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364B1 -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364B1
KR101384364B1 KR1020130112810A KR20130112810A KR101384364B1 KR 101384364 B1 KR101384364 B1 KR 101384364B1 KR 1020130112810 A KR1020130112810 A KR 1020130112810A KR 20130112810 A KR20130112810 A KR 20130112810A KR 101384364 B1 KR101384364 B1 KR 10138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ing element
thermal image
detec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강재윤
Original Assignee
강재윤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윤, 강동원 filed Critical 강재윤
Priority to KR102013011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46Optical arrangements having multiple detectors for performing different types of detection, e.g. using radiometry and reflectometry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의 각 부분영역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픽셀단위로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고, 출력된 전기신호로 해당 영역별 온도를 계산한 후 그 값으로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픽셀별로 수신하는 복수 개의 디텍터와, 상기 디텍터가 회로연결되고 디텍터에 수신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처리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디텍터와 제어기판을 내장하고 금속재로 성형되는 일정 길이의 하우징과, 상기 제어기판에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판에서 처리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각 발열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상기 디텍터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고 그 디텍터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텍터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적외선 에너지가 인입되어 상기 디텍터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에너지인입홀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일측 외부에는 에어분사를 통해 상기 에너지인입홀로의 이물질 인입을 방지하도록 에어발생기와 연결되는 에어분사유닛이 설치되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이미지생성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THERMAL IMAG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의 각 부분영역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픽셀단위로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고, 출력된 전기신호로 해당 영역별 온도를 계산한 후 그 값으로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출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 또는 인체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적외선(IR)을 수신하여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여러 기술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장소 등에 설치되어 조명등(Lamp)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열 감지 장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0), 앰프(11), 로우 패스 필터(12), 비교기(13), 타이머(14), 드라이버(15), 램프(16), 그리고 감광 센서(17) 등이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10)에서는, 예를 들어, 인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적외선이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저 전압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앰프(11)에서는, 상기 저 전압의 전기 신호를 소정 전압 이상의 전기 신호로 증폭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로우 패스 필터(12)에서는, 상기 소정 전압 이상의 전기 신호로 증폭하는 과정 등에서 유입된 노이즈(Noise) 성분, 예를 들어,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13)에서는, 상기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가 제거된 소정 전압 이상의 전기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_Ref, 예: 0.7V)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상기 타이머(14)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15)에서는, 상기 타이머(14)가 구동되는 일정 시간 동안(예: 10초), 상기 램프(16)에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를 온(On)시키며, 상기 감광 센서(17)에서는, 주변 밝기에 따라 입사되는 광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비교기(13)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시키거나,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 밝기가 어두운 장소에서 사람이 접근하게 되면,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10)가 작동하여 램프(16)를 자동으로 온(On)시키게 되는 데,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1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초전(Pyroelectric) 효과를 나타내는 유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외선이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더 이상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정지 상태에서 있는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0)를 삭제하는 대신 써모파일(Themopile) 센서(20)를 사용하는 열 감지 장치가 보급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데, 상기 써모파일 센서(2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정지 상태에 있는 물체 또는 인체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열감지 센서 중 하나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써모파일 센서들을 정방형(예: 32 x 32) 픽셀(Pixel)들로 배치하여, 하나의 모듈(Module)로 제작한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TAS: Themopile Array Sensor)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TAS)를 이용하여, 물체 또는 인체 등의 열화상을 측정하는 열화상 측정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는, 특정 물체의 각 부분 영역들에서 발생하는 적외선들을 각 픽셀(Pixel) 단위로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들을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며,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모니터 등에 표시된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특정 물체의 열 분포 상태 등을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열화상 촬영장치들은 고가이고, 그에 따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열화상 촬영장치는 먼지 등 공기중에 비산되는 이물질이 많은 곳에서는 그 이물질들에 의해 발열체의 열화상을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영역의 열화상만을 측정함으로써 열화상 카메라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디텍터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디텍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에어분사를 통해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열화상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하도록 하고, 현장에서 해당 발열체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자기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시점에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픽셀별로 수신하는 복수 개의 디텍터와, 상기 디텍터가 회로연결되고 디텍터에 수신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처리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디텍터와 제어기판을 내장하고 금속재로 성형되는 일정 길이의 하우징과, 상기 제어기판에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판에서 처리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각 발열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상기 디텍터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고 그 디텍터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디텍터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적외선 에너지가 인입되어 상기 디텍터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에너지인입홀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일측 외부에는 에어분사를 통해 상기 에너지인입홀로의 이물질 인입을 방지하도록 에어발생기와 연결되는 에어분사유닛이 설치되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이미지생성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일측에 위치조절너트가 설치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에너지인입홀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에어분사홈이 형성되며, 그 에어분사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에어발생기에서 발생된 에어를 에어분사홈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이동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기판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제어기판에서 처리한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발열체의 최고점 온도를 표시하도록 온도표시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어기판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되어 자성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온도표시부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자기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차단캡의 일측에는 상기 디텍터에서 수신하는 발열체의 적외선 에너지 수신 범위조절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따르면, 해당 영역의 영상촬영 없이 열화상만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도 화재발생을 예측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여 발열체가 시스템이나 장치 등 물적 자원의 경우 급격한 온도상승 등 이상 징후 발생시 조기에 안정화시키도록 하여 조업중단 등 손실을 없애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열 감지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써모파일 센서를 이용하는 열 감지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에어분사유닛의 결합위치에 따른 에어분사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온도표시부가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자기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된 단면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에어분사유닛의 결합위치에 따른 에어분사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온도표시부가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자기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서 하우징에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된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는 해당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측정함으로써 화재발생가능성을 예측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디텍터(100), 제어기판(200), 하우징(300), 열차단캡(400), 이미지생성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텍터(100)는 발열체의 각 부분영역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들이 모듈화되어 제작된 것으로,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텍터(100)는 영상이 아닌 열화상만을 측정하면 되므로, 센서들이 32×32픽셀(pixel)로 배치되어 모듈화된 것을 사용하거나 그보다 작은 픽셀로 배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픽셀 수는 열화상만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상기 제어기판(200)은 상기 디텍터(100)와 회로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텍터(100)에 수신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들을 출력하게 되는데,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생성부(5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생성부(500)에서는 제어기판(200)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그 값을 이용하여 발열체의 각 부분 영역별 온도를 계산하게 되고, 그 온도 값에 상응하는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550)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50)에 표시된 이미지를 통해 열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텍터(100)와 제어기판(200)은 하우징(300)에 내장된 상태로 발열체가 있는 현장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이미지생성부(500)는 통제실 등 작업자 관리실에 설치된다. 따라서, 현장에 각각 설치된 제어기판(20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이미지생성부(500)로 집합시키도록 하여 이미지생성부(500)에서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여러 곳에 설치된 해당 발열체의 열 분포상태를 작업자가 직접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텍터(100)와 제어기판(200)는 하우징(30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300)은 금속재로 성형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에는 상기 디텍터(100) 및 제어기판(200)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310)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적외선 에너지가 인입되어 상기 디텍터(1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에너지인입홀(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300)의 일측 외부에는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분사유닛(330)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300)의 타측에는 상기 이미지생성부(500)와 연결되는 케이블(3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인입홀(320)에는 디텍터(100)로 에너지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분사유닛(330)은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에너지인입홀(320)로 인입되는 이물질이나 에너지인입홀(320)에 구비된 디텍터(100)의 렌즈에 쌓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에어발생기(370)와 연결되어져 그 에어발생기(370)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에너지인입홀(320)로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분사유닛(330)은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에어분사유닛(330)의 일측에는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는 위치조절너트(3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너트(332)는 구성명칭에서와 같이 에어분사유닛(3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300)에 나선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에어분사유닛(3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에어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에어분사유닛(330)의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에너지인입홀(320)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에어분사홈(33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에어분사홈(334)의 개방정도가 상기 위치조절너트(33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너트(332)를 A위치에까지 결합한 상태에서는 에어분사홈(334)의 전체가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분사되는 에어의 량이 많아지고, 상기 위치조절너트(332)를 B위치에까지 결합한 상태에서는 에어분사홈(334)의 대략 ⅓정도만이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분사되는 에어의 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의 분사량 조절은 상기 하우징(300)의 설치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하면 된다. 먼지가 많은 곳에서는 많은 량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고, 먼지가 적은 곳에서는 적은 량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분사유닛(330)에는 상기 에어분사홈(334)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에어이동통로(336)가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에어이동통로(336)는 상기 에어발생기(370)에 호스로 연결되어 그 에어발생기(370)에서 발생된 에어를 에어분사홈(334)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에는 상기 디텍터(100)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발열체의 최고점 온도를 표시하도록 온도표시부(3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온도표시부(350)는 상기 제어기판(200)과 회로연결되게 구비됨으로써 제어기판(200)에서 검출한 발열체의 온도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표시되는 온도는 발열체의 최고점 온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는 최초 설계시 표시온도를 설정하도록 함이 당연할 것으로, 최고점으로 표시하거나 평균온도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에는 온도표시부(35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온도표시부(3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자기스위치(360)가 제어기판(200)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스위치(360)는 자성을 띤 물질이 근접한 경우 작동되는 것으로, 자성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온도표시부(3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온도표시부(35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되고, 작업자가 온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성체를 근접시키는 동작을 통해 온도표시부(350)에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여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3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화재발생시에 불에 타지는 않으나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 발생시 내부의 디텍터(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열차단캡(400)이 마련된다.
상기 열차단캡(400)은 단열재 등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상기 디텍터(100)의 결합을 위해 마련됨은 물론, 그 디텍터를 커버함으로써 디텍터로의 열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여 디텍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디텍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디텍터의 부정확한 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차단캡(400)에 대해 첨부의 도면에서는 하우징(30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 내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게 하여 디텍터와 함께 제어기판(200)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첨부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열차단캡(400)에는 디텍터(100)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디텍터 삽입홈(410)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되는 레이저조사기(600)의 설치를 위해 레이저조사기 삽입홈(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레이저조사기 삽입홈(420)에 삽입된 레이저조사기(600)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조사기 삽입홈(420)에 연통되게 레이저조사홀(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텍터 삽입홈(410)은 디텍터(100)가 설치된 경우 무게중심를 가지도록 하면서 제어기판(20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가능하면 열차단캡(400)의 중앙에 형성되게 하고, 상기 레이저조사기 삽입홈(420)은 일측에 편향되게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차단캡(400)에는 상기 디텍터(100)가 설치되는 것 외에도 일측에 레이저조사기(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조사기(600)는 상기 디텍터(100)가 수신하는 발열체의 적외선 에너지 수신범위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디텍터(100)가 촬영하는 범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생성부(500)는 상기 제어기판(200)에 케이블(34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여러 개의 제어기판(200)을 통합 감시하도록 통제실 등의 관리서버에 별도 설치된다.
이러한 이미지생성부(500)는 제어기판(200)을 통해 디텍터(100)에서 촬영된 신호를 전달받아 각 디텍터(100)에서 촬영한 해당 발열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55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50)에는 상기 이미지생성부(500)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고, 경보시스템을 도입하여 디텍터(100)에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여 작업자가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로 인해 점검을 통해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5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각각의 디텍터(100)와 연결된 제어기판(200)에서 송신된 전기신호에서 생성한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작업자가 선택하여 전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의 열화상을 측정함으로써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 영상 촬영없이 열화상만을 측정하여 확인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도 화재를 예측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100: 디텍터 200: 제어기판
300: 하우징 310: 수용공간
320: 에너지인입홀 330: 에어분사유닛
332: 위치조절너트 334: 에어분사홈
336: 에어이동통로 340: 케이블
350: 온도표시부 360: 자기스위치
370: 에어발생기 400: 열차단캡
410: 디텍터 삽입홈 420: 레이저조사기 삽입홈
430: 레이저조사홀 500: 이미지생성부
550: 디스플레이부 600: 레이저조사기

Claims (6)

  1.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픽셀별로 수신하는 복수 개의 디텍터(100)와, 상기 디텍터(100)가 회로연결되고 디텍터(100)에 수신된 적외선 에너지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판(200)과, 상기 디텍터(100)와 제어기판(200)을 내장하고 금속재로 성형되는 일정 길이의 하우징(300)과, 상기 제어기판(200)에 케이블(34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판(200)에서 출력한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각 발열체의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550)에 표시하는 이미지생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내부에 상기 디텍터(100)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고 그 디텍터(100)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캡(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0)에는 상기 디텍터(100)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310)이 형성되며,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적외선 에너지가 인입되어 상기 디텍터(1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에너지인입홀(320)이 형성되고, 하우징(300)의 일측 외부에는 에어분사를 통해 상기 에너지인입홀(320)로의 이물질 인입을 방지하도록 에어발생기(370)와 연결되는 에어분사유닛(330)이 설치되며, 하우징(300)의 타측에는 상기 이미지생성부(500)와 연결되는 케이블(3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유닛(330)은,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일측에 위치조절너트(332)가 설치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에너지인입홀(320)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에어분사홈(334)이 형성되며, 그 에어분사홈(334)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에어발생기(370)에서 발생된 에어를 에어분사홈(334)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이동통로(3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기판(200)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제어기판(200)에서 처리한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발열체의 최고점 온도를 표시하도록 온도표시부(3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에는 상기 제어기판(200)에 회로연결되게 설치되어 자성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온도표시부(35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자기스위치(3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캡(400)의 일측에는 상기 디텍터(100)에서 수신하는 발열체의 적외선 에너지 수신 범위조절을 위해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레이저조사기(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KR1020130112810A 2013-09-23 2013-09-23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KR10138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10A KR101384364B1 (ko) 2013-09-23 2013-09-23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10A KR101384364B1 (ko) 2013-09-23 2013-09-23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364B1 true KR101384364B1 (ko) 2014-04-14

Family

ID=5065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10A KR101384364B1 (ko) 2013-09-23 2013-09-23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98B1 (ko) 2013-12-06 2015-03-25 주식회사 그린파워시스템 앤 네트워크 설비 안전 진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6608A1 (en) * 2004-06-24 2005-12-29 Irc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n InGaAs detector
JP2006345516A (ja) * 2005-06-06 2006-12-21 Flir Systems Ab Ir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6608A1 (en) * 2004-06-24 2005-12-29 Irc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n InGaAs detector
JP2006345516A (ja) * 2005-06-06 2006-12-21 Flir Systems Ab Ir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98B1 (ko) 2013-12-06 2015-03-25 주식회사 그린파워시스템 앤 네트워크 설비 안전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020B2 (e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KR101246918B1 (ko) 비접촉식 온도 감시 장치
KR101112125B1 (ko) 방문자 체온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111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화상 촬영 장치 및 방법
EP2696574B1 (en) Thermal imaging camera with intermittent image capture
JP2017034715A5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
EP3407034A1 (en) Intelligent flam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nfrared thermography
US9438825B2 (en) Infrared sensor amplification techniques for thermal imaging
GB2458405A (en) Temperatu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EP2632166B1 (en) System to test performance of pixels in a sensor array
EP2753071A2 (en) Thermal camera and method for eliminating ghosting effects of hot-target thermal images
KR101727564B1 (ko) 밀폐된 공간에서의 수위촬영이 가능한 초음파 수위측정장치
KR101384364B1 (ko) 발열체의 열화상 측정장치
US9621824B2 (en) Thermal imager
WO2019044898A1 (ja) ガス検知システム
JP6700725B2 (ja)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検出システム及び放射線検出装置の制御方法
JP5996237B2 (ja) 人体検知装置
KR101407549B1 (ko) 씨씨티브이
KR101305990B1 (ko) 씨씨티브이
JP6493859B2 (ja) 放射線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40003734A (ko)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EP3210368B1 (e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KR101693644B1 (ko) 압전케이블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CN107003180B (zh) 用于监测辐射的方法
KR102520067B1 (ko) 능동적 전력품질 개선 및 전기화재 검출에 따른 비상유도 방향지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