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27B1 -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 Google Patents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27B1
KR101378227B1 KR1020130063343A KR20130063343A KR101378227B1 KR 101378227 B1 KR101378227 B1 KR 101378227B1 KR 1020130063343 A KR1020130063343 A KR 1020130063343A KR 20130063343 A KR20130063343 A KR 20130063343A KR 101378227 B1 KR101378227 B1 KR 10137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dule
filter
present
diverging
phyton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인 우 이
Original Assignee
인 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 우 이 filed Critical 인 우 이
Priority to KR102013006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2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humidifying using a wooden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ier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a filter having a very simple assembly structure wherein the filter is manufactured using Chamaecyparis obtuse, pine trees, Thuja orientalis, Abies holophylla,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t releasing filter module composed of two or more wooden filter pieces (10) having contact surfaces formed by processing trees releasing phytoncide, wherein the contact surfaces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haling surfac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easing filter module manufactured by assembling two or more unit releasing filter modules composed to form an inhaling surface by putting, in contact, the contact surfaces of two or more of the wooden filter pieces (10) having contact surfaces formed.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type humidifier releasing phytoncide, having a main body (300), a cover (400) and selectively a fixing frame (500) added thereto, and including the unit releasing filter modules or the releasing filter modul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type humidifier releasing phytoncide, including the main body (300), a penetrating cover (400′) and the unit releasing filter modules or the releasing filter modul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type air purifier releasing phytoncide, having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selectively the fixing frame (500), and having the unit releasing filter modules or the releasing filter modul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type air purifier releasing phytoncide, including the main body (300), the penetrating cover (400′) and the unit releasing filter modules or the releasing filter module.

Description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나무필터 가습기 및 조립형 나무필터 공기정화장치{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본 발명은 나무를 이용한 필터를 이용하여 가습 및 방향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무 중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측백나무, 전나무 등을 이용하여 필터를 제조하고 이 필터를 장착하되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humidifying and direction using a filter using a tre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pare a filter using a cypress, pine, cypress, fir, etc., which emit phytoncide among trees. It relates to a humidifier and an air purifier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filter, but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최근의 현대인, 유아, 어린이에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호흡기 질환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은 그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대기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의 영향이라는 설이 다분하다.Recently, various types of respiratory diseases and atopic dermatitis occurring in modern people, infants, and children are known to be influenced by atmospheric air pollutants in a situation where the cause is not known exactly.

특히, 최근의 가습기에 사용되는 살균제로 인하여 오히려 가습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폐질환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보이고 있다.In particular, due to the fungicide used in the recent humidifiers, users who use a humidifier also shows a problem that lung disease occurs.

따라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재료를 이용한 가습기 필터모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가습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o provide a humidifier filter module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a lot of research on the humidifier harmless to the human body.

이와 같은 기술에 따라 공개특허 10-2010-0115658(톱밥, 대패 밥, 식물을 이용한 피톤치드 함유 가습장치, 이하 선행기술)는 "식물을 상부에 톱밥 대패 밥을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중력에 의한 톱밥 대패 밥에 수분을 공급되도록 하고 톱밥, 대패 밥의 비중에 비해 공기와 접촉면적을 높여 수분의 흡수와 증발을 원활하게 하여 톱밥에 흡수된 수분에 용해된 피톤치드와 수분을 함께 공급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According to such a technique,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5658 (sawdust, planer rice, phytoncide-containing humidification device using a 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is "sawdust planer by gravity by placing a sawdust planer rice at the bottom of the plant at the bottom. Device designed to supply water to rice and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compared to the specific gravity of sawdust and planer rice to facilitate absorption and evaporation of water to supply phytoncide and water dissolved in water absorbed in sawdust "Was suggested.

상기한 선행기술은 단순히 톱밥 등을 바닥에 깔아 그곳에 물을 주입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보관이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가 없어 가습기로서의 작용을 원활히 할 수가 없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mply puts sawdust and the like on the floor and injects water therein to evaporate the water, which is very inconvenient to use and does not facilitate the storage or movement, thus making it difficult to function as a humidifi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나 선행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은 가습기에 새로운 페러다임을 적용하여 나무에서 발산하는 향을 이용하여 특히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이용하여 치료효과 및 친환경적 특성이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new paradigm to a humidifier having many problems of the prior art o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ing a wood emanating phytoncide by using a fragrance emanating from the tree, and a humidifier having a therapeutic effec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To provide.

또한 종래의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흡수하는 필터를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치료효과 및 친환경적인 특성이 있는 필터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provide a filter module having a therapeutic effec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perties by manufacturing a filter for absorbing water used in a conventional humidifier using wood that emits phytoncide.

또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humidifier that is easy to store and move and minimize the volume.

또한 가습필터모듈(발산필터모듈)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피톤치드가 모두 발산되어 소진될 경우 가습필터모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manufacturing a humidification filter module (diffusion filter module) using the wood emanating phytoncide to provide an assembled humidifier that can be used to replace only the humidification filter module when all the phytoncide is exhausted and exhaus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조립형 가습기에 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로서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s an assembled air purifier that emits phytoncide when water is not used in the assembled humidifi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eeds,

본체(300), 덮개(400) 및 선택적으로 고정대(500)를 부가하고,Add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optionally the fixing table 500,

접촉평면이 형성된 나무필터피스(10) 두 개 이상을 그 접촉평면이 서로 맞대어 흡입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립한 발산필터모듈을 구비한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한다.Assembled type dissipating phytoncide with diverging filter module assembled with one or two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figured to form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10 having contact planes against each other to form suction surface Provide a humidifier.

또한 상기 덮개는 관통형 덮개(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ver provides a prefabricated humidifier emanating a phytonc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type cover 400 '.

또한 본체(300), 덮개(400) 및 선택적으로 고정대(500)를 구비하고,In addition,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op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table 500,

접촉평면이 형성된 나무필터피스(10) 두 개 이상을 그 접촉평면이 서로 맞대어 흡입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립한 발산필터모듈을 구비한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Assembled type dissipating phytoncide with diverging filter module assembled with one or two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figured to form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10 having contact planes against each other to form suction surface Provide an air purifier.

또한 덮개는 관통형 덮개(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over provides a prefabricated air purifying device for emitting a phytonc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type cover (400 ').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산필터모듈 및 발산필터모듈은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살균제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으며, 일반의 수도물을 사용하더라도 수도물에 용해되어 있는 염소성분을 걸러주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unit divergent filter module and the divergent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ed to use a disinfectant by using wood, and the use of general tap water produces an effect of filtering chlorine dissolved in tap wat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산필터모듈 및 발산필터모듈은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최소 3개월 내지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피톤치드를 발산하여 방향 작용, 치료 작용 등을 수행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particular,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and the diverging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erforming aroma action, therapeutic action, etc. by continuously dissipating the phytoncide for at least 3 months to 6 months by using a wood material which emits phytonc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산필터모듈 및 발산필터모듈을 구비한 조립형 가습기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는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용이하게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에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ed humidifier having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and a diverging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component bar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can be very easy to store and move Excellent effec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는 도시락형으로 작은 부피를 할 수 있어 학교, 집, 회사 등으로 보관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어디에든 자유 자재로 가습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lunch box-type small volume can be easily stored and moved to school, home, company, et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se the humidifier freely anywher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구성인 단위 발산필터모듈 및 발산필터모듈은 재생 및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and the divergence filter modul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being regenerated and exchan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에 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공기정화장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is not used in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nctioning as an air purifying device for emitting phytonc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서로 접촉하여 흡입면을 형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서로 접촉하여 흡입면을 형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구조도.
도 3a는 여러 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지그재그형으로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단면도.
도 3b는 여러 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지그재그형으로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사시도.
도 4a는 여러 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정렬형으로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평면도.
도 4b는 여러 개의 나무필터피스를 정렬형으로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필터피스가 여러 개 형성된 빗형 나무필터피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빗형 나무필터피스를 2개 조합하여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개념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발산필터모듈의 구조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발산필터모듈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본체 구조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덮개 구조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고정대 구조도.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를 조립하여 작동할 때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본체에 발산필터모듈이 들어가 있는 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관통형 덮개의 구조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의 관통형 덮개의 주수구가 있는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덮개를 사용한 경우 조립형 가습기를 조립하여 작동할 때의 구조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수구가 있는 관통형 덮개가 있는 조립형 가습기를 조립하여 작동할 때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습기에 송풍기가 장착된 형태의 구조도.
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in which two wood filter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uction surface.
Figure 2 is a structure diagram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in which the three wooden filter pie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uction surface.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od filter pieces in a zigzag form.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mposed of several wood filter pieces in a zigzag form.
Figure 4a is a plan view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ood filter pieces in alignment.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ood filter pieces arranged in alignment.
Figure 5a is a comb-shaped wood filter piece formed of several wood filter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comb-shaped wood filter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verging filter module combining one or mor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lan view of a diverging filter module combining one or mor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main structure diagram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over structure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c is a structure diagram of the holder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d is a structural diagram when operating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orm in which the diverging filte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through-type cover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structural diagram with a water hole of the through-type cover of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ructural view when operating by assembling the assembled humidifier when using the through-typ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structural diagram when operating by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humidifier with a through-type cover with a spout according to the invention.
1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lower mounted to the assembled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산필터모듈을 이용한 조립형 가습기 또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humidifier or an air purifier using a divergent filter module manufactured using woo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나무는 통상의 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특히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 향나무, 화백나무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산필터모듈을 이용한 조립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As the w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dinary wood can be used. 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humidifier using a divergence filter module manufactured using cypress, pine, fir, cypress, cedar, globose, juniper, birches and the like, which emit phytoncide.

또한 상기한 조립형 가습기에 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그 용도를 공기정화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ssembled air purifier that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when water is not used in the assembled humidifi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 향나무, 화백나무 등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세밀하게 가공하여 조립한 발산필터모듈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sipation filter module that is finely processed by assembling a tree that emits phytoncide such as cypress, pine, fir, cypress, cedar, globose, juniper and birch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산필터모듈을 이용하여 케이스 형태의 조립식 가습기를 제공하게 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humidifier in the form of a case using the divergent filter module.

본 발명의 발산필터모듈은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삼나무, 구상나무, 향나무, 화백나무 등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얇게 가공하여 서로 접촉시켜서 액체(물)를 발산시키는 작용을 하는 필터모듈을 제조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diverging filt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dissipating liquid (water) by contacting each other by thinly processing trees emitting phytoncide such as cypress, pine, fir, cypress, cedar, globose, juniper, birches.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in manufacturing the filter module.

특히, 상기한 나무 중에서 편백나무가 피톤치드를 가장 많이 발산하는 작용을 하므로 편백나무를 이용한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cypress acts to shed the most phytoncide among the trees, it is most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divergence filter module using the cypress.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나무를 접촉평면(S)이 형성되도록 가공한 나무필터피스(10)를 준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a wood filter piece 10 which is processed to form a contact plane S of wood.

상기한 나무필터피스(10)의 접촉평면이라 함은 다른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과 접촉할 수 있는 평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촉평면이 형성된 나무필터피스는 다른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과 접촉하여 좋은 흡입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급적 평면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plane of the wood filter piece 10 means a plan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ne of the other wood filter pie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ood filter piece having the contact plane formed thereon be kept as flat as possible so as to form a good suctio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ne of other wood filter pieces.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한 접촉평면(S)이 형성된 나무필터피스를 서로 접촉하여 모세관과 같은 작용을 하여 액체를 빨아올리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이용하여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diverging filter module by using the action of sucking up the liquid by acting as a capillary tube by contacting each other the wood filter piece is formed in the contact plane (S) as described above.

일반적으로 나무는 나무세포가 있어 모세관 작용을 하여 물을 빨아들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Generally, trees have tree cells, which act to capillary and suck water.

그러나 그 나무세포에 있는 모세관은 너무 간극이 작고 촘촘하여 물을 빨라들이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순수하게 나무를 물에 담가 놓는다고 하여도 물을 발산하여 가습작용을 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apillaries in the tree cells are so small and tight that the speed of water intake is very slow, so even if the water is purely soaked in the water, it cannot disperse water and perform humid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를 이용하여 가습을 할 정도로 충분한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평면이 존재하는 나무필터피스를 서로 접촉시켜서 물을 흡입하는 모세관 면을 충분히 넓히는 기술적 구성으로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erges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sufficiently widening the capillary surface for sucking water by contacting the wood filter pieces having a contact plane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nufacture a diverging filter module sufficient to humidify using wood. The filter module is manufacture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을 서로 접촉하여 매우 넓은 면적의 모세관 면을 형성하고 액체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 사이의 간극으로 흡입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act the contact planes of the wood filter piece to form a capillary surface having a very large area and to inhale the liquid into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lanes of the wood filter piece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Will be.

이와 같은 작용으로 본 발명의 발산필터모듈은 짧은 시간에도 매우 많은 량의 액체를 흡입하여 발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diverging filt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haling and discharging a very large amount of liquid even in a short tim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처럼 둘 이상의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을 접촉시켜서 형성된 간극을 흡입면(A)이라고 하며 이를 이용하여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gap formed by contacting the contact planes of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lled a suction surface (A), and the divergence filter module i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도 1에서 보는 나무필터피스는 2개의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을 서로 접촉시켜서 만든 발산필터모듈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가 가장 간단한 형태의 발산필터모듈이다.The wood filter piece shown in Figure 1 shows a diverging filter module made by contacting the contact planes of the two wooden filter pieces with each other, this type is the simplest type diverging filter module.

이와 같은 간단한 형태의 발산필터모듈을 단위 발산필터모듈(100)이라고 본 발명에서는 칭한다.
Such a simple type diverging filter module is referred to as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나무필터피스는 넓은 접촉평면을 갖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하면 얇게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filter piec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 wide contact plane, and preferably formed in a thin form.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둘 이상의 나무필터피스의 접촉면을 넓히면 넓힐수록 흡입면의 면적은 더욱 커지게 된다.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may be freely 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need, and the wider the contact surface of the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is, the larger the area of the suction surface becomes.

도 1에서 보는 나무필터피스는 가로(a)가 5~50mm, 높이(b)가 5~20mm, 세로(c)가 50~150mm 정도로 된 것을 볼 수 있다. Wood filter piece shown in Figure 1 can be seen that the width (a) is 5 ~ 50mm, the height (b) is 5 ~ 20mm, length (c) is about 50 ~ 150mm.

이와 같은 실시 예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편백나무로 만든 것으로서 나무의 강도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한 예는 나무필터피스의 예시이지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국한하는 것이 아니다.
Such an embodiment is made of a cypress that emits phytoncide and is form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tree and the needs of the user, and thus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of a tree filter pie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은 2개 이상의 나무필터피스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2개의 나무필터피스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In addition,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may be used by combining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two wood filter pieces.

도 2에서는 나무필터피스를 3개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2 shows an example using three wood filter pieces.

이와 같이 도 1에서 보여주는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의 수에 따라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을 서로 접촉시켜서 다양한 구성과 형태의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contact planes of the tree filter pieces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act planes of the tree filter pieces shown in FIG. 1 to produce diverging filter modules having various configurations and shapes.

도 1에서 보는 바처럼 도면부호(G)는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간극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ure 1 (G) indicates that the contact plane of the wood filter pie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gap.

이와 같이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간극을 형성함에 따라 이 접촉면이 모세관 작용을 하게 되는바, 이런 모세관 작용을 하는 접촉면을 흡입면(A)이라고 본 발명에서는 칭한다.As the contact planes of the wood filter pie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gap, the contact surfaces act as capillaries. The contact surfaces having such capillary action are called suction surfaces A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나무필터피스의 접촉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흡입면은 액체(물)를 흡입하는 기능을 하는 매우 능률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wood filter pie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ntact surface is to perform a very efficient function of sucking the liquid (water).

도 3a는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무필터피스가 둘 이상 지그재그(zigzag)형으로 접촉하여 구성된 형태이다. 도 3b는 지그재그형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상태를 나타내 준다.
3a shows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in which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are contacted in a zigzag shape. Figure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zigzag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is shown in three dimensions.

또한 도 4a는 둘 이상의 나무필터피스가 정렬형으로 되어 있는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4b는 정렬형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상태를 나타내 준다.
In addition, Figure 4a shows the shape of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in which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are aligned. Figure 4b shows a state in three dimensions showing the ordered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단위 발산필터모듈로 조립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나무필터피스를 결합시키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나사, 못, 탁카 등과 같은 것으로 결합하거나 나무필터피스의 일부에 접착제를 붙여서 나무필터피스를 서로 접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of assembling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may be performed by a common method of joining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Generally, the wood filter is combined by a screw, a nail, a table, or the like, or by attaching an adhesive to a part of the wood filter piece. The pieces can be made by adhering to each other.

도 3a, 3b, 4a, 4b에서는 그 하나의 예로 나무 재질의 나무 조각을 결합수단(11)으로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s 3a, 3b, 4a, 4b is shown as a combination of the wood using a piece of wood as an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11,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can be combined in a variety of ways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둘 이상의 나무필터피스가 접촉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액체를 빨아 들이는 모세관 간극(G)을 형성시키는 점에 있는 것이므로 어떠한 구조나 형태로는 나무를 가공하여 접촉평면이 형성된 나무를 접촉하여 액체를 흡입하는 구조는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As such,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apillary gap G that sucks the liquid, so that the contact plane may be processed by processing wood in any structure or shape. A structure for sucking liquid by contacting the formed wood will be includ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도 5a에서 보는 것처럼 나무필터피스가 머리 부분(1100)으로부터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빗(comb)형 나무필터피스(1000)도 당연히 포함된다 할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a, a comb-like wood filter piece 1000 having a plurality of wood filter pieces formed from the head portion 1100 will of course also be included.

이와 같은 빗형 나무필터피스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얇게 가공하여 나무필터피스를 도 5a에서 보는 것처럼 여러 개로 나누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Such a comb-shaped wood filter piece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dividing the wood filter piece into several pieces as shown in Figure 5a by processing a thin wood emitting phytonc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이와 같은 빗형 나무필터피스(1000)를 두 개 이상 접촉하여 구성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5b shows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nfigured by contacting two or more such comb-shaped wood filter piece (1000).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 장착된 발산필터모듈(200)을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verging filter module 200 equipped with one or mor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s.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물과 같은 액체에 담가 놓으면 단위 발산필터모듈은 물을 급속히 빨아 들이면서 그 주변의 습도, 온도 또는 풍향에 따라서 급속히 물을 발산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작용은 가습기의 모듈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is immersed in a liquid such as water,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rapidly absorbs water and rapidly dissipates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humidity, temperature, or wind direction. It will work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장착하여 물을 발산시키는 능력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effect of rapidly increasing the ability to dissipate water by mounting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본 발명의 발산필터모듈(200)은 도 6a에서 보는 것처럼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묶어 놓은 형태를 의미한다.
The divergence filter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orm in which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is bundled by combining one or two or more as shown in FIG. 6A.

도 6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발산필터모듈(200)은 공간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6A,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pace 210.

이와 같은 공간부가 형성되므로써 단위 발산필터모듈로 흡입되어 빨아 올려지는 물이 이 공간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발산되어 가습 작용이 촉진되게 된다. As the space is formed, the water sucked into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and sucked up are easily diverged through the space so that the humidification action is promoted.

또한 본 발명의 단위 발산필터모듈은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 공간부를 통하여 피톤치드를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ee that emits phytoncide is to create an effect of continuously emanating the phytoncide through this space portion.

도 6b는 본 발명의 발산필터모듈을 위에서 본 형태를 보여준다.Figure 6b shows a view from above of the diverging filt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은 결합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220)을 채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끈, 나사, 못, 탁카 등과 같은 것으로 결합하거나 단위 발산필터모듈의 일부에 접착제를 붙여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서로 접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may be combined by employing a conventional coupling unit 220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may be manufactured by bonding to a string, a screw, a nail, a table, or the like, or by attaching an adhesive to a part of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도 6a, 도 6b에서 보는 발산필터모듈은 높이 110~150mm, 가로 180~220mm, 너비 30~70mm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와 같은 크기의 발산필터모듈을 물에 담그어 가습하는 실험을 해 본 결과 약 4~6개월 동안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6A, 6B is a diverging filter module consists of 110 ~ 150mm in height, 180 ~ 220mm in width, 30 ~ 70mm in width, soaking the diverging filter module of the same size in wate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bout 4 You can see that phytoncide is released for about 6 months.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발산필터모듈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형태는 2열로 구성된 발산필터모듈을 나타낸다.
Figure 6c shows another type of diverging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ype represents a diverging filter module composed of two row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로 구성된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제공하게 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for dissipating a phytoncide composed of wood.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에 항균처리를 하여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이 번식할 수 없는 작용을 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antimicrobial treatment to the above-described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to allow the microorganisms such as molds not to propagate.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구비하여 조립형 가습기 또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로 제조하게 되는바, 가습기의 용도로 사용하고 난 후 나무로 이루어진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diverging filter module to be manufactured as an assembled humidifier or an assembled air purifier, the unit divergent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ade of wood after use for the purpose of the humidifier The microbes can multiply in the module.

이와 같이 항균처리를 하게 됨에 따라 미생물을 번식할 수 없게 한다.In this way, the antimicrobial treatment prevent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나무는 주로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사용하는바 특별한
The w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a tree that emits phytoncide.

항균처리는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의 원재료인 나무를 항균용액에 침지시켜서 그늘에서 건조한 것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treatment may b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t divergent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by immersing wood,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unit divergent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in an antimicrobial solution and using the dried material as a raw material.

또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모두 제조한 후 항균용액에 침지시켜서 그늘에서 건조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a diverging filter module and then immersing in an antimicrobial solution and drying in the shade may be proposed.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항균 용액은 통상의 항균 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침지시간과 그늘에서 건조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나무에 항균 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As the antimicrobial solu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antimicrobial solution may be used, and the immersion time and drying time in the shade may be generally performed by a method of antibacterial treatment on wood.

본 발명에서의 항균 용액에 사용하는 항균제로는 무기계 물질로서 저농도에서도 미생물이 활동하지 못하도록 각 효소작용의 방해 및 ATP합성저해 등을 함으로써 강력한 살균효과를 갖고 있으며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이 주로 사용되는데, 구조식{(Ag, Zn, Na)12 〔(AlO2 )(SiO2 )12 ·XH2 O}의 지얼라이트, 구조식{MZr2 (PO4 )3 ·YH2 O, M=Na, K, H, 0≤y≤2}의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구조식{Ca12 (PO4 )6 ·(OH)2 }의 인회석(apatite)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항균 또는 곰팡이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antimicrobial agent used in the antimicrobi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organic substance, which has a strong bactericidal effect by inhibiting the action of each enzyme and inhibits the synthesis of ATP so that microorganisms do not work even at low concentrations, and mainly has little toxicity. (Ag, Zn, Na) 12 [(AlO 2) (SiO 2) 12 Zeolite, XH 2 O, Structural formula {MZr 2 (PO 4) 3 YH 2 O, M = Na, K, H, 0 ≦ y ≦ 2 μ Zirconium phosphate of the structural formula (Ca12 (PO4) 6 · (OH) 2) of apatite alone or a mixture of thes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ntimicrobial or mildew-proofing effect.

상기와 같은 항균제를 물과 같은 용매에 풀어 항균 용액을 만드는바 용매 100중량부에 5~20중량부 혼합하여 항균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antimicrobial agent as described above is dissolved in a solvent such as water to make an antimicrobial solution. The antimicrobial solu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5 to 20 parts by weight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또한 상기한 항균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항균제를 용매에 잘 용해시키고 항균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dding a surfactant to the above-described antimicrobial solution, the antimicrobial agent can be dissolved in the solvent well and the efficiency of the antimicrobial treatment can be improved.

더불어 상기한 항균제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천연 항균제를 이용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antimicrobial agent, a solution using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may be used.

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은 1~5시간 및 그늘에 말리는 시간은 1일~7일 사이가 바람직하다. The time for immersion in the solution is preferably 1 to 5 hours and the time for drying in the shade between 1 day and 7 days.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항균처리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microbial treated unit divergent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시락통 형태의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하게 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unch box-type assembled humidifier comprising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divergent filter module.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과 발산필터모듈을 모두 '발산필터모듈'이라고 통칭한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and divergent filter modul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iffusion filter module'.

본 발명의 조립형 가습기는 상기한 발산필터모듈(200)을 포함하고, 본체(300), 덮개(400) 및 선택적으로 고정대(500)로 이루어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한다.The assembled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diverging filter module 200, and provides an assembled humidifier for dissipating a phytoncide consisting of a main body 300, a cover 400, and optionally a fixing table 500.

즉, 상기한 고정대(500)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xing table 500 may be selected and configured a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an essential configuration.

상기한 본체(300), 덮개(400) 및 고정대(500)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 재질로 제조하여도 좋고 고분자화합 물질인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the fixing table 500 may be made of a wood material emitting the phytonc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made of plastic, which is a polymer compound.

상기한 본체(300)는 도 7a에서 보는 것처럼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한 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7A, the main body 30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contents and is configured to have an open side.

이 본체는 가습을 위한 물을 담아 둘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e body will provide a space to hold water for humidification.

또한 이 본체는 상기한 발산필터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verging filter module.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발산필터모듈(200)이 본체(300)에 수납된 상태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발산필터모듈은 본체의 공간부에 수납이 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see a state in which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300. Therefore, the diverging filte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덮개(400)는 상기한 본체를 감싸는 기능 또는 본체를 위에 올려서 거치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형상 또는 구조로 된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co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hape or structure having a function of wrapping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or a function of mounting the main body on the base.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덮개(400)는 상기한 본체를 덮어서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한면이 개방구로 이루어져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co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zed to cover and cover the main body, and thus one surface is formed of an opening.

도 7b는 한 면이 개방구로 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바, 이는 상기한 본체가 한 면이 개방구로 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런 것이므로 이와 같은 형상에 본 발명의 덮개의 기술적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7b can be seen that the one side is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ing, which is because the main body is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one side being an opening. The content is not limi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는 본체를 거치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였으므로 거치부(410)가 덮개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부는 본체를 덮개의 위에 거치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mounting the main body, a mounting part 4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and the mounting part performs a function of fixing the main body on the cover.

도 7b에서 보는 거치부는 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7b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as a jaw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고정대(500)는 도 7c에서 보는 것처럼 얇은 판으로 된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된 것을 의미하며, 고정대는 도 7d에서 보는 것처럼 본체(300)가 덮개(400)위에 거치되고 본체 내부에 물을 담은 후에 발산필터모듈의 일부분을 침지시키게 되면 발산필터모듈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대를 양쪽에 대서 발산필터모듈이 고정되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tand 500 means one or two or more thin plates, as shown in Figure 7c, the fixing stand as shown in Figure 7d the main body 300 is mounted on the cover 400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fter immersing a part of the diverging filter module after containing water, it means that the diverter filter module is fixed on both sides so that the diverter filter module does not fall.

따라서 고정대가 도 7c에서 보는 것처럼 얇은 판으로 된 것일 뿐만 아니라 그 어떤 형태나 형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산필터모듈이 본체 내부에 일부가 침지될 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 것이면 모두 본 발명의 고정대에 포함된다.Therefore, the fixing stand is not only a thin plate as shown in Figure 7c but also any type or shape of the divergent filter module is to be able to be fixed when a part is immersed in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fixture.

즉, 도 7c에서 보는 고정대는 하나의 예시이며, 다만 얇은 판으로 두 개로 구성된 이유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습 작용을 하지 않을 때 발산필터모듈과 고정대 모두를 본체에 넣고 덮개로 막아 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 때문이다.
That is, the fixture shown in FIG. 7c is an example, but the reason why it is composed of two thin plates is that, as mentioned above, when the humidification action is not performed, both the diverging filter module and the holder are placed in the main body and covered with a cover to prevent movement and storage. This is because of the facilitating a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는 상기한 고정대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대 거치부(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holder holder 310 so that the holder can be mounted.

고정대가 얇은 판으로 형성된 경우 본체에 형성된 고정대 거치부(310)는 도 7a에서 보는 것처럼 본체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대가 본체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게 한다.When the holder is formed of a thin plate, the holder holder 310 formed on the main body has a jaw formed in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7A to prevent the guide from falling into the main body.

이와 같이 고정대는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가습기에 구성되거나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As such, the stator may or may not be configured to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needs.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가 조립되어 가습기로 작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d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humidifier emanating a phytonc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a humidifier.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400) 위에 본체(300)가 거치되고 본체 내부에 물을 담은 후에 발산필터모듈(200)의 일부분을 침지시키게 되면 발산필터모듈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대(500)를 양쪽에 대서 가습기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if the main body 300 is mounted on the cover 400 and the water is immersed in the main body, then the part of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is immersed so that both ends of the holder 500 may not fall. It will be assembled with a humidifi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덮개(400)가 관통형으로 형성된 관통형 덮개(400')로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 관통형 덮개를 사용하는 경우 고정대는 선택사항이 아닌 불필요한 사항이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cover 400 is made of a through-type cover 400 'formed in a through-type, and when using the through-type cover, the fixing rod is not an option but an unnecessary matter.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관통형 덮개는 덮개의 상부면(420)이 관통부(430)가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부로 발산필터모듈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through typ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portion 4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420 of the cover to perform a function of inserting and dissipating the diverging filter module into the through portion.

즉, 관통부가 상기한 고정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고정대는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enetrating par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stand so that the fixing stand is not necessary.

더불어, 조립하여 가습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에 물을 담고 덮개로 막은 후 덮개의 관통부에 발산필터모듈을 삽입하여 발산필터모듈로 물을 발산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sembling and using as a humidifier, as shown in FIG. 10, the water is contained in the main body and closed with a cover, and then the diverging filte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of the cov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dissipating water with the diverging filter module. do.

또한 도 9b에서 보는 것처럼 덮개의 상부면(420)에는 주수구(4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나무필터 가습기에서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b, the upper surface 420 of the cover may be formed with a spout 421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plenishing the water continuously emitted from the wood filter humidifier.

즉, 발산필터모듈을 다시 분해하지 않고서도 물을 보충할 수 있어 가습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water can be replenished without disassembling the diverging filter module,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humid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기는 조립형으로 되어 있어서 그 부피를 도시락통 정도로 부피를 줄이는 효과를 창출하며 가습기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발산필터모듈(200), 본체(300), 덮개(400) 및 선택적으로 고정대(500)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As such,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type, which creates an effect of reducing the volume to a lunch box, and when used as a humidifier,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the optional It will be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be used to assemble the fixing table (500).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에 송풍기(600)가 구비되어 빠른 속도로 물과 피톤치드를 발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wer 600 in the assembled humidifier emanating the phytonc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1 performs a function that can dissipate water and phytoncide at high speed.

본 발명에서 송풍기(600)의 의미는 팬(fan)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하여 공기에 교류를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The meaning of the blower 600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power is supplied to rotate, such as a fan (fan) to form an alternating current in the air.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송풍기는 통상적인 컴퓨터나 일반적인 가습기에 사용되는 팬을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low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fan used in a conventional computer or a general humidifier.

본 발명의 송풍기(60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산필터모듈(2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가습기를 작동할 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blowe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or a shape that may be mounted and used in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so that the blower 600 may be attached and used when operating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송풍기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the blower may of course have a separate power sourc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 특히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를 이용하여 단위 발산필터모듈 및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발산필터모듈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verging filter module combining one or mor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s and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by using a tree, in particular, a tree emitting phytoncide.

또한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o provide an assembled humidifier for emitting a phytoncide comprising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diverging filte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형 가습기에 물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공기정화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emits phytoncide when used without using water in the assembled humidifier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기능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100) 또는 발산필터모듈(200)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나무로 되어 있어 자연적인 향균 작용, 공기 정화 및 사용자에게 치료효과를 나타나게 한다.
Such a function is that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100 or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is made of a tree that emits phytoncide, thereby exhibiting natural antibacterial action, air purification and therapeutic effect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100) 또는 발산필터모듈(200)을 포함하고, 본체(300), 덮개(400) 및 선택적으로 고정대(500)로 이루어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100 or diverging filter module 200, the assembly type air purification for dissipating the phytoncide consisting of the main body 300, the cover 400 and optionally the fixing table 500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100) 또는 발산필터모듈(200)을 포함하고, 본체(300), 관통형 덮개(400')로 이루어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ai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a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100 or diverging filter module 200, and emits a phytoncide consisting of a main body 300, a through-type cover 400 '. .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기(600)를 구비하여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에서 발산하는 피톤치드를 본 발명의 조립형 공기정화장치가 위치한 장소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발산 및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600 serves to more effectively diverge and circulate the phytoncide emitted from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the diverging filter module at the place where the assembled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 용도를 주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단위 발산필터모듈 또는 발산필터모듈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가 항균작용, 공기정화 및 치료기능을 구비하게 되는바 실내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공기정화 및 치료기능을 구비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ainly for humidification purposes, but when water is not used, the phytoncide generated in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or the diverging filter module i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action, air purification and treatment function. In the case of assembly and use, it provides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ying and tr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 또는 가습기용 필터 또는 필터 모듈을 가공, 생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in the industry of processing, producing, selling, and distributing a filter or filter module for an air purifier or a humidifier.

또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 또는 가습기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for the industry of producing, manufacturing, selling, and distributing an air purifier or a humidifier.

10 : 나무필터피스 11 : 나무필터피스 결합수단
1000 : 빗형 나무필터피스
1100 : 빗형 나무필터피스의 머리 부분
100 : 단위 발산필터모듈 200 : 발산필터모듈
210 : 공간부 220 : 단위 발산필터모듈 결합수단
300 : 본체 310 : 고정대 거치부
400 : 덮개 410 : 거치부
420 : 덮개의 상부면 421 : 주수구
430 : 관통부
400' : 관통형 덮개 500 : 고정대
10 wood filter piece 11 wood filter piece joining means
1000: Comb Wood Filter Piece
1100: head of comb wood filter piece
100: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200: divergence filter module
210: space portion 220: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coupling means
300: main body 310: fixing base
400: cover 410: mounting portion
420: upper surface of the cover 421: water hole
430: through part
400 ': through cover 500: holder

Claims (4)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한 면이 개방된 본체(300),
상기한 본체를 감싸는 기능 또는 본체를 위에 올려서 거치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덮개(400) 및,
상기한 본체(300)가 덮개(400)위에 거치되고 본체 내부에 물을 담은 후에 발산필터모듈의 일부분을 침지시키게 되면 발산필터모듈이 넘어지지 않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대(500)를 부가하고,
발산필터모듈(200)이 구비되되,
상기 발산필터모듈(200)은 접촉평면(S)이 형성된 나무필터피스(10) 두 개 이상이 그 접촉평면이 서로 맞대어져 흡입면(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단위발산필터모듈(100)이 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단위발산필터모듈 사이에 공간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발산필터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
The main body 30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one side is open,
A cover 400 having a function of wrapping the main body or a function of mounting the main body on top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300 is mounted on the cover 400 and immersed a part of the diverging filter module after the water is contained in the main body, the fixing member 500 is added to perform the function that the diverging filter module does not fall.
Dissipation filter module 200 is provided,
The diverging filter module 200 has two unit diverging filter modules 100 configured to have two or more wood filter pieces 10 having a contact plane S formed thereon so that the contact planes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above is provided,
Assembled humidifier emanating phytonc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verging filter module is formed between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space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상부면(420)에 관통부(430)가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부로 발산필터모듈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기능을 갖는 관통형 덮개(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is assembled through the phytonc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4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420 is a through-type cover 400 'having a fun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diverging filter module through the through portion. Type humidifi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발산필터모듈은 나무필터피스가 둘 이상 지그재그(zigzag)형으로 접촉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nit diverging filter module is a assembled humidifier emanating a phytonc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wood filter piece is formed in contact with two or more zigzags (zigza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발산필터모듈은 나무필터피스가 머리 부분(1100)으로부터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빗(comb)형 나무필터피스(1000)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조립형 가습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nit divergence filter module is a comb-type humidifi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comb-like wood filter piece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wood filter pieces are formed from the head portion (1100).
KR1020130063343A 2013-06-03 2013-06-03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KR101378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43A KR101378227B1 (en) 2013-06-03 2013-06-03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43A KR101378227B1 (en) 2013-06-03 2013-06-03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27B1 true KR101378227B1 (en) 2014-03-27

Family

ID=5064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43A KR101378227B1 (en) 2013-06-03 2013-06-03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2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88A (en)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창의산업 Steam humidifier using stone plate
KR200490019Y1 (en) * 2019-04-25 2019-09-10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Purifying air purifier using cottonwood
KR102257993B1 (en)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Composite material using wood
KR102257989B1 (en)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Natural humidifier using cypress tree combined with non-expanding compon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94B1 (en) 2009-07-17 2011-05-16 (주)태백산업 The ornament with a humidifier used a cypr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94B1 (en) 2009-07-17 2011-05-16 (주)태백산업 The ornament with a humidifier used a cypres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88A (en)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창의산업 Steam humidifier using stone plate
KR102099931B1 (en) * 2017-08-04 2020-06-08 주식회사 창의산업 Steam humidifier using stone plate
KR200490019Y1 (en) * 2019-04-25 2019-09-10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Purifying air purifier using cottonwood
KR102257993B1 (en)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Composite material using wood
KR102257989B1 (en) * 2020-12-24 2021-05-28 국립생태원 Natural humidifier using cypress tree combined with non-expanding compon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227B1 (en) The assemblable humidifier and the air cleaning device with wooden filter releasing phytoncide
KR100955206B1 (en) Personal portable air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it's case and water tank
JP5712355B2 (en) Food preservation method with charged fine particle water
CN101826704A (en) Negative ion generator and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KR20100029789A (en) Ventilation equipment having heat exchanging member
JP2012149812A (en) Drop-type vaporizer
KR20110078390A (en) A vaporizing type - air sterilizer
KR101152617B1 (en) Complex multifunctional air cleaner
CN201558351U (en) Tea perfuming machine
KR100718249B1 (en) Module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60067931A (en) Multipurpose an air freshener
KR20160003151U (en) Air freshener using knots of retinispora
CN203949304U (en) A kind of house and vehicle-mounted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JP2008272115A (en) Air purifier
KR200408093Y1 (en) Pet house with minus-ion generator
JP6367695B2 (en) Air cleaner
KR20100001770U (e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equipment for pet
KR20060133812A (en) Pet house with minus-ion generator
KR102081896B1 (en) Reed disinfection and dehumidifying device
KR101133648B1 (en) Bed with a room purifying function
JPH0894166A (en) Ventilating device
JP6445851B2 (en) Air cleaner
KR20120006374U (en) Electric stand
KR20170116997A (en) Humidifier naturally vaporizing with heat structure of wall-hanging type
KR101866982B1 (en) Toilet seat and transpi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