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806B1 -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 Google Patents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806B1
KR101383806B1 KR1020130134931A KR20130134931A KR101383806B1 KR 101383806 B1 KR101383806 B1 KR 101383806B1 KR 1020130134931 A KR1020130134931 A KR 1020130134931A KR 20130134931 A KR20130134931 A KR 20130134931A KR 101383806 B1 KR101383806 B1 KR 10138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tient
chest
defibrilla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기
Original Assignee
(주)라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디안 filed Critical (주)라디안
Priority to KR102013013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6Powe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제세동기가 개시된다. 제세동기는 상기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가 표시되어 있는 전극패드; 상기 환자의 흉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및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의 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성인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A DEFIBRILLATOR COMPRISING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SENSOR TO GUIDE WHOLE PROCESSES FROM ELECTRIC SHOCK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ON AS A CONSISTENT PROCESS}
본 발명은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보자의 경우에도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세동기(Defibrillator)는 심폐소생술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세동기 중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 AE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ED는 환자의 심장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 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되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마비(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으로서, 환자에게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급성심정지가 발생하면 응급처치법으로 심폐소생술을 행하여 한다.
일반적인 심폐소생술은 정상혈류량을 20% 정도 회복하는 반면, AED를 이용하면 100% 회복이 가능하여, AED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최대 70%까지 높일 수 있다.
인간의 심장은 혈액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심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작용시키는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 즉,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한다. 만약,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심장은 효율적으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하여,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게 하는 AED를 이용한 심페소생술은 사고 후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에 심장, 뇌, 그 밖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실시되는 응급처치로서, 기본 심폐소생술은 기도유지, 환기, 흉부압박을 포함한다.
흉부압박은 환자의 순환을 보조하는 방법이다. 심정지 상태에서는 뇌, 심장을 포함한 중요 장기로의 혈류가 멈추게 되므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어느 정도의 혈액순환을 유지시킬 수 있다. 흉부압박은 환기와 함께 시행해야 효과가 높다.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정지를 일으킨 응급 환자의 경우 심정지 발생 후 환자의 혈액순환이 4~6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의 뇌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받기 시작하며, 6분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의 뇌와 모든 장기의 기능이 정지되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가 발생된 응급 환자에게는 흉부압박과 인공순환기를 통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심폐소생술 도중 흉부압박을 정확한 속도와 깊이로 시행하여야 뇌, 심장 등 주요 장기에 효과적인 순환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과다한 환기의 제공은 자발순환회복의 가능성을 떨어뜨리므로 정확한 속도로 흉부압박과 환기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게 정확한 응급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 있다. 2005년 발표된 국제소생술연합위원회(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의 심폐소생술 권고안에서는 흉부압박 시 구조자의 손의 위치와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그 중 손의 위치의 경우 2005년 유럽소생학회(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의 심폐소생술 지침에서는 환자의 가슴 정중앙 부위를 구조자의 손바닥 중 손꿈치(heel)를 사용하여 양손을 깍지끼어서 압박하도록 설명하고 있다.
이때 가슴의 정중앙 부위는 환자의 양쪽 젖꼭지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흉골 (sternum)과 만나는 부위를 가리킨다. 흉골은 가슴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막대모양의 납작한 뼈로 자루(manubrium)와 몸통(body), 칼돌기(xiphoid process)로 이루어지는데 양쪽 젖꼭지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몸통 위를 수평으로 지나게 되므로 흉부압박 시 직접적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의 대부분을 몸통이 차지하고 있다. 흉골의 몸통은 성인의 경우 너비가 5cm 내외이므로 손꿈치를 이용하여 압박을 시행해야 되지만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 시에는 손바닥 전체로 압박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한쪽 흉곽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어 늑골 골절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관 내 삽관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심폐소생술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30:2의 비율로 시행하도록 권장되기 때문에 30회의 연속된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번갈아 시행하여야 하고, 따라서 이와 같이 인공호흡과 함께 번갈아 시행되는 흉부압박시 매번 동일한 부위를 압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세동기의 경우 성인용과 어린이용이 별개로 설계, 제작되어 각각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초보자의 경우 위급 사항에서 우왕좌왕하기 쉬운데 이런 상황에서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의 모든 구조 프로세스를 초보자라도 일관된 프로세스로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흉부로 가해지는 압력, 가압 깊이 및 압력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드 설정을 통하여 성인과 어린이에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내 내용에 따라 초보자의 경우에도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 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충격에도 강한 고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면압센서, 가압 위치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및 면압분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는, 상기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가 표시되어 있는 전극패드; 상기 환자의 흉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및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의 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성인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세동기는 일반적인 제세동기와 환자의 심장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분포 측정 센서일 수 있고,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는,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1 전극 세트;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2 전극 세트로서, 상기 제 2 전극 세트는 상기 제 1 전극 세트 위에 배열되며 상기 제 1 전극 세트와 상기 제 2 전극 세트의 배열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된, 제 2 전극 세트; 및 상기 제 1 전극 세트와 상기 제 2 전극 세트의 교차 지점에 설치된 정전 용량 방식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패드의 상기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 압력이 가해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안내 내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제세동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올바르게 제세동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 수행 중 환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심폐소생술에 필요한 적절한 압력을 환자의 흉부에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 수행 중 환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환자의 흉부 위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분포 측정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인에게 전극패드(100)를 부착한 모양을 도시하고, 도 3b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린이에게 전극패드(100)를 부착한 모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 센서(300)가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드 및 압력 센서가 성인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압력 분포를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분포 측정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10)는 전극패드(100), 스위치부(200), 압력 센서(300), 저장부(400), 제어부(500), 출력부(600), 쇼크 버튼(700) 및 전원 버튼(800)을 포함할 수 있다.
심장 충격이 요구되는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전원 버튼(900)을 눌러 제세동기를 시작할 수 있다.
스위치부(200)를 이용하여 환자가 성인인지 어린이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부(200)의 선택에 따라서 전극패드(100)에서는 성인 또는 어린이에게 적합한 전압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전극패드(100)는 심폐소생술을 요하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될 수 있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세동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전극패드(100)는 플렉시블한 전극패드로서,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인에게 전극패드(100)를 부착한 모양을 도시하고, 도 3b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린이에게 전극패드(100)를 부착한 모양을 도시한다.
전극패드(100)를 환자에게 부착하고 쇼크 버튼(700)을 누르면 환자에게 전압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는 심장에 전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300)는 예를 들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면압 센서로서, 전극패드(100)와 같이 플렉서블한 형태로 제작되어 구조자에 의해 심폐소생이 실시되어야 하는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300)는 어레이 형태의 압력 분포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 센서(300)가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압력 분포 측정 센서(300)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300)는 어레이 형태의 압력 분포 측정 센서로서 제 1 전극 세트(10), 제 2 전극 세트(20) 및 커패시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 세트(10)는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위에 제 2 전극 세트(20)가 또 다른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 세트(20)는 제 1 전극 세트(10) 위에 배열되며 이 때 제 1 전극 세트(10)와 제 2 전극 세트(20)의 배열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 1 전극세트(10)와 제 2 전극세트(20)간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들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교차점들에 각각 커패시터(30)가 설치된다.
압력 분포 측정 센서(210)는 제 1 전극 세트 및 제 2 전극 세트의 개수에 따라서 교차점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고, 최소 2x2로 4개의 교차점을 가지는 세트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전극패드의 크기, 민감도의 정확도 등), 전극 세트의 크기나 개수를 조절하여 적절한 숫자의 커패시터를 포함한 압력 분포 측정 센서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를 어레이 센서(array sensor)라고도 하며, 전극이 겹치는 곳에 각각 커패시터를 설치하고, 선별적으로 하나의 행과 열을 스캐닝하여 그 위치에서의 정전 용량, 즉 압력 및 압력 분포를 측정한다. 이때 각각의 엘리먼트로부터 최대 센서 응답을 얻기 위해 고속으로 어레이를 스캐닝한다.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서 커패시터는 다양한 방식의 커패시터(정전 용량 방식, 저항 방식, 피에조 방식)가 이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커패시터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다른 센서와는 달리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는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내부적인 변형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잦은 교정이 필요없고 반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아래의 표 1은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와 나머지 두가지 방식의 센서의 비교로서, [표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가 매우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양 비교 정전용량방식 저항방식 피에조방식
최대용량 좋음 좋음 좋음
민감도 우수함 나쁨 좋음
최소 센서 사이즈 좋음 우수함 나쁨
반복성(repeatability) 우수함 나쁨 좋음
온도에 대한 영향 우수함 우수함 나쁨
유연성 우수함 우수함 좋음
이와 같은 압력 분포 측정 센서(300)는 전극패드와 같은 형태로 제작가능하기 때문에 구조자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위치에 편평하게 부착할 수 있어 압력 분포 측정 센서(30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느낌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극 패드 및 압력 센서가 성인 환자의 가슴부위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서는 고무와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절연 재질로 감싸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 재질에 의해 절연됨으로써 전극 패드에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더라도 압력 센서가 보호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의 경우에는 전극 패드의 위치가 심폐소생술 시 압력을 가하는 위치와 같기 때문에 전극 패드 위에 압력 센서를 겹쳐 올릴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에 자이로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압력 센서에 자이로 센서가 부착됨으로써 압력 센서가 흉부에 부착되고 흉부가 심폐소생술 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위치 변화가 생길 때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성인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성인과 어린이에게 심폐 소생을 실시하기 위한 제세동기의 적정한 전력은 성인과 어린이 간의 신체적인 조건 등의 차이로 인하여 상이하다. 배경 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세동기의 경우 위와 같은 차이 때문에 성인용과 어린이용이 따로 존재하였다.
본원 발명에서는 성인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200)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극패드(100)에서 성인 또는 어린이에게 맞는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부(500)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부(600)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에는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할 압력 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일 예로 저장부(400)로는 통상의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롬(flash ROM), SD 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00)는 압력 분포 측정 센서(20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저장부(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압력 센서(30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전극패드(100)에 표시된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 압력이 가해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압력 센서(300)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분포의 중심과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를 비교하여 압력 분포의 중심이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는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600)는 제어부(500)가 판단한 결과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60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스피커(Speaker)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600)는 제어부(500)가 판단한 결과 환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저장된 압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00)는 제어부(500)가 판단한 결과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자는 자신이 심폐소생술을 요하는 환자에게 적절한 압력을 가하고 있는지, 정확한 위치에 압력을 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 올바르게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자이로센서에 의해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지침서에 따르면 성인 남성 환자의 경우 5cm 깊이로 흉부를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는바, 자이로 센서에 의해 흉부의 위치 변화가 4.5~5.5cm 사이로 이루어지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그 외 범위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치 변화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른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세동기는 심전도 분석 수단을 포함할 수 있어 환자의 심전도 상태를 센싱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Wi-Fi 등의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어 환자의 심전도 상태 등을 통신을 통하여 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세동기(50)는 본체(501), 전극패드(502a, 502b), 압력 센서(506), 전원버튼(509), 스위치(508), 쇼크버튼(505), 스피커(503a, 503b) 및 디스플레이부(507)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사태가 발생했을 때, 구조자는 환자가 성인인지 어린이인지에 따라 전극패드(502a, 502b)를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에게 부착할 수 있다.
성인인지 어린이인지 여부에 따라 스위치(508)를 성인 모드 또는 어린이 모드에 놓는다.
전극패드(502a, 502b)를 통하여 전기적 충격을 주기 위해 쇼크 버튼(505)을 누른다. 스위치(508)가 성인 모드에 놓였는지 어린이 모드에 놓였는지에 따라서 쇼크 버튼(505)을 눌렀을 때 성인 또는 어린이에게 적합한 에너지를 주입하게 된다.
성인 모드인 경우에는 이상파형 제세동기의 경우 120 내지 200J, 단상파형 제세동기인 경우에는 360J의 에너지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린이 모드인 경우에는 어린이의 몸무게에 따라서 2-4J/Kg의 에너지로 제세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크 버튼(505)을 누른 후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시작할 수 있다. 가슴압박시에 압력 분포 측정 센서(506)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압박 부위에 부착한 후 가슴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
성인과 어린이의 경우 가슴 압박 위치는 가슴의 중앙이며 흉골의 아래쪽 절반에 해당한다. 압력 센서(506)를 부착하고 가슴 압박을 실시하게 되면 압력이 가슴의 적절한 위치에 가해지고 있는지 및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가슴 압박의 적절한 깊이는 성인인 경우 최소 5cm(5-6cm), 소아인 경우 가슴 깊이의 1/3을 권장한다. 이와 같은 깊이의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압력을 결정하고 압력 센서(506)를 통하여 측정된 압력이 적절한지를 확인하면서 가슴 압박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통하여 검출한 흉부의 위치 변화가 적절한지를 확인하면서 가슴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는 압력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전극패드의 상기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 압력이 가해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슴 압박시 압력 분포 측정 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볼 때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및 빨간색의 순서로 높은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가슴 압박에 충분한 압력은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빨간색의 경우는 너무 과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은 압력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부(507)에 표시되는 경우 구조자는 자신이 적절한 압력으로 가슴 압박을 실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가슴 압박시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분포를 기초로 변경되어야 하는 손의 위치 또는 압박의 세기가 디스플레이부(507)에서 표시되거나 스피커(503a, 503b)를 통하여 안내 멘트로 안내될 수 있다.
스피커(503a, 503b) 및 디스플레이부(507)에서는 심폐소생술의 전과정에 대하여 안내 멘트 및 화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전과정에 대한 안내는 다음과 같다.
응급 환자가 발생해서 전원을 켰을 때 "진정하시고 주위에 도움을 요청해 주세요", "119에 신고하세요" 등의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전원을 킨 후 제세동기의 자기 진단을 지시했을 때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자기 진단을 종료합니다" 등의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성인/어린이 스위치를 주의하여 선택하십시오"라는 멘트를 통해 성인 모드 또는 어린이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서 "성인 모드입니다" 또는 "어린이 모드입니다"라고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성인 모드 또는 어린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안내하기 위해서 "환자가 만 8세 이하이거나 25kg이하라면 어린이로 선택하십시오", "정확한 나이나 몸무게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성인으로 선택하십시오", "잘못 선택되었다면 신속히 변경하십시오" 등의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모드 선택이 끝나면 "환자의 상의를 최대한 빨리 완전히 제거하세요", "패드의 포장을 찢고 패드를 꺼내주세요", "패드 커넥터를 제품에 연결하여 주십시오", "패드를 그림과 같이 환자에게 부착하여 주세요", "환자에게서 떨어지십시오", "심전도 분석 중입니다"라는 멘트를 통해 구조자의 행동을 지시할 수 있다.
패드가 제대로 환자에게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패드가 장착되지 않아 종료합니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을 실시 시 구조자가 전기 충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전기 충격이 필요합니다", "전기 충격을 실시합니다. 깜빡이는 쇼크 버튼을 눌러주십시오", "전기 충격을 실시하였습니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전기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았거나 패드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 전기 충격이 실패하였을 때에는 "전기 충격이 되지 않았습니다", "패드를 환자의 피부에 단단히 밀착하세요"라는 멘트를 지시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이 완료된 후에는 "이제 환자를 만져도 괜찮습니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심전도 분석 결과 전기 충격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검사 결과 전기충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쇼크 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습니다", "전기 충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이 완료되거나 필요하지 않을 때 "방전을 시작합니다"라는 멘트를 통해 전기 방전을 안내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이 완료되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압력 분포 측정 센서를 환자에게 부착할 수 있도록 "압력 분포 측정 센서를 환자의 가슴 중앙 부위에 부착하십시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도록 "심폐소생술을 실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면 실시해주세요", "맥박을 확인해 주세요",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주세요", "가슴압박 30회 실시", "가슴압박 15회 실시", 인공호흡 2회 실시"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이 마무리된 후에는 "심폐소생술을 멈추어 주십시오", "제세동기를 종료합니다"라는 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멘트들은 상황에 맞는 영상들과 함께 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의 형상이 도시된다.
제세동기에는 디스플레이부 대신에 제세동의 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그림(801)이 도시되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세동의 과정을 프로세스 순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제세동의 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그림들(802a, 802b, 802c) 및 각 그림들에 해당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LED들(803a, 803b, 80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세동의 프로세스는 그림(802a)부터 그림(802c)의 순으로 진행되고 각 순서에 해당할 때 해당하는 LED(803a)부터 LED(803c)가 점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세동기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환자에게 전압을 가하는 전극패드;
    상기 환자의 흉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의 범위 및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의 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성인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가해져야 할 압력의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상기 환자의 흉부의 위치 변화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분포 측정 센서일 수 있고,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는,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1 전극 세트;
    다수개의 전극들이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2 전극 세트로서,
    상기 제 2 전극 세트는 상기 제 1 전극 세트 위에 배열되며 상기 제 1 전극 세트와 상기 제 2 전극 세트의 배열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된, 제 2 전극 세트; 및 상기 제 1 전극 세트와 상기 제 2 전극 세트의 교차 지점에 설치된 정전 용량 방식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분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패드의 상기 환자의 흉부 정중앙 부위로 압력이 가해지는지 판단하는, 제세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안내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제세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절연되는, 제세동기.
KR1020130134931A 2013-11-07 2013-11-07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KR101383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931A KR101383806B1 (ko) 2013-11-07 2013-11-07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931A KR101383806B1 (ko) 2013-11-07 2013-11-07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06B1 true KR101383806B1 (ko) 2014-04-09

Family

ID=506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931A KR101383806B1 (ko) 2013-11-07 2013-11-07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131A1 (en) * 2014-10-30 2016-05-04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flexible electrodes
KR101873549B1 (ko) * 2016-08-29 2018-07-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석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쳐
KR102120609B1 (ko) * 2020-02-06 2020-06-08 (주)나눔테크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US11540762B2 (en) 2014-10-30 2023-01-03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overter defibrtillator with improved ECG electro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935A (ko) * 2008-07-23 2011-04-01 아트리오 메디컬, 아이엔씨.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동안, 압박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심폐소생술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935A (ko) * 2008-07-23 2011-04-01 아트리오 메디컬, 아이엔씨.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동안, 압박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심폐소생술 보조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131A1 (en) * 2014-10-30 2016-05-04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flexible electrodes
US9833607B2 (en) 2014-10-30 2017-12-05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flexible electrodes
US10080886B2 (en) 2014-10-30 2018-09-25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flexible electrodes
US10632302B2 (en) 2014-10-30 2020-04-28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electrode assemblies having pillow structure
EP4032584A1 (en) * 2014-10-30 2022-07-27 West Affum Holdings Corp.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flexible electrodes
US11540762B2 (en) 2014-10-30 2023-01-03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overter defibrtillator with improved ECG electrodes
US11745006B2 (en) 2014-10-30 2023-09-05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electrode assemblies having pillow structure
KR101873549B1 (ko) * 2016-08-29 2018-07-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석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쳐
KR102120609B1 (ko) * 2020-02-06 2020-06-08 (주)나눔테크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942B2 (en) Integrated resuscitation
US6125299A (en) AED with force sensor
US8532765B2 (en) CPR coaching device with reduced sensitivity to motion
CN103458961B (zh) 通用aed训练适配器
US8798743B1 (en) Self-contained cardiac response unit
KR101383806B1 (ko)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JP2012517866A (ja) 補助cprを用いた監視装置/除細動器用cprディスプレイ
US85270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venous return flow during cardiac event
US20140378782A1 (en) Integrated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perfusion monitor
WO2009147678A2 (en) Pocket defibrillating system
KR101992603B1 (ko) 제세동 및 가슴압박 훈련모형
KR20160052149A (ko) 응급처치용 cpr플레이트
KR20150058777A (ko) 초보자에게 전기 충격부터 심폐소생술까지 일관된 프로세스를 교육하기 위해 면압센서가 포함된 제세동기
US20190111247A1 (en) Defibrillator paddles with use indicators
TW201601790A (zh) 具自動引導功能之救援裝置
RU2693444C1 (ru) Способ отработки практических навыков по оказанию перв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и диагностике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патологий сердца с помощью медицинского тренажера
KR20240071505A (ko) 휴대용 제세동기
KR20210137309A (ko) 심폐소생술 인형
KR20150098082A (ko) 호흡 및 심전도 모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120782A (zh) 一种医用模拟人训练系统和训练方法
GB2140300A (en) External cardiac compression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