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121B1 - 피스톤 조립체 - Google Patents

피스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121B1
KR101383121B1 KR1020130076354A KR20130076354A KR101383121B1 KR 101383121 B1 KR101383121 B1 KR 101383121B1 KR 1020130076354 A KR1020130076354 A KR 1020130076354A KR 20130076354 A KR20130076354 A KR 20130076354A KR 101383121 B1 KR101383121 B1 KR 10138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nnular portion
crown
skirt
piston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금태
Original Assignee
삼영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영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21B1/ko
Priority to US14/311,611 priority patent/US9291088B2/en
Priority to CN201410287449.0A priority patent/CN104074624A/zh
Priority to EP14175043.0A priority patent/EP2821626B1/en
Priority to DK14175043.0T priority patent/DK2821626T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9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with means for guid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6Arrangements for cooling pistons
    • F01P3/10Cooling by flow of coolant through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15Multi-part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15Multi-part pistons
    • F02F3/0023Multi-part pistons the parts being bolted or screw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76Pistons  the inside of the pistons being provided with ribs o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16Pistons  having cooling means
    • F02F3/20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 F02F3/22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the fluid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6Arrangements for cooling pistons
    • F01P3/08Cooling of piston exterior only, e.g. by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01/00Metals
    • F05C2201/02Light metals
    • F05C2201/021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스커트(200); 및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에 스터드볼트(300)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 크라운(100)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과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120) 사이에는 오일 갤러리(140, 150)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에는 원둘레 형상의 환형부(121)와 직선 형태의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는 상기 환형부(121)에 의하여 외측 리브(122)와 내측 리브(123)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이다.

Description

피스톤 조립체{A PISTON ASSEMBLY}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의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체 피스톤에 있어서 피스톤 크라운 내부에 리브를 설치하고, 구상흑연주철로 제작된 크라운을 갖는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용 피스톤은 엔진의 흡기-압축-폭발-배기의 행정 순서에 따라 실린더 내벽을 타고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커넥팅 로드로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고성능의 엔진의 경우 운전 중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고압의 폭발압에 견디기 위해 피스톤 폭발면과 피스톤 링 홈을 포함하는 피스톤 상부 구조는 피스톤 크라운이라 하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단조로 제작하고, 상대적으로 받는 힘이 약한 나머지 부분은 피스톤 스커트라 하여 주철등의 소재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처럼 단조에 의해 피스톤 크라운을 제작하는 경우 단조 소재의 원가가 비싸고, 가공이 어려우며 생산성이 떨어져 피스톤 가격이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크라운부의 냉각효율이 낮아 운전 중 열팽창으로 인해 피스톤 크라운의 외경이 실린더 라이너의 내경보다 커져 피스톤이 소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넓은 클리어런스를 갖게 되어 연소효율을 떨어 뜨려 매연이나 NOx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 중에 하나가 된다.
피스톤 크라운과 스커트를 주철 등의 단일 소재로 주조한 일체형 피스톤의 경우 종래의 일부 피스톤의 경우 피스톤 내부에 리브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기도 하지만 주조 제작이기 때문에 내부에 냉각유가 저장되는 오일갤러리 공간을 형성할 수 없어서 냉각 효율이 상대적으로 나빠 단조강과 주철로 제작된 조립형 피스톤과 마찬가지로 환경 유해물질의 발생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조 강도도 취약하여 연소압력을 높일 수 없어서 고출력 엔진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피스톤 크라운에 리브를 형성하는 발명으로 공개 특허 2010-0127449가 있으나, 이는 피스톤 조립체가 회전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 성능 문제와 구조 강도 문제 때문에 사용되어온 단조 소재의 피스톤 크라운을 주조 소재로 대체한 피스톤 조립체를 얻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스톤 스커트(200); 및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에 스터드볼트(300)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 크라운(100)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과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120) 사이에는 오일 갤러리(140, 150)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에는 원둘레 형상의 환형부(121)와 직선 형태의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는 상기 환형부(121)에 의하여 외측 리브(122)와 내측 리브(123)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리브(122)는 내측 리브(123)보다 높이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에는 중앙의 윤활통로(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에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의 환형부(121)에 대응되는 환형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터드 볼트(300)은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와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121)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121) 또는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에는 오일통로(124, 2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 리브(122)와 상기 내측 리브(123)는 측면벽쪽에서 중앙부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높이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스커트(500); 및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에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결합되는 피스톤 크라운(400)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과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420) 사이에는 오일 갤러리(440, 450)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상부면(420)에는 부분적으로 원둘레 형상을 이루는 부분 환형부(421)와 직선 형태의 다수의 방사형 리브(422, 423)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형 리브(422, 423)의 일부는 상기 부분 환형부(421)에 의하여 외측 리브와 내측 리브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과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에는 중심부에는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체결부(460, 56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의 체결부(460)까지 연장되는 리브(422)와 상기 체결부(460)에는 도달하지 않는 리브(4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에는 중심부에서 간격을 둔 위치에 윤활통로(5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에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상부면(420)의 부분 환형부(421)에 대응되는 부분 환형부(5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환형부(421) 또는 피스톤 스커트(500)의 환형부(521)에는 오일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리브(422, 423)는 측면벽쪽에서 중앙부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높이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각유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오일 채널에 의해 냉각 오일의 순환이 원활해져 보다 강력한 냉각 효과를 내게 된다. 또한 방사형 리브는 크라운 내부에서 폭발압이 직접 전달되는 폭발면 즉,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어 피스톤 크라운에 전달되는 폭발압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체 피스톤에 비하여, 피스톤의 품질, 신뢰성과 수명을 향상시켰으며, 더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엔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향상된 성능으로 기존의 단조 제작하던 피스톤 크라운을 주조로 제작함으로써 공정 변경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소재의 가공성을 향상시켰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 1의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 크라운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 크라운에 오일 유동 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 스커트에 오일 유동 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6는 도 5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 크라운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붙여진 도면부호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다른 도면이라도 동인한 부호로 표기된 것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조립체로서 상부의 피스톤 크라운(100)이 하부의 피스톤 스커트(200)와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피스톤 조립체 중, 피스톤 크라운(100)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피스톤 스커트(200)는 실린더 라이너 내벽안에서 상기 라이너 벽과 직접 마찰하며 이동하고, 피스톤 크라운(100)은 피스톤 스커트(200)위에 조립되며 연소 가스에 의한 열과 압력을 직접 전달받으며,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와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은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결합된다.
피스톤 스커트(200)는 원통형 측면벽(210)과 상부면(220)로 이루어지며, 상부면(220)에는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의 환형부(121)와 접촉하는 원둘레 형상의 환형부(221)와 중앙의 윤활통로(222)가 구비되어 있다.
피스톤 크라운(100)에도 측면벽(110)과 상부면(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면(120)에는 상부면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122, 123)와 원둘레 형상의 환형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부(121)에는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와 접촉한다.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과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는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 크라운의 리브(122, 123)는 직선 형태의 방사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형부(121)에 의하여 외측의 리브(122)와 내측의 리브(123)로 나뉘어 진다.
상기 리브(122, 123)는 피스톤 조립체의 내부에 공급되는 오일의 채널(1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의 화살표는 피스톤 조립체 내부에서의 오일의 공급 경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오일은 피스톤 스커트(200)의 측면벽(210)에 가까운 상부면(220)을 통해 피스톤 크라운(100)의 외측 오일 갤러리(140)에 공급되고, 피스톤 스커트(200) 또는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221 또는 121)에 형성된 오일홀 또는 슬롯(223, 124, 3 내지 도 4에 도시)을 통해 중앙의 오일 갤러리(150)에 공급되며, 피스톤 스커트(200)의 중앙의 윤활통로(222)에 의하여 다시 피스톤 스커트(200) 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오일 경로의 역방향도 가능하다.
도 3에는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의 환형부(121)에 오일홀(124)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도 4에는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의 환형부(221)에 오일홀(223)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피스톤 크라운의 리브는 상부면(120)으로 부터 하방으로 원둘레 형상을 이루는 환형부(121)에 의하여 외측 리브(122)와 내측 리브(123)으로 나누어 지는데, 외측 리브(122)에서 내측 리브(123) 방향으로 향하면서 리브의 높이는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아래 도면 번호 160 설명 참조).
도 1의 도면 번호 160은 내측 리브(123) 및 외측 리브(12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선으로 내측 리브 및 외측 리브의 높이가 측면벽(110)쪽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가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121)를 지지하고, 피스톤 크라운(100)의 리브는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 을 지지하는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어 피스톤 크라운에 전달되는 폭발압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브는 피스톤 크라운(100)이 냉각유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어지게 하고, 리브는 냉각유가 이동하는 통로의 가이드와 같은 역활을 하여 오일 채널(130)을 형성하도록 하여 냉각유의 순환이 원활해져 보다 강력한 냉각 효과를 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응력과 구조강도가 개선되어 피스톤 조립체를 구성할 때, 크라운을 주강 혹은 주철 또는 구상흑연주철을 사용하여 주조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생산성과 가공성에서 대폭적인 개선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작하는 경우 내부의 오일 갤러리(140, 150)와 리브(122, 123)를 소재상태에서 생성할 수 있어,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치지 않는 장점을 같게 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6는 도 5의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 크라운의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피스톤 조립체는 도 1과는 달리, 피스톤 크라운(400)과 피스톤 스커트(500)에는 중심부에 스터드 볼트(300)가 체결되는 체결부(460, 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 스커트(500)의 윤활통로(522)는 중심부에서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저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피스톤 크라운(400)의 리브(422, 423)는 중심부의 체결부(460)까지 연장되는 리브(422)와 체결부(460)에는 도달하지 않는 리브(4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원통형 피스톤 크라운(400)의 중앙부로 갈 수로 리브(422, 423)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길게 형성된 리브와 짧게 형성된 리브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피스톤 크라운(400)의 상부면(420)에서 연장되는 부분 환형부(421)는 완전한 원둘레 형태가 아닌 부분적인 원둘레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부분 환형부(421)에 의하여, 리브(422, 423)의 일부는 내측 리브와 외측 리브로 나뉘어 진다.
도 5 및 도 6의 피스톤 조립체에서도, 냉각유는 피스톤 스커트(500)의 측면벽(510)에 인접한 상부면(520)을 통해 오일 갤러리(440)로 공급되고 리브(422, 423)에 의해 형성되는 오일 채녈(430)을 따라, 중앙으로 공급되며, 윤활 통로(522)에 의해 피스톤 스커트(500)쪽으로 흐르며, 이의 역방향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의 도면 번호는 서로 대응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피스톤 크라운 110: 측면벽
120: 상부면 121: 환형부
122: 외측 리브 123: 내측 리브
124: 오일 통로 130: 오일 채널
140: 외측 오일 갤러리 150: 내측 오일 갤러리
160: 리브의 높이 200: 피스톤 스커트
210: 측면벽 220: 상부면
221; 환형부 222: 윤활통로
223: 오일홀

Claims (5)

  1. 피스톤 스커트(200); 및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에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결합되는 주조된 피스톤 크라운(100)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과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120) 사이에는 오일 갤러리(140, 150)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에는 원둘레 형상의 환형부(121)와 냉각유가 흐르는 오일 채널(130)을 형성하는 직선 형태의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형 리브(122, 123)는 상기 환형부(121)에 의하여 외측 리브(122)와 내측 리브(123)로 분리되고, 상기 외측 리브(122)가 상기 내측 리브(123)보다 높이가 크며,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에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상부면(120)의 환형부(121)에 대응되는 환형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터드 볼트(300)는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와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121)를 결합하며, 상기 피스톤 크라운(100)의 환형부(121) 또는 피스톤 스커트(200)의 환형부(221)에는 오일통로(124, 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200)의 상부면(220)에는 중심부에 윤활통로(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리브(122)와 상기 내측 리브(123)는 측면벽쪽에서 중앙부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3. 피스톤 스커트(500); 및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에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결합되는 주조된 피스톤 크라운(400)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과 피스톤 크라운의 상부면(420) 사이에는 오일 갤러리(440, 450)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상부면(420)에는 부분적으로 원둘레 형상을 이루는 부분 환형부(421)와 냉각유가 흐르는 오일 채널(430)을 형성하는 직선 형태의 다수의 방사형 리브(422, 423)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방사형 리브(422, 423)의 일부는 상기 부분 환형부(421)에 의하여 외측 리브와 내측 리브로 분리되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과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중심부에는 스터드 볼트(300)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460, 56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의 체결부(460)까지 연장되는 리브(422)와 상기 체결부(460)에는 도달하지 않는 리브(4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에는 중심부에서 간격을 둔 위치에 윤활통로(5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커트(500)의 상부면(520)에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상부면(420)의 부분 환형부(421)에 대응되는 부분 환형부(5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400)의 환형부(421) 또는 피스톤 스커트(500)의 환형부(521)에는 오일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브(422, 423)는 측면벽쪽에서 중앙부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높이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KR1020130076354A 2013-07-01 2013-07-01 피스톤 조립체 KR10138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54A KR101383121B1 (ko) 2013-07-01 2013-07-01 피스톤 조립체
US14/311,611 US9291088B2 (en) 2013-07-01 2014-06-23 Piston assembly
CN201410287449.0A CN104074624A (zh) 2013-07-01 2014-06-24 活塞总成
EP14175043.0A EP2821626B1 (en) 2013-07-01 2014-06-30 Piston assembly
DK14175043.0T DK2821626T3 (en) 2013-07-01 2014-06-30 STAMP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54A KR101383121B1 (ko) 2013-07-01 2013-07-01 피스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121B1 true KR101383121B1 (ko) 2014-04-09

Family

ID=5065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54A KR101383121B1 (ko) 2013-07-01 2013-07-01 피스톤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91088B2 (ko)
EP (1) EP2821626B1 (ko)
KR (1) KR101383121B1 (ko)
CN (1) CN104074624A (ko)
DK (1) DK2821626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51B1 (ko) 2016-09-30 2017-02-27 삼영기계 (주) 고압 피스톤 크라운
CN110785553A (zh) * 2017-05-17 2020-02-11 天纳克有限责任公司 双通道钢制活塞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4887B2 (en) 2015-11-18 2019-05-21 Tenneco Inc. Piston providing for reduced heat loss using cooling media
DE102016204830A1 (de) * 2016-03-23 2017-09-28 Federal-Mogul Nürnberg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CN107387253A (zh) * 2017-09-05 2017-11-24 湖南江滨机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活塞及其制造方法
DE102019135134A1 (de) * 2019-12-19 2021-06-24 Ks Kolbenschmidt Gmbh Ölgekühlter Kolben für Brennkraftmaschin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633A1 (en) * 2000-09-06 2003-10-09 Griffiths Walter Joseph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70033442A (ko) * 2004-07-21 2007-03-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단일 편으로 주조된 스틸 모노블록 피스톤
KR20080080630A (ko) * 2005-12-17 2008-09-04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내연 기관용 투피스형 피스톤
KR20100127449A (ko) * 2009-05-26 2010-12-06 삼영기계(주) 피스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26687A (de) 1953-06-16 1957-12-31 Maybach Motorenbau Gmbh Mehrteiliger, ölgekühlter Kolben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H473981A (de) * 1967-04-28 1969-06-15 Sulzer Ag Flüssigkeitsgekühlter Kolbe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CH496882A (de) 1968-09-20 1970-09-30 Sulzer Ag Flüssigkeitsgekühlter Kolbe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DE102004027974A1 (de) 2004-06-08 2005-12-29 Mahle Gmbh Gebauter Kolben und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Beschädigungen in Kontakt zueinander stehender Flächen des Oberteiles und des Unterteiles des Kolbens
DE102004029877A1 (de) * 2004-06-19 2006-01-05 Mahle Gmbh Gebauter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4030218A1 (de) * 2004-06-22 2006-01-19 Mahle Gmbh Gebauter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6027354A1 (de) * 2006-06-13 2007-12-20 Mahle International Gmbh Mehrteiliger gekühlter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6055251A1 (de) 2006-11-23 2008-05-29 Mahle International Gmbh Zweiteiliger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7050213A1 (de) * 2007-10-20 2009-04-23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633A1 (en) * 2000-09-06 2003-10-09 Griffiths Walter Joseph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70033442A (ko) * 2004-07-21 2007-03-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단일 편으로 주조된 스틸 모노블록 피스톤
KR20080080630A (ko) * 2005-12-17 2008-09-04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내연 기관용 투피스형 피스톤
KR20100127449A (ko) * 2009-05-26 2010-12-06 삼영기계(주) 피스톤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51B1 (ko) 2016-09-30 2017-02-27 삼영기계 (주) 고압 피스톤 크라운
EP3301285A1 (en) 2016-09-30 2018-04-04 Samyoung Machinery Co., Ltd. High pressure piston crown
US10393062B2 (en) 2016-09-30 2019-08-27 Samyoung Machinery Co., Ltd. High pressure piston crown
CN110785553A (zh) * 2017-05-17 2020-02-11 天纳克有限责任公司 双通道钢制活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1626B1 (en) 2016-03-02
DK2821626T3 (en) 2016-06-06
US9291088B2 (en) 2016-03-22
US20150000618A1 (en) 2015-01-01
CN104074624A (zh) 2014-10-01
EP2821626A1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121B1 (ko) 피스톤 조립체
US10450999B2 (en) Reduced compression height dual gallery piston, piston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JP4267453B2 (ja) モノブロックピストン
US8807109B2 (en) Steel piston with cooling galler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283956B1 (ko) 향상된 냉각 특성을 갖는 피스톤
KR102071262B1 (ko) 오일 냉각 통로를 가진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의 제작 방법
JP2015511676A (ja) エンジンピストン
KR102051163B1 (ko) 내연 엔진용 피스톤 어셈블리
US20140290618A1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80066601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ylinder liner flange with non-circular profile
KR102035364B1 (ko) 기능이 증진된 냉각 갤러리를 지닌 피스톤
KR20170012320A (ko) 고온 내연 기관용 키스톤 제 2 링 그루브가 있는 피스톤
US10174712B2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971717B1 (en) Pist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150267635A1 (en) Engine arrangement for enhanced cooling
US9551291B2 (en) Steel piston with fourth land guidance and improved friction characteristics
CN218177330U (zh) 一种发动机及其湿式缸套
RU67189U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19502856A (ja) 一体型のギャラリなしピストン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04564402A (zh) 活塞
CN103912397A (zh) 内燃机用活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