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927B1 -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 Google Patents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927B1
KR101383927B1 KR1020120147671A KR20120147671A KR101383927B1 KR 101383927 B1 KR101383927 B1 KR 101383927B1 KR 1020120147671 A KR1020120147671 A KR 1020120147671A KR 20120147671 A KR20120147671 A KR 20120147671A KR 101383927 B1 KR101383927 B1 KR 10138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advertising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용
Original Assignee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용 filed Critical 권오용
Priority to KR102012014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09F2013/1881Frame-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나라 국기나 기타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용지 등을 게양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광고용 발광전시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면이 절개면(15)에 의해 분할 형성된 중공의 인입홀(11)이 천공되고 절개면으로부터 각각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돌부(16)의 서로 대응되는 각 영역에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이 등간격 채용되는 반사케이스(10);와, 반사케이스의 인입홀을 통해 슬라이드 진입되어 발광 여부에 따라 조명 기능이 부여되는 발광램프(20);와, 상단에 등간격 천공시킨 결합공(41)을 결합돌기와 돌기인입공 사이 공간에 일대일 개재하여 반사케이스와의 고정 결속을 유도하는 광고이미지(40);와, 광고이미지 하단과 결부되도록 광고이미지와 동일 폭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50);와, 연결부재에 끼움 개재되어 하방으로 숱부재(70)를 고정 결합시키는 이음부재(6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케이스(10)는 반사체로 도포된 내면을 갖도록 하여 발광램프(2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해당 진행 방향을 하향 유도시켜 발광램프의 조사 방향이 하향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Electroluminescence elem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각 나라 국기나 기타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용지 등을 게양하여 광고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광고용 발광전시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으로 제공되어 일련의 조립과정을 통해 하나의 발광전시기구가 구현됨에 따라 노후화 내지 기타 손상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LED 램프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발광 빛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에 대해 집중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빛의 손실을 최소화 유도하면서도 외부에 대해 전시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국의 국기나 기타 홍보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용지 등을 외부로 표출시켜 광고 및 전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전시기구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학교의 운동회나 기타 행사장소에는 만국기를 설치하여 행사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만국기 형태는 종이 또는 합성 비닐수지에 각국의 국기의 모양을 인쇄하고, 인쇄된 여러 장의 국기를 별도의 고정줄에 고정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렇듯, 만국기 등은 주지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정줄에 단순 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최초 설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과 함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므로 바람이나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시된 만국기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관련 작업이 수월하지 않게 된다.
한편, 만국기 등의 전시 홍보물은 특히 야간에 범용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외부 조명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식별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조명 수단을 채용하는데서 비롯되는 시설의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전시하고자 하는 해당 대상물에 정확한 빛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소정의 전시수단이 제공되고 있는바, 전시수단 자체에 발광램프를 장착하여 야간에도 해당 전시물에 식별력을 부여하고자 유도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사상은 전시수단의 특성상 빛의 하향이 집중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사방으로 분산되는 빛의 손실을 막을 수 없어 빛의 편향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할 대응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당 전시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발광전시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을 손실됨이 없이 의도하는 하측 방향으로만 집중되게 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광전시기구는 하면이 절개면(15)에 의해 분할 형성된 중공의 인입홀(11)이 천공되고 절개면으로부터 각각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돌부(16)의 서로 대응되는 각 영역에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이 등간격 채용되는 반사케이스(10);와, 반사케이스의 인입홀을 통해 슬라이드 진입되어 발광 여부에 따라 조명 기능이 부여되는 발광램프(20);와, 상단에 등간격 천공시킨 결합공(41)을 결합돌기와 돌기인입공 사이 공간에 일대일 개재하여 반사케이스와의 고정 결속을 유도하는 광고이미지(40);와, 광고이미지 하단과 결부되도록 광고이미지와 동일 폭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50);와, 연결부재에 끼움 개재되어 하방으로 숱부재(70)를 고정 결합시키는 이음부재(6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케이스(10)는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전 영역에 대해 반사체로 도포된 내면을 갖도록 하여 발광램프(2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해당 진행 방향을 하향 유도시켜 발광램프의 조사 방향이 하향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반사케이스(10)는 양측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연장돌부(16) 방향으로 각각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12)를 부가 채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0)는 광고이미지의 하단이 끼움 개재될 수 있도록 상단 중앙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하향 함몰되게 형성한 끼움면(51);과, 하면이 절개면(52)에 의해 분할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음부재를 슬라이드 진입 가능하게 하는 중공부(53);와, 절개면 측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돌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음부재(60)는 연결부재의 가이드돌부(5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양쪽 측면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슬라이드유도홈(61);과, 숱부재(70)의 인입 고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하단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끼움면(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반사케이스(10)는 투명체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포함하고, 내면에 반사체를 도포하거나 외면에 반사체 필름을 부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의 간편성과 함께 내구성의 증대로 해당 전시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하여금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해당 조명 빛을 하향 편중되게 적극 유도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양측 저면상에서 하향되게 연장시킨 만곡부의 부가 채용으로 인해 하부 외측으로 손실되는 빛을 하부 내측으로 집중시켜 줌으로써, 광고이미지 전면에 대해 발광램프 빛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해당 빛의 손실됨이 없이 의도하는 하측 방향으로만 집중되게 하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발광전시기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각 나라 국기나 기타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용지 등을 게양하여 광고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광고용 발광전시기구에 관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는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으로 제공되어 일련의 조립과정을 통해 하나의 완성품으로 구현됨에 따라 노후화 내지 기타 손상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LED 램프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발광 빛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에 대해 집중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빛의 손실을 최소화 유도하면서도 외부에 대해 전시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발광전시기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능 및 조립 구조에 따라 크게 반사케이스(10); 발광램프(20); 광고이미지(40); 연결부재(50); 이음부재(60); 숱부재(70);를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면이 절개면(15)에 의해 분할 형성된 중공의 인입홀(11)이 천공되고 절개면으로부터 각각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돌부(16)의 서로 대응되는 각 영역에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이 등간격 채용되는 반사케이스(10);와, 반사케이스의 인입홀을 통해 슬라이드 진입되어 발광 여부에 따라 조명 기능이 부여되는 발광램프(20);와, 상단에 등간격 천공시킨 결합공(41)을 결합돌기와 돌기인입공 사이 공간에 일대일 개재하여 반사케이스와의 고정 결속을 유도하는 광고이미지(40);와, 광고이미지 하단과 결부되도록 광고이미지와 동일 폭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50);와, 연결부재에 끼움 개재되어 하방으로 숱부재(70)를 고정 결합시키는 이음부재(6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케이스(10)는 반사체로 도포된 내면을 갖도록 하여 발광램프(2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해당 진행 방향을 하향 유도시켜 발광램프의 조사 방향이 하향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케이스(10)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구성요소로, 인입홀(11); 만곡부(12);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 절개면(15); 연장돌부(16);로 구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발광램프(20)로부터 발산되는 해당 빛을 하방 중앙으로 집중시켜 주기 위한 수단이 된다.
예컨대, 통상 그 길이가 100m에 이를 정도로 긴 몸체로 제공되어 상황에 알맞은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는 발광램프(20) 상에 본 발명의 반사케이스(10)가 도 4와 같은 형태로 결부되는바, 보다 효율적인 광고를 위해 반사케이스 내면에는 반사체를 적용하여 램프 상측으로 조사되는 조명 빛이 이의 하측 영역에 대해 전반사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구조의 특성상 반사케이스(10)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양측면과 상면에 대해서만 반사체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반사케이스(10)의 연장돌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램프(20) 상에 거치하는 형태로 본 발명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절개면(15)을 기준으로 양분하여 하향 연장된 각 연장돌부(16)의 사이 공간을 확장시켜 이를 통해 발광램프(20)를 인입되게 한 후, 연장돌부 상에 부여된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을 일대일 치합시킴에 따라 발광램프 상에서 각각의 반사케이스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은 통상의 결합수단과 동일 내지 유사한 것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의 특성상 보다 쉽고 간편한 체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를 채용하였으며, 도 2와 같은 체결 상태로 인해 반사케이스(1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제자리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미도시함)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긴 발광램프(20)로부터 발산되는 해당 영역의 빛을 하방으로 집중시켜 주기 위한 실질적인 수단이 되는바, 이에 의해 발광램프(20) 상측으로 조사되는 조명 빛이 광고이미지(40)가 위치된 하측 영역에 대해 전반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반사체 개념은 전반사의 구현을 위하여 반사케이스(10) 내면 영역에 전면(저면 제외) 도포된 형태이거나 기타 반사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일체 대상을 일컫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반사케이스(10)는 광고하고자 하는 이미지 전면에 걸쳐 고른 발광램프의 조사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절개면(15) 방향으로 만곡되는 형상의 만곡부(12)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만곡부(12)는 하부 외측에서 손실되는 빛을 하부 내측으로 집중시켜 줌으로써 해당 광고이미지의 광고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0)는 연장돌부(16)로부터 고정되어 하향 비치된 광고이미지(40) 하단에서 결부되는 구성요소로, 반짝임을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통상의 숱부재(70)를 부가 설치할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광고이미지(40)의 하단이 끼움 개재될 수 있도록 상단 중앙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하향 함몰되게 형성한 끼움면(51);과, 하면이 절개면(52)에 의해 분할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음부재를 슬라이드 진입 가능하게 하는 중공부(53);와, 절개면 측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돌부(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재(60)는 전술한 연결부재(50)와의 상호 결속을 위하여 구비되고, 연결부재의 가이드돌부(5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양쪽 측면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슬라이드유도홈(61);과, 숱부재(70)의 인입 고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하단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끼움면(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100)에 의하면, 조립의 간편성과 함께 내구성의 증대로 해당 전시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하여금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해당 조명 빛을 하향 편중되게 적극 유도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양측 저면상에서 하향되게 연장시킨 만곡부의 부가 채용으로 인해 하부 외측으로 손실되는 빛을 하부 내측으로 집중시켜 줌으로써, 광고이미지 전면에 대해 발광램프 빛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해당 빛의 손실됨이 없이 의도하는 하측 방향으로만 집중되게 하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반사케이스 11. 인입홀
12. 만곡부 13. 결합돌기
14. 돌기인입공 15. 절개면
16. 연장돌부 20. 발광램프
40. 광고이미지 41. 결합공
50. 연결부재 51. 끼움면
52. 절개면 53. 중공부
54. 가이드돌부 60. 이음부재
61. 슬라이드유도홈 62. 끼움면
70. 숱부재 100. 발광전시기구

Claims (5)

  1. 하면이 절개면(15)에 의해 분할 형성된 중공의 인입홀(11)이 천공되고 절개면으로부터 각각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돌부(16)의 서로 대응되는 각 영역에 결합돌기(13) 및 돌기인입공(14)이 등간격 채용되는 반사케이스(10);와, 반사케이스의 인입홀을 통해 슬라이드 진입되어 발광 여부에 따라 조명 기능이 부여되는 발광램프(20);와, 상단에 등간격 천공시킨 결합공(41)을 결합돌기와 돌기인입공 사이 공간에 일대일 개재하여 반사케이스와의 고정 결속을 유도하는 광고이미지(40);와, 광고이미지 하단과 결부되도록 광고이미지와 동일 폭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50);와, 연결부재에 끼움 개재되어 하방으로 숱부재(70)를 고정 결합시키는 이음부재(6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사케이스(10)는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전 영역에 대해 반사체로 도포된 내면을 갖도록 하여 발광램프(2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반사케이스의 반사체로 해당 진행 방향을 하향 유도시켜 발광램프의 조사 방향이 하향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케이스(10)는 양측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연장돌부(16) 방향으로 각각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12)를 부가 채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는 광고이미지의 하단이 끼움 개재될 수 있도록 상단 중앙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하향 함몰되게 형성한 끼움면(51);과, 하면이 절개면(52)에 의해 분할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음부재를 슬라이드 진입 가능하게 하는 중공부(53);와, 절개면 측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돌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60)는 연결부재의 가이드돌부(5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양쪽 측면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슬라이드유도홈(61);과, 숱부재(70)의 인입 고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하단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끼움면(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케이스(10)는 투명체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포함하고, 내면에 반사체를 도포하거나 외면에 반사체 필름을 부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20120147671A 2012-12-17 2012-12-17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38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71A KR101383927B1 (ko) 2012-12-17 2012-12-17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71A KR101383927B1 (ko) 2012-12-17 2012-12-17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927B1 true KR101383927B1 (ko) 2014-04-09

Family

ID=5065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671A KR101383927B1 (ko) 2012-12-17 2012-12-17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9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593A (ja) 2000-11-01 2002-05-22 Unipac Optoelectronics Corp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そのケース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63131Y1 (ko) 2004-06-07 2004-09-22 임태근 비상구 표시장치의 냉음극관 형광램프 설치구조
JP2008216815A (ja) 2007-03-06 2008-09-1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KR20110135498A (ko) * 2010-06-11 2011-12-19 (주)이보라이트 버티칼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593A (ja) 2000-11-01 2002-05-22 Unipac Optoelectronics Corp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そのケース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63131Y1 (ko) 2004-06-07 2004-09-22 임태근 비상구 표시장치의 냉음극관 형광램프 설치구조
JP2008216815A (ja) 2007-03-06 2008-09-1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KR20110135498A (ko) * 2010-06-11 2011-12-19 (주)이보라이트 버티칼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8596B1 (en) Combination of a shelve system and label led strip lamp therefor
KR100798680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수단
US7753564B2 (en) Lampshade and illumination lamp having the same
US20140223803A1 (en) Attraction device, insect-capturing apparatus and insect-capturing method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EP2846086A1 (en) Indicating light for transportation
KR101383927B1 (ko)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329508B1 (ko)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266599B1 (ko)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KR101266660B1 (ko)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CN106164577B (zh) 光学透镜及用于背光的led灯模块
JP2010097917A (ja) 照明・表示装置
US9804322B1 (en) Linear edgelit lighting system with heat sink base and clamp coupled together with a fastener
KR101531287B1 (ko) 슬라이딩 조립식 led 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
ES2899874T3 (es) Tira de iluminación, sistema de iluminación, elemento de soporte del panel y sistema de panel modular
KR20170001886U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KR20170068786A (ko) 조명장치
KR20070062003A (ko) 광색 변화되는 조명 광고판
KR101940159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150004557U (ko) 엘이디 모듈 간판
KR101304449B1 (ko) 후광 기능을 겸비한 일체형 채널사인
KR20150017643A (ko) Led를 포함하는 연결식 조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
JP5603104B2 (ja) 内照式掲示器
KR200444467Y1 (ko) 발광 유리판
KR102217323B1 (ko) 돌출형 조명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