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92B1 -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92B1
KR101378592B1 KR1020120117612A KR20120117612A KR101378592B1 KR 101378592 B1 KR101378592 B1 KR 101378592B1 KR 1020120117612 A KR1020120117612 A KR 1020120117612A KR 20120117612 A KR20120117612 A KR 20120117612A KR 101378592 B1 KR101378592 B1 KR 10137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oth
augmented reality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용
김효수
모준영
홍기주
Original Assignee
(주)동진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진포리텍 filed Critical (주)동진포리텍
Priority to KR102012011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realizing an augmented reality, which includes a holder where a photographing device is settled to photograph an object and is able to easily store and move the holder for th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to realize an augmented reality and easily photograph the object for realizing an augmented reality in various directions. The holder includes: a lower frame which adheres to the ground; a first hinge part which is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lower frame; a support frame which is able to rotate from the lower frame by allowing one end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art; a second hinge part which is combin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 upper frame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art to be rotated from the support frame; a fixed frame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frame; and a device fixing part which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xed frame.

Description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 거치대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용이하게 촬영 가능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easy to store and move a photographic device holder for photographing an object for augmented reality, and to easily photograph an object for augmented reality in various directions.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쳐 제공함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하는 기술을 뜻한다.Augmented Reality (AR) is a kind of virtual reality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seen by the user and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one image. This augmented realit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obscur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environment by providing a 3D virtual image overlaid on the live image viewed by the user.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는, 서적, 명함, 팜플렛 등의 인쇄물 형태의 대상물을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대상물에는 내부에 특정 마커(marker)가 기록되어 있고, 촬영된 영상 내에서 특정 마커가 인지되면 해당 마커와 연동되는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실제 촬영된 영상 위에 그려주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마커란 대상물 위에 기록되되 자신과 연결된 3차원 그래픽 모델이 그려질 크기,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d by implementing such an augmented reality, in the form of a print object, such as books, business cards, brochures, etc.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in real time to display the photographed real-time image on the display devic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specified inside When a marker is recorded and a specific marker is recogniz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 method of drawing a 3D graphic model linked with the marker on the actually photographed image is mainly used. In this case, the marker serv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ize, direction, and position to be recorded on the object but to be connected with the 3D graphic model.

그러나,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OHP(Over Head Projector)와 같이 촬영장치와 지지대를 포함하는 거치대 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 이동 및 보관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고, 증강현실을 위한 강의를 진행할 때 대상물을 다른 방향에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대상물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강의 보조 인원이 더 투입되어야 하였고, 따라서 교사가 강의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또는 강의 보조 인원과의 호흡이 맞지 않아 대상물의 촬영 방향을 수시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such augmented reality is mostly formed integrally with a cradle body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support such as an OHP (Over Head Projector), the weight is heavy and bulk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ve and store. There was a problem, and in order to take an object from a different direction during the lecture for augmented reality, the teacher had to rotate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dditional lecture assistants were required, so the teacher could not concentrate on the le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the shooting of the subject should be adjusted at any time because the breathing did not match with the lecture assistant.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촬영장치가 구비된 모바일기기에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휴대성을 높이는 방법도 강구되었으나, 통상 교탁 위에서 진행되는 대상물의 촬영에서 모바일기기를 대상물 촬영에 용이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하는 거치대가 없어 교사가 직접 모바일기기를 파지한 채 강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이 경우에도 대상물을 다른 방향에서 촬영하기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increasing the portability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on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has been devised, but usually a photographing of an object proceeding on a table Because there is no cradle to fix the mobile device away from the ground for easy shooting of the objec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eacher had to lecture while holding the mobile device directly, and also in this case, it was troublesome to shoot the object from another direction. .

따라서, 모바일기기 등의 촬영장치를 용이하게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거치할 수 있으며, 무게 및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또한 대상물의 촬영시 촬영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a recording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weight and volume is small, easy to store and move, and also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that can easily change the shooting direction when shooting the object Auxiliary devices were needed.

한국공개특허 KR 10-2012-0045600(공개번호) 2012.05.09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2012-0045600 (Publication Number) 2012.05.09

본 발명은, 거치대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easy to store and move the cradle.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용이하게 촬영 가능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which can easily photograph an object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in various direc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밀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기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comprises a cradle to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is mounted so as to shoot an object, the cradle includes a lower 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frame; A support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rotatably provided from the lower frame; A second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art and rotatably provided from the support frame; A fixed frame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 device fixing par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본 발명은, 거치대의 구성이 프레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및 기기 고정부가 차례로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써 거치대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is made around the frame, and each frame and the device fix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ward in turn has the effect of easy storage and movement of the cradle.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가 구비된 안착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촬영장치를 들고 이동하거나 또는 대상물을 촬영장치 아래에서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강의 등에서 교사가 강의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table provided with a rotating por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move the object directly under the shooting device or move the shooting device directly to shoot the object for augmented reality in various direction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acher can concentrate on the lecture in the lecture using augmented reality.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제 1 또는 제 2 힌지부의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제 1 또는 제 2 힌지부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of use at another angl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or second hinge po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or second hinge po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제 1 또는 제 2 힌지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제 1 또는 제 2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or second hinge po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or second hinge po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 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받침대에 올려진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대(100)와, 촬영장치가 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안착시키는 안착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Figure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dle 100 is mounted to the recording device to shoot the object placed on the pedestal, and the imaging device to seat the object in a rotatable form to shoot the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 200.

거치대(100)는, 지면에 밀착되는 하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부(160)와, 일측 단부가 제 1 힌지부(160)에 결합되어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힌지부(170)와, 제 2 힌지부(170)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3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40)과, 고정프레임(14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기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radle 100 has a lower frame 11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 first hinge portion 160 coupled to one end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0, and one end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60. A support frame 120 rotatably provided from the lower frame 110, a second hinge portion 17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An upper frame 130 rotatably provided from the 120, a fixing frame 140 exten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upper frame 130, and a device fixing par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140 And 150.

하부프레임(110)은, 금속재의 파이프가 같은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제 1 힌지부(160)가 결합된다. 제 1 힌지부(160)에는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따라서 하부프레임(110)은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된 상부프레임(130)을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frame 110 is formed such that the metal pipe is bent twice in the same direction to have a 'c' shape, and the first hinge portion 160 is coupled to one end thereof. The support frame 120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60 to be rotatable, and thus the lower frame 110 includes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20. It plays a role of holding up.

하부프레임(110)을 'ㄷ'자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먼저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사각 받침대 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며,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힌지부(17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제 1 및 제 2 힌지부(170)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0)을 회전시켜 접거나 펼 때 지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0)이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들간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lower frame 110 in a 'c' shape is to have a square pedestal shape so that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coupled to the upper part can be stably supported. Since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170 are configured to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coupled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170 are rotated or folded. This is to allow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to be rotated inwardly of the lower frame 110 when unfolded, so that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can be easily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frames.

이러한 하부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는 제 1 힌지부(160)가 결합되어서 후술되는 지지프레임(120)이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는 고무캡(111)이 결합되어서 파이프 단부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바닥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hinge portion 16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frame 110 so that the support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otatably provided from the lower fram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110. The rubber cap 111 is coupled to the e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the user due to the pipe end and to prevent slipping with the bottom surface.

제 1 힌지부(160)는 일단이 하부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서, 지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first hinge 16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frame 11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the support frame 120 can be rotated from the lower frame 110 Do it.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힌지부(160)는 하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지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지지프레임(120)을 회전시켜 하부프레임(110)과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지지프레임(120)이 그 각도를 유지한 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first hinge 160 is coupled betwe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to rotate the support frame 120 in one direction from the lower frame 110. Therefore, by rotating the support frame 120 to be a random angle with the lower frame 110, and then remove the external force to enable the support frame 120 can be fixed while maintaining the angle.

이러한 제 1 힌지부(160)는 제 1 톱니부(1610)와, 제 1 톱니부(1610)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톱니부(1620)와, 제 2 톱니부(1620)를 제 1 톱니부(1610)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30) 및 스프링(1630)이 제 2 톱니부(16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받침(1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hinge portion 160 includes a first tooth portion 1610, a second tooth portion 1620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tooth portion 1610, and a second tooth portion 1620. The spring 1630 elasticall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1610 and the spring 16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support 1640 for supporting the second tooth 1620 to press.

제 1 톱니부(1610)는 제 2 톱니부(1620)가 맞물려 회전하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단부에 삽입되는 제 1 파이프 접속부(1611)와, 제 1 파이프 접속부(1611)의 타단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형상의 제 1 돌출부(1612)와, 제 1 돌출부(1612)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톱니(16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toothed portion 1610 serves to allow the second toothed portion 1620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toothed portion 1620. The first toothed portion 16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one end inserted into a pipe-shaped frame end. A first protrusion 1612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connecting portion 1611, a first pipe connecting portion 1611, and a first protrusion 1612 protrudingly form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612. One tooth 1613 is comprised.

이때, 제 1 톱니(1613)의 외주연은 제 1 파이프 접속부(1611)의 외주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 1 파이프 접속부(1611)가 프레임에 삽입되었을 때 프레임의 외주연과 제 1 톱니(1613)의 외주연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ooth 1613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ipe connection 1611,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the first tooth when the first pipe connection 1611 is inserted into the fram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outer periphery of 1613 coincide.

또한, 제 1 돌출부(1612)와 제 1 톱니(1613)의 경계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후술할 제 2 톱니부(1620)의 제 2 돌출부(16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제 1 돌출부(1612)의 중심에는 스프링 받침(16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161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612 and the first tooth 1613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1622 of the second tooth 1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protrusion ( A screw hole 161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1612 to allow the spring bearing 1640 to be coupled thereto.

제 2 톱니부(1620)는 제 1 톱니부(1610)에 맞물려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력이 제거되었을때 중력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여 각 프레임들이 이루는 각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단부에 삽입되는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와,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의 타단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1622)와, 제 2 돌출부(1622)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톱니(16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tooth portion 16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engaging the first tooth portion 1610 and prevents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maintains the angle formed by each fram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inserted into a pipe-shaped frame end thereof, a cylindrical second projecting portion 1622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and The second tooth 1623 is formed to protrude in a fan shape centering on the second protrusion 1622.

이때, 제 2 톱니(1623)의 외주연은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의 외주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가 프레임에 삽입되었을 때 프레임의 외주연과 제 2 톱니(1623)의 외주연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ooth 1623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the second tooth when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is inserted into the fram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outer periphery of 1623 coincide.

또한, 제 2 돌출부(16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 1 톱니부(1610)의 제 1 돌출부(1612) 외주연을 감싸도록 삽입되며, 따라서 제 1 돌출부(1612)와 제 2 돌출부(1622)가 서로 외주연과 내주연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므로 제 1 톱니(1613)와 제 2 톱니(1623)가 완전히 치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6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1612 of the first tooth portion 161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1612 and the second protrusion 1622 are Since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ar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tooth 1613 and the second tooth 1623 may be completely engaged.

이러한 제 2 돌출부(1622)는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서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의 일단 방향에서 삽입되는 스프링 받침(1640)의 나사(1641)가 제 1 돌출부(1612)의 나사홀(1614)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제 2 돌출부(1622)의 내주연은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의 내주연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받침(164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630)의 단부가 상술한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제 2 톱니부(1620)가 제 1 톱니부(1610)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protrusion 162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so that the screw 1641 of the spring support 1640 inserted in one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is the first protrusion 1612.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protrusion 1622 is formed stepp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pipe connection 1616,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crew hole (1614) of the spring support 1640 The end of the spring 1630 supported by the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described above allows the second tooth portion 1620 to be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portion 1610.

스프링(1630)은 제 2 톱니부(1620)를 제 1 톱니부(1610)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며, 이러한 스프링(1630)의 단부를 고정하여 스프링(1630)의 탄성력이 제 1 톱니부(1610) 방향으로만 작용될 수 있도록 스프링 받침(1640)이 구비된다. 스프링 받침(1640)은 원판형의 몸체 중앙에 나사(1641)가 돌출된 형태를 띠며, 스프링 받침(1640)의 나사(1641)가 스프링(1630) 내부를 관통하여 제 1 톱니부(1610)의 제 1 돌출부(1612)에 형성된 나사홀(1614)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스프링(1630)이 제 2 톱니부(162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1630) 및 스프링 받침(16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 2 파이프 접속부(162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1630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teeth 162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eeth 16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30 is fixed to the first teeth 1610 by fixing the end of the spring 1630. Spring support 1640 is provided so that it can only act in the () direction. The spring bearing 1640 has a shape in which the screw 164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disc-shaped body, and the screw 1641 of the spring bearing 164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pring 1630 so that the first tooth 1610 The spring 1630 may easily press the second tooth 1620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crew hole 1614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612. The spring 1630 and the spring support 1640 are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162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 1 톱니부(1610)의 제 1 톱니(1613)와 제 2 톱니부(1620)의 제 2 톱니(1623)는 일측면은 수직하게, 다른 일측면은 경사지게 연속하여 형성되어서 서로 치합되게 맞물리고, 스프링(1630)에 의해 강제로 맞물려진 상태로서, 제 2 톱니부(1620)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킬때에는 제 2 톱니(1623)의 경사면이 제 1 톱니(1613)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상호 이격되고, 제 2 톱니(1623)의 수직면이 제 1 톱니(1613)의 수직면을 넘어서게 되면 스프링(1630)에 의해 다시 제 1 톱니(1613)와 제 2 톱니(1623)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 1 톱니부(1610)에 하부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제 2 톱니부(1620)에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된 경우, 지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일으켜세워 소정의 위치에 도달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지지프레임(120)이 중력 방향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하술할 상부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20)의 작동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리로서, 이때, 단말기의 사용이 종료된 후 거치대(100)를 원상복귀시킬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회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ㄷ'자 형태의 하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지지프레임(120)이 회전되며, 지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이 일렬로 정렬되는때에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거치대(100)를 보관상태로 접을 수 있게 된다.
The first tooth 1613 of the first tooth portion 1610 and the second tooth 1623 of the second tooth portion 1620 are continuously formed in one side vertically and the other side inclined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teeth 1620 ar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econd teeth 1623 sl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teeth 1613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econd tooth 1623 exceeds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irst tooth 1613, the first tooth 1613 and the second tooth 1623 are engaged again by the spring 1630. Therefore, when the lower frame 110 is coupled to the first teeth 1610 and the support frame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teeth 1620, the support frame 120 is raised from the lower frame 11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reach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support frame 120 may be completely fixed without returning to the gravity direction. This is the same principle applied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per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when the use of the terminal after the end of the cradle 100 is restored to the support frame 120 If it is not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further rotates in the rotation direction, the support frame 120 is rotated inside the 'c' shaped lower frame 110,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10 are aligned in a line By removing the external force when the cradle 100 can be folded into a storage state.

지지프레임(120)은, 금속재의 파이프가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제 1 힌지부(160)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제 2 힌지부(170)가 결합된다. 제 2 힌지부(170)에는 상부프레임(130)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따라서 지지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에 지지된 채 상부프레임(130)을 고정시킴으로써 상부프레임(13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frame 120 is formed so that the metal pipe is bent twice to have a 'c' shape, the first hinge portion 160 is coupled to one end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portion. Combined. The upper frame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so that the support frame 120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3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110. ) To suppo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지지프레임(120)을 'ㄷ'자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먼저 하부프레임(110) 및 상부프레임(130)과 제 1 힌지부(160) 및 제 2 힌지부(170)에 의해 결합될 때 제 1 힌지부(160) 및 제 2 힌지부(170)와 결합되는 단부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다음으로 제 2 힌지부(17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제 2 힌지부(170)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30)을 회전시켜 접거나 펼 때 상부프레임(130)이 지지프레임(120)의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들간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support frame 120 in the form of 'c' is first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30 and the first hinge portion 16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when combined End hinges 16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configured to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2 The upper frame 130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120 when folding or unfolding by rotating the upper frame 130 coupled by the hinge portion 170, it is easy to rotate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each frame To do so.

이러한 지지프레임(120)의 일측 단부에는 제 1 힌지부(160)가 결합되어서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 2 힌지부(170)가 결합되어서 후술되는 상부프레임(130)이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60 is rotatably provided from the lower frame 11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to be described later) 13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the support frame 120.

제 2 힌지부(170)는 일단이 지지프레임(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프레임(1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서, 상부프레임(130)을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frame 130, so that the upper frame 130 can be rotated from the support frame 120. Do it.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힌지부(170)는 지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30)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부프레임(130)을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부프레임(130)을 회전시켜 지지프레임(120)과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상부프레임(130)이 그 각도를 유지한 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upper frame 130 to rotate the upper frame 130 in only one direction from the support frame 120. Therefore, by rotating the upper frame 130 to an arbitrary angle with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n removing the external force so that the upper frame 13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the angle do.

이러한 제 2 힌지부(170)의 세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 1 힌지부(160)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hinge unit 170 is the same as the first hinge unit 160 described above,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부프레임(130)은, 금속재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제 2 힌지부(170)가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30)의 외주연에는 고정프레임(140)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따라서 상부프레임(130)은 고정프레임(140)과 동시에 회전되거나 고정됨으로써 고정프레임(140)에 부착된 기기 고정부(15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frame 130 is formed in a metal pipe shape, the second hinge portion 170 is coupled to one end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from the support frame 120. The outer frame of the upper frame 130, the fixed frame 14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so that the upper frame 130 is rotated or fixed at the same time as the fixed frame 140, the fixing device attached to the fixed frame 140 15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while maintaining a certain angle from the ground.

이러한 상부프레임(130)은 거치대(100)를 접었을 때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프레임(130)의 외주연에는 기기 고정부(150)의 일면이 접촉됨으로써 기기 고정부(1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The upper frame 13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to the lower frame 110 when the cradle 100 is folded, the device b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device fixing part 150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frame 130 The fixing part 150 may be assisted to be stably supported.

고정프레임(140)은 상부프레임(13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기기 고정부(150)의 뒷면이 부착되어서 기기 고정부(1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40)의 상단부측은 원판 또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어서 기기 고정부(150)를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frame 140 extends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frame 13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150 is attached to one side to fix the fixing device 150. The upper end side of the fixing frame 140 is preferably formed in a disc or square plate shape to be able to more securely attach the device fixing part 150.

기기 고정부(150)는 뒷면이 고정프레임(14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앞면에 촬영장치가 거치되는 사각 판형의 고정부 몸체(151)와, 고정부 몸체(151)의 네 모서리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촬영장치의 모서리와 밀착되는 모서리부(152) 및 촬영장치의 카메라 렌즈에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고정부 몸체(151)에 관통 형성된 렌즈홀(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vice fixing part 150 has a rear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140 and a rectangular plate-shaped fixing part body 151 on which a photograph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protruding from four corners of the fixing part body 151. It is formed to include a corner portion 152 is form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lens hole 153 penetrated through the fixing unit body 151 so that light can pass through the camera len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이러한 기기 고정부(150)의 고정부 몸체(151) 일측면은 상부프레임(130)의 외주연에 접촉됨으로써 고정프레임(140)과 상부프레임(130)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of the fixing unit body 151 of the device fixing unit 15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frame 130 to be firmly fixed without being shaken by the fixing frame 140 and the upper frame 130.

기기 고정부(150)의 고정부 몸체(15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거치대(100)를 접었을 경우 거치대(100)가 얇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촬영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격자 프레임 형태도 가능하며, 공지의 스마트기기 거치대(100)의 형태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lder 100 is folded, the holder body 151 of the device fixing part 150 may have a thin shape, and in order to firmly fix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lthough shown and described that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grid frame, the shape of the known smart device cradle 100 is also possible, of course.

안착대(200)는, 판형의 받침부(210)와, 받침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대상물이 안착 회전되는 회전부(220)와, 회전부(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받침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절부(230)와, 받침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케이블 접속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ating unit 200 is provided on the plate-shaped support part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support part so as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part 220 and the rotating part 220 is seated rotation object The control unit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210 and the cable connection unit 2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받침부(210)는 두께가 있는 판형으로 형성되어서 하면으로는 테두리 외주연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부 다리(21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회전부(220)가 구비되어 회전부(220)에 안착된 대상물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일측면에는 조절부(230)가 구비되어 회전부(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케이블 접속부(250)가 구비되어서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thickness so that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edg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he supporting portion leg 211 is forme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ortion 220 to the rotating portion 220 The seated object can be rotated, and one side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unit 230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22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cable connection unit 250 to supply power and data The transmission is configured to be made.

이러한 받침부(210)의 일측면에는 전원 버튼(240) 및 전원 엘이디(241)가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upport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240 and a power LED 241 to supply power or to display a power supply state.

또한, 받침부(210)의 받침부 다리(211)는 거치대(100)의 기기 고정부(150)에 형성된 모서리부(152)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물의 외주연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거치대(100)를 접어 평면 형태로 만든 후 받침부(210)의 하면에 수용시킬 때 거치대(100)의 기기 고정부(150)에 형성된 모서리부(152)의 외측면 또는 기기 고정부(150)에 고정된 촬영장치의 외측면이 상술한 받침부 다리(21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leg 211 of the support portion 2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like the corner portion 152 formed on the device fixing portion 150 of the cradle 100, Preferably, when the cradle 100 is folded into a flat shape and accommod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10, the outer surface or the device fixing part of the corner part 152 formed on the device fixing part 150 of the holder 100 is provided. An outer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ixed to 15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leg 211 described above.

회전부(220)는 받침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상부에 놓여진 대상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조절부(23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거나 또는 스마트기기 등의 촬영장치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210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object placed on the top, and the rotation speed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unit 230 or driven in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The rotational speed can be adjusted by the application.

회전부(220)는 마이크로 DC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DC모터는 촬영장치로 또는 조절부(230)로부터 회전 속도가 입력되면 입력신호가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변환되어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를 통해 제어된다.The rotating unit 220 is rotated by a micro DC motor, the DC motor is controlled by the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the input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microcontroller when the rotational speed is input to the photographing device or the control unit 230 .

회전부(220)의 상면은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대상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부(220)의 일측에는 자석부재가 삽입될 수 있고, 이때에는 안착되는 대상물의 일측에 철판 또는 자석 성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바람 등의 외력에 대항하여 안정적으로 대상물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2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o that the object does not slip, and a magnet member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220, and in this case, an iron plate or a magnetic component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object to be seated. By being included, the object can be stably seated and rotated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vibration and wind.

한편, 회전부(220)는 상면이 받침부(210)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받침부(210)의 상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부(210) 상면에 대하여 돌출 또는 함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part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oincid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or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Of course it can be.

조절부(230)는 받침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회전부(2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조그셔틀, 다이얼, 버튼 또는 이와 등가하는 공지의 조절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Adjuster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10 serves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part 220, jog shuttle, dial, button or the like and known control means may be utilized. .

케이블 접속부(250)는 받침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 단자 및 데이터 통신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ble connection part 2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10 to serve to supply power or to transmit data, and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전원 단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 이외에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 단자는 촬영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 이외에 티브이, 모니터, 전자칠판, 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 단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등 공지의 데이터 통신 규격 중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ow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terminal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V, monitor, electronic blackboard,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 projector.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ny one of known data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and USB.

한편, 안착대(200)는 받침부(210) 내부에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전원 없이 일정 시간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촬영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접속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a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by having a charging means inside the support portion 210, and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r display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거치대(100)와 안착대(200)가 포개져 있는 상태에서 거치대(100)를 안착대(200)로부터 분리시킨 후 거치대(100)의 지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시킨 후 다시 상부프레임(130)을 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시키면 기기 고정부(15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도록 이격된채 고정된다. 이러한 기기 고정부(150)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촬영장치를 거치시킨 후 안착대(200)와 데이터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을 접속시키고, 안착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로서 접속시킨다. 이때, 안착대(200), 촬영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각각 무선 방식으로 연결한 후 내장된 충전수단에 의해 단독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radle 100 and the seating tabl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10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table 200 After the support frame 120 of the cradle 100 is rotat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wer frame 110 and then the upper frame 130 is rotat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upport frame 120. 150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n angle. After mount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to the device fixing unit 150, the seat 200 and the data cable or power cable is connected, the seat 200 is a display device and a data cable or power cable Connect. In this case, if the mounting table 200,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display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less manner and set to be driven independently by the built-in charging means, a wireless system may be constructed.

이렇게 각 구성들의 접속이 완료되면 촬영장치 및 안착대(200)의 전원을 켜고, 촬영장치에 촬영되는 안착대(20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또는 거치대(100)의 각 프레임들간 각도를 변경하여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 안에 안착대(200)의 회전부(220)가 적절히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onnection of each component is completed, turn on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seat 200,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200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r change the angle between each frame of the cradle 100 to photograph. The rotating part 220 of the seating table 200 can be properly photographed within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device.

다음으로, 안착대(200)의 회전부(220)에 대상물을 올려놓고 촬영장치의 증강현실 구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대상물에 형성된 마커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구현하게 되며, 이러한 화면은 티브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서 큰 화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증강현실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Next, when the object is placed on the rotating unit 220 of the seating unit 200 and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applic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executed, the marker formed on the objec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o implement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such as a TV. 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to be displayed on a large screen allows a plurality of users to watc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t the same time.

그리고, 회전부(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대상물을 360도 범위에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3D 입체 영상으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화면을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촬영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기능 또는 안착대(200)의 조절부(230)를 조절하여 회전부(220)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증강현실 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otating unit 220 is rotated, the object can be photographed in a 360-degree range,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mplemented as a 3D stereoscopic image can be more realisticly viewed.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can be configured to suit the user's intention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unit 220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func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r the adjusting unit 230 of the seat 200.

마지막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거치대(100)로부터 촬영장치를 탈거하고, 거치대(100)의 각 프레임들을 거치대(100)를 고정할 때 회전시킨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켜 각 프레임들이 수평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한 후 거치대(100)의 상부에 안착부를 올려놓음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상태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Finally, when the use is complete, re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rom the cradle 100, and further adjust each frame of the cradle 100 in the rotated direction when fixing the cradle 100 to match each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that by placing the mounting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100 can be organized in an easy storage and moving stat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거치대(100)의 구성이 프레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및 기기 고정부(150)가 차례로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써 거치대(10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100 is made around the frame, each frame and the device fixing part 15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wards in order to easily store and move the cradle 100 There is on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220)가 구비된 안착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촬영장치를 들고 이동하거나 또는 대상물을 촬영장치 아래에서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강의 등에서 교사가 강의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seating table provided with a rotating unit 220, in order to shoot the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the user directly holding the device or move the object directly under the recording device Since there is no need to manipul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acher can concentrate on the lecture in lectures using augmented reality.

100 : 거치대 110 : 하부프레임
120 : 지지프레임 130 : 상부프레임
140 : 고정프레임 150 : 기기 고정부
160 : 제 1 힌지부 170 : 제 2 힌지부
200 : 안착대 210 : 받침부
220 : 회전부 230 : 조절부
100: cradle 110: lower frame
120: support frame 130: upper frame
140: fixed frame 150: device fixing part
160: first hinge portion 170: second hinge portion
200: seating table 210: support
220: rotating part 230: adjusting part

Claims (8)

촬영장치가 구비되고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대는,
지면에 밀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기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프레임은 같은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같은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Including a cradle that is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mobile devic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The cradle,
A lower 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frame;
A support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rotatably provided from the lower frame;
A second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art and rotatably provided from the support frame;
A fixed frame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n apparatus fixing par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 ≪ / RTI >
The lower frame is bent twice in the same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c' shape, the support frame is bent twice in the same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c' shape for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Auxiliary devic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기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device fixing portion is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 또는 상기 제 2 힌지부는, 제 1 톱니부와, 상기 제 1 톱니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 2 톱니부와, 상기 제 2 톱니부를 상기 제 1 톱니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 2 톱니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hinge portion or the second hinge portion includes a first tooth portion, a second tooth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tooth portion and rotated,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econd tooth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ooth portion. And a spring support for supporting the spring to pressurize the second tooth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는, 원기둥 형상의 제 1 파이프 접속부와, 상기 제 1 파이프 접속부의 타단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톱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톱니부는, 원통 형상의 제 2 파이프 접속부와, 상기 제 2 파이프 접속부의 타단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톱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톱니의 경계면은 이격되어 형성되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제 1 돌출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받침은 판형의 몸체 중앙에 나사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나사가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돌출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ooth portion has a cylindrical first pipe connecting portion, a cylindrical first proje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connect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a fan shape centering on the first protrus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tooth,
The second tooth portion has a cylindrical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a cylindrical second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connect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a fan shape centering o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tooth tooth,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tooth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rotrusion,
The spring support is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is formed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body,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through the spr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 또는 상기 제 2 톱니는 일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은 경사지게 연속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제 2 톱니부가 상기 제 1 톱니부에 대하여 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ooth or the second tooth is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ormed vertically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bliquely continuous, the second toot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ooth. Auxiliary device for
제 1 항에 있어서,
대상물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시키는 안착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대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대상물이 안착 회전되는 회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seating table for seating the object in a rotatable state,
In the seat,
A support portion; And
A rota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to rotate an object to be seated;
An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ating unit, the auxiliary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KR1020120117612A 2012-10-23 2012-10-23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KR101378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12A KR101378592B1 (en) 2012-10-23 2012-10-23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12A KR101378592B1 (en) 2012-10-23 2012-10-23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592B1 true KR101378592B1 (en) 2014-03-26

Family

ID=5064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12A KR101378592B1 (en) 2012-10-23 2012-10-23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9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34B1 (en) 2015-03-12 2016-02-05 김선심 Mat applied augmented reality for children learning
CN108089330A (en) * 2016-11-23 2018-05-29 崔海龙 Portable mixed reality equipment
KR20190046516A (en)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Portabl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83B1 (en) 2003-07-03 2004-05-04 (주)컴버스테크 Write on the monitor angle regulate equipment
KR20050018322A (en) * 2003-08-12 2005-02-23 김상복 Assistant frame for personal computer
JP2007515840A (en) 2004-06-03 2007-06-14 コステ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Embedded multifunction TV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83B1 (en) 2003-07-03 2004-05-04 (주)컴버스테크 Write on the monitor angle regulate equipment
KR20050018322A (en) * 2003-08-12 2005-02-23 김상복 Assistant frame for personal computer
JP2007515840A (en) 2004-06-03 2007-06-14 コステ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Embedded multifunction TV receiv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34B1 (en) 2015-03-12 2016-02-05 김선심 Mat applied augmented reality for children learning
CN108089330A (en) * 2016-11-23 2018-05-29 崔海龙 Portable mixed reality equipment
KR20180058187A (en) * 2016-11-23 2018-05-31 최해용 Potable MR device
KR102104705B1 (en) * 2016-11-23 2020-05-29 최해용 Potable MR device
KR20190046516A (en)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Portabl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ystem
KR102001546B1 (en) 2017-10-26 2019-07-17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Portabl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024B2 (en) Mobile and portable screen to view an image recorded by a camera
US9171221B2 (en) Camera to track an object
US10491785B1 (en)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US10831093B1 (en) Focus control for a plurality of cameras in a smartphone
US8899757B2 (en) Portable video production system
US20150358515A1 (en) Mou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hands free video and image capturing system
US202101438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rticle
US10261408B2 (en) Mobile and portable camera platform for tracking an object
CN110382943A (en) Holder device
CN201594167U (en) Portable projecting apparatus for miniature terminal device
WO2005101097A3 (en) Horizontal perspective display
KR101378592B1 (en) Auxiliar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US20050140941A1 (en) Portable visual display
JP2020061737A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CN203912022U (en) Cellphone shooting support used in playground
KR102455241B1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CN110325785A (en) Jockey
CN104747877B (en) A kind of The Cloud Terrace for camera automatic shooting
CN208046802U (en) 3D photographic devices for preserving hand work image and system
KR101369974B1 (en) Usb real image projector
CN105812513B (en) A kind of wireless lens and mobile terminal
KR20150069582A (en) supporter of smartphone
JP2016219931A (en) Document camera
KR20130005070U (en) A holding st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the outdoor shooting
CN219221695U (en) Bearing support suitable for prom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