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621B1 -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621B1
KR101382621B1 KR1020100060441A KR20100060441A KR101382621B1 KR 101382621 B1 KR101382621 B1 KR 101382621B1 KR 1020100060441 A KR1020100060441 A KR 1020100060441A KR 20100060441 A KR20100060441 A KR 20100060441A KR 101382621 B1 KR101382621 B1 KR 10138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erminal
information
message
cell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529A (ko
Inventor
송평중
박현서
신연승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23,439 priority Critical patent/US8897772B2/en
Publication of KR2011000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 서칭 제어 방법은 단말이 셀 서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셀 서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던 제2 셀 서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갱신된 제2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셀을 서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 SEARCH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4,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홈 셀(home cell)은 가정, 사무실, 캠퍼스 및 핫 스팟 지역에서 사용되는 소형 기지국으로서 펨토 셀(femto cell)이라고도 한다. 홈 셀은 홈 셀보다 큰 범위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셀, 예를 들어 매크로 셀(macro cell)과 같거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
홈 셀이 매크로 셀과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이 매크로 셀에서 홈 셀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이 서칭해야 하는 인접 셀의 수는 상당히 많다. 이와 같은 셀 서칭은 단말의 계산량(computational complexity) 및 처리 부하(processing load)를 증가시키며 단말의 전력 소모에도 큰 영향을 준다.
더구나 홈 셀은 그 특성상 장비의 전원 온, 전원 오프 및 고장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업자의 주파수 운용 정책 및 인지 비율(cognitive ratio) 기술에 기반하여 사용하는 반송파 주파수의 변경이 발생하거나, 셀 서칭에 사용되는 물리 채널 번호(physical cell ID, PCI)의 변경 등이 발생 가능하므로, 단말에 저장되는 홈 셀 서칭 정보는 항상 최신 정보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셀 서칭은 일반적으로 자동 셀 서칭(autonomous cell searching)을 통하여 수행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인접 셀 목록에 포함된 모든 셀을 주기적으로 서칭해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셀 서칭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환경에 따라 단말의 셀 서칭을 제어하여 셀 서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 서칭 제어 방법은 단말이 셀 서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셀 서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던 제2 셀 서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갱신된 제2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셀을 서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셀은 상기 매크로 셀보다 크기가 작은 홈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유휴 상태를 유지하다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신호를 탐지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홈 셀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단말의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단말의 것인 경우에,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계층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머문 기간 정보, 머문 시간 정보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아이디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아이디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된 제1 셀 아이디가 상기 제2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셀 아이디를 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셀 아이디가 상기 제2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면 상기 제2 셀 아이디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셀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셀의 반송파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칭한 셀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셀 서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던 제2 셀 서칭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갱신된 제2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셀을 서칭하는 서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계층 3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셀 아이디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셀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셀 서칭 주기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머문 기간 정보, 머문 시간 정보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환경에 따라 단말의 셀 서칭을 제어하여 셀 서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셀 서칭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유휴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메시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9번(SIB#9)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홈 셀에 관한 정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 셀(20)의 정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 셀(20)의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및 단말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셀 기지국(macro cell base station)(110), 홈 셀 기지국(home cell base station)(120), 단말(200) 및 네트워크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홈 셀 기지국(120)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소형 기지국을 의미하며, 홈 셀(20)을 관리한다. 홈 셀 기지국(120)은 예를 들면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다른 셀의 전파가 열화되는 음영 지역에 설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확보한다. 홈 셀 기지국(120)은 매크로 셀 기지국(110)과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홈 셀 기지국(120)은 홈 고도화 노드B(home evolved node B, HeNB) 및 폐쇄 등록 그룹 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 CSG-cell)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 셀 기지국(110)은 매크로 셀(macro cell)(10)을 관리한다. 매크로 셀(10)은 홈 셀(20)을 포함하며 홈 셀(20)보다 큰 영역의 셀을 의미하며 매크로라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크로 셀 기지국(110)은 매크로 셀(10) 내에 포함된 홈 셀(20)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자동 홈 셀 트래킹 데이터베이스(auto home cell tracking DB)를 유지 갱신하며, 이러한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송한다.
매크로 셀 기지국(110)과 홈 셀 기지국(120)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매크로 셀 기지국(110)은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홈 셀 기지국(120)을 관리할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 채널의 종단점으로 자신이 접속 가능한 매크로 셀 기지국(110) 및 홈 셀 기지국(120)에 관련한 상태 정보(white list)를 관리하고 이를 기초로 인접 셀(10, 20)을 서칭하고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관리 서버(300)는 매크로 셀(10) 및 홈 셀(20)에 대한 각종 형상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이제 도 2를 참고하여 단말의 셀 서칭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셀 서칭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한 예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매크로 셀 기지국(110)은 단말(200)에게 셀 서칭 정보를 송신한다(S210).
그런 후 단말(200)은 송신한 셀 서칭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 저장하고 있던 정보, 즉 셀 서칭 리스트와 비교하여 정보를 갱신한다(S230). 단계(S230)에서 갱신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셀 아이디(cell ID)의 갱신, 셀 상태(cell status) 갱신 및 셀 서칭 주기 결정 등이 될 수 있다.
단말(200)은 갱신된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인접 셀, 즉 홈 셀 기지국(120) 또는 매크로 셀 기지국(110)을 서칭한다(S250). 그런 후 단말(200)은 해당 기지국(110, 120)으로 접속한다(S270).
이제 도 3을 참고하여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단말(20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 기지국(110) 셀 서칭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셀 서칭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징 메시지 수신(S311), 시스템 정보 메시지 수신(S312) 및 계층 3 메시지 수신(S313)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단계(S311)부터 설명한다. 단말(200)은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로부터 인접 셀 서칭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단계(S311)는 단말(200)이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 수행된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단계(S31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유휴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200)은 유휴 상태를 유지하다가(S410), 페이징 사이클 동안에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신호를 탐지하여 수신한다(S420).
그런 후 단말(200)은 자신의 홈 셀 아이디(home radio network temporary ID, H-RNTI)를 확인하고(S430),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신호를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한다.
단말(200)은 수신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신호가 자신의 것인지 판단하고(S440), 판단 결과 자신의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신호포맷을 이용하여 페이징 정보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복조한다. 그런 후 복조된 내용이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홈 셀 아이디, 예를 들어 CSG 아이디 또는 HeNB 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여기서 복조된 내용은 해당 트랙킹 지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가 포함되어 있는 CSG 아이디 세트 및 HeNB 아이디 세트이다.
한편 단계(S311)에서 단말(200)이 수신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도 5와 같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단말(200)은 유휴 상태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9번(system information block #9, SIB#9)를 수신할 수 있다(S312). 단말(200)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매크로 셀(10)이 포함하는 홈 셀(20)의 아이디 정보 및 각종 상태 정보를 조사하고, 자신이 저장한 홈 셀 아이디와 비교한다. 한편, SIB#9은 도 6과 같을 수 있다.
단말(200)은 호 설정 중에 매크로 셀 기지국(110)로부터 특정 계층 3 메시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접속 재설정(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13). 단말(200)은 수신한 계층 3 메시지는 매크로 셀(10)이 포함하고 있는 홈 셀(20)에 대한 아이디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200)은 핸드오버 중에 핸드오버 메시지(handover command)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200)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아이디, 즉 홈 셀 관련 아이디와 자신이 저장한 홈 셀 아이디간 매칭 여부를 조사한다(S314). 단말(200)은 조사 결과 매칭되는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5).
판단 결과 매칭되는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200)은 매칭되는 아이디의 상태를 조사한다(S316). 그리고 단말(200)은 수신된 셀 아이디의 셀 상태에 따라 각종 상태 파라미터를 최신 값으로 갱신한다. 그런 후 단말(200)은 셀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판단한다(S317). 판단 결과, 셀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단말(200)은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한다(S318). 이제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셀 서칭 주기는 홈 셀 기지국(120)의 전원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홈 셀 기지국(120)의 전원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해당 홈 셀(20)이 서칭 대상이 되며, 홈 셀 기지국(120)의 전원이 비정상 상태, 즉 예를 들어 전원이 꺼진 상태이거나 고장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홈 셀(20)의 서칭 주기를 무한대로 세팅함으로써 서칭 대상에서 제외한다.
홈 셀(20)의 동작 주파수는 전파 환경, 사업자의 주파수 운용 정책 또는 인지 비율(cognitive ratio, CR) 기술에 따라 홈 셀의 동작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만일 홈 셀(20)의 반송파 주파수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네트워크 관리 서버(300) 혹은 매크로 셀 기지국(110)은 단말(200)에게 최신 정보를 알려 상호 주파수 셀 서칭(inter-frequency cell searching)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홈 셀(20)의 수는 매우 많고 셀 서칭에 필요한 물리 셀 아이디(physical cell ID, PCI)는 일정 수 예를 들어 504개로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물리 채널 아이디 간에 충돌 현상(PCI confus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 채널 아이디 간에 충돌이 발생하면 네트워크 관리 서버(300) 등에서 이를 사전에 탐지하여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물리 채널 아이디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은 통계적 수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말(200)은 홈 셀(20)을 포함하여 특정 셀에 머문 기간 정보, 머문 시간 정보 및 방문 횟수의 통계치에 따라 셀 서칭 주기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머문 시간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통계치를 적용하며, 시간 및 분으로 표시한다. 한 예로 단말(200)이 일주일 중 50% 이상의 시간을 자신이 등록한 홈 셀(20)에서 통신을 하고, 친지 집에서 홈으로 돌아오는 경우에 자신의 홈 셀 서칭 주기는 짧게(short) 설정하고, 등록은 하였으나 일주일 간 거의 방문하지 않은 셀에 대한 셀 서칭은 길게(long)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200)이 머문 시간이 매우 길더라도 통신 행위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상황도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단말(200)은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한 후,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인접 셀 서칭 리스트를 갱신한다(S319).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말(200)은 수신한 셀 아이디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셀 아이디를 활성화(activation)로 설정한다. 또한 단말(200)은 수신한 셀 아이디가 자신이 저장한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셀 아이디를 비활성화(deactivation)로 설정하고 셀 서칭 범주에서 해당 셀 아이디를 제외시킬 수 있다.
그런 후 단말(200)은 갱신된 셀 서칭 리스트에 따라서 인접 셀을 서칭한다(S320).
단말(200)은 셀 서칭 결과 목표 셀(target cell)을 발견하였는지 판단한다(S321). 목표 셀을 발견하면, 단말(200)은 목표 셀에 접속한다(S322). 목표 셀을 발견하지 못하면, 단말(200)은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S323).
한편, 단계(S317)에서 셀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판단 결과, 셀의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니면, 단말(200)은 셀 서칭 리스트에서 해당 셀 아이디를 비활성화 시킨다(S324). 그런 후 단말(200)은 해당 셀 아이디가 고장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325).
한편, 단계(S315)에서 조사 결과 매칭되는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셀 서칭 리스트에서 해당 셀 아이디를 비활성화 시킨다(S326).
이제 도 7을 참고하여 단말(200)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홈 셀에 관한 정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200)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는, 단말(200)이 등록한 셀 아이디 정보인 제1 정보(MY CSG ID), 최근 단말의 확률적인 이동 정보인 제2 정보(latest UE-moving stochastic), 최근 소속 정보인 제3 정보(latest WHO) 및 최근 및 갱신된 홈 셀 기지국 상태 정보인 제4 정보(latest & updated HeNB status)를 포함한다.
제1 정보는 글로벌 셀 아이디(global cell ID, CGI) 및 셀 타입(cell type)을 포함하고, 제2 정보는 단말이 셀이 머문 기간 정보(duration UE stayed in cell), 단말이 셀이 머문 시간 정보(timing info UE stayed in cell) 및 방문 횟수 정보(visited frequency)를 포함하고, 제3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 셀 아이디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macro eNB id cell belongs to) 및 트래킹 지역 코드 아이디 셀이 어디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TAC id cell belongs to)를 포함하고, 제4 정보는 전원 상태(power status),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 물리 셀 아이디(physical cell id) 및 접근 가능성(accessibility)를 포함한다.
이제 도 8을 참고하여 홈 셀에 대한 아이디 및 상태 정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 셀(20)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 셀(20)의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유형은 크게에 따라 대형 셀(big cell), 중간 셀(medium cell), 소형 셀(small cell) 및 초소형 셀(very small cell)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셀 유형이 상호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대형 셀은 위상학적으로 자신이 둘러 싸고 있는 소형 셀의 아이디와 셀 서칭에 필요한 각종 상태 정보를 셀 형상 데이터베이스 (cell-configuration DB)로 구축하여 실시간 관리할 수 있으며, 단말은 이들 정보를 받아 인접 셀을 탐색함에 있어서 셀 서칭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크로 셀(10)이 홈 셀(20)을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패킷 코아(Evolved Packet Core, EPC)가 홈 셀(20)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 셀(20)의 아이디 및 상태 정보는 도 8과 같을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지역 아이디(TAC)에 속해 있는 홈 셀(20)의 정보는 도 9와 같이 CSG 아이디에 속해 있는 HeNB 아이디 세트 정보(set of HeNB id belong to each CSG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정보는 유지 보수 서버(operation and management sever)가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200)은 수신부(210), 처리부(230) 및 서칭부(25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매크로 셀 기지국(11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계층 3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처리부(230)는 수신부(210)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셀 아이디(cell ID)를 갱신하고, 셀 상태(cell status)를 갱신하고, 셀 서칭 주기 결정한다. 이때 셀 서칭 주기는, 단말(200)이 특정한 셀에 머문 기간, 머문 시간 및 방문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서칭부(250)는 처리부(230)에서 갱신한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홈 셀을 서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환경에 따라 단말(200)의 셀 서칭을 제어하여 셀 서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단말(2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1)

  1. 단말이 셀 서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셀 서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유휴 상태 또는 통신 상태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던 제2 셀 서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갱신된 제2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셀을 서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계층 3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셀은 상기 매크로 셀보다 크기가 작은 홈 셀을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유휴 상태를 유지하다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신호를 탐지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홈 셀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단말의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단말의 것인 경우에,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복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머문 기간 정보, 머문 시간 정보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수행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아이디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셀 아이디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된 제1 셀 아이디가 상기 제2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셀 아이디를 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셀 아이디가 상기 제2 셀 서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면 상기 제2 셀 아이디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셀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셀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셀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3. 제1항에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셀의 반송파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4. 제1항에서,
    상기 서칭하는 단계에서 서칭된 셀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서칭 제어 방법.
  15.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제1 셀 서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유휴 상태 또는 통신 상태에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단말이 저장하고 있던 제2 셀 서칭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갱신된 제2 셀 서칭 정보를 기초로 접속 가능한 셀을 서칭하는 서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계층 3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6. 삭제
  17. 제15항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신호를 포함하는 단말.
  18. 제15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셀 아이디를 갱신하는 단말.
  19. 제15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셀 상태를 갱신하는 단말.
  20. 제15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셀 서칭 주기를 결정하는 단말.
  21. 제20항에서,
    상기 셀 서칭 주기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머문 기간 정보, 머문 시간 정보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말.
KR1020100060441A 2009-06-26 2010-06-25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 KR10138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23,439 US8897772B2 (en) 2009-06-26 2010-06-25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 search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706 2009-06-26
KR20090057706 2009-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29A KR20110000529A (ko) 2011-01-03
KR101382621B1 true KR101382621B1 (ko) 2014-04-07

Family

ID=4360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41A KR101382621B1 (ko) 2009-06-26 2010-06-25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137A (ko) * 1999-08-09 2001-03-05 조정남 중첩셀 구조에서 상위셀과 하위셀간의 핸드오프 방법
US20080153533A1 (en) * 2006-12-22 2008-06-26 Holger Claussen Detecting and reporting a picocell by a mobile station
KR20080067512A (ko) * 2007-01-16 2008-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홈셀/개인네트워크를 고려한 셀 선택장치 및 방법
WO2009039904A1 (de) * 2007-09-21 2009-04-02 T-Mobile International Ag Verfahren zur endgeräte-basierten erkennung von home-basisstationen in einem zellularen mobilfunksystem mittels unterstützung durch das mobilfunknetz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137A (ko) * 1999-08-09 2001-03-05 조정남 중첩셀 구조에서 상위셀과 하위셀간의 핸드오프 방법
US20080153533A1 (en) * 2006-12-22 2008-06-26 Holger Claussen Detecting and reporting a picocell by a mobile station
KR20080067512A (ko) * 2007-01-16 2008-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홈셀/개인네트워크를 고려한 셀 선택장치 및 방법
WO2009039904A1 (de) * 2007-09-21 2009-04-02 T-Mobile International Ag Verfahren zur endgeräte-basierten erkennung von home-basisstationen in einem zellularen mobilfunksystem mittels unterstützung durch das mobilfunkne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29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5589B1 (en) Method for eliminating physical cell identifier PCI collisions of pico base stations in the area of a macro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15297B2 (en) Method for identifying user equipment to a femtocell
US8897772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 searching thereof
CN102804861B (zh) 蜂窝电信系统中的方法和布置
US9445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s
CN103546920A (zh) 一种系统信息的接收方法和装置
CN102083193B (zh) 时分双工系统中网络节点的同步方法及系统
CN102349323A (zh) 无线通信系统、方法、无线基站以及控制站点
KR20130020690A (ko) 펨토셀 근접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117403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03548390A (zh) 电信系统中的方法和布置
JPWO2013069097A1 (ja)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ノード、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80176977A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ction system
KR20100075461A (ko) 유저장치 및 페이징채널 수신방법
KR101599846B1 (ko) 펨토셀 휴지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40090030A (ko) 기준 신호 크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WO2014163572A1 (en) Proximity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180002968A (ko) 핸드오버 파라미터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82621B1 (ko) 단말 및 단말의 셀 서칭 제어 방법
JP49888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及び通信方法
CN102123388A (zh) 一种家庭基站开机同步和注册的方法和设备
KR20090000856A (ko) 자가 구성 가능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및 장치
KR20150029847A (ko) 추적영역 리스트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적영역 리스트 생성 방법
KR101612112B1 (ko) 핸드 오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140760B1 (ko) 스몰셀 접속 장치, 스몰셀 관리 서버, 그리고 이들의 스몰셀 서비스 유지/중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