태 파악 능력, 사물의 특징과 동세를 파악하는 순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visual perception area i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rm power through the work of dismantling the three-dimensional and face to the line, the reasoning power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objects, the ability to grasp the shape through the actual form and the empty space, and the quicknes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 online art aptitude test method comprising a detailed inspection area for grasp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영감/직관 영역은
작가의 창작 동기를 추측하는 작품 찾기 능력, 형태의 유사성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력, 언어표현을 통한 작품감상력, 시각을 통해 판단되는 정보를 촉각으로 환원하는 공감각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검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fth inspiration / intuitive area
Detailed inspection to identif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ility to find a work to guess the artist's motive, the idea of ideas through similarity of form, the appreciation of the work through language expression, and the synesthesia to reduce the information judged by the sense of sight. On-line art aptitude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ma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미술 적성 여부를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각 영역별 수준(level)과 대표직업 정보, 각 영역별 응시자 평균값과 해당 응시자 본인의 영역별 획득한 값 간의 비교 정보, 적성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멘토로 삼아 볼 수 있는 유명인사 및 디자이너에 대한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forming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hether the art aptitude
Celebrities and designers who can be used as mentors calculated based on the level and representative job information of each area, the average value of candidates in each area, and the value obtained by each area of the candidate, and the aptitude test resul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recommended information for the art aptitude tes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tells th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미술적성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미술적성테스트 정보처리장치가 평균 성적을 산출하는 통계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성별, 나이, 지역, 미술교육경험 유/무, 참여경로를 포함한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the art aptitude test,
The art aptitude te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region, art education experience / non-participation path, in order to use as statistical data to calculate the average grades How to test your art aptitude online.





KR1020120127529A 2012-11-12 2012-11-12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KR101385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29A KR101385622B1 (en) 2012-11-12 2012-11-12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29A KR101385622B1 (en) 2012-11-12 2012-11-12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622B1 true KR101385622B1 (en) 2014-04-21

Family

ID=5065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29A KR101385622B1 (en) 2012-11-12 2012-11-12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05B1 (en) * 2015-02-06 2015-07-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titude test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48A (en) * 1987-09-04 1989-05-16 이건형 Occupational Aptitude Test
JP2005287571A (en) 2004-03-31 2005-10-20 Railway Technical Res Inst Attention distribution test method, attention distribution test device and attention distribution test program recoding medium
KR20090060874A (en) * 2007-12-10 2009-06-15 김용석 Method of education analysis including chronometry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48A (en) * 1987-09-04 1989-05-16 이건형 Occupational Aptitude Test
JP2005287571A (en) 2004-03-31 2005-10-20 Railway Technical Res Inst Attention distribution test method, attention distribution test device and attention distribution test program recoding medium
KR20090060874A (en) * 2007-12-10 2009-06-15 김용석 Method of education analysis including chronometry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05B1 (en) * 2015-02-06 2015-07-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titude tes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élot et al. Virtual reality for fire safety training: Influence of immersion and sense of presence on conceptual and procedural acquisition
Mao et al. Validation of automated scoring for a formative assessment that employs scientific argumentation
Ng et al. Exploring differences in primary students’ geometry learning outcomes in two technology-enhanced environments: dynamic geometry and 3D printing
Ragan et al. Supporting cognitive processing with spatial information presenta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Dutta et al. Evaluating system usability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teaching Karnaugh-Maps
Brata et al. User experience improvement of japanese languag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through mental model and A/B testing
Pranoto et al. Usability testing method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Bertrand et al. The effects of presentation method and simulation fidelity on psychomotor education in a bimanual metrology training simulation
Shi et al. The impact of engineering information format on task performance: Gaze scanning pattern analysis
Torres et al. A learning evaluation for an immersive virtual laboratory for technical training applied into a welding workshop
US2011019539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Communicating Academic Meaning and Evaluating Cognitive Abilities in Instructional and Test Settings
KR101385622B1 (en) Method for art aptitude test in on-line
Lähtevänoja et al. Developing design knowledge and a conceptual model for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Dini et al. Educational software and low vision students: evaluating accessibility factors
Ristor et al. Virtual reality for fire safety training: study of factors involved in immersive learning
Orzeszek et al. Beyond participatory design: Towards a model for teaching seniors application design
US201902286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education instructions
Yang et al. Does augmented reality help in industrial train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based on natural human behavior and knowledge retention
Brata et al. An Idea of Interactive Japanese Language M-Learning Application to Support Listening and Speaking Exercise
Maćkowski et al. An alternative method of audio-tactile presentation of graphical information in mathematics adapted to the needs of blind
Schmitz-Hübsch et al. Affective response categories—toward personalized reactions in affect-adaptive tutoring systems
Kamikubo et al. Exploring the role of tunnel vision simulation in the design cycle of accessible interfaces
Wall An empirical study of virtual reality menu interaction and design
Spain et al. Me and my VE, part 5: applications in human factors research and practice
Okawa et al. Proposal of Learning Support Model for Teacher-Type Robot Supporting Learning According to Learner’s Perplexed Facial Expre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