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598B1 -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 Google Patents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598B1
KR101380598B1 KR1020120043069A KR20120043069A KR101380598B1 KR 101380598 B1 KR101380598 B1 KR 101380598B1 KR 1020120043069 A KR1020120043069 A KR 1020120043069A KR 20120043069 A KR20120043069 A KR 20120043069A KR 101380598 B1 KR101380598 B1 KR 10138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poon
tray
robo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0083A (en
Inventor
류대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2004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598B1/en
Publication of KR2013012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이 개시된다.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른 음식물을 음식물 종류별로 수용하며 상기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트레이; 상기 음식물을 상기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수단;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된 음식물을 소정의 위치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 일단에 숟가락의 손잡이가 결합하며,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로봇암; 및 상기 로봇암을 제어하여,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사 보조 로봇은 간단하게 동작하며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is disclosed. A plurality of trays configured to accommodate food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for each food type and having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the foods;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said food from said tray; Delivery means for delivering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andle of the spoon is coupled to one end, the robot arm for loading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And an arm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robot arm and loads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on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Description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본 발명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al aid robot using a conveyor.

전자 산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제품 생산을 위한 산업 로봇, 인체를 수술하기 위한 의료 로봇, 간단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로봇 등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로봇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노약자, 환자, 장애우 등의 식사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로봇에 의해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the electronics industry develops, robots are used to replace humans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various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modern society, such as industrial robots for producing products, medical robots for operating the human body, and service robots for performing simple services. In addition, various mechanisms for assisting meals of the elderly, the patient, the disabled and the like are implemented and used by the robot.

식사 보조 로봇은 음식을 떠서 사용자의 입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로봇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미국 공개특허 US2009/0104004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지지대, 음식용기, 음식을 떠 올릴 수 있는 수저 및 음식을 입 근처로 이동 시킬 수 있는 기구부로 구성된다.Meal assistant robot is a robot that helps the user to eat easily by scooping food and delivering it to the user's mouth. The related art, as discl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09 / 0104004, consists of a support, a food container, a cutlery capable of raising food, and a mechanism part capable of moving food near the mouth.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잡한 로봇암을 이용하여 식사 보조 로봇을 제작하기 때문에 단가가 비싸며 해당 로봇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충분히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a meal assistance robot is manufactured using a complex robot arm, the unit price is expens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bot is not widely distributed to those who need the robot.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간단하게 동작하며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that is simple to operate and inexpensively manufactured.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른 음식물을 음식물 종류별로 수용하며 상기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트레이; 상기 음식물을 상기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수단;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된 음식물을 소정의 위치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 일단에 숟가락의 손잡이가 결합하며,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로봇암; 및 상기 로봇암을 제어하여,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사 보조 로봇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ays for receiving the foo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for each type of food and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ood;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said food from said tray; Delivery means for delivering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andle of the spoon is coupled to one end, the robot arm for loading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And an arm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bot arm to load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여기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 커버; 및 상기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하단 커버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커버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means, the lower cover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y,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tray;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ower cover to discharge the food, and may include a cover opening and closing part operated by a user.

또한, 상기 전달 수단은 일단이 상기 배출 수단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받도록 상기 배출 수단의 일단에 위치하는 미끄럼틀 형상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livery means may be a slide shape tha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means so that one end receives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또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미끄럼틀 형상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싣고, 상기 로봇암에 결합한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veyor belt for loading the food discharged by the slide shape, and conveyed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coupled to the robot arm.

여기서, 상기 암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이 올려진 상기 스푼의 음식물 수용부를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에 이동시킬 수 있다. Here, the cancer control unit may move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on which the food is placed to the prestore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user.

또한, 본 실시예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축; 상기 이송 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음식물이 종류별로 수용된 이송 트레이; 상기 이송 트레이로부터 이동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트레이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기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음식물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eed shaft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transport tray moving along the transport axis and accommodating the foods according to types; A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ood moved from the transfer tray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And a food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food contained in the transfer tray to the conveyo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은 간단하게 동작하며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operation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배출 수단 및 전달 수단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 동작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charge means and delivery means of the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diagram of a meal assist robot operation method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 part, "" module," " means, "or the like, which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사 보조 로봇(100), 트레이(110), 배출 수단(120), 전달 수단(130), 로봇암(140), 암 제어부(150), 제어부(160)가 도시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eal assistance robot 100, a tray 110, a discharge means 120, a delivery means 130, a robot arm 140, an arm controller 150, and a controller 160 are illustrated.

본 실시예는 음식물의 크기와 모양을 일정하게 잘라서 같은 크기의 트레이에 각 음식물마다 넣어 둔 후, 사용자가 먹고 싶은 음식을 트레이에서 방출하여 미끄럼틀 및/또는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숟가락 위에 놓아 음식물 섭취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ize and shape of the food is constantly cut and placed in each tray in the same size tray, and then the food that the user wants to eat is discharged from the tray and placed on a spoon by using a slide and / or a conveyor belt. There are features to give to the child.

트레이(110)는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른 음식물을 음식물 종류별로 수용하며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이다. 트레이(110)의 수는 음식물 종류의 개수에 상응하여 복수가 될 수 있다. 트레이(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통형, 다각통형, 구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y 110 is a food container for accommodating foo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for each food type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ood is discharged. The number of trays 110 may be plur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food types. The shape of the tray 11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tray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a spherical shape, and an oval shape.

배출 수단(120)은 음식물을 트레이(110)로부터 배출한다. 배출 수단(120)은 물리적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트레이(110) 내부의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discharge means 120 discharges food from the tray 110. Discharge means 120 may operate by a physical or electrical signal to discharge the food in the tray 110 to the outside.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수단(120)은 트레이(110)의 하단에 위치하며, 트레이(110)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 커버(121)와,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하단 커버(121)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커버 개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the discharge means 1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y 110, the bottom cover 1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ttom of the tray 110, and the bottom cover to discharge food ( It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121, and may include a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2 which is operated by the user.

커버 개폐부(122)는 레버 형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레버를 당기면 레버에 연결된 하단 커버(121)가 트레이(110)의 하단을 개방하여 음식물을 배출하고, 하단 커버(121)는 일단에 결합한 탄성 수단에 의해 다시 트레이(110)의 하단을 닫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2 is implemented in a lever shape so that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the lower cover 121 connected to the lever opens the lower end of the tray 110 to discharge food, and the lower cover 121 is elastic means coupled to one end. By having a structure that closes the lower end of the tray 110 again.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개폐부(122)는 개방 신호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적 인터페이스이며, 사용자가 커버 개폐부(122)를 작동하면, 개방 신호가 하단 커버(121)의 일단에 결합한 모터를 작동시켜서 하단 커버(121)가 트레이(110)의 하단을 개방하여 음식물을 배출하고, 다시 하단 커버(121)는 일단에 결합한 탄성 수단에 의해 다시 트레이(110)의 하단을 닫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2 is an electrical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an open signal,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2, the motor coupled to the open signal to one end of the lower cover 121 By operating the lower cover 121 to discharge the food by opening the bottom of the tray 110, the lower cover 121 is to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o close the bottom of the tray 110 again by the elastic means coupled to one end It may be.

커버 개폐부(122)는 음식물 섭취자 및/또는 로봇 관리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음식물 섭취자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손 또는 발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part 122 may be located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food intake user, for example, near the hand or the foot, so that the food intake user and / or the robot manager can easily operate the cover opener 122.

전달 수단(130)은 배출 수단(120)에 의해 배출된 음식물을 소정의 위치로 전달한다. 전달 수단(130)도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수단(130)은 미끄럼틀(131) 및 컨베이어 벨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livery means 130 delivers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1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elivery means 130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delivery means 130 may include a slide 131 and a conveyor belt 132.

미끄럼틀(131)은 기울어진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이 배출 수단(120)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받도록 배출 수단(120) 중 음식물이 배출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lide 131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lide structure so that one end of the slide 131 may b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foo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eans 120 to receive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120.

또한, 컨베이어 벨트(132)는 배출 수단(120)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직접 받거나 또는 미끄럼틀(131)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싣고, 로봇암(140)에 결합한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32)의 양단 중 음식물이 올려진 상단이 이동하는 측의 일단에는 로봇암(140)에 결합한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가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yor belt 132 may directly receiv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120 or load the food discharged by the slide 131, and may deliver the food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coupled to the robot arm 140. At one end of the sid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belt 132 may move,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coupled to the robot arm 140.

로봇암(140)은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음식물이 올려진 경우 해당 음식물을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robot arm 140 may move the food to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user when the food is placed on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여기서,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는 로봇암(140)을 지지하는 암 지지대의 특정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 중 특정 좌표에 위치하도록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섭취를 보조받는 자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입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턱을 받혀서 입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턱받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person may be predetermined to be positioned at a specific coordinate of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us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arm support for supporting the robot arm 140 as an origin. In this case, the person receiving the food intake may always position the mouth in the same 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jaw supporting the jaw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uth.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영상 처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리 준비된 카메라부는 실시간으로 음식물 섭취자의 얼굴을 촬상하여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며,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부가 생성한 얼굴 이미지의 경계 영역을 추출하여 얼굴 경계 이미지를 생성한 후 입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얼굴 라인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계 영역을 입이라고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암 제어부(150)는 로봇암(140)을 제어하여, 음식물이 올려진 스푼의 음식물 수용부를 해당 위치 정보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로봇암은 스푼뿐만 아니라, 포크, 컵 등 다양한 식사 도구를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unit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specifying the mouth position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amera unit prepares a face image by capturing a face of a food intake user in real time, and the image processor generates a face boundary image by extracting a boundary region of the face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unit, and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can do. The image processor may recognize the boundary area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ace line as the mouth, and in this case, the arm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obot arm 140 to move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on which the food is plac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You can. The robot ar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ve not only a spoon but also various eating tools such as a fork and a cup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영상 처리부는 얼굴 이미지의 픽셀값 중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의 경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차이는 소정의 임계치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즉, 얼굴 이미지의 경계 영역은 경계가 아닌 영역보다 그 픽셀값의 성질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연속된 픽셀의 픽셀값이 임계치 이상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 해당 픽셀을 경계 영역의 픽셀로 판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may extract a boundary area of the face image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at least one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among pixel values of the face image. The difference may be determined us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other words, the boundary area of the face image may have different properties of the pixel value than the non-boundary area. Therefore, if the pixel values of consecutive pixels differ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by using this property, the corresponding pixel is divided into pixels of the boundary area. Can be determined by

로봇암(140)은 일단에 숟가락의 손잡이가 결합하며, 전달 수단(130)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고,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로봇암(140)은 모터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arm 140 is coupled to the handle of the spoon at one end, load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130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and moves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The robot arm 140 may include one or more joints that operate with a motor.

암 제어부(150)는 로봇암(140)을 제어하여, 전달 수단(130)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실어서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arm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obot arm 140 to load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130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to move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user.

제어부(160)는 상술한 트레이(110), 배출 수단(120), 전달 수단(130), 로봇암(140), 암 제어부(150)가 서로 연동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the respective functions such that the tray 110, the discharge unit 120, the delivery unit 130, the robot arm 140, and the arm control unit 150 perform their own functions while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To contro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의 각 단계는 식사 보조 로봇(100)이 주체가 되어 수행할 수 있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al assisting robot operation method using a convey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below may be performed by the meal assistant robot 100 as a subject.

단계 S310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른 음식물을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트레이(110)에 종류별로 담는다. 이 단계 전에 음식물을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르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김치, 깍두기, 단무지, 계란 말이 등 다양한 음식물이 미리 정해진 크기와 형상에 따라 잘라질 수 있다. In step S310, the foo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is contained in a plurality of trays 110, the discharge outlet through which the food is discharged. Before this step, the step of cutting food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may be preceded. For example, various foods such as kimchi, diced radish, pickled radish, and rolled eggs can be c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단계 S320에서, 트레이(110)에 담긴 음식물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트레이(11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음식물 섭취자 또는 로봇 관리자가 될 수 있다. In operation S320, the food contained in the tray 110 may be discharged from the tray 110 by a user's manipulation. Here, the user may be a food intake or a robot manager.

로봇 관리자는 음식물 섭취자 근처 또는 원격으로 로봇을 모니터링하고 상술한 커버 개폐부(122)를 조작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식사 보조 로봇(100)은 음식물 섭취자 및 그 근처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커버 개폐부(122) 로봇 관리자 근처에 위치하며, 로봇 관리자는 커버 개폐부(122)를 조작하여 음식물 배출 회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robot manager may monitor the robot near the food intake or remotely and operate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2 described above. In the latter case, the meal assis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food intake and its vicinity, and a display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image from the camera. In this case,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122 is located near the robot manager, and the robot manager may manipulate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122 to adjust the number of food discharges and discharge.

단계 S330에서, 트레이(110)에서 배출된 음식물을 배출 수단(120) 및 전달 수단(130)에 의해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키며, 단계 S340에서, 전달된 음식물을 로봇암(140)에 결합하는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다. In step S330, the food discharged from the tray 110 is moved to the food container side of the spoon by the discharge means 120 and the delivery means 130, and in step S340, the delivered food is coupled to the robot arm 140. Put the spoon in the food container.

단계 S350에서, 음식물이 올려진 스푼의 음식물 수용부를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에 이동시킨다.
In step S350,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on which the food is placed is moved to previously store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숟가락(410), 로봇 본체(420), 이송 축(430), 이송 트레이(440), 컨베이어(450), 음식물(460)이 도시된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spoon 410, the robot body 420, the transfer shaft 430, the transfer tray 440, the conveyor 450, and the food 460 are illustrated.

본 실시예는 복수의 음식물을 수용한 트레이를 소정의 축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음식물을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음식물 섭취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i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provided to the food intake user through the conveyor while moving the tray containing the plurality of foods along a predetermined axis.

로봇 본체(420)는 이송 축(430)의 일단에 결합하며 이송 트레이(440)를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시킨다. 로봇 본체(420)는 이송 트레이(440)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트레이(440)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송 트레이(440)와 결합하고 로봇 본체(420)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이 될 수 있다. The robot body 42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shaft 430 and moves the transfer tray 440 along the transfer shaft 430. The robot body 420 may include means for moving the transfer tray 440. Means for moving the transfer tray 4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a chain coupled with the transfer tray 440 and rotated by the robot body 420.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트레이(440)는 이송 축(430)과 고정되어 결합하며 로봇 본체(420)는 이송 축(430) 자체를 움직임으로써 이송 트레이(440)를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로봇 본체(420)는 상술한 체인 또는 이송 축(430)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ransfer tray 440 is fixedly coupled to the transfer shaft 430 and the robot body 420 moves the transfer tray 440 to the transfer shaft 430 by moving the transfer shaft 430 itself. You can also move along. The robot body 420 may include a motor for moving the chain or the transfer shaft 430 described above.

이송 트레이(440)는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하며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구분된 음식물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다. 음식물은 이송 트레이(440)에서 열단위로 동일한 종류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물은 열에 따라 동일한 종류로 배열될 수 있으며, 1열은 밥, 2열은 반찬1, 3열은 반찬2, 4열은 반찬3과 같은 배열로 위치할 수 있다. The transfer tray 440 may move along the transfer shaft 430 to accommodate foods classified into predetermined sizes and shapes by type. The food and beverage may be arranged in the same type in units of rows in the transfer tray 440. For example, the food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kind according to the row, and the first row may be arranged in an array such as rice, the second row of side dishes, the third row of side dishes, and the fourth row of side dishes.

컨베이어(450)는 이송 트레이(440)로부터 이동한 음식물을 숟가락(410)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한다. 컨베이어(45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송 트레이(440)가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음식물이 컨베이어(45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veyor 450 transfers the food moved from the transfer tray 440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410. The conveyor 45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transfer tray 440 may move along the transfer shaft 430 to allow the preset food to be transferred to the conveyor 450.

이 경우 본 실시예는 이송 트레이(440)에 수용된 음식물을 컨베이어(450)에 전달하는 음식물 이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이송부는 로봇 본체(420)에 결합하고 일단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 트레이(440)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어서 컨베이어(450)에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ood transfer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transfer tray 440 to the conveyor 450. The food conveying unit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420 and has one end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the food conveying unit may push the food received in the conveying tray 440 to be transferred to the conveyor 450.

로봇 본체(420)는 상술한 구조를 이용하여 음식물 섭취자에게 종류별로 차례대로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 본체(420)는 이송 트레이(440), 컨베이어(450) 및 음식물 이송부를 제어하여, 첫 번째 종류의 음식물이 컨베이어(450)의 위치에 오도록 이송 트레이(440)를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시키고, 음식물 이송부를 이용하여 해당 음식물을 컨베이어(450)에 이송한 후 컨베이어(450)를 구동하여 해당 음식물을 숟가락(410)의 음식물 수용부에 전달한다. 이후 다른 종류의 음식물들도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적용하여 음식물 수용부에 전달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음식물 섭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robot body 420 may provide food to each food intake in order by us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example, the robot body 420 controls the transfer tray 440, the conveyor 450, and the food feeder to move the transfer tray 440 to the transfer shaft 440 so that the first kind of food is in the position of the conveyor 450. After moving along the 430, the foo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450 by using the food transporter, and then the conveyor 450 is driven to deliver the food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410. Thereafter, other kinds of foods may be applied to the food receiving unit by applying the same mechanism, there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foods to the food intake user in a predetermined order.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과 향후의 부가되는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술한 로봇의 각 보드간 통신용 프로토콜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은 0xff, 0xff의 두 바이트로 시작하고, 송수신 ID 주소, 명령어, 데이터 및 이들의 전송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섬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ensure various functions and added scalability in the future,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protocols for each board of the robot may be commonly used. That is, the p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arts with two bytes of 0xff and 0xff, and may be composed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ID address, an instruction, data, and a checksum for detecting a transmission error thereof.

예를 들면, 표 1은 입력장치에 수신되는 패킷이며, 표 2는 입력장치가 응답하는 패킷이다. 여기서 입력장치는 상술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able 1 is a packet received at the input device, and Table 2 is a packet to which the input device responds. Here, the input device may be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robot.

입력장치에 수신되는 패킷Packets received at input device 00 1One 22 33 44 55 66 77 Header0Header0 Header1Header1 idid 길이Length 명령어command 주소address 수신 바이트Received bytes check sumcheck sum 0xFF0xFF 0xFF0xFF 1010 33 22 00 22 eded

표 1에서와 같이 입력장치에 수신되는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packet received by the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checksum = buf[ 2 ] + buf[ 3 ] + buf[ 4 ] + buf[ 5 ] + buf[ 6 ];checksum = buf [2] + buf [3] + buf [4] + buf [5] + buf [6];

checksum = ( INT8U )( ~checksum & 0x00ff );checksum = (INT8U) (~ checksum &0x00ff);

입려장치에서 송신하는 패킷Packets sent by the depositor 00 1One 22 33 44 55 66 77 stxstx stxstx idid lenlen errorerror switch selswitch sel valuevalue check sumcheck sum 0xFF0xFF 0xFF0xFF 1010 44 00 xx xx xx

표 2에서와 같이 입력장치에서 송신하는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a packet transmitted from an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checksum = buf[ 2 ] + buf[ 3 ] + buf[ 4 ] + buf[ 5 ] + buf[ 6 ];checksum = buf [2] + buf [3] + buf [4] + buf [5] + buf [6];

checksum = ( INT8U )( ~checksum & 0x00ff );
checksum = (INT8U) (~ checksum &0x00ff);

이 경우, 메인보드에서 해당 입력장치에 요청시에만, 입력장치(버튼, 조이스틱, 센서 등)의 현재 값을 패킷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ly when the main board requests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the current value of the input device (button, joystick, sensor, etc.) may be output as a packet.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방식,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specific operation method for a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on platform technology such as embedded system, O / S, communication protocol, interface standardization technology such as I / O interface, actuator, battery, camera Details of parts standardization technology such as sensors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사 보조 로봇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상술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al assisting robot using the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i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steps described above.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ic recording media such as a floppy disk 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lin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embodied as one physically adjacent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as a different component. In the latter case, each component can be controlled to be located adjacent to or in a different zone.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separate control means or control room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to control each componen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You may.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식사 보조 로봇 110 : 트레이
120 : 배출 수단 121 : 하단 커버
122 : 커버 개폐부 130 : 전달 수단
131 : 미끄럼틀 132 : 컨베이어 벨트
140 : 로봇암 150 : 암 제어부
160 : 제어부 410 : 숟가락
420 : 로봇 본체 430 : 이송 축
440 : 이송 트레이 450 : 컨베이어
460 : 음식물
100: meal assistant robot 110: tray
120 discharge means 121 bottom cover
122: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0: transmission means
131: slide 132: conveyor belt
140: robot arm 150: arm control unit
160 control unit 410 spoon
420: robot body 430: feed axis
440 transfer tray 450 conveyor
460: food

Claims (6)

미리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자른 음식물을 음식물 종류별로 수용하며 상기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트레이;
상기 음식물을 상기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수단;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된 음식물을 소정의 위치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
일단에 숟가락의 손잡이가 결합하며,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로봇암; 및
상기 로봇암을 제어하여,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에 싣는 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 커버; 및
상기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하단 커버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커버 개폐부를 포함하는 식사 보조 로봇.
A plurality of trays configured to accommodate food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for each food type and having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the foods;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said food from said tray;
Delivery means for delivering the foo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andle of the spoon is coupled to one end, the robot arm for loading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And
And controlling an arm of the robot to load the food delivered by the delivery means on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The discharging means,
A lower cove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tray to open and close a lower end of the tray; And
And a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ntrolled by a use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ower cover to discharge the fo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일단이 상기 배출 수단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받도록 상기 배출 수단의 일단에 위치하는 미끄럼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 보조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aid delivery means is a sliding shape positioned at one end of said discharging means to receive food discharged by said discharging mea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미끄럼틀 형상이 배출하는 음식물을 싣고, 상기 로봇암에 결합한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3,
The delivery means is a meal aid robot further comprises a conveyor belt for loading the food discharged from the slide shape, and conveyed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coupled to the robot a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이 올려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를 음식물 섭취자의 입 위치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 보조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ncer control unit meal aid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spoon on which the food is placed in the pre-store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position of the food int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축;
상기 이송 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음식물이 종류별로 수용된 이송 트레이;
상기 이송 트레이로부터 이동한 음식물을 상기 숟가락의 음식물 수용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 트레이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기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음식물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식사 보조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eed shaft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transport tray moving along the transport axis and accommodating the foods according to types;
A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ood moved from the transfer tray to the food container of the spoon; And
Meal assistance robot further comprising a foo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transfer tray to the conveyor.
KR1020120043069A 2012-04-25 2012-04-25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KR101380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069A KR101380598B1 (en) 2012-04-25 2012-04-25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069A KR101380598B1 (en) 2012-04-25 2012-04-25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83A KR20130120083A (en) 2013-11-04
KR101380598B1 true KR101380598B1 (en) 2014-04-10

Family

ID=4985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069A KR101380598B1 (en) 2012-04-25 2012-04-25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5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696A (en) * 2006-11-20 2008-06-05 Yamaguchi Univ Meal support system
EP1935788A1 (en) * 2006-12-21 2008-06-25 Francisco Monente Plösser Means for transferring foodstuffs in machines
US20090104004A1 (en) 2005-05-27 2009-04-23 Eugenio Guglielmelli Self-feeding apparatus
KR20110112690A (en) * 2010-04-07 2011-10-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Eating assistant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4004A1 (en) 2005-05-27 2009-04-23 Eugenio Guglielmelli Self-feeding apparatus
JP2008125696A (en) * 2006-11-20 2008-06-05 Yamaguchi Univ Meal support system
EP1935788A1 (en) * 2006-12-21 2008-06-25 Francisco Monente Plösser Means for transferring foodstuffs in machines
KR20110112690A (en) * 2010-04-07 2011-10-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Eating assistant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83A (en)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433B2 (en) 3D-printer system with object detection sensors
US20130247829A1 (en) Pet Feeding Robot . Automatic Pet Wet Food Dispenser Robot
WO2006036645A3 (en) Food preparation system
WO2004028360A3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entrally located pre-processed medical image data to remote terminals
KR101380596B1 (en)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amera
US20180240357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s for handling remote control of a cooking appliance to provide a customized diet
KR101380598B1 (en) Meal assistance robot using a conveyor
JP2004268159A (en) Catering-uncatering support robot system of dish, catering-uncatering support method, catering-uncatering suppor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is catering-uncatering support program
WO2018011099A1 (en) Scale platform
CN105046597A (en) Internet-based intelligent restaurant system
EP1306782A4 (en) Extramural coo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2523665B1 (en) A transport and medical assistant robot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or quarantine patients
CN108861636B (en) Food material shar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KR20210066805A (en) cooking system
JP2009149448A (en) Loading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 and method for carrying article
KR101333208B1 (en) Meal assistance robot for noodles
CN111627155A (en) Food storage and taking equipment and food storage and taking method
US20230051618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447523A (en) Intelligence is served the meals precious system and its pantry, pick-up method
JP20200590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1573108B (en) Intelligent medicine dispensing and sorting method
CN114822769A (en) Intelligent meal distribution and delivery system
CN111553641B (en) Automatic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 baske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WI389676B (en) Feed the machine arm system
JP5403523B2 (en) Robo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