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771B1 -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771B1
KR101381771B1 KR1020120089473A KR20120089473A KR101381771B1 KR 101381771 B1 KR101381771 B1 KR 101381771B1 KR 1020120089473 A KR1020120089473 A KR 1020120089473A KR 20120089473 A KR20120089473 A KR 20120089473A KR 101381771 B1 KR101381771 B1 KR 10138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formation terminal
pattern
valu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429A (ko
Inventor
오광만
Original Assignee
(주)테슬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슬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테슬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8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7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바둑판의 크기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바둑판의 각 지점에 대해 위치 인덱싱 값을 부여하고, 각 지점의 빈 공간, 흰돌, 검은 돌에 대한 상태 인덱싱 값을 부여하는 단계; 바둑돌의 흰돌 또는 검은 돌 각각에 대해 바둑판에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덱싱 값과 상태 인덱싱 값을 근거로 상기 입력된 패턴에 대한 패턴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패턴값을 인코딩하고 암호화하여 정보 단말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바둑판의 크기에 따라 비밀번호 조합의 가지수가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시각적인 패턴 입력 방식이어서 기억하기 용이하게 하며, 자판의 종류에 비 의존적이어서 통일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Setting Method of Password using Arranged Pattern of Baduk Stone in Go Borad}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PC, PDA, 테블릿 PC 등의 다양한 정보 단말기에서 타인이 무단으로 접근하여 정보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의 허락없이 특정 사이트에 타인이 무단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정보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 사용 후 잘못된 터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화면 잠금 기능을 일반적으로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화면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여 타인에 의한 무단 도용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정보 단말기인 스마트폰이나 PDA나 테블릿 PC는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분실이나 도난으로 인하여 타인이 습득하여 무단으로 휴대 정보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정보에 접근 가능하게 되면, 사용자가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비밀번호 보안 방법이 요구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정보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는 도1의 상단 첫 번째 도면처럼 비밀번호 설정단계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 부분을 터치하면 도1의 상단 두 번째 도면처럼 숫자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와서 사용자가 표시된 번호를 차례로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숫자와 문자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와서 사용자가 표시된 숫자와 문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도1의 하단 첫 번째 도면처럼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패턴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와서 도1의 하단 두 번째 도면처럼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패턴(노란색 도트)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숫자나 문자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 종류가 제한되어 해킹의 위험성이 높고, 아무래도 문자와 숫자의 조합이므로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숫자에 대응하는 패턴에 의한 경우에는 시각적인 패턴 입력 방식이므로 기억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패턴의 각 도트에 대응하는 숫자나 문자가 존재하므로, 이 방법 역시 대응하는 문자나 숫자 종류가 제한되어 해킹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패턴 입력방식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은, 결국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자판(숫자 자판, 문자 자판)에 의존하므로, 자판의 종류와 자판의 배치에 의존적이라서, 동일한 패턴이라도 각각의 자판에 따라 비밀번호가 상이하게 되어 통일화된 비밀번호 설정이 불가능해진다.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정보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바둑판의 크기에 따라 비밀번호 조합 가지수를 가변적으로 설정이 되기 때문에 보안 중요성에 따른 복잡도 설정이 가능하고, 시각적인 패턴 입력 방식이어서 기억하기 용이하게 하며, 자판의 종류에 비 의존적이어서 국가별/언어별로 통일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바둑판의 크기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바둑판의 각 지점에 대해 위치 인덱싱 값을 부여하고, 각 지점의 빈 공간, 흰돌, 검은 돌에 대한 상태 인덱싱 값을 부여하는 단계; 바둑돌의 흰돌 또는 검은 돌 각각에 대해 바둑판에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덱싱 값과 상태 인덱싱 값을 근거로 상기 입력된 패턴에 대한 패턴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패턴값을 인코딩하고 암호화하여 정보 단말기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바둑판의 크기에 따라 비밀번호 조합의 가지수가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시각적인 패턴 입력 방식이어서 기억하기 용이하게 하며, 자판의 종류에 비 의존적이어서 통일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도시함.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함.
도3은 본 발명에서 패턴을 구별하는 방법 및 패턴에 따른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에서 가변적인 바둑판의 크기를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 설정 순서를 도시함.
도6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의 입력 및 검색 방법을 도시함.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설정 방법을 도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 단계에 도달하면, 도2의 첫 번째 도면처럼 빈 바둑판 패턴이 화면에 도시된다.
이제 사용자는 도2의 두 번째 도면처럼 흰돌에 위한 패턴을 입력하고, 도2의 세 번째 도면처럼 검은 돌에 의한 패턴을 입력하면, 도2의 네 번째 도면처럼 결과적으로 흰돌과 검은 돌의 조합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 바둑판의 크기에 따라 조합하는 가지수가 매우 많아지고, 흰돌과 검은 돌을 구별하므로 더욱 조합 가지수가 많아지며, 자판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단일의 바둑판에 의해 통일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을 구별하는 방법 및 패턴에 따른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의 상단 첫 번째 도면처럼 바둑판(4X4 바둑판)의 각 지점(포지션)에 위치 인덱싱(번호)을 부여하고, 각 지점에서 빈공간이면 0, 흰돌이 배치되면 1, 검은 돌이 배치되면 2의 숫자(상태 인덱싱)를 부여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흰돌과 검은 돌의 배치 순서를 구별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비구별하는 방식으로 할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예를들면 도3의 상단 2번째 도면과 같은 패턴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도3의 하단과 같은 포지션별 상태값 정보 테이블이 형성된다.
이제, 각 포지션별 상태값 정보는, 예를들면 Run-Length-Encording 방법 등의 통상적인 인코딩 방법으로 코딩되어 데이터 크기를 축소시키고 나서, 최종값을 MD5 등의 통상적인 비밀번호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단말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한편, 도3에서는 4X4 바둑판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마다 상이한 기억력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패턴의 크기를 도4와 같이 크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바둑판의 크기가 커질수록 조합의 가지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도3, 4에서는 가로 갯수와 세로 개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비밀번호 설정 순서를 도5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의 좌측의 각 단계의 예시가 도5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비밀번호 설정 단계에 진입하면, 사용자는 바둑판의 크기를 선택한다(S1).
그리고 나서, 흰 돌 또는 검은 돌을 선택한다(S2).
다음으로 선택된 돌에 대하여 드래깅에 의해 패턴을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 물론, 드래킹 방법 대신에, 선택된 돌에 대한 각 위치를 선택하는 포인팅 방법도 가능하다.
이제, 입력 단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2)로 되돌아가고, 입력이 완료되면 패턴값을 생성한다(S5).
이렇게 하여 생성된 패턴값은 인코딩과 암호화 과정을 거쳐서(S6), DB에 저장된다(S7).
이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도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바둑판 크기를 선택한다(S11).
그리고 나서, 검은 돌 또는 흰돌을 선택한다(S12).
이제, 선택된 돌에 대해 드래깅에 의해 패턴을 입력한다(S13)(도6의 우측에 예시가 도시됨).
다음으로,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3) 완료되지 않았다면 단계(S12)로 되돌아가고, 완료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패턴값을 생성한다(S15).
이제, 인코딩되고 암호화되어 DB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독출하여 디코딩하고 해독하여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패턴값을 생성한 후에, 상기의 비밀번호 입력 단계에서 생성된 패턴값(단계 S15에서 생성된 패턴값)과 비교한다(S16).
비교 결과, 일치하면 단말기의 사용을 허용한다(S17).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패턴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기억하기나 입력하기가 용이하고, 종래기술에서 비밀번호 입력시에 요구되는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게 되어 비밀번호 재입력이 필요 없게 되며, 종래기술에서 국가별/언어별로 자판이 상이하여 대응하는 문자가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없이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사용가능한 통일되고 획일적인 비밀번호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생성된 패턴값이 정보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정보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보안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고 필요시 정보 단말기가 보안서버에서 패턴값을 독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8)

  1.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바둑판의 크기가 선택되는 단계;
    정보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바둑판의 각 교차점에 대해 위치 인덱싱 값을 부여하고, 각 교차점의 빈 공간, 흰돌, 검은 돌에 대한 상태 인덱싱 값을 부여하는 단계;
    바둑돌의 흰돌 또는 검은 돌 각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된 바둑판 크기에 따라 상기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바둑판의 교차점들에 정보 단말기용 비밀번호 패턴이 입력되는 단계;
    정보 단말기가 상기 위치 인덱싱 값과 상태 인덱싱 값을 근거로 상기 입력된 정보 단말기용 비밀번호 패턴에 대한 패턴값을 생성하는 단계;
    정보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패턴값을 인코딩하고 암호화하여 정보 단말기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값 입력 단계는 드래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값 입력 단계는 포인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태블릿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패턴값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비밀번호 패턴값을 인터넷 연결된 보안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설정 방법.
  8.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입력 및 검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바둑판의 크기가 선택되는 단계;
    바둑돌의 흰돌 또는 검은 돌 각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된 바둑판 크기에 따라 상기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바둑판의 교차점들에 정보 단말기용 비밀번호 패턴이 입력되는 단계;
    선택된 바둑판의 각 교차점에 부여된 위치 인덱싱 값과, 각 교차점의 빈 공간, 흰돌, 검은 돌에 대해 부여된 상태 인덱싱 값을 근거로, 상기 입력된 정보 단말기용 비밀번호 패턴에 대한 패턴값을 생성하는 단계;
    정보 단말기에 인코딩되고 암호화되어 저장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패턴값을 독출하여 디코딩하고 해독하여 상기 생성된 패턴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비밀번호 입력 및 검색 방법.
KR1020120089473A 2012-08-16 2012-08-16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10138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73A KR101381771B1 (ko) 2012-08-16 2012-08-16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73A KR101381771B1 (ko) 2012-08-16 2012-08-16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29A KR20120109429A (ko) 2012-10-08
KR101381771B1 true KR101381771B1 (ko) 2014-04-07

Family

ID=4728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473A KR101381771B1 (ko) 2012-08-16 2012-08-16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9121B2 (en) 2014-05-06 2017-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locking electronic devices using touchscreen input gestures
CN112613026B (zh) * 2020-12-14 2024-05-03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密码设置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6385B2 (ja) 2003-03-17 2005-10-12 健治 吉田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
KR101221955B1 (ko) 2010-11-02 2013-01-1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인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6385B2 (ja) 2003-03-17 2005-10-12 健治 吉田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
KR101221955B1 (ko) 2010-11-02 2013-01-1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인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29A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2862B (zh) 一种移动设备管理方法、装置及一种移动设备
JP5122609B2 (ja) アルファ−ニューメリックマトリックスを用いたパスワード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
EP3190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user interface
US8850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evice passcode security
CN103034798B (zh) 一种随机密码的生成方法及装置
US9881148B2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JP200829351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操作方法
US8869261B1 (en) Securing access to touch-screen devices
CN102968602A (zh) 一种键盘的设置方法和装置
CN105956857A (zh) 一种安全虚拟密码键盘的生成系统以及方法
CN103996011A (zh) 一种保护密码输入安全的方法和装置
WO2014120881A1 (en) Authentication using a subset of a user-known code sequence
US2012029112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passwords
KR101381771B1 (ko) 바둑판에 바둑돌을 배치하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101505295B1 (ko)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N101859504B (zh) 电子装置及其密码保护方法
KR102394614B1 (ko)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Kasat et al. Study and analysis of shoulder-surfing methods
JPH02112053A (ja) データ処理方式
US20170155635A1 (en) Password Genera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JP6068911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487790B1 (ko) 피아노 건반과 악보를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Gurary et al. Passgame: A shoulder-surfing resistant mobile authentication scheme
JP2015001935A (ja) 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
KR101992485B1 (ko) 순환식 보안 키패드 및 그리드 패턴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