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26B1 -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26B1
KR101380626B1 KR1020120117890A KR20120117890A KR101380626B1 KR 101380626 B1 KR101380626 B1 KR 101380626B1 KR 1020120117890 A KR1020120117890 A KR 1020120117890A KR 20120117890 A KR20120117890 A KR 20120117890A KR 101380626 B1 KR101380626 B1 KR 10138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ne
elastic force
strik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익
Original Assignee
신동익
(주) 비포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익, (주) 비포디테크 filed Critical 신동익
Priority to KR102012011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61B17/1624Drive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치조골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타격 장치는 일측 선단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 후에 탄성 복원되면서 수평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력 발생부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끝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 부위를 시술하는 시술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력 발생부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탄성력에 의해 타격되면서 상기 시술팁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왕복운동시켜 상기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는 골타격부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고, 전원의 연결에 의한 구동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상기 탄성력 발생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 이동을 해제시키는 수평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AUTOMATIC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본 발명은 치과 시술 중에 시술부위의 타격에 사용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골 부위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시술 중에 특히 인공치아(임플란트) 시술시에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와 관련된 다양한 시술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인공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골 부위에 홈을 형성하거나, 인공치아 시술시에 부족한 골 부위를 자가골로 채우기 위해 소량의 자가골을 채취하는 등 다양한 골 부위 관련 시술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골 부위 관련 치과 시술의 일예를 도 12와 도 13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시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시술 형태는 인공치아 시술을 위해 치조골을 타격하여 원형의 홈을 형성하는 시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런 시술은 상악동 점막(M)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끌(100)과 망치(200)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로 치아(T)의 사이에 치아가 상실된 상악동의 치조골(S)을 여러 번 두드려 임플란트가 식립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하면서 상악동의 치조골(S)을 상부측으로, 즉 중공부(H)측으로 들어 올려 상기 점막(M)을 거상시키거나 상기 점막(M)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치조골(S)에 홀을 형성한 다음에 이런 홀을 통해 골이식재를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상기 끌(100)의 끝에는 상기 치조골(S)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시술팁(A)이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끌과 망치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를 통해 시술하는 경우, 시술 과정에서 상악동 점막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과정을 엑스레이로 확인하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끌과 망치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를 통해 시술하는 경우에, 시술이 수행되는 치조골의 타격력과 치조골에 형성된 홈의 깊이는 순전히 오스테오톰을 사용하는 시술자의 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악동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일정한 깊이로 치조골에 홈을 형성하는 것에는 고도의 집중력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어 정밀하게 치조골을 시술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골 부위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는 등 치과 시술용 골 부위 관련 거상술 또는 골채취술 등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4-0095758호 "핸드 드릴링머신"(2004. 11. 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골 부위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턱과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타격 작동이 보다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가이드를 구비하여 탄성스프링의 신축이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타격부에 복원스프링을 구비하여 원통부재의 복원이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타격 작동 시에 시술 부위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캡을 구비하여 타격봉의 끝단에 시술팁이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 부위에 대한 타격 간격이 손쉽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구동식 수평 구동부를 구비하여 작동상의 정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압구동식 수평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콤팩트화되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는, 일측 선단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 후에 탄성 복원되면서 수평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력 발생부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끝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 부위를 시술하는 시술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력 발생부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탄성력에 의해 타격되면서 상기 시술팁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왕복운동시켜 상기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는 골타격부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고, 전원의 연결에 의한 구동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상기 탄성력 발생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 이동을 해제시키는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탄성력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폐쇄된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선단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선단이 폐쇄된 수평이동관과, 상기 수평이동관의 선단에 장착되고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탄성력 발생부는, 상기 수평이동관의 상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턱과, 상기 수평이동관의 하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가이드턱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2 가이드턱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탄성력 발생부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 및 신장이 안내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스프링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골타격부는, 상기 탄성력 발생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력 발생부에 의해 타격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시술팁이 끼워지는 설치홈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상기 관통공의 선단에 걸려 타격 간격이 제한되도록 상기 타격봉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간격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부재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는, 상기 배치홈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타격봉의 둘레로 상기 배치홈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부재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는, 상기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원통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골타격부는, 상기 시술팁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타격봉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골타격부는, 상기 타격봉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과, 상기 타격봉이 상기 원통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간격조절홈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타격봉의 타격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타격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간격조절 나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수평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모터구동기가 연결되는 연결회전축과, 상기 연결회전축의 상단에 장착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일부의 치형이 제거되고 일부의 치형만이 형성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탄성력 발생부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기어에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수평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사이에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수평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상기 탄성력 발생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력 발생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대응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수평 구동부는,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포집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턱에 형성되는 포집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골 부위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고,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악동 등의 천공 없이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에 필요한 시술이 용이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턱과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타격 작동이 보다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가이드를 구비하여 탄성스프링의 신축이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탄성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의 형성 및 그 해제가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골타격부에 복원스프링을 구비하여 원통부재의 복원이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타격 작동 시에 시술 부위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캡을 구비하여 타격봉의 끝단에 시술팁이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 부위에 대한 타격 간격이 손쉽게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 타격 시술의 적용 범위가 보다 확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구동식 수평 구동부를 구비하여 작동상의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압구동식 수평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콤팩트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타격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타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타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력 발생부(20)와,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전방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골타격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수평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 선단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은 시술자가 손으로 손쉽게 파지할 수 있으면서 시술 부위에 타격 작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권총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해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내부에 제반 부품들의 조립 및 설치가 보다 간편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그 외부로 타격력을 전달하는 통로이다.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 후에 탄성 복원되면서 수평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폐쇄된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21)과,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선단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40)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선단이 폐쇄된 수평이동관(22)과,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선단에 장착되고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완충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스프링(21)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맞닿고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관(22)의 끝단에 맞닿아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거나 그 압축이 해제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이동관(22)은 상기 탄성스프링(21) 측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21)을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21)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2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골타격부(30)를 타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재(23)는 원통형의 고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이동관(22)이 상기 골타격부(30)를 타격할 때 상기 골타격부(30)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상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턱(24)과, 상기 수평이동관(22)의 하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턱(25)을 더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 가이드턱(24)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12)과, 상기 제2 가이드턱(25)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턱(24)과 제2 가이드턱(25)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가이드홈(12)과 제2 가이드홈(1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탄성스프링(21)이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압축 및 신장이 안내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21)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스프링가이드(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2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일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21)의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수평 방향의 압축 시에 그리고 그 압축의 해제 시에 상기 탄성스프링(21)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21)이 절곡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수평 방향을 따라 정밀하게 압축 및 압축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끝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시술하는 시술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탄성력에 의해 타격되면서 상기 시술팁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왕복운동시켜 상기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의해 타격되는 원통부재(31)와,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타격봉(32)과,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시술팁이 끼워지는 설치홈(33)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상기 관통공(11)의 선단에 걸려 타격 간격이 제한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간격제한턱(34)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재(31)는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수평이동으로 상기 완충부재(23)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수평 이동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타격봉(32)이 구비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맞닿아 상기 타격봉(32)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격봉(32)은 상기 완충부재(23)의 타격에 의해 상기 원통부재(31)의 수평이동으로 상기 하우징(10)의 관통공(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치조골과 같은 시술 부위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홈(33)은 상기 타격봉(32)의 끝단에 시술팁을 끼워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술팁은 치조골 혹은 자가골 등의 다양한 골(뼈)에 홈을 형성하거나 골(뼈)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도구이다.
상기 간격제한턱(34)은 상기 관통공(11)의 외측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맞닿아 상기 타격봉(32)의 후퇴 간격, 즉 상기 타격봉(32)의 타격 간격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11)의 둘레에 형성되는 배치홈(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배치홈(14)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31)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둘레로 상기 배치홈(14)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원스프링(35)은 상기 배치홈(14)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배치홈(14)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31)를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수평이동관(22)에 의한 타격이 해제되면 상기 원통부재(31)가 내측으로 원활히 복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수평이동관(22)에 의해 타격시에 상기 원통부재(31)로 전달되는 타격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원통부재(31)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홈(1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이드홈(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제3 가이드홈(15)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원통부재(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턱(3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가이드턱(36)은 상기 제3 가이드홈(15)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원통부재(31)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캡(37)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캡(37)은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홈(33)에 끼워진 상기 시술팁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고 전원의 연결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 이동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모터구동기가 연결되는 연결회전축(41)과, 상기 연결회전축(41)의 상단에 장착되는 회전기어(42)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42)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일부의 치형이 제거되고 일부의 치형만이 형성되는 작동기어(43)와,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기어(43)에 맞물리는 래크(44)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42)와 상기 작동기어(43)의 사이에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되는 감속기어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회전축(41)은 외부의 모터구동기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부위로써, 상기 회전기어(4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기어(42)는 상기 연결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감속기어부(45)의 기어들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기어(43)는 상기 회전기어(42)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치형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가 번갈아 형성되어 치형이 있는 부위에서 상기 래크(44)와 맞물려 상기 래크(44)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치형이 없는 부위에서는 상기 래크(44)가 맞물리지 않아 상기 래크(44)의 수평이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기어(43)는 원주의 둘레로 일부만 치형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래크(44)를 간헐적으로 맞물어 상기 래크(44)를 수평이동시킨 후에 그 수평이동을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회전축(41)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작동기어(43)에 의해 상기 래크(44)는 일측으로 수평이동되다가 그 이동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1)에 의해 복귀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래크(44)는 상기 작동기어(43)에 맞물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이동관(22)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속기어부(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기어(4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작동기어(4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는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여 골 부위에 홈이나 홀을 단시간에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골을 정밀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타격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회전축(41)에는 모터구동기(D)의 플렉시블한 구동축(R)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회전축(41)에 상기 구동축(R)을 연결한 상태로 시술자가 족답 패들 스위치를 발로 밟아 상기 모터구동기(D)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축(R)이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회전축(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회전축(41)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기어(4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기어(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속기어부(45)를 이루는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어부(45)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작동기어(4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작동기어(43)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리는 상기 래크(44)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래크(44)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관(22)과 완충부재(23)가 후퇴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21)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3)는 상기 원통부재(3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수평이동관(22)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관(22)과 완충부재(23)에 의한 가압에서 해제된 상기 원통부재(31)는 상기 복원스프링(35)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즉, 상기 간격제한턱(34)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맞닿도록 상기 타격봉(32)이 상기 관통공(11)을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수평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21)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어(43)가 계속 회전하여 상기 래크(4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즉 상기 래크(44)의 치형이 상기 작동기어(43)의 치형이 없는 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래크(44)는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압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그와 동시에 상기 수평이동관(22)이 상기 탄성스프링(2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원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관(22)과 이에 장착된 상기 완충부재(23)가 상기 원통부재(31)의 배면을 타격하게 된다.
타격된 상기 원통부재(31)는 상기 복원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타격봉(32)을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돌출시켜 시술부위를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봉(32)은 상기 설치홈(33)과 고정캡(37)을 통해 그 선단에 시술팁을 고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타격 간격(d)만큼 돌출되면서 타격하게 된다. 상기 타격 간격(d)은 0.5 mm 내지 2 mm 사이의 간격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술자는 상기 설치홈(33)에 시술팁(A)을 끼워 넣고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상기 고정캡(37)을 끼워서 상기 시술팁을 상기 타격봉(32)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권총을 잡듯이 한손으로 상기 하우징(10)을 파지한 후에 상기 하우징(10)을 이동시켜 상기 시술팁(A)을 치아(T)가 상실되어 임플란트를 식립할 상악동의 치조골(S)의 부위에 수직으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시술팁(A)이 상기 치조골(S)에 밀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족답 패들 스위치를 밟아서 모터구동기를 구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구동축(R)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기어(42)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2)가 회전되면서 상기 감속기어부(45)가 회전되어 상기 작동기어(4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기어(43)가 회전되면서 상기 래크(44)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래크(44)의 상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21)이 반복적으로 압축 및 그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수평이동관(22)과 함께 상기 완충부재(23)를 통해 상기 원통부재(31)를 타격하게 된다.
상기 원통부재(31)의 타격은 상기 타격봉(32)의 타격을 유발하게 되며, 상기 탄성스프링(21)에 의한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일회 타격은 상기 타격봉(32)의 시술부위에 대한 일회 타격, 즉 상기 타격봉(32)에 끼워진 상기 시술팁(A)이 상기 치조골(S)을 1회 타격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술팁(A)에 의한 상기 치조골(S)의 타격은 일정한 타격 간격(d)으로 이루어지고, 이런 타격 간격(d)은 0.5 mm, 1.0 mm, 1.5 mm 또는 2.0 mm 등 상기 타격봉(32)의 돌출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1.0 mm인 경우에 1회 타격시 상기 치조골(S)에 상부측으로 1.0 mm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족답 패들 스위치를 통해 상기 모터구동기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봉(32)에 의한 타격 회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치조골(S)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가늠하게 되어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깊이의 홈을 손쉽게 상기 치조골(S)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타격에 의해 상기 치조골(S)에 상기 시술팁(A)이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치조골(S)에 홈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홈의 주변에는 상기 치조골(S)의 골성분이 가압되면서 골밀도가 높아져 임플란트의 식립시에 안정감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홈의 형성에 의해 상기 치조골(S)의 상부측은 볼록하게 들어 올려지지만 중공부(H)에 있는 상악동 점막(M)은 손상되거나 찢어지지 않은 상태로 상승된다.
이상과 같이 본 타격 장치는 상악동 거상술에 사용되는 예를 보였지만, 이는 하나의 사용예일 뿐이고, 본 타격 장치는 이와 같이 하나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뼈에 홈 형성, 천공 형성 또는 골 채취 등의 다양한 치과 또는 정형외과의 뼈와 관련된 시술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타격봉(32)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38)과, 상기 타격봉(32)이 상기 원통부재(31)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간격조절홈(38)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타격봉(32)의 타격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끝단에 형성되는 간격조절 나선부(3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원통부재(31)와 상기 타격봉(32)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원통부재(31)의 간격조절홈(38)에 상기 타격봉(32)의 간격조절 나선부(39)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원통부재(31)에 상기 타격봉(32)의 타격 간격(d)이 조절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타격 간격(d)은 0.5 mm, 1.0 mm, 1.5 mm 또는 2.0 mm 등으로 상기 간격조절홈(38)에 대한 상기 간격조절 나선부(39)의 결합 거리에 따른 상기 타격봉(32)의 돌출 거리의 변경으로 다양하게 조절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의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공급관(46)과,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공급관(46)이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7)과, 상기 분사노즐(47)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대응턱(48)과, 상기 분사노즐(47)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포집되도록 상기 분사노즐(47)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턱(48)에 형성되는 포집홈(49)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46)은 공기압축기가 연결되는 연결관(L)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위로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노즐(47)로 전달되어 공급되는 공급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47)은 상기 공급관(46)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상기 수평이동관(22)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공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응턱(48)은 상기 분사노즐(47)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적절히 받아 상기 수평이동관(2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집홈(49)은 상기 대응턱(48)이 상기 분사노즐(47)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를 적절히 포집할 수 있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공압력이 상기 대응턱(48)으로 적절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 구동부(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술자가 족답 패들 스위치를 통해 상기 공기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시술자가 족답 패들 스위치를 밟아 상기 공기압축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연결관(L)을 통해 상기 공급관(46)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47)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턱(48)에 공압력이 가해져 상기 대응턱(48)이 상기 수평이동관(22)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관(22)이 수평이동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1)이 가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이 가압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상기 족답 패들 스위치를 놓으면 상기 공기압축기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압축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분사노즐(47)에 의한 압축공기의 분사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의 분사가 중단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1)의 가압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관(2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원통부재(31)를 타격하게 되고, 상기 대응턱(48)도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상기 족답 패들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공기압축기의 온/오프 또는 상기 연결관(L)의 개폐에 따른 압축공기의 공급의 단속으로 상기 분사노즐(47)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그 분사를 중단하여 상기 수평이동관(22)과 탄성스프링(21)을 통해 상기 원통부재(31)를 원하는 타격 회수로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관통공 12 : 제1 가이드홈
13 : 제2 가이드홈 14 : 배치홈
15 : 제3 가이드홈
20 : 탄성력 발생부
21 : 탄성스프링 22 : 수평이동관
23 : 완충부재 24 : 제1 가이드턱
25 : 제2 가이드턱 26 : 스프링가이드
30 : 골타격부
31 : 원통부재 32 : 타격봉
33 : 설치홈 34 : 간격제한턱
35 : 복원스프링 36 : 제3 가이드턱
37 : 고정캡 38 : 간격조절홈
39 : 간격조절 나선부
40 : 수평 구동부
41 : 연결회전축 42 : 회전기어
43 : 작동기어 44 : 래크
45 : 감속기어부 46 : 공급관
47 : 분사노즐 48 : 대응턱
49 : 포집홈
A : 시술팁 S : 치조골
M : 점막 T : 치아
H : 중공부

Claims (13)

  1. 일측 선단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 후에 탄성 복원되면서 수평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력 발생부(20)와;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끝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 부위를 시술하는 시술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 탄성력에 의해 타격되면서 상기 시술팁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왕복운동시켜 상기 골 부위를 일정한 깊이로 타격하는 골타격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고, 전원의 연결에 의한 구동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에 그 이동을 해제시키는 수평 구동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폐쇄된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21)과,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선단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40)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선단이 폐쇄된 수평이동관(22)과,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선단에 장착되고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완충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수평이동관(22)의 상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턱(24)과,
    상기 수평이동관(22)의 하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턱(25)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 가이드턱(24)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12)과,
    상기 제2 가이드턱(25)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발생부(20)는,
    상기 탄성스프링(21)이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21)의 압축 및 신장이 안내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21)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스프링가이드(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에 의해 타격되는 원통부재(31)와,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타격봉(32)과,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시술팁이 끼워지는 설치홈(33)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상기 관통공(11)의 선단에 걸려 타격 간격이 제한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간격제한턱(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11)의 둘레에 형성되는 배치홈(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배치홈(14)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31)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둘레로 상기 배치홈(14)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원통부재(31)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홈(1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이드홈(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제3 가이드홈(15)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원통부재(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턱(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시술팁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타격봉(32)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캡(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타격부(30)는,
    상기 타격봉(32)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부재(31)의 전면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38)과,
    상기 타격봉(32)이 상기 원통부재(31)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간격조절홈(38)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타격봉(32)의 타격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타격봉(32)의 끝단에 형성되는 간격조절 나선부(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모터구동기가 연결되는 연결회전축(41)과,
    상기 연결회전축(41)의 상단에 장착되는 회전기어(42)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42)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일부의 치형이 제거되고 일부의 치형만이 형성되는 작동기어(43)와,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기어(43)에 맞물리는 래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42)와 상기 작동기어(43)의 사이에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기어(42)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공급관(46)과,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공급관(46)이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7)과,
    상기 분사노즐(47)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력 발생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대응턱(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40)는,
    상기 분사노즐(47)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포집되도록 상기 분사노즐(47)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턱(48)에 형성되는 포집홈(4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KR1020120117890A 2012-10-23 2012-10-23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KR10138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90A KR101380626B1 (ko) 2012-10-23 2012-10-23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90A KR101380626B1 (ko) 2012-10-23 2012-10-23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626B1 true KR101380626B1 (ko) 2014-04-04

Family

ID=5065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890A KR101380626B1 (ko) 2012-10-23 2012-10-23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01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덴티움 의료 시술용 임펙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41B1 (ko) * 2007-03-14 2009-03-09 이수일 셀프 드릴링 및 자동 인발을 위한 리벳팅용 전동공구
KR20100005766A (ko) * 2008-07-08 2010-01-18 신영훈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20100090398A (ko) * 2009-02-06 2010-08-16 이도상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장치
KR101071658B1 (ko) 2010-12-27 2011-10-11 (주)보성메디텍 보호 캡을 구비한 마이크로 니들과 전자식 타격기로 구현되는 통증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41B1 (ko) * 2007-03-14 2009-03-09 이수일 셀프 드릴링 및 자동 인발을 위한 리벳팅용 전동공구
KR20100005766A (ko) * 2008-07-08 2010-01-18 신영훈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20100090398A (ko) * 2009-02-06 2010-08-16 이도상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장치
KR101071658B1 (ko) 2010-12-27 2011-10-11 (주)보성메디텍 보호 캡을 구비한 마이크로 니들과 전자식 타격기로 구현되는 통증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01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덴티움 의료 시술용 임펙터
WO2020242100A3 (ko) * 2019-05-27 2021-02-04 주식회사 덴티움 의료 시술용 임펙터
KR102254406B1 (ko) 2019-05-27 2021-05-21 주식회사 덴티움 의료 시술용 임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6849B2 (ja) 整形外科用衝撃を付与する電気モータ駆動式器具
KR102127309B1 (ko) 정형외과적 충돌을 위한 전기 모터 구동식 도구
US8936105B2 (en) Electric motor driven tool for orthopedic impacting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8409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rthroscopic microfracture surgery
JP2020185421A (ja) 整形外科用の衝撃を付与する電気モータ駆動式器具
US8936106B2 (en) Electric motor driven tool for orthopedic impacting
US7874839B2 (en) Powered surgical instruments
US9861373B2 (en) Assembly for manipulating bones
KR102371305B1 (ko) 제어된, 반복 가능한 충격을 전달하는 정형외과 디바이스
KR10094861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380626B1 (ko) 치과 시술용 자동 타격 장치
CA2872182A1 (en) Electric motor driven tool for orthopedic impacting
KR101192979B1 (ko) 전동식 상악동 거상 장치
KR101613830B1 (ko)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US20060014119A1 (en) Powered surgical instrument
DK2696793T3 (en) Stroke device for bone implantolog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