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176B1 -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 Google Patents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176B1
KR101383176B1 KR1020130069654A KR20130069654A KR101383176B1 KR 101383176 B1 KR101383176 B1 KR 101383176B1 KR 1020130069654 A KR1020130069654 A KR 1020130069654A KR 20130069654 A KR20130069654 A KR 20130069654A KR 101383176 B1 KR101383176 B1 KR 10138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viewer
application
server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디자인
Priority to KR102013006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1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king interactive video content, which can enable a viewer to directly produce video content that is video production associated with the theme of the exhibition, and to harmonize the video content with the theme to complete an advanced form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without simply viewing exhibits passively when viewing the exhibits in galleries or museums, so as to create a story by will and a scenario which the viewer designs, thereby enabling the viewer to become a main character. The method for making interactive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for allowing a museum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to communicate with a control server one to one through a wireless network which is provided in a museum; a second step for enabling a viewer to select, using the application for the smartphone, the beginning of a story, empty spaces that are turning points on the progress of the story, and a conclusion, which are provided by a storage server controlled by the control server; a third step for allowing the storage server to combine those, which are se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application, to automatically connect those into a movie, and to transmit the movie to the smartphone; a fourth step for allowing the smartphone to recognize a QR code attached to a set to pop up a corresponding scene of the selected scenario on the smartphone, and allowing a smartphone camera to photograph a subject, create computer graphics, or record sound so as to fill the empty spaces, thereby completing the progress of the story; and a fifth step for allowing the application for the smartphone to transmit the completed video to the storage server or other media.

Description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본 발명은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의 관람에 있어서 관람자가 수동적으로 전시되어 있는 전시물을 단순 관람토록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가 실제로 전시 주제와 관련된 영상 창작물인 영상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이를 전시 주제와 상호 교환하여 발전된 형태의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완성해 감으로써, 관람자가 의도하는 의지와 각본에 의해 스토리가 형성되어 관람자가 주인공이 되는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w the viewer to simply view the exhibits that are passively exhibited in the exhibition hall or the museum, but directly produces the video content that is the video cre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theme, and exchanges them with the exhibition theme. By completing the advanced form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the story is formed by the will and the script of the viewer's intention, and the viewer is the experience-based video content production method.

전시 및 컨벤션 산업이 발전과, 다양한 문화적 욕구에 따라 많은 형태의 관람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일반적인 관람의 형태는 주최자의 의지대로 전시물이 단순 전시되고, 관람자는 수동적인 위치에서 관람하는 형식의 참여가 이루어졌다.Many types of exhibitions are hel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and various cultural needs. In the general form of viewing, the exhibits were simply displayed at the will of the organizer, and the viewers participated in the form of viewing from a passive position.

그리고 다른 사람이 참관한 여러 형태의 전시 및 관람은 온라인 상에서 영상이나 음성 및 문자화된 정보 형태로 다양하게 공유되고 있고, 이는 일종의 간접 체험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exhibitions and exhibitions visited by others are widely shared in the form of video, audio, and textual information online, which provides a kind of indirect experience.

전시 컨벤션 산업의 발달과 다양한 문화적 욕구에 의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하여 전시 및 박람회 등으로 개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관람자는 개인적이 욕구의 충족은 물론이고 자녀 및 학생들의 참가 또는 체험형 학습을 목적으로 하여 그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y and various cultural needs, the exhibition is held in exhibitions and fairs to show various types of content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the viewers who use them are increasing day by day for the purpose of meeting their own needs as well as for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students or for experiential learning.

그러나, 지금까지의 다양한 전시 박람회 등의 행사는 관람자가 단순히 피동적인 관람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즉, 주최자가 전시 콘텐츠를 마음대로 진열하거나 전시 및 상영을 행하고, 관람자는 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방법의 관람이었다.However, events such as various exhibition fairs so far have been made by the viewers simply by passive viewing. In other words, the organizer displayed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t will, or exhibited and screened the viewers, and the viewers were observing the method.

따라서 전시 문화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람자의 피동적인 관람 방법에서 벗어나, 관람자가 적극적으로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식의 관람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는 관람자의 욕구 충족은 물론이고, 이에 의한 결과물인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가 막대하기 때문이다.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the exhibition culture is rapidly developing,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viewing method in which the viewers actively produce the content by deviating from the passive viewing method of the viewers.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recycling of the UCC (User Created Contents) as a result, as well as meeting the needs of the viewers is enormou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개최되는 전시 컨벤션 행사를 단순 관람이 아니라, 관람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체험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피동적인 관람에서 탈피하여 관람자의 욕구 충족은 물론이고 생산된 UCC의 재활용에 따른 간접 경험의 콘텐츠 양산과, 이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iewers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convention event held in various forms, instead of simply viewing, while producing content directly, thereby avoiding the traditional passive viewing and satisfying the needs of the view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perience-based video content production method that enables mass production of indirect experience resulting from the recycling of the produced UCC and economic effec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람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관람장에 설치된 QR코드가 연동되게 하고, 전시 주제별로 설치된 스톨로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선택사양의 선택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람자가 생성시킨 콘텐츠를 스톨리지 서버에 송출하여, 하나의 완성된 스토리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ectator's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QR code installed in the spectator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selection of options provided by the stallology server installed for each exhibition theme and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spectator using the application are stalled. An experiential video content production method is provided that sends a ridge server to form a completed story.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관람에 있어 관람자가 직접 참여하여 콘텐츠를 스스로 제작함으로써, 단순 관람이 아니라 실질적인 체험형 관람이 되어 직접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시 등의 주최측에서는 실질적인 관람자의 경험치를 높임으로써, 전시 홍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최종 생성된 UCC는 제3자를 위한 간접 경험 콘텐츠로의 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various views to produce the contents themselves, thereby maximizing the direct experience by becoming a practical experience-type viewing rather than a simple viewing. In addition, the organizers of exhibitions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exhibition publicity by increasing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viewers. In addition, the final generated UCC can be used as indirect experience content for third parties, which has an economic effect.

본 발명은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의 관람에 있어서 관람자가 수동적으로 전시되어 있는 전시물을 단순 관람토록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가 실제로 전시 주제와 관련된 영상 창작물을 직접생산하고 이를 주제별로 저장된 영상물과 상호교환하여 발전된 형태의 UCC를 만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allowing the viewer to simply view the exhibits that are passively exhibited in the exhibition hall or museum, the viewers actually develop the video creations related to the exhibition subject and exchange them with the stored images by themes. It is a way to make a UCC of the form.

이를 위해 관람자는 해당전시 체험 애플케이션을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설치하고, 각 전시코너에 표시된 QR코드와 통신하여 해당전시 콘텐츠DB를 스톨리지 서버로부터 송출 받거나 자신이 만든 체험정보를 스톨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등의 교신을 기본 단위로 여러 번의 복수 교신을 행하며, 해당 스톨리지 서버는 복수의 교신정보를 자동 조합하여 체험 관람자가 의도하는 의지와 각본에 의한 스토리가 있는 영상콘텐츠를 형성시키게 된다.To this end, the viewer downloads and installs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experience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and communicates with the QR code displayed in each exhibition corner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contents DB from the storage server or transmit the experience information he made to the storage serv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s performed as a basic unit, and the storage server automatically combin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form a video content having a story based on a will and a story intended by an experienced viewer.

이와 같은 방법은 관람자가 직접 체험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시관을 방문한 관람자가 전시 주제별로 전시관에 설치된 스톨로지 서버로부터 송출되어 제시되는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을 선택하고, 직접 제작한 콘텐츠 또는 전시관에 설치된 모형, 세트, 포토존을 이용해서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 등을 체험관리 웹서버를 통하여 편집 서버로 송출하며, 편집 서버는 관람자의 의도한 바대로의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여, 관람자가 주체가 되어 체험하고 이를 콘테츠화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viewer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exhibition, and visitors who visit the exhibition hall select the options for all interactive contents in the exhibition hall which are sent out from the stallology server installed in the exhibition hall by the theme of the exhibition, Photographs and videos taken using the installed models, sets, and photo zones are sent to the editing server through the experience management web server, and the editing server allows the viewers to produce their own content as intended. To experience it and to make it content.

상기의 스톨로지 서버는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데이터를 관람자의 QR코드 또는 스마트폰 UI의 단계별 선택에 의해 스마트폰 화면으로 팝업하는 콘텐츠 저장장치를 의미한다.The stochology server refers to a content storage device that pops up options for every interactive content in the exhibition hall and all corresponding data to a smartphone screen by selecting a viewer's QR code or smartphone UI step by step.

그리고 상기의 체험관리 웹서버는 전시관 전용 DHCP로 전시관 내의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로서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를 통합제어(다수인원의 동시접속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experience management web server is a protocol for managing and allocating an IP address on the network in the exhibition hall by means of DHCP dedicated to the exhibition hall.

그리고 상기의 편집 서버는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데이터 및 관람자가 직접제작 또는 촬영한 콘텐츠를 관람자가 의도한 시나리오 그대로 자동 편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editing server refer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options for all interactive contents in the exhibition hall, all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contents directly produced or photographed by the viewer as scenarios intended by the viewer.

또한 상기의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란 관람자 ID 및 관람자 정보 등록, 시나리오 선택, 동영상 또는 사진촬영, 전시관 내에 비치된 컴퓨터로 생산한 CG, 자신의 멘트, 폴리녹음 및 선택한 BGM 등의 사운드 등을 의미하고, 모든 소프트웨어적인 콘텐츠를 관람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전시시설인 하드웨어는 다양한 체험활동의 액티비티를 미리 고려하여 다음 표와 같은 본 발명의 수행 알고리즘으로 설계된다.In addition, all interactive content in the exhibition hall means viewer ID and viewer information registration, scenario selection, video or photo shooting, computer-generated CG, own comment, poly recording and sound of selected BGM, etc. In addition, the hardware, which is a program and an exhibition facility that enables all software contents to be utilized by the viewer, is designed with the performance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ities of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순서order 콘텐츠contents 앱 S/WApp S / W 전시시설 H/WExhibition Facility H / W 내용설명Description 비 고Remarks 1One 관람자 정보등록Visitor Information Registration 등록팝업Registration popup 체험관리 웹서버. 무선APExperience management web server. Wireless AP 관람자가 스스로 입력Spectators enter themselves 입력input 22 시나리오scenario n!의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팝업창Popup window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n! 시나리오 선택방법 설명을 위한 모니터 및 패널Monitors and panels to explain how to choose scenarios 관람자가 팝업조합 선택Viewer selects popup combination 선택Selection 33 동영상, 사진촬영Video, Photo Shoot QR코드인식,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팝업창 구성QR code recognition and pop-up window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세트 및 포토존 구성Set and photozon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ny number of cases 팝업창의 요구조건에 따라 관람자가 직접 촬영Spectator shoot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popup window 촬영
전송
shooting
send
44 CG(컴퓨터그래픽)CG (Computer Graphics) QR코드인식,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팝업창 구성QR code recognition and pop-up window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CG작업용 PC 및 프로그램PC and program for CG work in all cases 팝업창의 요구조건에 따라 관람자가 직접 제작Produced by viewer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pop-up window 제작
전송
making
send
55 나레이션 맨트Narration Mant QR코드인식,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팝업창 구성QR code recognition and pop-up window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음성녹음용 녹음기기Voice recording equipment corresponding to any number of cases 관람자가 만든 콘텐츠에 해당하는 나레이션 멘트Nar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reated by the viewer 직접녹음
전송
Direct recording
send
66 폴리녹음Poly recording QR코드인식,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팝업창 구성QR code recognition and pop-up window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음향발생장치 및 녹음기기Sound generators and recording equipment corresponding to any number of cases 관람자가 효과음 발생Audiences produce sound effects 직접생산
녹음전송
Direct production
Recording
77 BGM(배경음악)BGM (Background Music) QR코드인식,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팝업창 구성QR code recognition and pop-up window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음악선곡용 PC 및 음악PC and music for music selection corresponding to all cases 관람자가 듣고 선택Spectators listen and choose 선곡
전송
Selection
send
88 기타Etc 관람자 보유 콘텐츠 또는 인터넷 UI 불러오기 팝업창 구성 Pop-up window for bringing viewers' content or Internet UI 특별하게 구성하고 싶은 장면을 끼워 넣을 때 사용하는 블루스크린 등의 장치 A device such as a blue screen for inserting scenes that you want to make special 관람자의 자유의지에 따르는 콘텐츠 불러오기Import content based on the viewer's free will 선택
전송
Selection
send

상기와 같은 방법을 영화체험 박물관의 경우를 예를 들어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tep by step taking the case of a movie experience museum as follows.

제 1단계는 관람자가 네트워크로부터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에는 이메일, 패스워드, 이름, 성별, 나이 등의 관람자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시 최초 1회의 이메일 인증을 통해 관람자 자신만을 위한 자신만의 콘텐츠 체험 및 생산을 위한 스마트폰 환경을 만들게 된다.The first step is for the viewer to downloa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from the network.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viewer information such as e-mail, password, name, gender, age, etc. are registered, and the first one e-mai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t the time of registration to create a smartphone environment for the experience and production of own content for the viewer only.

상기의 애플리케이션은 wifi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설치되는데, 전시관 방문객의 경우 전시관 전용 wifi망을 통해 직접 체험하는 대용량의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간접 체험하는 관람자들은 3G, 4G, LTE, wifi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abov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wifi network, the visitors of the exhibition hall can transmit a large amount of content information directly experienced through the dedicated wifi network in the exhibition hall, and visitors who experience indirectly from the outside 3G, 4G, LTE It is desirable to make both wifi available.

그리고 상기의 자신만을 위한 자신만의 콘텐츠라 함은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데이터를 관람자별로 각각 별도의 IP로 인식하여 전시관의 시스템이 스스로 대응한다는 의미이다.In addition, the content only for oneself means that the system of the exhibition hall responds to the viewer by recognizing all interactive content options in the exhibition hall and all corresponding data as separate IPs for each viewer.

상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박물관에 방문하기 전에 또는 박물관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것으로, 광고, 기사, 구전 및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입수하고, 스마트폰으로 자신만의 영화를 만드는 체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입수한다. 그리고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다.The above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before visiting the museum or at the museum, and obtains information through advertisements, articles, word of mouth, and internet homepages, and obtains experience application information for creating a movie of its own using a smartphone. Then download and install the dedicated application on your smartphone.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팝업창의 예비체험 아이콘을 클릭하고, 다른 사람이 올려놓은 UCC를 검색하거나 시나리오 구성 방법이나 체험방법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예비체험하고, 박물관의 구성, 전시정보, 프로그램 등을 안내받는다.When you run the application, you can click on the preliminary experience icon on the pop-up window, search the UCC posted by another person, or indirectly preliminary experience through the scenario composition method or experience method, and receive the composition of the museum,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gram.

제 2단계는 현장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박물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박물관에 설치된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컨트롤 서버와 일대 일 교신을 시작한다. 물론 실행시 스마트폰에서는 방문객 자신의 이름을 포함한 정보 표시와 인사말이 팝업되거나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is to run the application in the field. Launch a museum-specific application to initiate one-to-on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via a wireless network installed in the museum. Of course, at the time of execution, the information display and greetings including the visitor's own name may be popped up or output by voice in the smartphone.

제 3단계(가)는 박물관을 관람하는 단계이다. 영화의 이해, 영화의 역사, 영화의 원리 등의 코너를 관람하면서, 각각의 코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영화의 이해라는 코너에서 그 정보를 알고 싶다면, 해당 패널에 붙어 있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상세한 정보를 팝업시키고, 이를 자신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과 QR코드로 필요한 정보는 현장에서 바로 획득할 수 있다.The third step is to visit the museum. You can get information about each corner while viewing the corners of the film, the history of the film, and the principles of the film.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know the information in the corner of understanding of the movie, you can shoot the QR code attached to the panel to pop up detailed information, and send it to your e-mail. In this way, the necessary information with a smartphone and QR code can be obtained directly from the field.

상기의 제 3단계(가)는 단순한 정보 획득의 방법으로 관람하는 경우이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필요시 적극적으로 관람자가 참여하고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관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즉 다음의 제 3단계(나)의 단계 이후는 제 3단계(가)를 대체하는 것으로, 직접체험형의 관람 형태가 된다. 즉, 영상 시나리오를 만들고 콘텐츠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다.The third step (a) is a case of viewing by a simple method of obtaining information, but another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viewer actively participates and, if necessary, produces contents. In other words, after the third stage (b), the third stage (a) is replaced by the direct experience type. In other words, it is a way to create video scenarios and content.

제 3단계(나)는 영상 시나리오는 만드는 단계이다. 관람자는 시나리오 존(zone)에 설치된 안내 그래픽, 안내 영상 및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안내 팝업창 등을 통해 자신이 제작할 영상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물론 박물관 방문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선택하고 구성할 수도 있다.The third step (b) is to create an image scenario. The viewer composes the scenario for the video he / she will produce through a guide graphic installed in the scenario zone, a guide video, and an application guide pop-up window installed on the smartphone. Of course, you can preselect and configure them in the application before you visit the museum.

시나리오는 스토리의 발단, 진행(터닝 포인트 1부터 n까지), 결론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우주탐험 주제의 영상을 제작 체험할 예정이라면 1) 스토리의 발단은 우주탐험 동행자 선택, 우주선 선택, 탐험지 선택에 따라 스토리의 진행은 다르게 전개되는 형식이다. 그리고 2) 스토리의 진행은 탐험지를 달나라로 선택했다면 진행과정의 터닝포인트는 달의 분화구속 착륙, 산꼭대기 착륙, 달의 바다에 착륙 등의 선택 여하에 따라 스토리의 전개가 다르게 나타나다. 즉, 이와 같은 n의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 스토리를 관람객이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3) 스토리의 결론은 자신이 만든 영화에 대한 자신의 견해, 소감 등 삽입하는 것이다.The scenario consists of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progression (turning points 1 through n), and the conclusion. For example, if you are going to produce and experience a video on the subject of space exploration, 1) The beginning of the story is a form in which the story progress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oice of space explorer, spaceship, and exploration site. And 2) the progress of the story is to choose the exploration of the moon, while the turning point of the progress of the stor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oice of lunar crater landing, mountaintop landing, and landing on the moon sea. In other words, by combining the number of cases such as n so that the audience can freely select and compose the story. And 3) the conclusion of the story is to insert his views, impressions, etc. on his films.

이렇게 구성된 시나리오는 박물관 내에 설치된 스톨로지 서버에서 조합된 하나의 영화가 자동 연결되어 관람자(체험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 설치된다. 이때 설치된 영상은 각각의 터닝포인트 별로 빈공간(Blank)이 있고, 관람자는 이 부분의 영상, 음향, 음성 등을 스스로 만들어 채워 영화를 완성하게 된다.In this scenario, a single movie combined in a stochology server installed in the museum is automatically connected and transmitted to the viewer's smartphone. At this time, the installed image has a blank for each turning point, and the viewer completes the movie by filling in the image, sound, and voice of this part.

제 4단계는 빈공간을 채워 넣는 단계이다. 박물관에 미리 마련된 세트장에는 각각의 스토리 진행과 터닝 포인트의 장면을 촬영하거나 제작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소품, 배경, 컴퓨터그래픽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람객은 각각의 코너에 마련된 전시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빈 공간에 자신만의 콘텐츠를 채워 넣는다.The fourth step is to fill the empty space. In the museum, there are props, backgrounds, computer graphics, etc., which are prepared to shoot or produce each story progress and turning point. Each visitor uses the exhibits at each corner. Fill your space with your own content.

우선, 세트장을 촬영하여 빈공간을 채울 수 있다. 이 경우는 관람자가 세트장에 마련된 세트의 QR코드를 촬영하면 자동으로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이 스마트폰에 팝업되고 자신이 찍어 넣으려고 하는 장면의 전후 장면이 보이면서 팝업창에 다운카운터가 표시된다. 관람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피사체에 조준하여 원하는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채워지면 자동으로 촬영이 멈추게 되고 해당 촬영장면은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의 해당 빈공간으로 자동 삽입된다. 촬영 후 마음에 들지 않으면 리셋 스위치를 눌러 다시 반복촬영이 가능하다. 이 과정은 관람자의 IP주소에 따라 체험 서버와 1:1로 교신되며 수십 명의 관람자가 동시에 교신하여도 가능하도록 서버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트장은 여러 곳이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 포토존, 배경사진, 전시연출 부스 등 관람자가 원하는 위치에 미리 준비된 해당 QR코드가 있다면 어디서든지 장면 촬영이 가능하다.First, you can take a picture of the set to fill the empty space. In this case, when the spectator shoots the QR code of the set provided in the set, the scen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the user automatically pops up on the smartphone, and the down counter i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while the scene before and after the scene that he or she wants to take is shown. Spectators aim their smartphone cameras at the subjects to capture a desired scene as a video.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filled, the shooting stops automatically and the scene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the viewer. If you don't like it after shooting, you can repeat the shooting by pressing the reset switch. This process is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experience server accor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viewer, and is programmed to divide the server so that dozens of viewers can communicate at the same time. And such a set is prepared in advance, and if there is a corresponding QR code prepared in the desired location, such as photo zones, background photos, exhibition booths, you can shoot the scene anywhere.

그리고 빈공간에 컴퓨터 그래픽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만일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상의 빈공간에 등장하는 특정 캐릭터, 특정장면, 특정물건 등을 동영상 촬영이 아닌 컴퓨터 제네레이션 그래픽으로 채워 넣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는 컴퓨터 분장실(또는 CG실)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해 진다. 따라서 관람객자는 컴퓨터그래픽실(가칭)에 들어가서 터치 모니터 전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면 자동으로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이 스마트폰에 팝업되고 자신이 만들어 넣으려고 하는 장면의 전후 장면이 보이면서 팝업창에 캐릭터, 장면, 물건 등의 메뉴 선택창이 표시된다. 그리고 메뉴선택(캐릭터)을 완료되면 전면 터치 모니터에 자신이 만들려고 하는 캐릭터의 다양한 요소(기본형태, 눈모양, 입모양, 머리카락형태, 의상, 소품, 색칠도구 및 애니메이션 형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Tool)들이 자동으로 팝업된다. 따라서 관람자가 자신이 만들고 싶은 캐릭터가 완성되면 복사 아이콘을 클릭한 후 내 영화에 붙여넣기를 실행함으로서 자신이 만들 영화의 해당 빈공간에 캐릭터가 자동으로 삽입된다.And you can insert computer graphics in the empty space. In this case, if you want to fill the specific characters, scenes, and specific objects appearing in the empty spac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the user with computer generated graphics instead of video shooting. This is made possible by using a computer dressing room (or CG room). Therefore, when a visitor enters a computer graphic room (tentative name) and shoot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touch monitor with his smartphone, the scen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him is automatically popped up on the smartphone and before and after the scene he is trying to create. As the scene is displayed, a menu selection window for characters, scenes, objects, etc. is displayed in a popup window. And when the menu selection (character) is completed, the front touch monitor is a tool that allows you to select various elements of the character you want to make (basic shape, eye shape, mouth shape, hair shape, costume, props, coloring tool, and animation form). ) Pops up automatically. Therefore, when the character the viewer wants to make is completed, the character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movie to be created by clicking the copy icon and then pasting it into my movie.

그리고 음향 및 음악을 삽입할 수 있다.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상의 빈공간에 음악 또는 음향이 없는 부분이 있을 경우 이를 만들어 넣을 수 있다. 즉, 관람자가 녹음실(가칭)에 들어가서 전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면 자동으로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이 스마트폰에 팝업되고 자신이 만들어 넣으려고 하는 음향, 음악 등의 메뉴 선택창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음향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 전면 모니터에 자신이 음향을 만들어 넣어야 할 장면이 스톨로지 서버로부터 송출되어 나타나고 음향제작 방법에 대한 안내문구가 나타난다. 관람자는 박물관에서 미리 준비해 놓은 폴리 녹음용 음향발생장치(파도소리, 바람소리, 천둥소리 등)를 사용하거나 자신의 입, 손바닥 등을 이용하여 만든 음향을 영상을 바라보면서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만들어진 소리는 코너에 장치된 마이크를 통해 스톨리지 서버로 입력되고 서톨리지 서버에서는 이를 해당 시나리오의 빈공간에 믹싱하여 관람객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음악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는 모니터에 여러 가지의 음악제목이 표시되고 관람객이 해당음악을 클릭하면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악보와 함께 송출되며 관람객이 선택한 음악을 복사 후 붙여넣기 하여 해당 시나리오의 빈공간에 믹싱되도록 한다.And sound and music can be inserted. If there is no music or sound in the empty space of your chosen scenario, you can create it. In other words, when the viewer enters the recording room (tentative name) and shoot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front with his smartphone, the scen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him is automatically popped up on the smartphone and the menu of sound, music, etc. that he / she is trying to make The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sound menu is selected, the scene on which the user should make a sound on the front monitor is transmitted from the stallology server, and a guide for sound production method appears. Spectators use the poly recording sound generators (waves, winds, thunders, etc.) prepared in advance at the museum, or generate sound using their mouths and palms while watching the video. The sound produced at this time is input to the storage server through the microphone installed in the corner, and the storage server mixes it with the empty space of the scenario and transmits it to the visitor's smartphone. When the music menu is selected, various music titles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when the viewer clicks on the music, the music is sent out along with the score through the speaker. Let it mix.

그리고 크로마키 촬영을 할 수 있다. 자신의 영화에 자신이 등장한다는 컨셉으로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상의 빈공간에 등장하는 특정장면에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등장하게 할 수 있다. 크로마키 촬영실은 블루스크린의 배경에 몇 가지의 소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문적인 촬영기사가 관람객들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관람객이 크로마키 촬영실에 들어가서 전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면 자동으로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이 스마트폰에 팝업되고 자신이 찍어 넣으려고 하는 장면의 전후 장면이 보이면서 팝업창에 선택메뉴가 표시된다. 관람자가 블루스크린 전면에 놓여진 소품(쿠션, 날아가는 양탄자, 나무다리 등)에 올라가서 영상을 바라보며 액션을 하면 촬영기사가 이를 촬영하여 해당 장면을 스톨리지 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스톨리지 서버는 이를 해당 위치에 믹싱하여 다시 관람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And you can do chroma key shooting. With the concept that you appear in your own movie, you can make yourself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in a certain scene appearing in the empty space of your chosen scenario. The chromakey studio has several props on the background of a blue screen, and professional photographers are configured to shoot the visitors. When the spectator enters the chroma key room and shoot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front with his smartphone, the scene of the scenario selected by him is automatically popped up on the smartphone and the scene before and after the scene he wants to insert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The menu is displayed. When a spectator climbs on an accessory (cushion, flying rug, wooden bridge, etc.) placed in front of the blue screen and looks at the video, the photographer shoots it and sends the scene to the storage server. Mix and send back to the viewer's smartphone.

그리고 작가의 변을 촬영할 수 있다. 자신이 만든 영화에 대한 견해, 소감 등을 녹화하여 영화의 맨 마지막 장면에 삽입할 수 있다. 작가의 방에 들어서면 전면에 책상 및 모니터가 있고, 모니터 상단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관람객이 책상 앞에 앉아 스위치를 조작하여 자신의 얼굴의 조명을 원하는 대로 맞춘 후 QR 코드를 찍으면 화면에 작가의 변을 촬영하는 안내화면이 팝업된다. 관람자가 안내화면을 보면서 주어진 시간에 따라 자신이 만든 영화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면 전면의 카메라가 관람객을 촬영하여 스톨리지 서버로 보내고 스톨리지 서버는 이를 해당 위치에 믹싱하여 다시 관람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And the artist's side can be photographed. You can record your opinions and comments about your movie and insert it into the last scene of the movie. When entering the artist's room, there is a desk and a monitor in front, and a camera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onitor. Visitors sit in front of the desk, operate the switch to adjust the lighting of their face to their liking, and take a QR code. A guide screen for shooting the artist's side pops up on the screen. When the viewers watch the guide screen and tell their impressions about the movie they made according to the given time, the camera in front will take the viewer to the storage server, and the storage server will mix it to the location and send it back to the viewer's smartphone. do.

제 5단계는 영상을 완성하여 저장 또는 전송하는 단계이다. 체험 완료 후에는 영화 만들기가 모두 끝나게 되는데, 관람자의 스마트폰에는 완성된 자기만의 영화가 입력되어 있고, 이를 자신의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선물하고 싶은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영화체험박물관 홈페이지의 UCC에 올려 회원들과 작품을 공유하고 박물관 운영자는 이를 모아 체험영화제를 개최하거나 시상하는 등의 이벤트를 실시할 수 있다. 박물관의 스톨리지 서버는 체험자가 만들어 놓은 영화를 소정시간 동안 보관하고 있고, 운영자에 의해 삭제되게 하여 다음 체험자들을 위한 서버의 용량을 확보한다. 관람객은 금번의 체험으로 영화 또는 영상 만드는 방법을 익히고 다음번에는 다른 시나리오와 콘텐츠를 가지고 보다 더 좋은 영화를 만들 계획을 갖기도 하며, 박물관 재방문시에는 보다 나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구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험은 특히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영상,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콘텐츠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미래 전략 산업 중의 하나인 IT, CT 등의 융복합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빈공간 채워넣기의 방법으로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이외에도 외부에서 다운받은 자신의 자료나, 미리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던 자신의 특별한 콘텐츠를 박물관 서버로 전송하여 자신이 체험하는 영상에 붙여넣기 하여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영화를 만들 수 있게 된다.
The fifth step is to complete and store or transmit the image. After the experience is completed, the movie making is finished, and the viewer's smartphone is filled with the finished movie of his own, which can be sent to his or her e-mail or to a gift. It can be uploaded to the UCC on the Film Experience Museum homepage to share the works with the members, and the museum organizers can gather them to hold an event film festival or award an event. The storage server of the museum keeps the movie made by the experienced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deleted by the operator to secure the capacity of the server for the next experienced users. Visitors will learn how to make movies or videos with this experience, plan to make better movies with different scenarios and contents next time, and come up with various ways to create better contents when visiting the museum. do. This experience not onl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industry using various contents such as video and music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ontents industry such as IT and CT, which is one of the future strategic industries in Korea. do. In addition to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museum by filling in the empty space, the user can download his or her own materials downloaded from the outside or his own special contents that were previously created and stored to the museum server and paste them into the video he / she experiences. You will be able to make rich movies.

Claims (1)

스마트폰이 해당전시 체험 애플케이션인 박물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제 1단계; 전시 주제별로 전시관에 설치된 스톨로지 서버가 전시관 내의 모든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들을 송출하는 제 2단계; 스마트폰에 설치된 박물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박물관에 설치된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컨트롤 서버와 일대 일 교신을 시작하는 제 3단계; 컨트롤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스톨리지 서버에서 제공되는 선택사양들로서 스토리의 발단, 진행상의 터닝 포인트인 빈공간 및 결론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하는 제 4단계; 스톨리지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되어 전송된 것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화를 자동 연결시키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 5단계; 스마트폰이 세트의 QR코드를 인식하여 선택된 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이 스마트폰에 팝업되고, 스마트폰 카메라가 전시관에 설치된 모형, 세트, 포토존을 이용해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을 생성시키거나 음향을 녹음하여 빈공간을 채워 스토리의 진행을 완성해 가는 제 6단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완성된 영상을 스톨리지 서버 또는 다른 매체로 전송하는 제 7단계; 체험관리 웹서버가 스톨리지 서버 또는 다른 매체로 전송된 영상을 편집 서버로 송출하고, 편집 서버는 관람자의 의도한 바대로의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관람자가 주체가 되어 체험하는 콘테츠를 제작하는 제 8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the smartphone downloads and installs a museum-specific application which is a corresponding exhibition experience application; A second step in which the stallage server installed in the exhibition hall by each exhibition theme sends out options for every interactive content in the exhibition hall; A third step of initiating one-to-on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by a wireless network installed in the museum by a museum-only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 fourth step of selecting, by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n option provided from the storage server controlled by the control server,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empty space which is a turning point in progress, and a conclusion; A fifth step of the storage server combining ones se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application to automatically connect one movi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QR code of the set, and the scene of the selected scenario pops up on the smartphone.The camera captures a subject, generates computer graphics, or records sound using the model, set, and photo zone installed in the exhibition hall. 6th step to complete the progress of the story by filling the empty space; A seventh step of transmitting the completed image of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storage server or another medium; The experience management web server sends the image sent to the storage server or other media to the editing server, and the editing server produces the content of the viewer as intended, and creates the contents that the viewers experience as the subject. An eighth step of producing; experience-type video content 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130069654A 2013-06-18 2013-06-18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KR101383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54A KR101383176B1 (en) 2013-06-18 2013-06-18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54A KR101383176B1 (en) 2013-06-18 2013-06-18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176B1 true KR101383176B1 (en) 2014-04-09

Family

ID=5065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654A KR101383176B1 (en) 2013-06-18 2013-06-18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17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25A (en) * 2014-10-23 2016-05-03 옥승진 System and projecting method of interactive image based on location
KR20190101621A (en)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Miniature land tour system by RC car steering and real time video transmission
CN114051038A (en) * 2020-07-24 2022-02-15 许素朱 Cross-media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430A (en) * 2011-03-24 2012-10-05 이명옥 The method of storing art information and purchasing art using mobile devices
KR20130053218A (en) * 2011-11-15 2013-05-23 이남진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video cont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430A (en) * 2011-03-24 2012-10-05 이명옥 The method of storing art information and purchasing art using mobile devices
KR20130053218A (en) * 2011-11-15 2013-05-23 이남진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video cont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25A (en) * 2014-10-23 2016-05-03 옥승진 System and projecting method of interactive image based on location
KR101698645B1 (en) * 2014-10-23 2017-01-20 옥승진 System and projecting method of interactive image based on location
KR20190101621A (en)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Miniature land tour system by RC car steering and real time video transmission
CN114051038A (en) * 2020-07-24 2022-02-15 许素朱 Cross-media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nrikson et al. Multi-device storyboards for cinematic narratives in VR
Bowen Grammar of the Shot
KR20180132063A (en) Personal life story simulation system
JP2021061035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rver
Sparacino Scenographies of the past and museums of the future: from the wunderkammer to body-driven interactive narrative spaces
KR101383176B1 (en) Method of mak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participatory
Smith Dance performance and virtual reality: an investigation of current practice and a suggested tool for analysis
US11714957B2 (en) Digital story generation
Grenader et al. The VideoMob interactive art installation connecting strangers through inclusive digital crowds
Belton Psychology of the photographic, cinematic, televisual, and digital image
Venolia et al. Wish you were here: being together through composite video and digital keepsakes
Nummenmaa et al. Space Pace: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tours based on 360 videos
Giannachi et al. How Tate Modern Became the Musée de la danse
Sparkes The GHost Project: Manifesting Ghosts through Visual Art and Creative Research
CN109359261B (en) Digital work gener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e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Performing Arts: A Pandemic-Inspired Revolution
Gill Images can speak louder than words: Communicating conservation effectively
Woods et al. Stereoscopic displays and applications XXIX-Introduction
Doyle et al. GestureCloud: gesture, surplus value and collaborative art exchange.
Tsekou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MST) without borders
Lowry et al. Archiving a Museum with an Interactive Exhibit
Bhikum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into the creative set design process
Hermawati et al. Virtual Set as a Solution for Virtual Space Design in Digital Era
Holopainen et al. Space Pace: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Tours Based on 360 Videos
KR20230173485A (en) Apparatus for Metaverse Service Processing Event by Using Cue Sheet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