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959B1 -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 Google Patents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959B1
KR101382959B1 KR1020120104975A KR20120104975A KR101382959B1 KR 101382959 B1 KR101382959 B1 KR 101382959B1 KR 1020120104975 A KR1020120104975 A KR 1020120104975A KR 20120104975 A KR20120104975 A KR 20120104975A KR 101382959 B1 KR101382959 B1 KR 10138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solvent
acid
present
novel compound
fra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651A (ko
Inventor
최영환
임동순
이영근
박세진
고민정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9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e.g. griseofulv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머위로부터 분리된 천연물질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머위로부터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는 경우 물질의 순도가 98% 이상의 고순도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Description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The Novel compound isolated from Petasites japonicus}
본 발명은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머위는 여러해살이 국화과 머위속에 속하는 초본으로서 전 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머위 (Petasites japonicus {Sieb. et Zucc.} Max)와 개머위 (Petasites saxatilis {Turcz.} Komarov, 산머위) 2종이 있으며, 머위는 잎과 엽병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개머위는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머위는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는데, "동의보감"에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맵고 달며 독이 없고, 폐를 눅여 주고, 담을 삭이며, 기침을 멎게 하고, 폐위와 폐옹 (肺癰)으로 피고름을 뱉는 것을 낫게 하며, 몸에 열이 나고 답답한 증상을 없애고, 허로를 보하고, "강서초약"에서는 해독하고 어혈을 없애고, 편도선염, 옹종정독 (癰腫毒), 독사에 물린 상처에 사용하였다.
머위는 다양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꽃대에는 퀘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고미질인 페타시틴(petasitin: C20H28O4), 이소페타시틴(isopetasitin: C20H28O3), 안젤산(angel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등이 있으며, 뿌리에는 페타신(petasin), 이소페타신(isopetasin),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안젤산(angel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플라본(flavone) 등, 잎에는 1-tridecdne, β-caryophyllene, eremofukinone, 9-acetomyfukinanolide, S-japonin 등이 분리 보고되었다.
특히 Petasites (Compositae)종은 sesquiterpene lactones계인 eremophilane and bakkenane가 풍부한 식물로서 보고되었다. Petasites (Compositae)으로부터 순수 분리한 sesquiterpenes류 중에서 eremophilane skeleton계통의 항암효과, bakkenolide 형은 항혈소판응고 (antiplatelet aggregation)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Petasites (Compositae)종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극동지역 등에서 자생하는 다년초로 알려져 있다. Petasites (Compositae)로부터 순수 분리한 bakkenolide형의 sesquiterpenes은 신경보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민간에서는 중풍 (palsy), 고혈압 (hypertension), 기침 (coughs), and 뱀에 물린 상처 (snakebite) 치료 등에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머위와 유사종인 Petasides hybridus (butterbur)는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원산으로서 질병 예방(prophylactic), 편두통(migraines) 치료, 진경제(antispasmodic agent), 만성기침과 천식(chronic cough or asthma), 위궤양(gastric ulcers) 예방, 과민방광(irritable bladder) 및 비뇨기계 경련(urinary tract spasms), 항알러지(antiallergy), 월경통(menstrual cramps), 신장결석(kidney stone), 간과 위장장애(gastrointestinal disorders) 등의 치료제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머위의 다양한 효능 검증에 대한 연구결과가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우리나라의 고문헌이나 민간에서 되어 오는 효과 및 예비실험 결과를 종합 검토하면 신비로운 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머위로부터 추출해낸 물질들의 순수분리 및 검정을 연구하던 중 세르퀴테르펜(sesquiterpene)계의 신규 화합물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97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1419호
1. Abe N, Onoda R, Ro K, Kurihara T. The structures of bakkenolides-B, -C and -D as determined by the use of a nuclear overhauser effect. Tetra hedron Lett 1968;9:1993. 2. Wu TS, KaoMS, Wu PL, Lin FW, Shi LS, LiouMJ, et al. The bakkenolides from the root of Petasites formosanus and their cytotoxicity. Chem Pharm Bull 1999;47:37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위 유래의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화합물을 머위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6697013-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머위(Petasites japonicus)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헥산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62개의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62개의 분획 중 10 번째 분획(282.9mg)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14개의 후속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14개의 분획 중 106.7mg의 분획을 LH-20 세파덱스 컬럼에 첨가한 후 용출용매를 흘려주어 58.6mg을 순수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헥산 추출물은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을 첨가하여 초음파처리(sonication)한 다음 상등액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v:v]),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17:3[v:v]),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1[v:v]),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7:3[v:v]),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3:1[v:v]) 및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1[v:v])이며,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v: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용출용매는 100%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머위로부터 분리된 천연물질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머위로부터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는 경우 물질의 순도가 98% 이상의 고순도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주요 HMBC 연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GC-MS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물질의 분자량이 276임).
도 3a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Dept 90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Dept 135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COSY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HSQ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HMB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6697013-pat00002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신규 화합물은 머위(Petasites japonicus)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 -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 -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a)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헥산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62개의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62개의 분획 중 10 번째 분획(282.9mg)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14개의 후속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14개의 분획 중 106.7mg의 분획을 LH-20 세파덱스 컬럼에 첨가한 후 용출용매를 흘려주어 58.6mg을 순수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 단계는,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 용매를 첨가하여 헥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건조한 머위 잎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 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초음파처리(sonication)한 다음 상등액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b) 단계는,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득한 머위 잎 헥산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62개의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b) 단계의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 및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혼합용매의 혼합비는 다음과 같다. 즉,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17:3),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1),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7:3),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3:1) 및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1)이며,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는 부피비(v:v)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실리카겔이 충진된 4×100cm의 컬럼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득된 머위 잎 헥산 추출물 2.673g을 첨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2.5% 아세톤, 15% 아세톤, 25%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 용액에 15% 메탄올, 25% 메탄올, 50% 메탄올을 각각 순차적으로 흘려보내면서 총 62개의 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기 (b) 단계를 통해 수득한 62개의 분획 중 10 번째 분획(282.9mg)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14개의 후속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c) 단계의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v: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실리카겔을 충진한 4×100cm의 컬럼에 상기 (b) 단계를 통해 수득한 62개의 분획 중에 282.9 mg의 10번 분획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2.5% 아세톤을 흘려보내면서 14개의 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 단계는, 상기 (c) 단계를 통해 수득한 14개의 분획 중 106.7mg의 분획을 LH-20 세파덱스 컬럼에 첨가한 후 용출용매를 흘려주어 58.6mg을 순수 분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세파텍스 LH-20이 충진된 컬럼에 상기 (c) 단계를 통해 수득한 14개의 분획 중 106.7mg의 분획을 첨가하여 100%의 메탄올을 흘려보내면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58.6mg을 순수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머위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 분리
머위(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잎을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을 2011년 5월 채집하여 동결 건조한 다음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식물 재료는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천연물 연구실에 보관하였다.
먼저,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수집한 동결건조 머위 잎을 분쇄기로 잘게 간 분말 425g을 5L 삼각플러스크에 넣고 헥산 1.5 L를 가하여 소니케이트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등액을 Whatman no 2 filter paper에서 여과한 다음 회전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3회 반복하여 헥산 추출물 8.477g(이하 ‘MWLSH’라 명명함)을 얻었다. 헥산 추출 후 남은 분말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증류수를 각각 3회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가하여 에탄올 추출물 1.612g(이하 ‘MWLSE’라 명명함), 부탄올 추출물 3.92 g(이하 ‘MWLSB’라 명명함) 및 물 추출물 15.81g(이하 ‘MWLSW’라 명명함)을 얻었다.
이들 중에서 헥산 추출물 2.673g을 실리카겔이 충진된 칼럼(4×100cm)에 첨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2.5% 아세톤, 15% 아세톤, 25%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 용액에 15% 메탄올, 25% 메탄올, 50% 메탄올을 각각 순차적으로 흘려보내면서 총 62개의 분획을 얻었다. 수득한 62개의 분획 중에 282.9 mg의 10번 분획 (이하 ‘MWLSH10’라 명명함)을 실리카겔이 충진된 칼럼(4×100cm)에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2.5% 아세톤을 흘려보내면서 14개의 분획 중에서 106.7mg의 분획을(이하 ‘MWLSH10IK’라 명명함)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수득한 106.7mg의 분획을 LH20 sephadex를 충진한 칼럼(3×100cm)에 가하여 100% 메탄올을 흘려보내면서 58.6mg의 순수물질 (이하 ‘MWLSH10IKID’라 명명함)을 분리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구조 동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머위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H and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였으며(CDCl3, 1H NMR 500 MHz, 13C NMR 125 MHz), 그 결과는 표 1과 화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정하였다.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된 물질(MWLSH10IKID)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신규 화합물로 판명되었다.
MWLSH-110IKID 500 MHz
dC dC
1 70.32 CH 5.15, m 165.59, 80.79,
2 26.82 CH2 1.82, br
3 29.53 CH2 1.65, dd, J=14.5/3.5
1.34, dd, J=13.5/4.0
4 35.33 CH 1.55, m
5 43.29 C
6 45.79 CH2 2.22, dd, J=14.5/7.5
1.94, dd, J=14.0/5.0
177.51, 147.80, 54.80, 43.29, 35.33, 19.56
177.51, 147.80, 54.80, 51.76, 43.29, 35.33
7 54.80 C
8 177.51 C
9 80.79 CH 5.74, dd, J=11.0/6.0 177.51, 169.89, 147.80, 70.55, 54.80, 51.76
10 51.76 CH 2.73, dd, J=10.5/5.0 80.73, 70.32, 43.29, 35.33, 26.82, 19.56
11 147.80 C
12 70.55 CH2 4.65, s 177.51, 147.80, 108.22
13 108.22 CH2 5.28, s
5.12, t
70.55
14 15.55 CH3 0.89, t 43.29, 35.33, 29.53
15 19.56 CH3 1.09, s 51.76, 45.79, 43.29, 35.33
1' 165.59 C
2' 112.49 CH 5.60, m 152.72
3' 152.72 CH 7.02, dd. J=9.5/3.5 165.59, 19.25
4' 19.25 CH3 2.366, s 152.72
1" 169.87 C
2" 21.19 CH3 2.00, s 169.87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된 물질(MWLSH10IKID)은 백색분발로서 EIMS 스펙트럼의 결과 m/z 377 [M+H]+이었다. 분자식은 C21H28O6으로서 GC-MS (m/z 376.19, NMR 등의 스펙트럼으로서 결정하였다.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된 물질(MWLSH10IKID)의 1H NMR 데이터(상기 표 1)를 분석한 결과 4개의 methyl groups [d 0.89 (3H, d, J=6.6 Hz, H3-14), 1.09 (3H, s, H3-15), 2.00 (3H, s, -COCH3), 및 2.37 (3H, d, J=7.3 Hz, -COCH=CHCH3)], 2개의 olefinic protons [d 5.28 (1H, s, H-13a) 및 5.12 (1H, s, H-13b)], 2개의 oxygenated methines [d 5.15 (1H, m, H-1) 및 5.74 (1H, dd, J=11..0/6.0 Hz, H-9)], 및 1개의 exocyclic methylene groups [d 5.28, 5.12 (each 1H, dt, J=13.0, 2.2 Hz, H-13)]이 이었다.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된 물질(MWLSH10IKID)의 13C NMR, Dept, HSQC spectra를 분석하면 21개의 탄소를 가진 화합물이었다. 이들 탄소는 4개의 methyls [d 15.55 (C-14), 19.56 (C-15), 21.10 (C-2"), and 19.25 (C-4')], 5개의 methylenes [d 26.82 (C-2), 29.53 (C-3), 45.79 (C-6), 70.55 (C-12), and 108.22 (C-13)], 6개의 methines [d 70.32 (C-1), 35.33 (C-4), 80.79 (C-9), 51.76 (C-10), and 112.49 (C-2'), and 152.72 (C-3')], 및 6개의 quaternary carbons [d 43.29 (C-5), 54.80 (C-7), 177.51 (C-8), 147.80 (C-11), 165.59 (C-1'), 169.87 (C-1")] 등의 4종의 탄소로 분류될 수 있었다.
C-1에서부터 C-15탄소의 탄소 이동을 비교한 결과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된 물질(MWLSH10IKID)은 acetoxy and an crotoyloxy를 가진 bakkenolide형의 sesquiterpene인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HSQC와 HMBC spectra 분석결과, bakkenolide형의 기본 골격에 acetoxy와 crotoyloxy groups을 가진 화합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MBC correlations의 분석결과, H-1은 acetoxy group의 carbonyl carbon에 연결되어 있었으며, H-9은 crotoyloxy group의 carbonyl carbon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acetoxy group는 C-9에 crotoyloxy group는 C-1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HSQC, HMBC, 및 1H-1H COSY spectra를 분석한 결과 모든 proton과 carbon signals이 분명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므로 머위로부터 순수 분리한 MWLSH10IKID의 구조가 확인되었고, 이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신규 화합물로 판명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6697013-pat00003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76697013-pat00004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머위(Petasites japonicus)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화합물.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의 분리방법으로서,
    (a)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헥산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62개의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62개의 분획 중 10 번째 분획(282.9mg)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14개의 후속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14개의 분획 중 106.7mg의 분획을 LH-20 세파덱스 컬럼에 첨가한 후 용출용매를 흘려주어 58.6mg을 순수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v:v]),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17:3[v:v]),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1[v:v]),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7:3[v:v]),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3:1[v:v]) 및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용매(1:1[v:v])이며,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한 것이고,
    상기 (c) 단계에서 혼합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39:1[v:v])이며,
    상기 (d) 단계에서 용출용매는 100%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화합물의 분리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104667293-pat00005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헥산 추출물은 분쇄된 머위 잎에 헥산을 첨가하여 초음파처리(sonication)한 다음 상등액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04975A 2012-09-21 2012-09-21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KR10138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75A KR101382959B1 (ko) 2012-09-21 2012-09-21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75A KR101382959B1 (ko) 2012-09-21 2012-09-21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51A KR20140038651A (ko) 2014-03-31
KR101382959B1 true KR101382959B1 (ko) 2014-04-09

Family

ID=5064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975A KR101382959B1 (ko) 2012-09-21 2012-09-21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322B1 (ko) * 2019-06-26 2019-09-25 주식회사 네이처바이오 머위 추출물로부터의 분리된 항염증 활성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968A (ko) * 2005-04-21 2006-10-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리그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968A (ko) * 2005-04-21 2006-10-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리그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51A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Cardioactive C19-diterpenoid alkaloids from the lateral roots of Aconitum carmichaeli “Fu Zi”
JP4537849B2 (ja) エキナセア・アングスチフォリア抽出物
Chen et al.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Gynura bicolor
Cho et al. Sesquiterpene lactones and scopoletins from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and their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Artanti et al. Isolation of an anti-cancer asperuloside from Hedyotis corymbosa L
KR100969134B1 (ko) 상동나무 지상부로부터 유용 플라보노이드 다량 함유획분과 신규 플라보노이드 물질의 분리 방법
KR101382959B1 (ko) 머위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CN114057764B (zh) 具有抗炎活性的乌药烷型二聚倍半萜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6749599B2 (ja) リグナン系化合物
Nema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ew molecule from Curculigo orchioides (Hypoxidaceae)
CN114957190A (zh) 南牡蒿素及其药物组合物和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329866B (zh) 一种五环三萜类化合物在制备抗偏头痛药物中的应用
KR102529752B1 (ko) 백두옹(Pulsatilla koreana)과 꿩의바람꽃(Anemone raddeana)의 가수분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751269B (zh) 冬凌草提取物在α-葡萄糖苷酶抑制剂中的应用
CN108503682B (zh) 一种同时提取分离雷公藤内酯甲和雷公藤内酯乙的方法
CN109180632A (zh) 一种从雷公藤中分离出的新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CN103665090B (zh) 枸骨皂苷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10526891A (zh) 一种从藤茶组织中分离纯化和鉴定花旗松素的方法
Asadi et al. Benzofurans nor-sesquiterpenoids from Petasites hybridus rhizomes and absolute configuration by circular dichroism
Ko et al.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Branches of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KR100782443B1 (ko)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6482A (ko) 마키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KR100559263B1 (ko) 표고버섯으로부터 에르고스테롤 에폭사이드 및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CN109265467B (zh) 一种中药女贞子来源的七环内酯化合物及其作为抗老年痴呆药物的应用
CN101967094B (zh) 一组菊苣中的苯乙酰奎尼酸及其酯类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