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63B1 -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63B1
KR101384863B1 KR1020140007964A KR20140007964A KR101384863B1 KR 101384863 B1 KR101384863 B1 KR 101384863B1 KR 1020140007964 A KR1020140007964 A KR 1020140007964A KR 20140007964 A KR20140007964 A KR 20140007964A KR 101384863 B1 KR101384863 B1 KR 10138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hull
ship
model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렬
길우성
박진영
김종오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선급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to KR102014000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10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program is recorded to be capable of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such as an increase in the working time of a ship and a maritime plant, a reduction in navigation and repair and maintenance costs, and an inspection technique for ensuring safety. A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performs a step of performing matching between model partitioning and a CHS code; a step of establishing an inspection schedule according to the partition; a step of establishing the inspection schedule according to the partition by using a calendar; a step of performing inspection history and detailed status view; a step of confirming a schedule status based on a 3D viewer; a step of recording an inspector and a writing date; a step of selecting a target partitioning in hull inspection; a step of inputting the inspection result; a step of confirming the design thickness; and a step of visualizing damag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certain hull position and attaching related media.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0) Perform matching between 3D model partitioning and a CHD code; (S110) Establish an inspection schedule according to the partition; (S120) Establish the inspection schedule according to the partition by using a calendar GUI; (S130) View inspection history and a detailed status; (S140) Confirm a schedule status based on a 3D viewer; (S150) Register an inspector and a writing date; (S160) Select a target partitioning; (S170) Input a detailed inspection result; (S180) Confirm the design thickness; (S190) Visualize damag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certain hull position and attach related media

Description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체(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such as increasing the available time of the hull (vessel) and offshore plants, reduced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inspection technology to ensure stability, and read by a computer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possible recording medium.

일반적으로 선박관련 산업과 IT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선박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한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shipbuilding industry and IT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developed, shipbuilding automation system for safer and more efficient operation of ship is being studied.

주요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는 레이더 시스템,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전자 해도 표시 시스템, 선박보안경보 시스템, 항해자료기록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항해정보 관리와 선내 각 설비의 감시 및 조작 기능을 통해 선내 노동의 경감, 선박의 안전성 향상, 운항의 경제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Major ship automation systems include radar systems,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electronic chart display systems, ship security alarm systems, and navigation data recording systems. The spread of such ship automation systems includes navig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in-ship labor, improve the safety of the ship, and secure the economy of the operation.

반면,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시스템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선원들과 선박 및 선박의 기자재를 보급하는 사업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pread of the ship automation system places an additional burden on the crews who do not understand the system itself and the carriers that supply the ship and ship equipment.

그러나, 선박은 운항 중에는 접근이 쉽지 않고 입출항 장소와 시간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에 어려움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 대기시간 및 방문횟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와 발생된 문제의 조치 지연에 따른 선주 및 선원의 불만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service engineer to visit the vessel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vessel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time and place of entry and departure can be changed in a flexible manner. As a result, the service engineer increases the waiting time and the number of visi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laints of ship owners and crew are increased due to delayed measures.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육상에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a remote ship maintenance system that enables remote maintenance of the ship automation system on land has been developed.

그와 같은 선행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 10-2010-0100104호(2010년09월15일 공개)된 원격 유지보수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있다. 해당 특허는 선박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선박 및 선박기자재의 상태를 점검하여 원격에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선박기자재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일반적인 생애주기(Life Cycle)와 비교하고, 추론을 통하여 선박기자재의 생애주기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such prior art is a remote maintenan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0104 (published on September 15, 2010). The patent collects various kinds of data of ship equipment for remote maintenance by checking the state of ship and ship equipment by connecting to ship remotely, compares it with general life cycle and compares inference It is characterized by predicting the life cycle of ship equipment through.

그러나 이러한 해당 특허는 단순한 원격 유지보수 기술 중 하나로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면 해당 원격 기술을 원활히 다루기 어렵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분이 단순 데이터에 그쳐 그에 대한 대응방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patent is one of simple remote maintenance technologies, an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remote technologies smoothly without an experienced user, and only a portion of data required for maintenance is difficult to cope with.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such as the increase in the available time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reduced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inspection technology for securing stab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은, 모델의 구획과 CHS코드와의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구획별 검사일정을 수립하는 단계;캘린더를 활용하여 구획 별 검사 일정 수립하는 단계;검사 내역 및 상세 현황 보기를 수행하는 단계;3D 뷰어기반 일정 현황 확인하는 단계;검사자와 작성일을 기록하는 단계;선체검사에서 대상구획을 선택하는 단계;상세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설계 두께를 확인하는 단계;선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손상정보를 가시화하고 관련 미디어를 첨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matching the model and the CHS code; step of establishing the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establishing the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using a calendar Steps to perform the inspection history and detailed status view; Checking the 3D viewer-based schedule status; Recording the inspector and the date of creation; Selecting the target compartment in the hull inspection; Entering the detailed inspection results; Design Identifying a thickness; visualizing damage information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hull and attaching related media;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 구현을 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echnologies and systems that can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such as increasing the available time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reducing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and inspection technologies for securing stability.

둘째, 3D에 의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므로 초보자라 하여도 유지보수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Secondly, maintenance by 3D is possible, so even a beginner can easily and efficiently maintain.

셋째, 조선소의 생산 단계부터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보하여, 환경 보전 및 안전에 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국제 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Thi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ystem that can proactively cope with international agreements that are strengthening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safety by efficiently secu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from the shipyard production stage.

넷째, 모듈화된 개방형 구조를 갖는 시스템 아키텍처 구현을 통해 IT 시스템이 잘 구축된 대형 조선소 및 해운사 뿐만 아니라 IT 시스템이 열악한 중소형 조선소 및 해운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기 구축된 기간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Fourth, by implementing a system architecture with a modular ope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ystem that can interoperate with the pre-built main system possessed by small and medium sized shipyards and shipping companies that have poor IT systems as well as large shipyards and shipping companies with well-structured IT systems. It is possible.

다섯째, 국제 표준의 지원 및 운영 단계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새로운 표준 제안을 할 수 있다.
Fifth, new standards can be proposed for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support and operational stag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기반 선체관리 소프트웨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ship model based hu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life cycle management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life cycle management technology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life cycle management technology system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soft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ship model based hu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 및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서버(60)로 구성된다.3D ship model based hu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shipyard PC 10, shipping company PC 20, classification PC 30, equipment company (PC) 40, It consists of a government / IACS (PC) 50 and a ship model based hull management server 60.

여기서, 조선소 PC(10)는 선박(선체)정보(도면, 3D 모델, 성능해석자료, 도장, 두께, 용접상태, 재활용 등)를 제공한다.Here, the shipyard PC 10 provides ship (hull) information (drawings, 3D models, performance analysis data, painting, thickness, welding conditions, recycling, etc.).

해운사 PC(20)는 선박(선체)의 운항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Shipping company PC 2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ssel (hull).

선급 PC(30)는 선박(선체)의 검사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The class PC 30 provides inspection certification information of a ship (hull).

기자재 업체(PC)(40)는 선박(선체)의 기자재 센부 정보를 제공한다.Equipment company (PC) 40 provides the equipment and equipment information of the ship (vessel).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서버(60)는 통신부(61), 데이터베이스(62), 인터페이스(63) 및 제어부(64)로 구성되어, 유지/보수 이력정보, 잔여수명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62)는 기자재 정보 DB, 도면/메뉴얼 정보 DB, 자재구매 정보 DB, 잔여수명 정보 DB, 검사인증정보 DB, 유지/보수이력정보 DB 및 3D 선체 모델 정보 DB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server 60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unit 61, a database 62, an interface 63, and a control unit 64 to provide maintenance /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remaining life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database 62 may be composed of equipment information DB, drawings / manual information DB, material purchase information DB, remaining life information DB, inspection certification information DB, maintenance and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DB and 3D hull model information DB, etc.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life cycle management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 건조, 운항 및 유지보수 그리고 재활용 및 사후처리로 나눌 수 있다.Life cycle management concepts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recycling and post-processing, as shown in FIG.

조선소에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영업, 설계 및 건조,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하여 관리하고, 각종 도면이나 제품 개발 정보를 협력회사, 기자재업체 등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의 개념을 확장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가 인도된 후의 운영 및 폐선단계까지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선박해양 생애주기 관리 개념의 도입 및 시스템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entire process from shipyard to sale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and shares various drawings and product development information with suppliers and equipment companies. By extending the concept of the new model, the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marine life cycle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 are considered, taking into account the operational and decommissioning stages after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re deliver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life cycle management technology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경우 조선소의 생산 단계에서의 설계 및 건조 비용보다 인도 이후 해운사의 운영단계에서 필요한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실제 최근 많이 건조되고 있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의 경우 운용/유지보수 및 검사 비용이 전체 비용의 90%라고 하고 있으므로, 설계 및 건조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운영단계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을 높이고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등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Life cycle management technology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in the case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than the cost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shipyard costs required in the operation stage of shipping companies after delivery In the case of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which is being built a lot recently, the operation / maintenance and inspection cost is 90% of the total cost. It can be used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vailable time for ships and offshore plants and reducing operational and maintenance cos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life cycle management technology system of the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은 조선소의 생산(설계 및 건조)단계에서 생성된 운용에 필요한 정보(도면, 3D 모델, 성능해석 자료, 도장, 두께, 용접상태, 재활용 등)를 포함하고 있는 ‘3D 형상의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단계의 정보(운항, 유지보수, 검사, 수리, 손상, 재활용 등)를 활용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생애주기 관리 시스템으로 인도단계 시스템, 탑재용 운영시스템 및 육상용 정보시스템으로 나뉘어져 있다.The life-cycle management technology system of ship and offshor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formation (drawing, 3D model, performance analysis data, painting, thickness, welding state, Efficient operation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by utilizing information from operation stages (operation, maintenance, inspection, repair, damage, recycling, etc.) Lifecyc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ement, divided into delivery stage system, onboard operating system and onshore information system.

인도단계 시스템은 조선소의 기간시스템(Legacy System)으로부터 설계 및 건조과정의 흐름 속에서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The delivery stage system is a system that acqui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 or offshore plant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shipyard's legacy system.

그리고 탑재용 운영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 탑재되어 운영 시의 정보(운항, 유지보수, 검사, 수리, 손상 등)를 획득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여 운영을 지원하는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nboard operation system includes a ship and marine integrated information model that is mounted on a ship or offshore plant to acquire operational information (operation, maintenance, inspection, repair, damage, etc.) and uses this information to support operations. do.

육상용 정보시스템은 조선소, 해운사 및 선급 등에서 수십~수천 척의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포함한 대용량 선박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선박해양 데이터 통합 플랫폼’ 기반의 정보시스템이다.Onshore information system is based on the 'Ship & Marine Data Integration Platform' for data storage and management to efficiently manage and support large vessel information including ships, shipping companies and ships. Information system.

한편 조선소, 해운사 및 선급 등의 기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선육간 데이터 통신 모듈육상용 정보시스템과 탑재용 운영시스템과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선육간 데이터 통신 모듈 및 선박 및 해양 플랜트의 제품구조 정보와 3D 형상 정보를 중심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제반 정보(규칙, 설계/건조, 기자재, 검사, 기록관리, 운항, 정비, 일반)를 통합한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structure with main systems such as shipyards, shipping companies and class, inter-ship data communication module and inter-ship data communication module for efficient data communication between land information system and onboard operating system and product structure of ship and offshore plant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marine marine information model that integrates all the information (rules, design / building, equipment, inspection, record management, operation, maintenance, general) necessary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ing on information and 3D shape information.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서로 연관이 있는 여러 조직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 및 유기적 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권한 부여 및 보안 관리를 통하여 정보 유출 방지 기능 구현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his system is implemented as a light and easy-to-use system that can be used in general notebooks to support the smooth sharing of information and organic collaboration among related organizations, and information leakage through proper authorization and security management for users. Preventive function implementation is required.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기반 선체관리 소프트웨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to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soft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기반 선체관리 소프트웨어의 일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ship model-based hull management soft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이때, 초기화면은 관리리스트, 선체구성정보, 상세정보, 3D뷰어 및 3D 속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선체관리 메뉴에 들어가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체 구성 트리가 표시된다.
At this time, the initial screen provides a management list, hull configuration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3D viewer and 3D properties. When entering the hull management menu, a hull construction tre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코드가 매칭되면 모델의 구획과 CHS코드와의 매칭을 수행한다(S100). As shown in FIG. 7, when the partition code is matched, matching between the partition of the model and the CHS code is performed (S100).

여기서 선체검사는 선박의 각 위치에 코드를 부여하여 해당 코드 단위로 관리를 한다(한국의 경우 CHS 코드).In this case, the hull inspection is assigned to the code at each position of the ship and managed by the code unit (CHS code in Korea).

한국선급 CHS 코드는 선박의 각 구획에 할당된 코드로써 CHS 코드 단위로 검사 일정 및 결과 관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3D모델을 이용한 검사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3D모델상의 구획 이름(3D모델의 각 구획은 CHS 코드와는 상관없는 이름으로 모델링 된다)과 CHS코드간에 매핑을 시켜주어야 한다.
The KR CHS Code is a code assigned to each compartment of the ship and performs inspection schedule and result management in CHS code units.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inspection management using 3D models, the mapping between the partition name on each 3D model (each partition of the 3D model is modeled with a name not related to the CHS code) and the CHS code should be mapped.

그 다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별 검사일정을 수립한다(S110). 여기서, 선박의 각 구획에 검사일정을 할당 시 해당 구획을 좌측의 구획 트리에서 선택하거나, 3D모델에서 원하는 구획을 선택 한 후검사 일정을 할당한다. 검사 일정은 최초 1회 수립하면 이후부터 이를 기반으로 검사가 진행된다.
Next, as shown in FIG. 8, a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is established (S110). Here, when assigning inspection schedules to each compartment of the ship, select the relevant compartments from the compartment tree on the left, or select the desired compartments from the 3D model and assign the inspection schedule. The inspection schedule is established once, and then inspection is conducted based on this.

그리고 구획별 검사 일정을 수립한다. 이를 위하여 도 9는 캘린더를 활용하여 구획 별 검사 일정 수립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S120).
And establish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For this purpose, Figure 9 shows the establishment of the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by using the calendar (S120).

도 10은 검사현황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내역 및 상세 현황 보기와 관련된 화면의 일 예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displaying an inspection status and is an example of a screen related to an inspection history and a detailed status view.

도 10에서는 검사 현황을 가시화하는데, 가운데의 리스트는 각 구획별 검사진행 목록으로, 각 목록은 구획 코드, 이전검사 만기 일자, 다음 검사일정, 검사 결과 등이 전시된다. 각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가운데 하단에 상세 검사 현황(검사 결과,검사 사진 등)이 표시된다. 또한 우측 3D뷰 화면에서는 선택한 구획이 도 11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된다(S130).
In FIG. 10, the inspection status is visualized. The list in the center is a list of inspection progresses for each section, and each list displays a section code, a previous inspection expiration date, a next inspection schedule, and a test result. If you select one of the lists, the detailed inspection status (inspection result, inspection picture, etc.) is displayed at the bottom center. In addition, in the right 3D view screen, the selected section is highlighted as shown in FIG. 11 (S130).

도 12는 검사현황 중 3D 뷰어기반 일정 현황 확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측 3D뷰 화면에서 각 구획의 색상은 마감일을 상대적인 색상으로 표현 한 것이며, 그에 따라 검사일정의 유추가 용이하다(S140).
12 is a 3D viewer-based schedule status check of the inspection status, the color of each compartment in the right 3D view screen is expressed in a relative color of the deadline, accordingly easy to infer the inspection schedule (S140).

도 13은 검사자와 작성일을 기록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Fig. 13 shows a screen for recording the inspector and the creation date.

이러한 검사자와 작성일은 검사 결과 일반정보의 입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사 일반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일반정보로는 검사자입력, 날짜, 전화번호, 부서 등이 입력된다(S150).
These inspectors and the creation date indicate the input of the inspection result general information, and inputs the inspection general information. As such general information, an examiner input, a date, a phone number, a department, etc. are input (S150).

도 14는 선체검사에서 대상구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3D 상에서 구획 선택하며, 검사 결과의 입력 시 좌측의 구획 트리 중 원하는 구획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우측의 3D 뷰 상에서 원하는 구획을 선택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하고자 하는 구획을 선택할 수 있다(S160).
14 is to select the target compartment in the hull inspection, select the compartment on the 3D, when inputting the inspection result to select the desired compartment from the partition tree on the left, or select the desired compartment on the right 3D view to input the inspection result The desired section may be selected (S160).

도 15는 선체검사의 검사결과를 등록하는 것으로, 상세 검사 결과를 입력한다. 이러한 상세검사결과로는 구획명, 검사 일자, 검사 결과, DUE DATE, LAST DUE 및 첨부물등이 있을 수 있다(S170).
Fig. 15 registers the test result of the hull test and inputs the detailed test result. Such detailed inspection results may include a compartment name, an inspection date, an inspection result, a DUE DATE, a LAST DUE, and an attachment (S170).

도 16은 설계 두께를 확인(Designed Thickness, Maximum Allowed Diminuition)하는 것으로, 3D 모델에는 선체의 두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설계 두께와 최대 쇠모한도), 선체의 설계 두께가 3D에서 색상으로 표시된다. 두께를 측정하여 3D 상에서 수치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수치가 최대 쇠모한도 이상일 경우 색상으로 표시된다.(RED…)(S180)
FIG. 16 illustrates a designed thickness (Maximum Allowed Diminuition). The 3D model includes thickness information of a hull. (Design thickness and maximum wear limit), the design thickness of the hull is displayed in color in 3D. You can enter a value on the 3D by measuring the thickness, and it will be displayed in color if the value is above the maximum wear limit. (RED…) (S180)

도 17은 선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손상정보를 가시화하고 관련 미디어 첨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3D 모델의 특정 위치에 마커를 삽입하여 선체의 손상 위치를 표시한다. 손상 위치에 표시된 마커를 클릭하면, 손상 기록 및 첨부된 미디어가 표시된다(S190).
FIG. 17 is a view for visualizing damage information on a specific position of a hull and explaining a related media attaching function. A marker is inser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a 3D model to indicate a damaged position of the hull. When the marker displayed at the damaged position is clicked, the damaged record and attached media are displayed (S19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조선소 PC 20 : 해운사 PC
30 : 선급 PC 40 : 기자재 업체(PC)
50 : 정부/IACS(PC) 60 :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서버
61 : 통신부 62 : 데이터베이스
63 : 인터페이스 64 : 제어부
10: shipyard PC 20: shipping company PC
30: Classification PC 40: Equipment Company (PC)
50: Government / IACS (PC) 60: Ship model based hull management server
61: communication unit 62: database
63 interface 64 control unit

Claims (3)

선박의 운영단계에서 선급, 선사간의 유기적 데이터 교환 및 활용으로 선박운항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방법에 있어서,
선박 모델의 구획과 상기 선박의 각 구획에 할당된 코드(CHS코드)와의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S100);
구획별 검사일정을 수립하는 단계(S110);
캘린더를 활용하여 상기 구획별 검사 일정 수립하는 단계(S120);
검사 내역 및 상세 현황 보기를 수행하는 단계(S130);
상기 구획별 마감일을 검사일정의 유추가 용이하도록 상대적인 색상으로 표현하는 단계(S140);
검사자와 작성일을 기록하는 단계(S150);
상기 선박 검사에서 대상구획을 선택하는 단계(S160);
상기 대상구획의 상세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170);
상기 선박의 설계 두께를 확인하는 단계(S180);
상기 선박의 특정 위치에 대한 손상정보를 손상 위치에 마커를 삽입함으로써 표시하고 관련 미디어를 첨부하는 단계(S19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In the three-dimensional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to promote the efficiency and economics of the ship operation by the organic data exchange and utilization between the class and shipping company in the operation stage of the ship,
Performing matching between a section of the ship model and a code (CHS code) assigned to each section of the ship (S100);
Establishing a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S110);
Establishing a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by using a calendar (S120);
Performing an inspection history and a detailed status view (S130);
Expressing the deadline for each section in a relative color to facilitate the induction of the inspection schedule (S140);
Recording the inspector and the creation date (S150);
Selecting a target compartment in the vessel inspection (S160);
Inputting a detailed inspection result of the target compartment (S170);
Confirming a design thickness of the vessel (S180);
And displaying the damag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hip by inserting a marker at the damaged position and attaching related media (S19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별 검사일정을 수립하는 단계(S110)는,
상기 선박의 각 구획에 검사일정을 할당 시 해당 구획을 상기 선박의 각 구획을 트리화한 구획 트리에서 선택하거나, 3차원(3D)모델에서 원하는 구획을 선택 한 후검사 일정을 할당하고,
상기 검사 내역 및 상세 현황 보기를 수행하는 단계(S130)는,
구획 코드, 이전검사 만기 일자, 다음 검사일정, 검사 결과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고, 상기 구획 코드, 이전검사 만기 일자, 다음 검사일정, 검사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세 검사 현황(검사 결과, 검사 사진)가 표시되며, 선택한 구획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며,
상기 검사자와 작성일을 기록하는 단계(S150)는,
검사자입력, 날짜, 전화번호, 부서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고,
상기 선박 검사에서 대상구획을 선택하는 단계(S160)는,
3차원(3D) 상에서 구획 선택하며, 검사 결과의 입력 시 원하는 구획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3차원(3D) 뷰어 상에서 원하는 구획을 선택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하고자 하는 구획을 선택하도록 하며,
상기 상세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170)는,
구획명, 검사 일자, 검사 결과, 검사 예정일(DUE DATE), 검사 마감일(LAST DUE) 및 첨부물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설계 두께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선체의 설계 두께가 3차원(3D)에서 색상으로 표시되되 두께를 측정하여 3차원(3D) 상에서 수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수치가 최대 소모한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선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손상정보를 손상 위치에 마커를 삽입함으로써 가시화하고 관련 미디어를 첨부하는 단계(S190)는, 3D 모델의 특정 위치에 마커를 삽입하여 선체의 손상 위치를 표시하고, 손상 위치에 표시된 상기 마커를 클릭하면, 손상 기록 및 첨부된 미디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stablishing the inspection schedule for each section (S110),
When assigning the inspection schedule to each compartment of the vessel, select the corresponding compartment from the compartment tree tree of each compartment of the vessel, or select the desired compartment in the three-dimensional (3D) model and assign the inspection schedule,
Performing the inspection history and detailed status view (S130),
One or more of the division code, the previous inspection expiration date, the next inspection schedule, and the test result is displayed. ), The selected compartment is highlighted,
Recording the inspector and the creation date (S150),
One or more of the inspector input, date, phone number, or department is displayed.
Selecting the target compartment in the ship inspection (S160),
Select the parcel on 3D and select the desired parcel when inputting the test result, or select the parcel to input the test result by selecting the desired parcel on the 3D viewer.
Inputting the detailed test result (S170),
Enter one or more of a compartment name, inspection date, inspection result, inspection date (DUE DATE), inspection deadline (LAST DUE) and attachments,
Checking the design thickness (S180),
The design thickness of the hull is displayed in color in three dimensions (3D), but the thickness can be measured and the figures can be entered in three dimensions (3D).
Visualizing damag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hull by inserting a marker at the damaged position and attaching the relevant media (S190), by inserting a marker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3D model to display the damaged position of the hull, the damaged position Clicking the marker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age record and attached media to be display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40007964A 2014-01-22 2014-01-22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KR101384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64A KR101384863B1 (en) 2014-01-22 2014-01-22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64A KR101384863B1 (en) 2014-01-22 2014-01-22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863B1 true KR101384863B1 (en) 2014-04-14

Family

ID=5065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964A KR101384863B1 (en) 2014-01-22 2014-01-22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945B1 (en) * 2015-05-26 2016-04-28 사단법인 한국선급 Method for managing 3D model-basedhull using smart management server of 3D model-based hu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136A (en) * 2007-03-29 2008-10-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hree dimension model an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ship and offshore structure
KR20090067662A (en)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checking the state of building hull based on rfid
KR20090094996A (en) * 2008-03-04 2009-09-09 삼인정보시스템(주) Measurement accuracy managing system of ship building blocks and computr readable recorded med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136A (en) * 2007-03-29 2008-10-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hree dimension model an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ship and offshore structure
KR20090067662A (en)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checking the state of building hull based on rfid
KR20090094996A (en) * 2008-03-04 2009-09-09 삼인정보시스템(주) Measurement accuracy managing system of ship building blocks and computr readable recorded medi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1년도 대한조선학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공개일 : 2011.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945B1 (en) * 2015-05-26 2016-04-28 사단법인 한국선급 Method for managing 3D model-basedhull using smart management server of 3D model-based hu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710B1 (en) Collaboration System For Production During Process of Vessel's Construction Based Lightweight Model
AU2006254632B2 (en) Management and analysis of cargo shipments
US201603001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roduct Life Cycle
EP2378468A1 (en) Platform for aircraft maintenance services and asset management
KR101499639B1 (en) Production and Quality Managing System based on Web
KR101384863B1 (en) 3d model-based hull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apparatus
Boutrot Reliabl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life extension for offshore units
Hoem et al. Adopting the CRIOP framework as an interdisciplinary risk analysis method in the design of remote control centre for maritime autonomous systems
KR101615945B1 (en) Method for managing 3D model-basedhull using smart management server of 3D model-based hull
Carnero et al. Optimum decision making in asset management
Muñoz et al. Design of smart ships for the IoT
Leon et al. Exploring visual asset management collaboration: learning from the oil and gas sector.
Pitana et al. System Dynamics Model of Retrofitting Ship System to Comply with Ballast Water Convention.
Chu et al. Techno-regulatory challenges for Remote Inspection Techniques (RIT): The role of classification societies
Flitsch Efficiency measurement of container ports-a new opportunity for hinterland integration
Rincon et al. Vito Operating Model & Start-Up Ramp Up (SURU)
KR20130134589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material information in the ship
Jansen et al. Streamlining the Execution of Maritime Commissioning with a Digital Assistance System
Crespo et al. The" Digital twin". Digitization proc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lassification society
Banda et al. Risk management framework for smart shippingservices: a case study in e-piloting
Sullivan et al. LINCOLN—Lean Innovative Connected Vessels
Mitropapas Quality Management Systems: A Lean Approach
Nykänen Enhancing material flow in shipbuilding's block outfitting
Bråten Next Generation IMR RROV/AUV/eROV operations
Ford et al. Benchmarking Naval Shipbuilding With 3D Laser Scanning,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llaborative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