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655B1 -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655B1
KR101378655B1 KR1020120083297A KR20120083297A KR101378655B1 KR 101378655 B1 KR101378655 B1 KR 101378655B1 KR 1020120083297 A KR1020120083297 A KR 1020120083297A KR 20120083297 A KR20120083297 A KR 20120083297A KR 101378655 B1 KR101378655 B1 KR 10137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access
browser
wireless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64A (ko
Inventor
박재규
김주일
박인순
조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8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6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인증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COMMUNICATION RE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통신망에 구비된 인증 서버 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통신사들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고객들이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에는 기지국을 통한 3G(3-Generation)망, AP(Access Point)를 통한 WI-FI(Wireless Fidelity)망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속도도 빠르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와이파이 망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와이파이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와 AP 까지는 무선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AP로부터 다른 통신망(예를 들어 인터넷망)까지는 일반적으로 유선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속도도 빠르고 주파수 할당 문제도 적으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무선 데이터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현재 각 이동통신사들은 와이파이망을 전국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고, 이러한 와이파이 이용의 장점을 내세워 광고도 하고 있다.
그런데 와이파이 망 역시 통신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 속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각 이동통신사들은 해당 통신사에 가입한 고객에 대해서만 와이파이 망을 개방하고 있고, 이를 위해 와이파이 이용 고객에 대해서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즉, 각 통신 단말기 이용 고객들은 와이파이망을 이용하기 위해서, 즉 AP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미리 아이피 또는/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인증 과정(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각 통신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과정은 각 AP가 자신에게 접속하는 각 고객들로 하여금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소정의 인증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리다이렉션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AP들은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모든 종류의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해서 인증 서버로 리다이렉션 되도록 함으로써 서버 부담이 과중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증 처리를 위한 리다이렉션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인증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가 설정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인증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브라우저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상기 저장부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인증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중계 장치가 직접 무선 통신 단말기의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인증 처리를 시도할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 통신 중계 장치와 인증 서버 간의 과도한 통신 트래픽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인증 서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망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에는 단말기에 기 구비된 웹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는 각종 앱(APP: Application)도 포함되는데, 이러한 앱들에 의한 접속을 무선 통신 중계 장치에서 걸러냄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장부에 설정 저장된 데이터의 일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무선 통신 단말기(200),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 인증 서버(300), 웹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무선으로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는 웹 브라우저와 각종 앱(APP:Application)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로 하여금 웹 서버(400)가 제공하는 각종 웹 페이지를 찾아 인터넷을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검색된 웹 페이지를 파싱/렌더링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그리고 '앱'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해 웹 브라우저와는 독립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또는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공공기관 또는 여러 업체들이 유료 또는 무료 앱을 앱스토어 등록하면 사용자들은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필요한 앱을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앱, 교통상황을 나타내는 앱, 주식 상황을 나타낸 앱 등이 있다.
이처럼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는 상술한 웹 브라우저 또는 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웹 브라우저 또는 앱이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를 경유하여 인증 서버(300) 또는 웹 서버(400)에 접속하게 된다. 인증 서버(300) 또는 웹 서버(400)에 접속하는 것은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의 기능에 따라 그 경로가 나눠지게 되는 것인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웹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웹 페이지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터넷에 구비되는 웹 서버(400)의 구성 및 기능은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 서버(30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 통신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에는 미리 각 고객에 대한 정보 즉, 인증용 정보(일 예로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용 정보와 기 등록된 인증용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 서버(300)는 인증 확인 정보를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200)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에 전송하여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200)가 웹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인증 서버(300)는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 확인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 하여금 이러한 인증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를 경유하여 웹 서버(400)에 접속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와 인증 서버(300)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WI-FI(와이파이)망에 구비된 AP(Access Point)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적절한 서버로 연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접속 요청 신호는 인터넷에 구비된 각종 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신호로써 예를 들어 접속하고자 하는 웹 서버(400)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웹 접속 요청 신호는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와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는 인증이 이루어진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이고,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는 아직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인데, 이러한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와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의 구분은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거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인증이 이루어지 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해 놓고, 해당 등록된 맥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웹 접속 요청 신호는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라고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맥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웹 접속 요청 신호는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쿠키 등의 정보를 기초로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와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구분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인증 서버(300)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의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판단부(130), 브라우저 판별부(140),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가 설정 저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웹 접속 브라우저에 대해 리다이렉션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110)에 설정 저장된 정보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의 첫 번째 필드는 각 웹 접속 브라우저의 User-Agent 타입을 나타내고 있고, 두 번째 필드는 리다이렉션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내용을 보면, User-Agent 타입이 MSIE, Firefox, Opera, AppleWebkit, Mozilla, Boingo, iPass, boingo, ipass인 경우에는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고, 그 외의 타입은 리다이렉션 처리를 하지 않고 예를 들어 리다이렉션 될 수 없음(인증될 수 없음)을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저장부(110)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 즉, 리다이렉션 처리되도록 매칭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는 사용자가 인증용 정보의 수동 입력이 가능한 웹 접속 브라우저의 명칭과 버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 및 인증 서버(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무선 구간을 통해 웹 접속 요청을 수신하거나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소정의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유선 구간을 통해 인증 서버(300)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부(120)에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일 수도 있고,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일 수도 있는데, 판단부(130)는 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다.
브라우저 판별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결과 무선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웹 접속 요청 신호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따르는 경우 웹 접속 요청 신호의 헤더 중 User-Agent 필드에는 웹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웹 브라우저 타입이 저장되어 있고, 브라우저 판별부(140)는 이러한 웹 접속 요청 신호 헤더의 User-Agent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는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저장부(110)에 설정 저장된(즉, 리다이렉션 처리되도록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인증 서버(300)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다이렉션 처리한다는 것은 웹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통신 단말기(200)와 인증 서버(300)간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기(20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인증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증용 정보 입력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신호 처리부(150)는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저장부(110)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즉,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저장부(110)에 리다이렉션 처리되도록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폐기 처리한다. 이때 신호 처리부(150)는 해당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에러 메시지는 리다이렉션 처리될 수 없다는 내용 또는 인증 처리될 수 없다는 내용에 해당하는 에러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200)(보다 정확히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또는 앱)는 웹 접속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1).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수신된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인증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단계 S3) 정상처리 하는데(단계 S5), 여기서 정상처리라 함은 요청된 웹 서버(400) 등으로 연결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신된 웹 접속 요청 신호가 비인증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단계 S3)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웹 접속 브라우저 종류를 판별한다(단계 S7). 이때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User-Agent 타입을 확인함으로써 웹 접속 브라우저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인증 처리가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단계 S9)에는 해당 웹 접속 요청을 폐기 처리하고(단계 S11),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인증 처리가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에는(단계 S9) 리다이렉션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3). 리다이렉션 기법 자체는 웹 상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 서버(300)는 리다이렉션된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인증용 페이지를 전송하고(단계 S15),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수신된 인증용 페이지를 표시한다(단계 S17).
무선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해당 인증용 페이지 상에 인증용 정보(예를 들어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입력하면(단계 S19),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용 정보를 인증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21).
인증 서버(300)는 수신된 인증용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23), 인증 결과를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25).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인증 결과가 수신된 경우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인증 단말기를 등록한다.
한편, 인증 서버(30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리다이렉션 처리 신호를 재전송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200)가 웹 서버(400)와 상호 통신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가 인증에 성공한 단말기에 해당하므로 웹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정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웹 접속 요청 신호에 따른 리다이렉션 신호가 인증 서버(300)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가 일종의 필터링 처리 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인증용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웹 접속 브라우저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는 웹 접속 요청 신호에 따른 리다이렉션 신호를 인증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통신 트래픽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인증 서버(300)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는 와이파이 망의 구성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구간으로 통신하고 인증 서버(300) 및 소정의 웹 서버(400) 등과 무선 통신 단말기(200) 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통신망의 구성요소라도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무선 통신 중계 장치 200 : 무선 통신 단말기
300 : 인증 서버 400 : 웹 서버
110 : 저장부 120 : 통신부
130 : 판단부 140 : 브라우저 판별부
150 : 신호 처리부

Claims (7)

  1. 통신 단말기와 인증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을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b) 단계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기 설정된 웹 접속 브라우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폐기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서 User-agent 항목에 매칭된 타입을 추출하여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의 제어방법.
  4. 통신 단말기와 인증 서버의 통신 경로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의 중계를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계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가 설정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인증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웹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브라우저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상기 저장부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접속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리다이렉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웹 접속 브라우저가 상기 저장부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를 폐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판별부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비인증 웹 접속 요청 신호에서 User-agent 항목에 매칭된 타입을 추출하여 웹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설정 저장된 웹 접속 브라우저 정보는 사용자가 인증용 정보의 수동 입력이 가능한 웹 접속 브라우저의 명칭과 버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장치.
KR1020120083297A 2012-07-30 2012-07-30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97A KR101378655B1 (ko) 2012-07-30 2012-07-30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97A KR101378655B1 (ko) 2012-07-30 2012-07-30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64A KR20140016564A (ko) 2014-02-10
KR101378655B1 true KR101378655B1 (ko) 2014-03-26

Family

ID=5026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97A KR101378655B1 (ko) 2012-07-30 2012-07-30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596B1 (ko) * 2014-07-23 2016-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267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이동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3033A (ko) * 2010-08-04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267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이동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3033A (ko) * 2010-08-04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64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7154B2 (en) Secure and automatic connection to wireless network
EP2223559B1 (en) Automatically provisioning a wwan device
CN104618991B (zh) 移动终端的wifi连接方法以及wifi连接系统
US105064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ether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0383896A (zh) 网络接入方法、终端、接入网及核心网
CN110248364B (zh) Iot设备配网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80213078A1 (en) Applic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JP2015528673A5 (ko)
US20150163675A1 (en) Provisioning subscriptions to user devices
EP2890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barcode and link initiated hotspot auto-login in WLANs
CN102215486A (zh) 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网络认证方法及设备、终端
US11832348B2 (en) Data downloading method, data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US10326852B2 (en) Proxy for monitoring special handling of content within a service network
EP3089427B1 (en) Controlling data exchang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ata provider
US97566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unconnec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KR101378655B1 (ko) 무선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332562B1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CN111901813A (zh) 一种客户前置设备的网络配置方法及设备
US907808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rvice processing thereof
KR102294713B1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장치 및 방법
JP5693619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568596B1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48529B1 (ko) 로컬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140025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to a global network using a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on
KR101969829B1 (ko)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