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224B1 -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224B1
KR101385224B1 KR1020130071719A KR20130071719A KR101385224B1 KR 101385224 B1 KR101385224 B1 KR 101385224B1 KR 1020130071719 A KR1020130071719 A KR 1020130071719A KR 20130071719 A KR20130071719 A KR 20130071719A KR 101385224 B1 KR101385224 B1 KR 10138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n
designated software
digital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oft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심충섭
김우현
김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to KR102013007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2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 G06F21/43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wireless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은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Digital system performing secure log-i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디지털 시스템(예컨대, 스마트 폰 등)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할 때, 페어 시스템을 이용해 보안성이 높으면서도 간편하게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디지털 시스템들(예컨대, 핸드폰, PC, 타블렛, 네비게이션, 뮤직 플레이어, 카메라, 차량용 디지털 시스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디지털 시스템들은 소형화, 다기능화 및 컨버전스(convergence)화 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경우, 원래의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정보저장장치, 뱅킹(결제, 이체 등)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소자들의 집적화 등을 통해 사용자들이 휴대하기 충분할 정도의 크기로 소형화되고 있다.
디지털 시스템들은 다양한 기능들의 컨버전스가 이루어지면서 단순히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더구나 디지털 시스템들의 소형화로 인한 휴대성이 높아지고 고가화 되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분실이나 도난에 따른 물질적 피해는 물론이고 개인정보 유출의 피해는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예컨대, 결제기능을 가지거나 개인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지털 시스템을 사용자가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경우에는 고가의 디지털 시스템을 재구매하여야 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특히 신용행위와 관련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지털 시스템에 지인의 전화번호, 메모, 일정 등의 중요 정보들을 저장함으로 인해 상기 휴대용 디지털 시스템을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중요 정보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 또한 적지 않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디지털 시스템의 중요성 또는 의존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나 부당 점유, 분실, 도난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측의 필요에 의해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로그인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로그인을 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예컨대, ID, Password 등)는 한번 유출이 되면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로그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더라도, 디지털 시스템이 소형화되고 있고, 디지털 시스템의 소형화로 인해 ID 또는 패스워드 등 본인인증 정보를 키패드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4-007429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페어 시스템을 통해 로그인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페어 시스템을 통해서만 디지털 시스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분실 또는 도난 되거나 로그인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을 소지하지 않는 자는 로그인을 할 수 없어서 로그인에 대한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소지하고 있는 페어 시스템(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을 이용하거나 이미 소지하고 있는 물건에 간단한 태그 장치를 부착하여 페어 시스템을 구현한 후 구현된 페어 시스템을 통해 로그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로그인을 위해 페어 시스템을 제작하거나 발급받지 않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페어 시스템별로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페어 시스템을 통해 로그인 제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실행까지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허용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함으로써, 페어 시스템의 분실 또는 도용에도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시스템은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후,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이 실행되어야,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실행시점이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면,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의 제1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중이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과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여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지정 소프트웨에 대응되는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판단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이 실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실행시점이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의 제1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중이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과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여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있어서,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디지털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을 하기 위해 간단하게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소정의 페어 시스템을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NFC 또는 블루투스 등)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로그인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페어 시스템을 통해서만 디지털 시스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분실 또는 도난 되거나 로그인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을 소지하지 않는 자는 로그인을 할 수 없어서 로그인에 대한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소지하고 있는 페어 시스템(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신용카드, 교통카드, 디지털 시스템 등)을 이용하거나 이미 소지하고 있는 물건에 간단한 태그 장치를 부착하여 페어 시스템을 구현한 후 로그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로그인을 위해 페어 시스템을 제작하거나 발급받지 않아도 되어 신규 제작이나 발급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구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페어 시스템별로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페어 시스템으로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어 시스템을 통해 로그인 제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실행까지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 및 로그인까지 제어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허용여부를 판단하는데 더 이용함으로써, 페어 시스템의 분실 또는 도용에도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 또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로그인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경우의 로그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이하, '디지털 시스템', 100) 및 페어 시스템(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 ~ 300-N)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이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트 프로세싱 능력이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도1에서는 모바일 폰의 형태로만 도시하였지만,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IPTV, 스마트 TV, 셋탑박스, 리모콘, 뮤직 플레이어, 홈오토메이션 기기, 차량용 디지털 시스템 등 그 구현 예는 다양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페어 시스템(2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장치(예컨대, NFC 통신장치, RF 통신장치 등)가 소정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통신장치가 후술할 바와 같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통신부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데스크탑 PC인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장치가 상기 데스크탑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데스크탑에 연결된 상기 통신장치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신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IC카드(또는 스마트카드(201))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 역시 소정의 디지털 시스템(예컨대, 모바일 폰 등, 202)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 통신,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 종래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채용된 근거리 무선통신의 종류에 따라 이를 위한 통신모듈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종래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직접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순히 로그인을 수행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그인 방식은 종래의 로그인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에 비해 훨씬 간편하게(예컨대, NFC 태깅(tagging) 등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키보드 입력 방식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200)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어야만 하므로 로그인에 대한 보안성은 증가된다.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현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그인만을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상기 UI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그인만을 허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소정의 서버(예컨대, 300)로부터 로그인 성공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는 어떠한 정보도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인 경우에만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더라도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로그인 정보가 전송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후에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식으로만 로그인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그인 방식(즉,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 시스템(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면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이 수행되는 방식)을 '페어 로그인'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종래의 로그인 방식(예컨대,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키보드(키패드)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방식)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 방식을 모두 허용하되, 사용자가 상기 페어 로그인 방식 즉, 사용자가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을 근거리 무선통신시키는 행위를 하면 추가적인 인증절차 없이 로그인이 허용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게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종래의 로그인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본인확인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로그인에 대한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은 전술한(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종래의 로그인 방식에 비해 한층 보안성이 강화된 로그인 인증절차임에 비해, 종래의 방식은 페어 로그인에 비해 보안성이 한층 낮기 때문에 서로 보안성 레벨이 다른 방식을 모두 허용하는 보안정책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비상시에는 페어 로그인이 아닌 방식으로도 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페어 시스템(200)을 도난당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미소지할 수 있을 때에도 지정 소프트웨어를 열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 방식이 아니더라도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되, 그 절차에는 단순히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것과 더불어 추가적인 본인인증 절차(예컨대, 휴대폰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미리 정해진 Q&A에 의한 인증 등 로그인 정보의 입력과는 다른 인증 절차)를 추가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의 보안레벨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강화된 로그인 절차는 페어 로그인 방식이 아니더라도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을 할 수 있지만, 절차의 복잡성 등으로 인해 입력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로그인(페어 로그인)을 선호할 수 있다. 이처럼 키보드 입력 방식에 의한 로그인이 가능하더라도 본인확인 절차의 강화 등을 통해 종래의 로그인 인증과는 다른 로그인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이와 함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페어 로그인 프로세스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비상시에는 키보드 입력방식에 의한 로그인도 가능하지만 평상시에는 페어 로그인이 활용됨으로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페어 로그인만을 허용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알고 있는 악의적 사용자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200) 및/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소지하지 않은 이상은 로그인을 할 수 없어서 보안성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서버(예컨대, 300)에 저장되어(본 발명에서의 저장이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등록하는 것과 서버에서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이든 서버에 디지털 시스템(100)에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있을 수 있으며,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서만 페어 로그인이 수행되어야 로그인이 허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식별정보가 저장된 디지털 시스템(100)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을 모두 소지하고 있어야만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은 배가될 수 있다.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을 한다고 함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서 로그인을 허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인 요청신호는 로그인 정보(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ID 및/또는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로그인 요청신호에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로그인 정보가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되고 전송된 로그인 정보가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서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 및/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고 전송된 상기 페어 시스템(200) 및/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미리 저장된 페어 시스템 및/또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의해 로그인이 허용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가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서 상기 페어 시스템(200) 및/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로그인 정보 즉, 로그인 ID 및/또는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 ID만 전송되면 별도의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을 허용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로그인 정보는 로그인 ID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로그인 요청신호에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즉,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설정하는 로그인 ID가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전화번호,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시리얼 넘버 등의 기기 식별정보) 및/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가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 방식으로 로그인이 된다고 함은, 반드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로그인 절차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즉,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페어 로그인을 요청하면, 서버(예컨대, 300)가 소정의 추가인증(예컨대, 공인인증서, OTP 등)을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을 수행한 후 추가인증까지 성공하여야 최종적으로 서버(예컨대, 300)에 의해 로그인이 허용될 수도 있다.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자체적인 전력원은 없으나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고 간단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IC카드(또는 스마트카드, 교통카드 등, 201)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독자적인 연산능력 및 저장능력이 존재하며, 사용자가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IC카드, 스마트카드 또는 교통 카드 등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한 소정의 RF 통신장치가 추가된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전력원이 존재하며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있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예컨대, 202)일 수도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상기 페어 시스템(20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선택적으로 상기 페어 시스템(2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페어 시스템(200)을 제작하거나 구입할 필요가 없어서 추가 비용 없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장치를 상기 페어 시스템(200)으로 설정하고,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과정은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후, 실행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다가 로그인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2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페어 로그인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은 지정 소프트웨어의 실행 및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두 가지를 한 번의 절차로 대체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은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지정 소프트웨어들에 대해서는 모두 로그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만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현재는 실행되고 있지 않지만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어느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만을 허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시점에 실행되고 있거나 일정 시간(허용시간)내에 실행되는 지정 소프트웨어 어느 하나에 대해 로그인이 수행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되는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이 허용되는 허용시간일 수 있다. 이때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짧은 순간에 수행되는 경우 예컨대, NFC 통신 등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등)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페어 로그인이 허용되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2에 도시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설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OS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펌웨어 또는 OS 자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또는 설정부(140) 등과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나 특정 개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예컨대,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또는 설정부(14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에는 다수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소프트웨어 중에는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메모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탈착 가능한 SD 카드,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 드라이브(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등) 등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소프트웨어 중 특정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소프트웨어는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의 배포 주체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강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배포 주체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된 페어 시스템(200)이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소정의 페어 시스템(200)을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20)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예컨대, 파일명, 경로 등)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에는 지정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한 로그인 정보(예컨대, ID 및/또는 패스워드)가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 및/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가 로그인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120)에 이러한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저장부(120)에는 별도로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추출되거나 상기 페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어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130)와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NFC,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 역시 자체 전력 공급원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지그비 통신의 경우에는 블루투스에 비해 저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30)와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IrDA, UWB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의 종류에 따라 상기 통신부(130)의 실시 예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없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된 RF 시그널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즉, RFID 통신 또는 NFC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RFID 태그 등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소정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RFID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리더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RF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200)을 검색하거나,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간의 통신거리는 다양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지갑에 휴대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을 때, 지갑 내에 위치한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 가능한 구성이 상기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사용자의 지갑에 근접시키는(태깅하는) 행위만으로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140)는 소정의 페어 시스템(200)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140)에 의해 소정의 페어 시스템(200)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설정되면,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저장부(120)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설정된 정보가 다양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3a는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 시스템(200)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실행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3b는 소정의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로그인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특정할 수 있다(S110).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특정된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S120).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무작위로 또는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실행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페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130). 페어 로그인의 수행은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자마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후 소정의 시점 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실행 후 일정 시간 후에 페어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허용 시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허용 시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3a에 도시된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페어 시스템(200)과 디지털 시스템(100)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시키는 행위 하나 만으로, 실행할 소프트웨어의 선택 및 실행, 실행된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절차의 수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S200). 상기 소프트웨어는 실행되자마자 로그인이 필요하거나 실행 후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다가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그인이 필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로그인이 수행되어야 할 시점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을 근거리 무선통신 시킬 수 있다(S220).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판단결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페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시스템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거나,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종료하는 등 미리 결정된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페어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그인 요청신호를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는 로그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인 정보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4에 도시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 또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저장부(12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예컨대, 파일명, 경로 등)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도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예컨대, p1)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예컨대, sw1, sw2, sw3)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예컨대, p2)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예컨대, sw4, sw5)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가 상기 저장부(120)에 더 저장될 수 있다. 제1소프트웨어(sw1)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는 ID1일 수 있다. 즉, 별도의 패스워드가 없이 사용자 식별정보(ID)만이 로그인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소프트웨어(sw1)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는 상기 ID1이라는 로그인 정보만으로 로그인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5소프트웨어(sw5) 역시 로그인 정보로써 ID(ID5)만 이용될 수도 있다.
제2소프트웨어(sw2) 및 제3소프트웨어는 로그인 정보로써 각각 ID(ID2, ID3) 및 패스워드(pw1, pw2)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로그인 정보가 로그인 요청신호로 각각 대응되는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로그인을 인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4소프트웨어(sw4)에 대해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정보가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기기 식별정보 등)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추출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120)에는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되어야 한다는 정보만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정보마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실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추출되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로그인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로그인 정보가 디지털 시스템(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6은 로그인 정보가 서버(예컨대, 3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10).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현재 로그인을 수행할 지정 소프트웨어 즉, 현재 실행중인 지정 소프트웨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추출된 로그인 정보를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할 수 있다(S320). 전송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예컨대, 300)는 로그인 허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가 서버(예컨대, 300)에 등록된 정보와 다르지 않는 이상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의해 로그인이 허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S320-1).
그리고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그인 즉 페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예컨대, 30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응하는 경우에만 로그인을 허용할 수도 있다. 즉, 수신된 로그인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정보에 상응하더라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만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페어 시스템(200)을 분실하거나 페어 시스템(200)이 악의적 사용자에 의해 도용되는 경우라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까지 비교하는 경우에는 미리 서버(예컨대, 300)에 등록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을 모두 도용당하지 않는 이상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은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안성은 현저히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로그인 과정은 도6에 도시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수신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도5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달리 로그인 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저장부(120)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하고, 특정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현재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을 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이미 로그인을 할 대상인 소프트웨어를 알고 있으므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특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서버(예컨대, 300)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는 서버(예컨대, 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서버(예컨대, 300)를 제공하는 주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100)을 제공하는 주체(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주체)와 미리 협약이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예컨대, 로그인 정보,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등)들을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미리 저장해둘 수도 있다. 물론, 적어도 일부의 정보는 서버(예컨대, 300)가 수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버(예컨대, 300)는 수신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고(S420), 추출된 정보로 로그인 처리를 하여 로그인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또한 도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로그인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예컨대, 300)로 더 전송할 수 있으며(S410-1), 전송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예컨대, 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와 일치하여야 상기 서버(예컨대, 300)는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페어 시스템(200)에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소프트웨어가 다수 개인 경우라도, 사용자는 하나 또는 소수의 페어 시스템을 이용해 로그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소정의 페어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 모두(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지정 소프트웨어 모두)에 대해 자동으로 로그인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만 로그인을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7에 도시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경우의 로그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소정의 페어 시스템(2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시점(t1)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며 현재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각각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즉시 현재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한 로그인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t1 후), 소정의 소프트웨어(예컨대, sw1)가 소정의 시점(t2)에 실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1)가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인 경우에는 소정의 시점에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다. 로그인을 실행하는 시점은 상기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시점일 수도 있고, 실행된 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1)에 대해 로그인을 실행하는 시점(t3)이 미리 설정된 허용 시간(t6) 내인지를 판단하고, 허용시간 내인 경우에만 상기 소프트웨어(sw1)에 대해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허용시간 내인 경우에만 실제로 로그인이 되도록 로그인 요청신호를 서버(예컨대,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허용 시간이라는 기준을 두는 이유는, 이러한 기준이 없다면 한 번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무제한적으로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이 허용될 수 있는 상태가 지속될 수 있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사용자와 실제 로그인이 수행될 때의 사용자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소프트웨어(sw2) 역시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sw2) 역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소정의 시점(t4)에 실행될 수도 있고, 이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될 때(t1) 상기 소프트웨어(sw2)가 실행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소프트웨어(sw2)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이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2)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2)에 대한 로그인을 실행할 시점이 허용 시간(t6) 내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판단결과 허용 시간 내인 경우에만 실제로 상기 소프트웨어(sw2)에 대한 로그인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을 실행할 시점은 상기 소프트웨어(sw2)가 실행된 시점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로그인 요청을 하는 시점일 수도 있다.
한편, 허용 시간을 지난 시점에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인 소정의 소프트웨어(sw3)가 시점 t7에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후 시점 t8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3)에 대한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점 t8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t1)부터 허용시간(t6)을 도과한 시점이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sw3)에 대해서는 실제로 로그인을 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소프트웨어(sw3)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페어 로그인을 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도7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허용시간내이기만 하면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로그인이 허용될 수 있으며, 허용시간 내가 아니면 지정 소프트웨라 하더라도 로그인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복수 개인 경우라도,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어느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만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7b에 도시된다.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1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최초로 로그인을 수행할 지정 소프트웨어(예컨대, sw1)에 대한 로그인 제어가 완료되면(예컨대, 로그인 요청신호의 전송이 완료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최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sw1)의 로그인 시점은 상기 허용시간 내이어야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어부(110)는 소프트웨어 sw2에 대해서는 허용시간 내더라도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또는 음성정보로써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sw3는 허용시간 이후에 로그인을 수행해야하므로 당연히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7a의 실시 예 즉,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복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수행을 허용할지 또는 도7b의 실시 예 즉, 한 번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만 로그인 수행을 허용할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구현 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7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경우(예컨대, NFC 통신에서 태깅 등)를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 시스템(200)이 블루투스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근거리 무선통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제로 로그인이 허용되는 시간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일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설정부(14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 및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140)는 페어 로그인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I를 통해 상기 설정부(14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된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페어 시스템(200)을 특정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페어 시스템(200)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시킴으로써,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설정부(140)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된 상기 페어 시스템(2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설정부(14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목록을 소정의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페어 시스템(200) 및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부(140)는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요청에 따라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지정 소프트웨어별 로그인 정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어 로그인 설정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추후 실제로 지정 소프트웨어별로 로그인을 할 때 상기 설정부(140)에 의해 인식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페어 시스템(200) 및 페어 시스템(200)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가 설정된 후, 최초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할 때는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설정부(140)는 실제 로그인을 할 때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상기 저장부(120)에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로그인을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삭제
  2.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후,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3.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4.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이 실행되어야,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실행시점이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면,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의 제1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중이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과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7.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8.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여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지정 소프트웨에 대응되는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10.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페어 시스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11. 삭제
  12.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판단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3.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상기 페어 시스템과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4.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이 실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로그인 실행시점이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의 제1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지정 소프트웨어 중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상기 허용시간 내이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중이라도 상기 페어 시스템과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야 나머지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7.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상응하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포함된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8.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로그인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로그인 정보를 추출하여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20.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이 소정의 페어 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상기 페어 시스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서버로 로그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에 대응되는 지정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페어 시스템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페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지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130071719A 2013-06-21 2013-06-21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8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19A KR101385224B1 (ko) 2013-06-21 2013-06-21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19A KR101385224B1 (ko) 2013-06-21 2013-06-21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224B1 true KR101385224B1 (ko) 2014-04-14

Family

ID=5065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719A KR101385224B1 (ko) 2013-06-21 2013-06-21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2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687A (ko)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687A (ko)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2620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930695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 for virtual desktop access and management
US109298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wallet access
KR101176692B1 (ko) 근거리 통신을 갖는 대용량 저장 장치
US8656455B1 (en) Managing data loss prevention policies
KR101458775B1 (ko) 페어장치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US9721082B2 (en) Computing devices having access control
KR102071438B1 (ko) 이동 단말의 결제 인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동 단말
EP3820079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key,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20120331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49042B1 (ko) 암호화폐 거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암호화폐 지갑 어플리케이션
KR101437049B1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1637826B2 (en) Establishing authentication persistence
KR101385224B1 (ko)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148161A (ko) 보안 로그인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92897B1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40301B1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85723B1 (ko)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KR101415698B1 (ko) 공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9872148A (zh) 基于tui的可信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US12001910B1 (en) Initialization of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KR101219528B1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41131A (ko) 분실 예방 가능한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26446A (ko)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KR20150129300A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