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75B1 -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 Google Patents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75B1
KR101380475B1 KR1020120045485A KR20120045485A KR101380475B1 KR 101380475 B1 KR101380475 B1 KR 101380475B1 KR 1020120045485 A KR1020120045485 A KR 1020120045485A KR 20120045485 A KR20120045485 A KR 20120045485A KR 101380475 B1 KR101380475 B1 KR 10138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rame
roller
loading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2287A (en
Inventor
손무근
Original Assignee
손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무근 filed Critical 손무근
Priority to KR102012004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475B1/en
Publication of KR201301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2Loading equipment for travellin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에 롤러(120)가 구성되며 하부 양측으로 지지대(110)가 구성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10) 사이에 실린더(2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프레임(100)의 롤러(120)와 롤러(120) 사이를 상, 하로 유동하는 유동부재(220)로 구성되는 승강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1)가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01)를 관통하는 관통홈(303)과, 상기 관통홈(303)에 끼움 구성되는 샤프트(311)와, 상기 샤프트(311) 상에서 회동되게 돌출 구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2)으로 구성되는 작동부(310)를 포함하는 목재적재부(300)와, 상기 프레임(100)과 승강부(200) 및 목재적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어 자동화된 구조를 가지며 인입되는 목재(p)가 목재적재부(300)에 용이하게 위치 할 수 있으며 목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유동 가능한 걸림턱(312)이 구비되어 견고하게 적재 가능하여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량의 목재를 적재한 후 자동적으로 상기 걸림턱(312)이 회전되며 배출되는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pallet load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locking jaw,
More specifically, the cylinder 120 is configured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support 110 of the frame 100, the roller 12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110 is configured on both lower sides thereof. Driven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210, the lifting unit 200 consisting of a flow member 220 for flowing up and down between the roller 120 and the roller 120 of the frame 100, and the frame 10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301 protruding upward, the through groove 303 penetrating the protrusion 301, the shaft 311 is configured to fit in the through groove 303, Wood loading part 300 including an operating part 3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312) configured to protrude to rotate on the shaft 311, the frame 100 and elevating unit 200 and wood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loading unit 300 has an automated structure and the incoming wood (p) to the wood loading unit 300 It can be easily located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312) that can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wood can be firmly loaded to ensure convenience and safety, and after loading a large amount of wood automatically the locking jaw (31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pallet stacking device equipped with a movable locking jaw that is rotated and discharged).

Description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본 발명은 목재 파레트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동화된 구조를 가지며 인입되는 목재가 적재되는 곳에 용이하게 위치 할 수 있고, 목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되어 견고하게 적재 가능하여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량의 목재를 적재한 후 자동적으로 상기 걸림턱이 회전되며 배출되는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pallet loa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has an automated structure and can be easily located where the incoming wood is loaded,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that is movab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w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pallet stacking device equipped with a flowable locking jaw that is capable of ensuring convenience and safety and automatically loading and discharging the locking jaw after loading a large amount of wood.

통상적으로 가구재 등을 생산 및 제조하기 위해서는 목재 제재소에서 원목을 사용용도에 따라 적정 길이로 재단처리 한 후에 목공소로 보내어 목공소에서는 1차 가공된 목재를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만들거나 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가공하는 것이다.Generally, in order to produce and manufacture furniture materials, wood is lumbered to a suitable lengt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then sent to a woodworking shop. To process.

하지만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되 원목을 재단처리한 후에 많은 량의 목재들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하나씩 운반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노동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제재소 및 목재소에서는 목재를 다량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목재적재장치를 사용하여 시간 및 노동력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However, in order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timber after cutting the logs, it is time-consuming to transport them one by one and labor-intensive. Therefore, most sawmills and timber mills load a large amount of wood. The use of wood loading devices that can be transported by the company can save time and labor.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833159(특)규격화되는 목재류를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목재 적재장치에 있어서, 목재를 정렬하여 진입시키되 상기 목재를 적정길이로 절단처리하기 위한 절단부가 양단측에 각각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부와 상기 이송가이드부 후단측으로 고정되는 프레임의 전면측에 상기 가이딩되어 정렬된 목재를 상하 승강시키도록 구비되는 상하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상기 상하이송부에 의해 승강되는 목재 양단부측을 거치하기 위한 목재거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규격등을 달리하는 이종의 목재류를 동시에 적재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목재적재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갖도록 하는 목재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First of all, prior arts look at the registration number 10-0833159 (special) in the wood stacking device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the standardized timber, the wood is aligned by entering the cutting portion for cutting the wood to the appropriate length on both sides Each of the transport guide part provided on the front and the front side of the fram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port guide part is provided with a shanghai send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raise and lower the guided and aligned timber and the wood is lifted by the shanghai sending unit to both sides of the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woo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 both ends side, by providing a wood load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loaded at the same time different kinds of wood, different standards, wood loading to have the efficiency and speed of work Relates to a device.

등록번호 20-0343101(실)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상판의 승, 하강 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목재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상판과 하판이 프레임에 의해 병렬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판과 하판 내측에 제1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한 절첩바가 구비되고, 상기 절첩바 일단은 상판과 하판 일측에 구비된 고정힌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절첩바의 타단에는 양측에 롤러가 구비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방향에는 절첩바의 내측 중앙부에 제2힌지로 결합된 실린더가 구비되어진 것이다.A registration number 20-0343101 (sil)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n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a plurality of devices including the drive mean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ixedly installed in parallel by a frame, and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folding bar that can be folded by a first hinge insid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one end of the folding bar is provided by a fixed hing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t is fixed, and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bar is provided with a housing provided with rollers on both sides,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cylinder coupled to the second hinge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folding bar.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작업의 효율성만을 부여하고 있는 기술이다. 이는 목재를 적재 하되 신속하게 적재하는 것으로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산업이용가능성이 어려운 장치이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are techniques that only give efficiency of work. This is to load the wood, but to load quickly as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is very complicated, industrial availability is difficult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e cost of configuring the device.

또한, 장치의 구성에 있어 특성상 치합되어 회전되는 래크와 기어를 사용하여 일부분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래크 및 기어가 마모가 될 경우에는 장치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not operate properly as the device when the rack and gear is worn by using a portion of the rack and gear that is engaged and rotated in nature.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지면을 파고 설치되는 목재적재장치에 비하여 지면을 파지 않고 설치가능토록 구성되어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최대한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순한 편리성만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Looking at other forms of technology, it is generally designed to be installed without digging the ground compared to the wood loading device that is dug up the ground, and it is a technology that gives only simple convenience that is configured to descen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ground.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목재를 적재하되 위쪽으로 하나씩 적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자칫 많은 량의 목재를 적재 할 경우 무너질 수 있어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generally loaded with a well-known wood but can be stacked one by one upwards, so that when a large amount of wood is loaded, it may collapse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된 구조를 갖되 간단한 구조로서 자동적으로 목재가 인입되되 목재를 적재 되는 곳에 용이하게 위치 할 수 있도록 하고, 목재를 적재 시 하향식 적층방법으로 다단으로 적재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며 다량의 목재가 적재가 되면 용의하게 배출 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it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chnology, but as a simple structure, the wood is automatically introduced, but the wood is easily placed where it is loaded, and when the wood is stacked, it is loaded in multiple stages by a top-down lamination method, thus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f a large amount of wood is loaded, a device that can be discharged with ease will need to be develop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가 인입되며 적재하는 곳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인입되는 목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걸림턱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적재 시 하향식 적층방법으로 아래쪽에서 하나씩 추가적으로 적재하는 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place where the wood is introduced and loaded, an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to be selectively fix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wood to be introduced and when stacked in a top-down lamination method The technical task is completed with the main focus on providing products that can secure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work by providing the device having the structure of additional loading one by one from the bottom.

이에 본 발명에는 상측에 롤러(120)가 구성되며 하부 양측으로 지지대(110)가 구성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10) 사이에 실린더(2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프레임(100)의 롤러(120)와 롤러(120) 사이를 상, 하로 유동하는 유동부재(220)로 구성되는 승강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1)가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01)를 관통하는 관통홈(303)과, 상기 관통홈(303)에 끼움 구성되는 샤프트(311)와, 상기 샤프트(311) 상에서 회동되게 돌출 구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2)으로 구성되는 작동부(310)를 포함하는 목재적재부(300)와, 기 프레임(100)과 승강부(200) 및 목재적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12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ylinder 100 is configured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support 110 of the frame 100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10. Driven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210, the lifting unit 200 consisting of a flow member 220 for flowing up and down between the roller 120 and the roller 120 of the frame 100, and the frame 10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301 protruding upward, the through groove 303 penetrating the protrusion 301, the shaft 311 is configured to fit in the through groove 303, Wood loading part 300, including the operation part 3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312 configured to protrude to rotate on the shaft 311, the base frame 100 and the lifting unit 200 and wood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loading unit (300).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목재적재부(300) 사이에는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되는 목재(p)의 크기에 따라 유동 가능토록 이송대(130)가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301) 사이에서 내부로 유동되게 구성되되 인입되는 상기 목재(p)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밀착부재(307)가 구성되는 것이다.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wood loading part 300, the conveyance table 130 is configured to flow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between the protrusions 301 The contact member 307 is configured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wood (p) that is configured to flow in from the inside.

여기서, 상기 작동부(310)의 샤프트(311)와 걸림턱(312)을 일체화 하여 상기 샤프트(311)의 회전을 제어함으로 상기 걸림턱(312)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여 편리성을 부여하고, 상기 돌출부(301)의 외측면을 연결한 고정바(305)가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310)의 샤프트(311)는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된 목재(p)의 형상에 따라 상기 관통홈(303) 상에서 좌, 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haft 311 and the locking jaw 312 of the operation unit 310 are integrat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haft 31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312 can be selected to provide convenience. And, the fixing bar 305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1 is configured and the shaft 311 of the operating portion 310 i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wood (p) introduced by the roller 12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low left and right on the through groove 303.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되는 목재(p)가 상기 승강부(200)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140)가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140)는 상기 목재적재부(300)에 적재가 완료된 목재(p)를 인입된 타 측 방향으로 배출 시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rame 100 is a sensor 140 is configured so that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is located on the lifting unit 200, the detection sensor 140 ) Is configured to be movable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discharging the wood (p) is completed in the other loading direction is completed in the wood loading portion 300.

본 발명에 따른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인 작동이 자동화 구조로 되어 편리성이 부여되고, 인입되는 목재가 흐트러짐 없이 승강부 상에 용이하게 위치되어 하향식 적층방법을 적용하여 아래쪽으로 지속적으로 적재하게 됨으로써 적재 시 무너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무엇보다 인입되는 목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턱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크기 및 형상의 제약이 전혀 없으며 견고하게 목재를 걸림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According to the wooden pallet stacking device equipped with a movable locking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operation is made of an automated structure, and convenience is given, and the incoming wood is easily positioned on the lifting unit without disturbing by applying a top-down lamination method. As it is continuously loaded downwards, i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fall during loading, thus securing safety, and above all,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can be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coming wood. There are no restrictions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firmly hang wo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view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을 도 1 내지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본 발명은 제재소 및 목공소에서 가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목재를 재단 및 1차가공하여 이를 대량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목재를 적재 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목재적재장치는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하나씩 적층하는 식으로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loading timber for cutting and primary processing and transporting a large amount of wood required for making furniture at the sawmill and woodworking shop. It is common.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구조형태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목재적재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기능상 우수한 효과와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functions by dividing in more detail in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form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wood loading device as it is to ensure a superior effect, convenience and safety in functionality In detail,

본 발명의 유동 가능한 걸림턱에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는 프레임(100), 승강부(200), 목재적재부(300), 제어부(400)로 대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Wood pallet loading device provided in the movable lock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frame 100, the lifting unit 200, the wood loading part 300, the control unit 400.

①프레임(100)Frame 100

상기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가장 기초적은 부분으로서 도 1 내지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측에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목재(p)를 인입 시키는 다수개의 롤러(120)가 구성되되 벨트(121)에 의해 연결 되어 통상의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며 하부 양측으로는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110)가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과 하기될 목재적재부(300) 사이에는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되는 목재(p)의 크기에 따라 유동 가능토록 이송대(130)가 구성되는 것이다. The frame 100 is the most bas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2 a plurality of rollers 120 for introducing a wood (p) having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on the upper side is composed of a belt 121 Is connected by a)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 conventional motor (m) and the support base 110 is configured to be firmly supported from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the frame 100 and the wood loading portion to be Between the 300 is a carriage 1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low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상기 이송대(13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목재적재부(300)가 상기 이송대(130)에 안착 구성되어 인입된 목재(p)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유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conveyance table 130 is configured, the wood loading part 300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conveyance table 130 so as to be able to flow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coming wood p.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되는 목재(p)가 하기될 승강부(200) 상에 용이하게 위치 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140)가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목재적재부(300)에 적재 되는 목재(p)가 적재되되 오차범위를 최소화 하여 다량의 목재가 적재 되었을 경우 무너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frame 100, the sensor 140 is configured so that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can be easily located on the lifting unit 200 to be below the lifting unit The wood (p) to be loaded on the wood loading part 300 by 200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error range, thereby preventing it from collapsing when a large amount of wood is loaded, thereby increasing safety.

상기 감지센서(140)는 하기될 목재적재부(300)에 다량의 목재(p)가 적재 되면 인입된 반대 방향으로 배출 하게 되는데 배출 시 목재(p)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일 측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The sensor 140 is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a large amount of wood (p) is loaded in the wood loading portion 300 to be described below, the frame (100) to easily discharge the wood (p) during discharg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flow in one direction of).

②승강부(200)② Lifting unit (200)

상기 승강부(200)는 도 2, 3,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10) 사이에 실린더(210)가 구성되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유동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측면이 ‘’형상을 하고, 양측에 돌출되는 안착대(221)가 구성되는 유동부재(220)가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롤러(120)와 롤러(120) 사이를 상, 하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e lifting unit 2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3, 8, the cylinder 210 between the support 110 of the frame 100 is configured to be flowable by hydraulic or pneumatic, the cylinder It is connected to the 210 and driven, but the side has a `` shape, and the flow member 220 is composed of a seating table 221 protruding on both sides is composed of the roller 120 and the roller 120 of the frame 100 It is configured to flow up and down between).

즉, 회전되는 상기 롤러(120)를 타며 인입된 목재(p)가 상기 돌출된 안착대(221)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220)가 상기 실린더(210)에 의해 상기 롤러(120)와 롤러(120)를 유동함과 동시에 상기 목재(p)가 상기 안착대(221)의 상측 면으로 안착되며 상기 목재(p)를 상, 하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coming wood (p) rides on the rotating roller (120) is located on the protruding seat 221, the flow member 220 is the roller (120) by the cylinder (210) And the flow of the roller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wood (p)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21 is to lift the wood (p) up and down.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동부재(220)를 ‘’형상으로 구성하지 않고, 평면으로 구성 할 경우에는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구성되는 롤러(120)를 구성하지 않고,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부재(220)가 상, 하로 유동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flow member 220 is not configured in a `` shape, but in a plane, the flow is formed by forming a hollow part without forming a roller 120 configured as an upper side of the frame 100. The member 220 may be configured to flow up and down.

또한,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실린더(210)에 의해 상, 하로 유동토록 구성되었지만 체인 또는 벨트를 구성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구동방법을 접목시켜 가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ift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flow up and down by the cylinder 210, but can be driven by configuring a chain or belt, it is possible to change by combining a conventional driving method.

③목재적재부(300)③ Wood Loading Department (300)

상기 목재적재부(30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 구성요소로서 상기 롤러(120)를 타며 인입되어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승강된 목재(p)를 적재하는 것이다.
The wood loading part 300 is loaded with the roller 120 as the most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oads the wood p elevated by the lifting part 200.

우선 도 9, 10, 11,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구성되는 이송대(130)의 상측으로 안착 구성되되 상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되는 돌출부(301)가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01)를 관통하는 관통홈(303)과, 상기 관통홈(303)에 끼움 구성되는 샤프트(311)와, 상기 샤프트(311) 상에서 회동되게 돌출 구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2)으로 구성되는 작동부(310)가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9, 10, 11, 12 will be configured to be se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table 1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as a whole,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01 is configured to the upper side It consists of a through groove 303 penetrating the protrusion 301, a shaft 311 is fitted into the through groove 303, and a plurality of engaging jaw 312 is formed to be rotated on the shaft 311. The operating unit 310 is configured.

상기 목재적재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20)를 타고 인입되어 승강부(200)에 의해 승강되는 목재(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이송대(130)의 상측에서 유동토록 구성되어 그로 인해 상기 걸림턱(312)에 용이하게 목재(p)를 걸림 시켜 적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ood loading part 300 flows i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able 130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wood p being lifted and lifted by the lifting part 200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loaded by easily locking the wood (p) to the locking jaw (312) thereby.

상기 작동부(310)의 샤프트(3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된 목재(p)의 형상에 따라 상기 관통홈(303) 상에서 좌, 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목재(p)의 형상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The shaft 311 of the operating part 3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low left and right on the through groove 303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as shown in FIG.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respond immediately to the shape of the wood (p).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1) 사이에서 내부로 유동되게 구성되되 롤러(120)를 타며 인입되는 목재(p)가 감지센서(140)에 의해 정지 된 후 승강부(200) 상에 위치되어 있을 때 흐트러지지 않고 걸림턱(312)에 걸림 되어 정교하게 안착되어 적재 가능토록 밀착부재(307)가 구성되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ure 12 is configured to flow in between the protrusions 301, but the lifting member 200 after the wood (p) is drawn in the roller 120 is stopped by the sensor 140 When positioned on the top is not disturbed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312 is precisely seated is the close contact member 307 is configured to be stacked.

상기 밀착부재(307)의 구성에 따라 롤러(120)에 의해 인입되되 위치가 흐트러진 목재(p)를 안착하기 전에 정렬 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목재(p)가 적재 되었을 때 넘어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정교하게 적재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member 307 is introduced by the roller 120, but can be aligned before seating the displaced wood (p) so that when a plurality of wood (p) is stacked finely without falling down or collapse It will be able to loa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로 상기 밀착부재(307)가 돌출부(301) 사이에 하나가 구성되는 것을 도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성하여 사용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mainly the one contact member 307 is configur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301, it can be used to configure a plurality as needed.

상기 걸림턱(312)은 상기 샤프트(311)의 외주를 감싸며 일체로 구성되어 샤프트(311)의 유동에 따라 동시에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턱(312)이 돌출되는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일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11)가 회전됨과 동시에 걸림턱(312)이 회전하게 되며 돌출되는 방향이 하측 또는 상측으로 되는 것이다.The latching jaw 3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311 to be simultaneously flow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haft 311.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ing jaw 312 protrudes is left or right, as shown in FIG. 9, as the shaft 311 is rotated, the locking jaw 312 rotates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is lower. Or to the upper side.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11)가 관통홈(303)상에서 좌, 우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322) 또한 동시에 좌, 우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as the shaft 311 flows left and right on the through groove 303, the locking jaw 322 also flows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상기 작동부(310)를 종합해보면 승강부(200)에 의해 승강되는 목재(p)에 걸림 되어 걸림턱(312)이 유동됨과 동시에 샤프트(311)가 회전되고, 목재(p)를 걸림 시킬 수 있는 목재(p)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공간부 상에 위치되어 목재(p)를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311)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312)이 회전되되 고정 될 수 있도록 돌출부(301)의 일 측에 고정바(305)가 구성되는 것이다.When the operation unit 310 is combined, the locking jaw 312 is flowed by the lifting unit 200 by being lifted by the lifting unit 200 and the shaft 311 is rotated at the same time, thereby locking the wood p. It is located on the spac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ood (p) that is to be loaded with the wood (p). Here, the fixing bar 305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301 so that the locking jaw 312 is rotated and fix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311.

상기 고정바(305)의 구성에 따라 목재(p)의 승강에 의해 자연스레 회전되는 걸림턱(312)이 재차 상기 목재(p)를 걸림 시키되 고정바(305)에 의해 직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bar 305, the locking jaw 312, which is naturally rotated by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od p, locks the wood p again, but is fixed at right angles by the fixing bar 305.

본 발명에서 목재(p)는 양측 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상이 걸림턱(312)이 걸림 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통상적으로 적재되는 목재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걸림턱(312)이 목재의 하단부에 걸림 되어 적재가능 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p) has shown that the space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ok portion is caught by the jaw 312, but when using a conventionally loaded wood, the hook jaw 312 is a lower end of the wood It is designed to be hooked and stacked.

또한, 상기 걸림턱(312)에 다량의 목재가 적재 완료되었을 때 운반을 하기 위해서 배출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승강되는 목재(p)로 인해 회전되는 걸림턱(312)을 완전히 회전 가능토록 하기될 제어부(400)에 구성되는 버튼을 조작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312)을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wood is loaded on the locking jaw 312 is discharged for transporting,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312 is rotated due to the wood (p) is elevated by the lifting unit 200 By operating the button is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400 to be completely rotatable is to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rotate the locking step 312.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311)의 걸림턱(312)은 주로 승강되는 목재(p)에 의해 자연스레 회전되는 것을 주로 도시 하였지만 사용에 따라 센서를 구성하여 감지 거리를 설정한 후, 승강 되는 목재(p)가 센서에 설정된 감지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회동 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고, 기계적인 통상의 구성을 통하여 목재가 승강되는 거리만큼 동시에 회동하게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locking jaw 312 of the shaft 311 is mainly shown to be naturally rotated by the elevated wood (p), but mainly by configur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use to set the detection distance, When the wood (p) reaches the sensing distance set in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rotated,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as the distance the wood is elevated through the mechanical conventional configuration.

④제어부(400)(4)

상기 제어부(400)는 프레임(100)과 승강부(200) 및 목재적재부(3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써 프레임(100)의 외부 일 측에 구성되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400 is configur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ame 100 by controlling the frame 100, the lifting unit 200 and the wood loading unit 300 as a whol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m)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롤러(120)에 의해 인입된 목재(p)를 승강부(200) 상에 위치 될 수 있도록 감지센서(14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40)를 제어함과 동시에 밀착부재(307)를 제어하여 목재(p)의 위치를 정렬시켜주고, 승강부(200)를 제어하여 목재(p)를 적재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승강부(200)가 목재(p)를 적재 후 재위치가 될 때 까지 상기 롤러(120)의 작동을 잠시 멈추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In more detail, by continuously driving the motor (m) to rotate the roller 120, the wood (p) drawn by the roller 120 can be located on the lifting unit 200. To control the sensor 140 so that. Here, while controlling the sensor 140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the close contact member 307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wood (p), and control the lifting unit 200 to load the wood (p), The lifting unit 200 is to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oller 120 for a while until it is repositioned after loading the wood (p).

이렇게 적층된 목재(p)를 배출 시 작업자가 내부에 구성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턱(312)을 일 측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토록 제어하게 되어 배출 시 걸림 없이 배출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When the worker presses a button configured therein when discharging the stacked wood (p), the locking jaw 312 is controlled to rotate complete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ing without discharging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따른 사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according to the wooden pallet loa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movable lock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통상적으로 가구재 등을 생산 및 제조하기 위해서는 목재 제재소에서 원목을 사용용도에 따라 적정 길이로 재단처리 한 후에 목공소로 보내어 목공소에서는 1차 가공된 목재를 이용하되 재단 및 1차가공이 완료된 목재(p)들을 대량으로 이송 시에는 목재적재장치를 사용하여 적재한 후에 운반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produce and manufacture furniture materials, wood is lumber milled to an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then sent to a woodworking shop. When they are transported in bulk, they are transported after being loaded using a wood loading device.

여기서, 본 발명의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에 최초 적재하려는 목재(p)를 인입 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롤러(120)를 타며 인입이 된다.Here, when the wood (p) to be initially loaded into the wood pallet loa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movable lock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120 is automatically drawn as shown in FIG. 4.

인입된 목재(p)를 감지센서(140)가 감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120)의 구동을 멈추게 하며 상기 목재(p)는 승강부(200)의 상부로 동일선상을 유지하며 밀착부재(307)가 일 측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어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고, 이때 안착대(221)가 이격이 되며 목재(p)가 자연스레 유동부재(220) 상에 안착되며 상부로 이격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p)에 의해 걸림턱(312)이 자연스레 밀리며 회전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detection sensor 140 detects the incoming wood (p)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roller 120, the wood (p) is kept in the same lin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unit 200 and the close contact member 307 ) Is pushed in one direction to be accurately positioned, and the seating table 221 is spaced apart and the wood (p) is naturally seated on the flow member 220 and spaced upward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jaw 312 is naturally pushed and rotated by the wood p.

여기서, 일정높이 목재(p)가 이격이 되면 상기 목재(p)의 공간부 상에 걸림턱(312)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걸림턱(312)은 고정바(305)에 고정되어 직각이 되며 상기 걸림턱(312)이 직각이 된 후에는 상기 실린더(210)는 자동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목재(p)가 상기 걸림턱(312)에 정교하게 안착되는 것이다.Here, when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wood (p) is spaced apart, the locking jaw 312 is located on the space portion of the wood (p) and the locking jaw 312 is fixed to the fixing bar 305 is perpendicular to the After the locking jaw 312 becomes a right angle, the cylinder 210 is automatically lowered and wood p is precisely seated on the locking jaw 312.

상기한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목재(p)를 적재하되 하향식 적층 방법으로 밑에서부터 하나씩 올려서 적재를 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최초 인입시켜 적재한 목재(p)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하나씩 적재하여 무너지는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wood (p) is continuously load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but is loaded one by one from the bottom with the top-down lamination method. By stacking them one by one, you will be able to prevent accidents from falling down.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목재(p)를 적재 한 후 운반을 하기 위해 배출을 할 때에는 제어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실린더(210)가 상측으로 일정간격 승강시킨 후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턱(312)이 고정바(305)에 걸림 시킨 다음 재차 실린더(210)를 하측으로 하강 시키면 롤러(120)에 안착되며 상기 롤러(120)가 재차 회전하여 목재(p)를 배출 시키되 이때, 감지센서(140)는 회전되어 배출시 걸림 되지 않게 되어 최초 인입된 타측 방향으로 목재(p)가 자연스레 배출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when loading a large amount of wood (p) after the discharge to transport the operator to operate the control unit 400, the cylinder 210 is elevated upward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fter the operator button When pressing the locking jaw 312 is fixed to the fixing bar 305 and then lowering the cylinder 210 again to the lower side is seated on the roller 120 and the roller 120 is rotated again to the wood (p) In this case, the sensor 140 is rotated so as not to be caught during discharge, the wood (p) is naturally discharged in the other direction introduced first.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입되는 목재(p)를 승강부(200) 상에 용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향식 적층방법으로 아래쪽으로 지속적으로 적재하게 됨으로써 적재 시 무너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인입되는 목재(p)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턱(312)을 가변시킬 수 있어 크기 및 형상의 제약이 전혀 없는 작업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As described above, the incoming wood (p) is structured to be easy on the lifting unit 200 and is continuously loaded downward by a top-down lamination method,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that collapses during loading. First of all, the locking jaw 312 can be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coming wood (p), so tha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safety without any limitation of size and shape.

100 : 프레임 110 : 지지대 120 : 롤러 121 : 벨트
130 : 이송대 140 : 감지센서
200 : 승강부 210 : 실린더 220 : 유동부재 221 : 안착대
300 : 목재적재부
301 : 돌출부 303 : 관통홈 305 : 고정바 307 : 밀착부재
310 : 작동부 311 :샤프트 312 : 걸림턱
400 : 제어부
m : 모터
100: frame 110: support 120: roller 121: belt
130: transfer tray 140: detection sensor
200: lifting portion 210: cylinder 220: flow member 221: seating table
300: wood loading department
301: protrusion 303: through groove 305: fixed bar 307: contact member
310: operating unit 311: shaft 312: locking jaw
400:
m: motor

Claims (8)

상측에 롤러(120)가 구성되며 하부 양측으로 지지대(110)가 구성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10) 사이에 실린더(2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프레임(100)의 롤러(120)와 롤러(120) 사이를 상, 하로 유동하는 유동부재(220)로 구성되는 승강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1)가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01)를 관통하는 관통홈(303)과, 상기 관통홈(303)에 끼움 구성되는 샤프트(311)와, 상기 샤프트(311) 상에서 회동되게 돌출 구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2)으로 구성되는 작동부(310)를 포함하는 목재적재부(300);
상기 프레임(100)과 승강부(200) 및 목재적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돌출부(301) 사이에서 내부로 유동되게 구성되어 인입되는 목재(p)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밀착부재(30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







Frame 100 is configured to the roller 120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110 is configured on both lower sides;
The cylinder 210 is configur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110 of the fram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210 to be driven, but is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roller 120 and the roller 120 of the frame 100. Lifting unit 200 consisting of a flow member 220 to flow;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bu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301 protruding upward, the through groove 303 penetrating the protrusion 301, and a shaft configured to fit in the through groove 303 ( 311 and a wood loading part 300 including an operation part 3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312 configured to protrude to be rotated on the shaft 311;
Consists of the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frame 100 and the lifting unit 200 and the wood loading unit 300,
The wooden pallet stacking device equipped with a movable lock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member 307 is configured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incoming wood (p) is configured to flow in between the protrusions (30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45485A 2012-04-30 2012-04-30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KR101380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85A KR101380475B1 (en) 2012-04-30 2012-04-30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85A KR101380475B1 (en) 2012-04-30 2012-04-30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87A KR20130122287A (en) 2013-11-07
KR101380475B1 true KR101380475B1 (en) 2014-04-01

Family

ID=4985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485A KR101380475B1 (en) 2012-04-30 2012-04-30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4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68A (en) 2015-02-25 2016-09-02 남궁민우 Timber load lif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020B1 (en) * 2018-01-03 2019-10-01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Hard-metal insert transport pallet separator
KR102037151B1 (en) * 2018-06-18 2019-10-29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Hard-metal insert transport pallet sepa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01Y1 (en) * 2000-08-08 2001-01-15 안기세 An iron pallet loading device
JP2003246450A (en) * 2002-02-26 2003-09-02 Kubota Corp Seedling culture box sta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01Y1 (en) * 2000-08-08 2001-01-15 안기세 An iron pallet loading device
JP2003246450A (en) * 2002-02-26 2003-09-02 Kubota Corp Seedling culture box stack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68A (en) 2015-02-25 2016-09-02 남궁민우 Timber load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287A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75B1 (en) Wood pallets can flow loading device equipped with locking bar
KR101928277B1 (en) Plywood transfer machine
KR101383485B1 (en) Auto bending device for packing box
KR101707202B1 (en) Automatic Transfer Vehicle
KR101382195B1 (en) Material storge apparatus
US20090082903A1 (en) Automated stacking system for wood products
KR101496280B1 (en) Auto-pallet arrange apparatus and pattet arrange method thereof
KR20100062180A (en) Destacker for tire shipment work
KR101079710B1 (en) Automatic wood cutting apparatus
KR101812519B1 (en) Elevator for Egg Stacking
KR101514874B1 (en) Wood loading device
JP6499742B1 (en) Article sorting device
KR101458552B1 (e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loading panel and method thereof
KR102224498B1 (en) the stack system for workpiece
JP2007084272A (en) Stacking device
KR101932388B1 (en) Operation method for wood conveyor system
JPH0581138U (en) Turntable
DE20004435U1 (en) Device for stacking and unstacking containers in layers
KR100775399B1 (en) Paper Sorting System
CN105540239B (en) Plastic sucking disc blanking device
KR102240360B1 (en) Pallet for transporting glass
CN216888990U (en) Steering transmission mechanism and equipment
JP6181285B2 (en) Loading system
KR20130043352A (en) Carrier for unfinished material
CN220563433U (en) Automatic change foundation structure of installation finished product worksh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