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65B1 - 전선 감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감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65B1
KR101381965B1 KR1020120047279A KR20120047279A KR101381965B1 KR 101381965 B1 KR101381965 B1 KR 101381965B1 KR 1020120047279 A KR1020120047279 A KR 1020120047279A KR 20120047279 A KR20120047279 A KR 20120047279A KR 101381965 B1 KR101381965 B1 KR 10138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wire
motor
present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843A (ko
Inventor
박진일
Original Assignee
김규민
박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민, 박진일 filed Critical 김규민
Priority to KR102012004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는 전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선이 권취되는 한 쌍의 권취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선을, 상기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감는 장치{APPARATUS FOR WINDING A CABLE}
본 발명은 전선 감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을 보다 편리하게 감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주고 시각적으로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 전선 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생활의 전자기기들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선을 필요로 한다. 특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컴퓨터본체 등 많은 전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선의 정리가 필요하다,
전선의 정리를 위하여 기존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전선고정끈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전선을 감아 정리하였고, 위치를 옮겨야 하거나 전선을 다시 길게 풀기 위해서는 전선고정끈을 가위로 잘라야 했다.
이러한 수작업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며,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이를 위해 가위를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다칠 위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선을 정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5863호(2011,06,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불편을 덜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선을 정리하기 위한 전선 감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는 전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선이 권취되는 한 쌍의 권취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선을, 상기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감는 장치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캡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캡부재에 마련된 제1통전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캡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전부와 통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는 제2통전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캡부재와 케이스본체가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신호인가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전선이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전선이 그 케이스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그 전선과 케이스본체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간섭방지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는 자동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는 전선이 전선 감는 장치 내부로 수용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깔끔해보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는 모터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하여 편의성을 가지며, 시간 절약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에 의해 최종적으로 감긴 전선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감는 장치(100)는 회전부재(110), 한 쌍의 권취부(120), 케이스본체(130), 모터(210) 및 신호인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30)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그 재질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케이스본체(130)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다른 형상(예컨대, 사각, 육각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30)는 제2 통전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30)에는, 상기 전선이 그 케이스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그 전선과 케이스본체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간섭방지슬릿(150)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슬릿(150)은 여기서는 사각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간섭방지슬릿(150)은 반원, 반타원 또는 다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110)는 상기 케이스본체(13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1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이 권취되는 한 쌍의 권취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재(110)는 회전을 위해 적합한 형상, 예컨대, 원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모터(210)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타측에 접촉하여 구성되며,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220)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터(210)는 상기 케이스본체(13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모터(21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권취부들(120)은 모터(21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전선들을 감을 수 있고 상기 케이스본체(13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권취부들(120)은 원기둥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각기둥 형태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케이스본체(130)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캡부재(140)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140)는 상기 케이스본체(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본체(130)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케이스본체(130)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재(140)는 제1 통전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140)가 케이스본체(130)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경우, 상기 케이스본체(130)의 제2 통전부(14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40)에 마련된 제1 통전부(142)와, 상기 케이스본체(130)와 캡부재(14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전원(220)을 통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 전원(220)에 의해 모터(210)가 구동되어 상기 전선이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전부(142) 및 제2 통전부(144)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통전부(142)와 제2 통전부(144)의 결합으로 인하여 전원(220)의 동력이 모터(210)에 공급되어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통전부(142)와 제2 통전부(144)가 결합된 부분(146)을 도시한다. 상기 결합으로 인하여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캡부재(140)는 케이스본체(130)와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권취부(120)가 회전시에 회전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으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권취부(120)가 삽입되도록 음각 형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권취부(120)의 너비보다 기설정된 너비만큼 넓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선(300)은 상기 회전부재(110) 상에 한 쌍의 회전부재(120)를 교차하는 방안으로 놓일 수 있으며, 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도 4와 같이 전선 감는 장치(100)에 감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에 의해 최종적으로 감긴 전선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4에 의한 동작에 의해 전선(300)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100)에 감긴 형태가 도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감는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시각적으로도 깔끔한 전선 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선 감는 장치(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전선(300)을 케이스본체(130)의 수용공간에 수용하기 위하여, 전선(300)과 케이스본체(13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간섭방지슬릿(150)에 전선(300)을 삽입하고 도 4와 같이 전선(300)을 교차하여 한 쌍의 권취부(120)에 놓는다.
캡부재(140) 및 케이스본체(13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제1 통전부(142) 및 제2 통전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전부(142) 및 제2 통전부(144)는 어느 하나는 플러스극 다른 하나는 마이너스극에 해당할 수 있고, 각각 모터(2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전부(142) 및 제2 통전부(144)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만 전원(220)에 의해 모터(210)에 동력이 공급된다.
모터(210)에 동력이 공급되는 경우, 모터(210)는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전선(300)이 한 쌍의 권취부(120)에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선 감는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캡부재(140)로 케이스본체(130)를 덮는 동작을 통해 모터(210)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전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선이 권취되는 한 쌍의 권취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인가수단;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권취부가 회전시에 회전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으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전선을, 상기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감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인가수단은,
    상기 캡부재에 마련된 제1통전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캡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전부와 통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는 제2통전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캡부재와 케이스본체가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신호인가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전선이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감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전선이 그 케이스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그 전선과 케이스본체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간섭방지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감는 장치.
KR1020120047279A 2012-05-04 2012-05-04 전선 감는 장치 KR10138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79A KR101381965B1 (ko) 2012-05-04 2012-05-04 전선 감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79A KR101381965B1 (ko) 2012-05-04 2012-05-04 전선 감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843A KR20130123843A (ko) 2013-11-13
KR101381965B1 true KR101381965B1 (ko) 2014-04-07

Family

ID=4985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279A KR101381965B1 (ko) 2012-05-04 2012-05-04 전선 감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16A (ko) * 2019-07-11 2021-01-20 정용기 플렉시블 전선관 회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509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KR200273529Y1 (ko) * 2002-01-22 2002-04-25 이정환 전선 보관구
JP2003339846A (ja) * 2002-05-31 2003-12-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509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KR200273529Y1 (ko) * 2002-01-22 2002-04-25 이정환 전선 보관구
JP2003339846A (ja) * 2002-05-31 2003-12-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16A (ko) * 2019-07-11 2021-01-20 정용기 플렉시블 전선관 회수장치
KR102236485B1 (ko) * 2019-07-11 2021-04-05 정용기 플렉시블 전선관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843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6398A4 (en) ELECTRICAL PERMANENT MAGNETICIZATION MACHINE AND ELECTRICALLY OPERATED POWER STEERING DEVICE THEREFOR
WO2015009565A3 (en) Motorized drapery apparatus with batteries positioned in the brackets
EP1696536A4 (en) MOTOR COVER AND ELECTRIC MOTOR EQUIPPED WITH THE HOOD
KR101381965B1 (ko) 전선 감는 장치
EP1630456A4 (en) BALL THREAD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ITH THIS
US20110180095A1 (en) Electric eyelash brush
WO2009021718A3 (de) Vorrichtung zum antrieb von instrumenten und werkzeugen und deren verwendung
US7887343B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devices
EP1768226A4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OWER SUPPLY
CN103269005A (zh) 电线简易接线装置
CN200973448Y (zh) 可自动旋转的吹风机
KR200469045Y1 (ko) 휴대용 전자기식 안마기
CN103579977B (zh) 一种母线槽插接箱连锁机构
US9306425B2 (en) Spring motor
CN109246506A (zh) 耳机收纳盒
CN103750999A (zh) 一种微型按摩器
CN204465073U (zh) 自动绕线电源充电器和笔记本电脑
CN203510050U (zh) 一种电动螺丝刀
KR200420672Y1 (ko) 휴대용 전선릴
CN203736506U (zh) 一种微型按摩器
CN203536895U (zh) 一种母线槽插接箱连锁机构
CN202817420U (zh) 电源线收纳结构及使用该电源线收纳结构的冷风扇
CN204541896U (zh) 双头洁面仪
KR20140012566A (ko) 길이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멀티탭
KR102011630B1 (ko) 전선 정리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