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09B1 -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 Google Patents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09B1
KR101378509B1 KR1020120059798A KR20120059798A KR101378509B1 KR 101378509 B1 KR101378509 B1 KR 101378509B1 KR 1020120059798 A KR1020120059798 A KR 1020120059798A KR 20120059798 A KR20120059798 A KR 20120059798A KR 101378509 B1 KR101378509 B1 KR 10137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switch
power supply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6178A (en
Inventor
김상범
한택수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09B1/en
Publication of KR2013013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음량 조절 기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경적을 울릴 수 있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눌림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적 스위치의 눌림 시 상기 경적 스위치가 눌린 동안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스위치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경적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서로 다른 크기의 경적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적 전원 공급부; 상기 경적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전원의 크기에 따른 음량의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 및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를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horn control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event of a failure that can normally sound a horn even when a control means performing volume control function control. Relates to a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n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by pressing, the horn switch unit for outputting a horn switch signal while the horn switch is pressed when the horn switch is pressed; A horn power supply unit receiving vehicle battery power and converting the vehicle battery power into horn power having different magnitudes according to a horn power supply signal; A horn receiving the horn power and generating a horn s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orn power;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to the horn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음량 조절 기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경적을 울릴 수 있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horn control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event of a failure that can normally sound a horn even when a control means performing volume control function control.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이런 경적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경적 스위치가 눌렸을 때 경적음을 발생시켜 차량 주변의 사람, 동물 또는 다른 차량에게 자신의 차량이 접근중임을 경고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a motor vehicle is provided with a horn control device that generates a horn. This horn control device generates an horn when the horn switch is pressed by the driver to warn people, animals or other vehicles around the vehicle that their vehicle is approaching to prevent accidents.

통상 경적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원공급부, 경적음을 발생시키는 경적(Horn) 및 운전자의 스위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경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경적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ypically, the horn control devic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 horn for generating a horn and a horn switch unit for horn supply or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er presses the switch.

이런 경적 제어 장치는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서만 경적으로 단일 전원을 공급하므로 단일 음량의 경적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때의 경적 제어 장치는 주변 사람 및 차량 등에 경고를 하기 위해 비교적 큰 음량으로 경적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is horn control device provides a single power supply horn only by turning the switch on or off, producing a single volume horn. And the horn control device at this time is configured to output a horn sound at a relatively large volume to warn people and vehicles a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단일 음량으로 경적음을 발생시키므로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거나 주변 통행이 잦아 소음이 큰 주간인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차량이 골목길 등과 같은 주거지역을 저속으로 주행하거나 저녁인 경우 경적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들려 문제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저녁 때, 주거지역에서의 경적음은 주민들에게 큰 소음으로 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t generates a horn sound with a relatively large single volume, so it is not a big problem when the vehicle is driving on the highway or when there are frequent noises. If the horn sounded relatively loud it could be a problem. In particular, in the evening, the horn in the residential area had a problem that can be heard by the residents loud noi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음량 조절 기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경적을 울릴 수 있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n control device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event of a horn that can be normally sounded even when the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the volume control function control fai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는, 눌림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적 스위치의 눌림 시 상기 경적 스위치가 눌린 동안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스위치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경적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서로 다른 크기의 경적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적 전원 공급부; 상기 경적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전원의 크기에 따른 음량의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 및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를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rn control device having a fail-saf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rn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by pressing, the horn switch while the horn switch is pressed when the horn switch is pressed Horn switch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A horn power supply unit receiving vehicle battery power and converting the vehicle battery power into horn power having different magnitudes according to a horn power supply signal; A horn receiving the horn power and generating a horn s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orn power;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to the horn power supply unit.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는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신호이고,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제3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3스위치부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른 크기를 가지는 경적 전원을 생성하여 경적으로 출력하는 승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n power supply signal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having a different pulse width according to an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and the horn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nd a third switch turned off; And a boost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battery power, generate a horn power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urn-on and turn-off of the third switch unit, and output the horn power.

상기 경적 제어 장치는, 상기 경적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 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경적 전원으로 상기 경적으로 공급시키는 경적 우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n control device monitors the horn power to monitor whether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has failed, and when the controller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fails, a horn bypass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to the horn power unit as the horn power source.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상기 경적 우회 제어부는, 상기 경적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를 검출하여 장애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검출부; 상기 장애 검출 신호의 입력 시 턴-온 되어 상기 경적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 턴-온 되어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상기 경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n bypass control unit may include: a failure detection unit monitoring the horn power to detect a failure of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and output a failure detection signal; A first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fault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outputs a horn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horn switch unit; And a second switch receiving the vehicle battery power and turned on when the horn switch signal is input to output the vehicle battery power to the horn.

상기 장애 검출부는, 상기 경적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장애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ult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horn power supply; An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 detected by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the fault detection signal when the detected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상기 경적 우회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의 출력단과 경적 사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n bypass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horn to rectify the battery power.

본 발명은 운전자의 경적 스위치의 눌림 시간에 따라 경적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큰 음량의 단일 크기 경적음에 따른 타인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horn sound according to the pressing time of the driver's horn switch,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damage of others due to the single volume horn sound of a large volume.

또한, 본 발명은 경적음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고장 시에도 이를 검출하여 경적음을 정상적으로 울릴 수 있는 경적 제어 우회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제어수단의 고장 시에도 차량 운전자 및 차량 주변의 사람 및 차량에게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보행자 및 타 차량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rn control bypass means that can detect the failure of the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horn sound and sound the horn normally, so that the vehicle driver and the people and vehicles around the vehicle in case of failure of the control means. It can give a warning to the driver, pedestrian and other vehicles to ensure the maximum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적 제어 장치의 제어수단의 고장 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rn control device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event of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at the time of failure of the control means of th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적 제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r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적 제어 장치의 제어수단의 고장 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rn control device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event of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at the time of failure of the control means of th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는 경적 음량 조절부(100)와 경적 우회 제어부(2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horn control device having a safety function in the case of a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n volume control unit 100 and a horn bypass control unit 200.

경적 음량 조절부(100)는 제어부(10), 경적 스위치부(20), 경적 전원 공급부(40) 및 경적(60)을 포함한다.The horn volum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horn switch unit 20, a horn power supply unit 40, and a horn 60.

경적 스위치부(20)는 운전자의 눌림에 의해 턴-온 되는 경적 스위치(21)와, 상기 경적 스위치(21)의 턴-온 시 차량 배터리 전원(B+)로부터 경적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하는 경적 스위치 신호 생성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 생성부(22)는 상기 경적 스위치(21)가 눌린 동안 계속해서 출력된다.The horn switch unit 20 generates a horn switch signal from the horn switch 21 that is turned on by the driver's pressing and the vehicle battery power B + when the horn switch 21 is turned on,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10. It includes a horn switch signal generator 22 for outputting. The horn switch signal generator 22 is continuously output while the horn switch 21 is pressed.

제어부(10)는 상기 경적 스위치부(20)로부터 경적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경적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따른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경적 전원 공급 신호로서 경적 전원 공급부(40)로 출력한다.When the horn switch signal is input from the horn switch unit 20, the control unit 10 counts the time when the horn signal is input, and generates a horn power supply signal with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having a pulse width according to the counted time. And outputs to the horn power supply 40.

경적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인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폭에 따른 경적 전원을 생성하여 경적(60)로 출력한다.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제3스위치(41)와, 상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3스위치(41)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른 크기를 가지는 경적 전원을 생성하여 경적(60)으로 출력하는 승압회로(42)를 포함한다. 상기 제3스위치(41)로는 도 1과 같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FET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horn power supply unit 40 receives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which is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generates a horn power corresponding to the pulse width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and outputs the horn power. The horn power supply 40 receives the third switch 41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the battery power, and the turn on and off of the third switch 41. The booster circuit 42 generates a horn power having a magnitude according to turn-off and outputs the horn 60 to the horn 60. As the third switch 41 may be composed of a transistor such as a bipolar transistor, a FET, as shown in FIG.

경적(60)은 입력되는 경적 전원의 크기에 따른 음량을 가지는 경적음을 발생시킨다.The horn 60 generates a horn sound having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orn power input.

그리고 경적 우회 제어부(200)는 상기 승압회로(42)로부터 출력되는 경적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40)의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10)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40)의 장애 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경적 전원으로 상기 경적으로 공급한다.In addition, the horn bypass control unit 200 monitors the horn power output from the boosting circuit 42 to monitor whether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40 is damaged, and the control unit 10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40 In the event of a failure,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is supplied to the horn power.

구체적으로 경적 우회 제어부(200)는 장애 검출부(70), 제1스위치(30) 및 제2스위치(50)를 포함하며, 정류 다이오드(D)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horn bypass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failure detection unit 70, a first switch 30, and a second switch 50, and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diode D.

장애 검출부(70)는 상기 경적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71)와, 상기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71)에서 검출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또는 작으면) 상기 장애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72)를 포함한다. 상기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71)는 두 개의 직렬 저항에 의한 전압분배에 의해 경적 전원 전압을 검출한다.The failure detector 70 compares the voltage detected by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71 with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71 to detect the voltage of the horn power supply, and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detected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r small) a comparator 72 for outputting the fault detection signal.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71 detects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by voltage distribution by two series resistors.

제1스위치(30)는 상기 경적 스위치부(20)와 연결되고, 평상 시 턴-오프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30)는 상기 장애 검출부(70)로부터 장애 검출 신호의 출력 시 턴-온 되어 상기 경적 스위치부(20)에서 생성된 경적 스위치 신호를 상기 제2스위치(50)로 출력한다.The first switch 30 is connected to the horn switch unit 20 and is usually configured to be turned off. The first switch 30 is turned on when the failure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failure detection unit 70, and outputs the horn switch signal generated by the horn switch unit 20 to the second switch 50.

제2스위치(50)는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평상 시 턴-오프 상이며, 상기 제1스위치(30)로부터 경적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턴-온 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을 경적(60)으로 출력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경적 제어 우회 경로가 형성된다.The second switch 50 is turned on when the vehicle battery power is normally applied, and when the horn switch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switch 30, the second switch 50 is turned on to output the battery power to the horn 60.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 horn control bypass path is formed.

정류 다이오드(D)는 제2스위치(50)의 출력단과 경적 사이에 순방향(애노드-제2스위치(20)의 출력단, 캐소드-경적)으로 연결되어 제2스위치(50)에서 출력되는 배터리를 정류하여 경적(60)으로 출력한다.The rectifier diode D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horn of the second switch 50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node-second switch 20, the cathode-horn) to rectify the battery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 50. Output to the horn (60).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제어부 20: 경적 스위치부
21: 경적 스위치 22: 경적 스위치 신호 생성부
30: 제1스위치 40: 경적 전원 공급부
41: 제3스위치 42: 승압회로
50: 제2스위치 60: 경적
70: 장애 검출부 71: 경적 전원 검출부
72: 비교기 100: 경적 음량 조절부
200: 경적 우회 제어부
10: control unit 20: horn switch unit
21: Horn switch 22: Horn switch signal generator
30: first switch 40: horn power supply
41: third switch 42: boost circuit
50: second switch 60: horn
70: failure detection unit 71: horn power detection unit
72: comparator 100: horn volume control
200: horn bypass control unit

Claims (6)

눌림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적 스위치의 눌림 시 상기 경적 스위치가 눌린 동안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스위치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경적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서로 다른 크기의 경적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적 전원 공급부;
상기 경적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전원의 크기에 따른 음량의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 및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를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는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신호이고,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제3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3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른 크기를 가지는 경적 전원을 생성하여 경적으로 출력하는 승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
A horn switch including a horn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by pressing, and outputting a horn switch signal while the horn switch is pressed when the horn switch is pressed;
A horn power supply unit receiving vehicle battery power and converting the vehicle battery power into horn power having different magnitudes according to a horn power supply signal;
A horn receiving the horn power and generating a horn s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orn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to the horn power supply unit,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having a different pulse width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The horn power supply unit,
A third switch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nd
And a boosting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battery power and generate a horn power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turn-on and turn-off of the third switch and output the horn as a horn. Device
삭제delete 눌림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적 스위치의 눌림 시 상기 경적 스위치가 눌린 동안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스위치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경적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서로 다른 크기의 경적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적 전원 공급부;
상기 경적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전원의 크기에 따른 음량의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 및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경적 전원 공급 신호를 상기 경적 전원 공급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적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 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경적 전원으로 상기 경적으로 공급하는 경적 우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
A horn switch including a horn switch that is turned on or off by pressing, and outputting a horn switch signal while the horn switch is pressed when the horn switch is pressed;
A horn power supply unit receiving vehicle battery power and converting the vehicle battery power into horn power having different magnitudes according to a horn power supply signal;
A horn receiving the horn power and generating a horn s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orn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horn power suppl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horn switch signal to the horn power supply unit,
And a horn bypass control unit configured to monitor the horn power to monitor whether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is faulty and to supply the vehicle battery power to the horn power when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unit fails. Horn control device having a safety function in case of fail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우회 제어부는,
상기 경적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 또는 경적 전원 공급부의 장애를 검출하여 장애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검출부;
상기 장애 검출 신호의 입력 시 턴-온 되어 상기 경적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경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경적 스위치 신호의 입력 시 턴-온되어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상기 경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orn bypass control unit,
A failure detection unit for monitoring the horn power and detecting a failure of the control unit or the horn power supply to output a failure detection signal;
A first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fault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outputs a horn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horn switch unit; And
And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receive the vehicle battery power and to be turned on when the horn switch signal is input to output the vehicle battery power to the hor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검출부는,
상기 경적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경적 전원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장애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ilure detection unit comprises:
A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horn power supply; And
An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 detected by the horn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the fault detection signal when the detected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우회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의 출력단과 경적 사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시 안전 기능을 가지는 경적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n bypass control unit,
And a rectifier diod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horn to rectify the battery power.
KR1020120059798A 2012-06-04 2012-06-04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KR101378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98A KR101378509B1 (en) 2012-06-04 2012-06-04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98A KR101378509B1 (en) 2012-06-04 2012-06-04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178A KR20130136178A (en) 2013-12-12
KR101378509B1 true KR101378509B1 (en) 2014-03-27

Family

ID=4998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798A KR101378509B1 (en) 2012-06-04 2012-06-04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304Y1 (en) * 1994-12-19 1998-08-01 김주용 Volume controllable horn system
JP2007038937A (en) * 2005-08-04 2007-02-15 Taiheiyo Seiko Kk Horn system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304Y1 (en) * 1994-12-19 1998-08-01 김주용 Volume controllable horn system
JP2007038937A (en) * 2005-08-04 2007-02-15 Taiheiyo Seiko Kk Horn system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178A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36013A5 (en)
KR1018958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witching Element Breakdown
JP6824142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s and power converters
TWI509976B (en) Power supply system for driving motor and re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4127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fail of a motor
US8681516B2 (en) Inverter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KR101378509B1 (en) Horn control apparatus with fail safe function
JP566414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090189661A1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04116A (en) Brake motor control apparatus of the car
JP2016090258A (en) Disconnection detecting device and disconnection detecting method
JP6922976B2 (en)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JP5049817B2 (en) Power converter control device
JP5405345B2 (en) Brake lamp control device and brake lamp control method
JP2004289903A (en) Inverter device
WO2020246415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5699693B2 (en)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KR102623937B1 (en) Active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motor
JP2014007830A (en) Power supply device
KR100892553B1 (en) The igbt driver of a welding machine
US20180278145A1 (en) Overboost Suppressing Circuit for Boost Converter
KR20110071560A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il of a pump-motor driver
KR102477497B1 (en) Short circuit fault detection method of vehicle ontroller
JP6084151B2 (en) DC-DC converter
JP5268819B2 (en) Moto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