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129B1 -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 Google Patents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129B1
KR101377129B1 KR1020120102691A KR20120102691A KR101377129B1 KR 101377129 B1 KR101377129 B1 KR 101377129B1 KR 1020120102691 A KR1020120102691 A KR 1020120102691A KR 20120102691 A KR20120102691 A KR 20120102691A KR 101377129 B1 KR101377129 B1 KR 10137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injection amount
engine
vehicle
measur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봉우
윤병환
Original Assignee
이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우 filed Critical 이봉우
Priority to KR102012010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1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02D2041/223Diagnosis of fuel press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via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wherein the engine analysis apparatus receives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s or power/balance amount signals of a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 malfunctioning vehicle control group (F), and a vehicle to be measured (T), respectively, and judges the engine state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data of each fuel injection amount.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and diagnose the engine state efficiently based on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engine by on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with the fuel injection amount data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malfunctioning vehicle control group (F). [Reference numerals] (AA) Engine state analysis step; (S1) Sensor signal input step; (S10) Variation state analysis step; (S2) Step for measu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a new vehicle; (S20)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3) Step for measu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a malfunctioning vehicle; (S30)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4) Step for measu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a vehicle to be measured; (S6)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Description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본 발명은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와,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와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와, 상기 상태 분석 단계(S5)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단계(S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nd inputs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s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Receiving sensor signal input step (S1); New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2) of measuring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by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nd, the fuel A fault differenc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3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using the injection amou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to be analyzed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4)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target vehicle (T); and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 F), fuel minutes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comparing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dead amount Sf to determine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of display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alyzed through the state analysis step (S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omprising a.

일반적으로, 현재 디젤 엔진의 경우 엔진의 정속성과 고출력성 및 연비의 절감의 목적으로 커먼 레일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엔진 블록의 중앙에 진동 감지장치(Accelerometer)를 장착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신호를 매시간 마다 검출분석하여 파일럿(Pilot) 연료량을 각 실린더별 인젝터(Injector)상태에 맞게 조정하고 있다.
In general, diesel engines employ a common rail syste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engine speed, high power, and fuel economy. In this system, an engine is mounted with an accelerometer in the center of the engine block. The signal is detected and analyzed every hour to adjust the pilot fuel amount according to the injector state of each cylinder.

디젤엔진에서 연료분사장치(인젝터)는 운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마모등에 의하여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거나 연료를 분사해주는 인젝터 연료 통로(노즐:Nozzle) 부분에 카본 등에 의하여 막히거나 노즐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개폐기능을 하는 기계적인 부분 등이 움직임이 둔화되어 연료 공급이 원할치 않아 연료 분사량이 감소하는 등의 연료 공급량이 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로 말미암아 연료가 많아지는 결함이 나타났을 때 이를 방치하면 차량의 운행거리가 많아질수록 분사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스모크 악화 및 배기계 열화 등에 의한 내구성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반대로 연료가 적어지는 결함이 나타났을 때는 연료가 부족한 실린더의 엔진 회전수가 감소하게 되며 이를 정상으로 맞추기 위하여 엔진 회전이 적은 해당 실린더에 장착된 인젝터는 물론이고 다른 실린더에 장착된 인젝터에 연료 분사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왜냐하면 통상 실린더 일부 기통에 연료 분사가 적은 경우 관성에 의하여 연료 분사가 적게 공급되는 기통뿐만 아니라 다른 실린더 기통의 회전도 느려지게 된다. 그래서 엔진 전자 컴퓨터인 ECU는 엔진 회전이 느린 기통에 대해서 느려진 엔진 회전수만큼 연료분사량를 더 증가시키게 된다. 그런데 결함 정도가 심해지면 엔진 회전을 고르게 맞추기 위하여 증가시킨 연료분사량이 과다하게 되어 상기 연료를 많이 분사하게 되는 나타나는 현상들이 동일하게 나타나게 된다<연료분사량 조절기능의 부작용1>.
In the diesel engine, the fuel injection device (injector) is opened or closed to block fuel by the carbon or to inject the fuel inlet fuel nozzle (nozzle) part to inject the fuel due to abrasion, etc. The mechanical parts, etc., which function are slowed down and the fuel supply is not desired, so the fuel supply amount tends to change, such as a decrease in the fuel injection amount. As a result, when fuel defects appear when they are left unattended, the more the vehicle travels, the more the injection quantity is caused by deterioration of smoke and deterioration in durability due to exhaust system degrad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a low fuel deficiency, the engine speed of the fuel-low cylinder is reduced, and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increased to the injector mounted on the other cylinder as well as the injector mounted on the cylinder with the low engine rot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Let's go. Because in general, when there is little fuel injection in some cylinders, the rotation of other cylinder cylinders is slowed as well as a cylinder in which fuel injection is supplied by inertia. Thus, the ECU, an engine electronic computer, increases the fuel injection amount by a slower engine speed for a cylinder with a slow engine speed. However, when the degree of defects becomes severe, the increased fuel injection amount to evenly adjust the engine rotation becomes excessive, and the same phenomenon appears that the fuel is injected a lot (side effects of the fuel injection control function 1).

따라서, 이러한 연료 분사량의 증가나 감소 등에 의하여 나타나는 부작용을 방지하고, 추가로 엔진의 흡기 배기 밸브 등의 밀폐불량이나 엔진 피스톤의 기밀 유지하는 압축링 등의 고착등으로 연소실 압축 압력이 누설이 되어 엔진 회전이 느려지는 등의 기계적인 요인에 의하여 엔진 회전수가 각 실린더 별로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하기기 위하여 일정한 조건에서 연료 분사량을 반복적으로 검출 분석(이하, "학습"이라 한다.)하여 어느 기준 시간이상 일부 실린더의 연료 분사량이 다른 실린더에 비해서 일정량이 많이 분사하면 많아진 양만큼 해당 실린더의 연료분사량을 더해서(이를 플러스 학습값이라고 함) 분사하게 하며 반대로 일정량이 적게 분사되면 적어진 양만큼 감소시켜(이를 마이너스 학습값이라고 함) 연료량을 분사하게 한다. 이는 연료분사량을 계산하는데 "기본 연료 분사량값 + 연료 분사량 학습값 + 기타 연료 분사량 보정값(엔진 온도/ 운전성향상 등을 위해 해당 조건에서만 가감하는 연료 분사량 조절값)"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본 연료 분사량을 가능한 모든 실린더의 값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side effects caused by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are prevented, and the combustion chamber compression pressure is leaked due to the sealing failure such as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of the engine or the compression ring for keeping the engine piston tight. In order to prevent the engine speed from being irregular for each cylinder due to mechanical factors such as slowing down,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repeatedly detected and analyzed under a certain cond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rning"), and then some cylinders are over a certain reference time. If a certain amount is injected compared to other cylinders,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the cylinder is increased by adding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the cylinder (this is called a positive learning value). Value). It calculates the fuel injection amount, which is composed of "basic fuel injection amount value + fuel injection amount learning value + other fuel injection amount correction value (fuel injection amount adjustment value that is added or decreased only in the corresponding conditions for improving engine temperature / operation performance, etc.)". Is to make all cylinder values as uniform as possible.

이렇게 모든 실린더의 기본 분사량을 균일하도록 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목적 중 하나가 상기 기타 연료분사량 보정값 등과 같은 다양한 보정값을 계산할 때 상기 기본 분사량값에 대한 비율로 적용하기 때문이다. 즉 학습값이 없으면 엔진 상태에 따라 상기 기본 연료 분사량이 각 실린더별로 큰 차이를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기본 연료 분사량값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되는 다양한 보정값들이 큰 차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인 연료량 계산값은 각 실린더 별로 가능한 동일하게 하도록 엔진 상태에 따라 일정량을 더하거나 감하여 분사하는 값(이하, "학습값" 이라 한다.)의 대소에 따라 엔진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기본 연료분사량은 압축착화 엔진에서는 시험을 통하여 엔진회전수와 엔진토크 등을 고려하여 각 각 8-16단계로 나누어 각 영역(8X8개 또는 16X16개 지점)별로 정해진다. 즉, 최초 설정된 연료 분사량이 다양한 운행 조건과 운용기간의 늘어남에 따라 변동하므로, 최적의 연료 분사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학습값의 적용으로 보정하고 있다.
Although there are many objectives to make the basic injection amounts of all cylinders uniform, this is becaus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objects is applied as a ratio with respect to the basic injection amount values when calculating various correction values such as the other fuel injection amount correction values. That is, if there is no learning value, the basic fuel injection amount may show a large difference for each cylinder according to the engine state. In this case, various correction values applied using the basic fuel injection amount value generate a large difference. That i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tate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alue of injecting by adding or subtracting a certain amount according to the engine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rning value") so that the basic fuel amount calculated value is as identical as possible for each cylinder. For reference, the basic fuel injection amount is determined in each area (8X8 or 16X16 points) by dividing into 8-16 stages in consideration of engine speed and engine torque through the test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 That is, since the initially set fuel injection amount fluctuates with increasing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operation periods,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corrected by applying a learning value to maintain an optimum fuel injection amount.

이와 같이, 이씨유(ECU: Engine Control Unit) 등의 전자 장치에서 엔진의 연료 분사량를 조절하기 위하여 발생시키는 연료 분사량 신호는, 일반적으로 신차의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편차가 비교적 적은 폭을 가지면서 비교적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되나, 엔진의 노화 또는 이상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점점 연료 분사량 신호의 편차가 증가하다가, 고장차(일반적으로 거의 고장에 가까운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실험적으로는 엔진의 실린더 중 1개의 실린더의 인젝터를 제거하는 등의 조작을 하여 정상적인 엔진의 작동이 어려운 상태로 만든 경우를 사용한다.)의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료 분사량 신호의 편차가 대단히 큰 값을 가지면서 연료 분사량 신호가 변동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generated to control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engine by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ngine control unit (ECU) generally has a relatively small width as shown in FIG. Although it has a relatively constant value, but as the engine ages or abnormalities, as shown in FIG. 3, the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 varia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fault difference (generally, it is almost a failure state. In the case of making the normal engine difficult to operate by removing the injector of one cylinder among the cylinders of the engine), the value of the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 is very large as shown in FIG. The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 fluctuates with.

따라서,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면 엔진의 상태를 검사/분석 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Therefore, i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s grasped, it may be possible to inspect / analyze the state of the engine.

한편, 커먼레일 방식의 디젤엔진에서는 고압펌프가 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커먼레일로 공급하고, 상기 커먼레일에 저장된 고압(커먼레일 시스템에 따라 차이가 있고 엔진 회전수, 가속 페달 밟음량에 따라 연동되어 약 200bar에서 최고 1600bar)의 연료가 인젝터에 의해 연소실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mon rail type diesel engine, the high pressure pump compresses the fuel to high pressure and supplies the fuel to the common rail, and the high pressure stored in the common rail (varies depending on the common rail system and is linked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and the accelerator pedal step amount). Up to 1600 bar) of fuel is supplied by the injector to the combustion chamber.

가솔린이나 엘피지(LPG) 등의 점화연소 엔진에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에 맞추어 연료 공급량은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이론 공연비에 맞도록 되어 있어 흡입되는 공기에 맞추어 공급되는 것이기에 연료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제한이 된다. 그래서 점화 연소엔진에서는 점화시기 조절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등의 엔진 상태 개선을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
In the case of ignition combustion engines such as gasoline or LPG, the fuel supply amount is matched to the theoretical air-fuel ratio, so the fuel is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air-fuel ratio. Controlling the state is a limitation. Therefore, the ignition combustion engine is used to improve the engine condition such as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by adjusting the ignition timing.

이에 비해 압축착화하는 디젤 엔진에서는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은 일정하고 점화계통도 없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는 연료 공급에 관련된 것으로 연료 분사량과 연료분사시기 등이 있다. 이 때 연료분사시기 조절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연료분사시기에 관련된 인자(예비분사/주분사/후분사 증)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실험이 필요하며 특히 엔진 회전력을 감소하고 증가를 시키기 위해서는 연료 분사시점이 최대의 엔진 회전력(토크)를 발생하는 시점보다 작은 부분 즉 분사시점을 증가하면 엔진 회전력이 증가할 수 있는 시점을 기준 연료분사시점으로 정해야 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엔진상태에서는 항상 적은 엔진 회전력을 얻는 시점에 연료를 분사하여야 한다. 그래서 엔진의 각 실린더 별 회전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료 분사량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결국 연료 분사량 조절을 통하여 엔진 회전력을 조절하는 기능은 대부분 압축 착화하는 디젤 엔진에 적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diesel engines compressed and ignited,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engine is constant and there is no ignition system. Therefore, the factors that can contro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are related to the fuel supply, such as fuel injection amount and fuel injection ti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ethod to adjust the engine injection power by adjusting the fuel injection timing, but many experiments are necessary because the factors related to fuel injection timing (pre-injection / main injection / post injection) are combined. In order to reduce and increase the engine torque, it is necessary to set the fuel injection time as the reference fuel injection time when the fuel injection time is smaller than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engine torque (torque) is generated, that is, the engine torque may increase when the injection time is increased. Under normal engine conditions, fuel should always be injected at the point of low engine torque. Therefore, the method of chang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has been applied as a way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change of each cylinder of the engine. After all,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engine torque by adjust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applied to most diesel engines compression-ignition.

다만 이러한 엔진 회전력 조절을 위하여 연료분사량이 과도하게 되는 경우 연료를 많이 분사하게 되는 나타나는 매연 발생, 흡배기계 카본 누적 등에 의한 막힘 등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전자제어 개발 분야에선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즉 연료 분사량의 정도를 엔진의 회전수 별로 제한 등)이 연구되고 있다.
However, when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excessively adjusted to adjust the engine rotational force, soot is generated, which causes a large amount of fuel injection, and clogging due to carbon accumula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system. Therefore, in the field of electronic control development, various methods (ie, limiting the amount of fuel injection by the number of engine revolutions) have been studied to minimize such side effects.

이때, 상기 인젝터는 엔진제어유니트(ECU)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엔진의 부하정도, 회전수등과 같은 운전상태에 따라 인젝터의 구동시기와 열림시간을 제어하고, 그 명령에 따라 인젝터가 예비분사(Pi; Pre-injection) 및 주분사(Mi; Main injection), 후분사(Post injection) 등을 실행한다.
At this time, the injector is controlled by an engine control unit (ECU), and the engine control unit (ECU) is sensed by various sensors, and the driving timing of the injec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such as the load degree, the rotation speed, etc. of the engine inputted. The opening time is controlled, and the injector executes pre-injection (Pi), main injection (Mi), and post inje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상기와 같은 디젤엔진에서 인젝터의 불량 여부는 파워/밸런스 (power/balance : 이에 대한 테스트 용어가 연료량 보정, 기통별 회전 밸런스, 기통별 압축비교 등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다. 본 내용에서 파워밸런스 라고 통칭하도록 한다 )량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즉, 엔진회전수가 이씨유에서 정하는 엔진 회전수(공회전 기준회전수에서 부터 2,000rpm까지 차량마다 정해져 있으며 통상 기준 공회전 기준 회전수로 한다)로 유지되는 구간에서 고압펌프의 연료공급조절밸브를 고정하여 연료압력, 연료량, 분사시기, 분사시간을 고정시켜서 각 기통별 연료 공급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각 실린더 별로 하나씩 인젝터를 정지시켜서 해당 실린더에서 압축착화 폭발이 없도록 하면 회전수 저하가 발생하는데, 상기와 같이 저하된 각 기통별 회전수 중에서 최저 회전수를 100%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기통들의 회전수를 나누어 퍼센트로 환산한 값이 파워/밸런스량이 된다.
In the diesel engine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injector is defective or not is referred to in various ways, such as fuel / compensation, rotational balance by cylinder, compression comparison by cylinder, and the like. Judging by measuring the amount) In other words, the fuel supply control valve of the high-pressure pump is fixed by fixing the engine speed determined by the engine oil (the engine speed is set for each vehicle from the idling reference speed to 2,000rpm and is usually the reference idling reference speed). If the fuel supply conditions for each cylinder are the same by fixing the fuel pressure, the fuel amount, the injection timing, and the injection time, and stopping the injectors one by one for each cylinder, there is no compression ignition explosion in the cylinder. The minimum rotational speed is 100% among the rotational speeds of each cylinder, and the value of power / balance is obtained by dividing the rotational speed of other cylinders by the percentage.

또 다른 파워밸런스 테스트로서 고압펌프의 연료공급조절밸브를 고정하여 연료압력, 분사시기, 분사시간을 고정시켜서 각 기통별 연료 공급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각 실린더 별로 회전수가 모두 이씨유에서 정하는 엔진 회전수(공회전 기준회전수에서 부터 2,000rpm까지 차량마다 정해져 있으며 통상 기준 공회전 기준 RPM으로 한다)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연료 분사시간(분사량)을 조절한다. 즉 모든 기통이 기준 공회전 회전수로 회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실린더 별 연료 분사량을 측정하여 전기통 평균 연료량 대비 차이 발생에 대하여 +/-의 퍼센트로 환산한 값이 파워밸런스 량이 되는 것이다.
As another power balance test, the fuel supply control valve of the high pressure pump is fixed to fix the fuel pressure, injection timing, and injection time, so that the fuel supply conditions for each cylinder are the same, and the engine speeds determined by ISI oil are determined by each cylinder. The fuel injection time (injection amount) is adjust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maintained at a standard idle speed from 2,000 rpm to the vehicle at normal idle speed.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uel injection for each cylinder required to rotate all cylinders at the reference idling speed, and the power balance amount is converted into a percentage of +/- relative to the occurrence of the difference with the average cylinder fuel amount.

이러한 파워 벨런스량 역시, 상기한 연료 분사량과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신차의 경우에는 그 편차가 비교적 적은 폭을 가지면서 비교적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되나, 엔진의 노화 또는 이상에 따라 점점 그 편차가 증가하다가, 고장차의 경우에는 그 신호의 편차가 대단히 큰 값을 가지면서 파워/밸런스량이 변동하게 된다.
Similarly to the fuel injection amount, the power balance amount also has a relatively constant value with a relatively small deviation in the case of a new car, but the deviation increases gradually with engine aging or abnormality, In the case of a difference, the power / balance amount fluctuates while the signal deviation is very large.

따라서, 상기 파워/밸런스량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면 역시 엔진의 상태를 검사/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Therefore, i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power / balance amount is grasped, it may be possible to inspect / analyze the state of the engine.

그러나, 기존에는 특허 문헌 1의 "커먼 레일 방식의 디젤 엔진에서 실린더별 연료량 제어방법"(대한 민국 등록특허 제10-05347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을 각 실린더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엔진의 조건이 주분사 연료량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각 실린더별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이 설정된 제1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제1범위에 포함되는 실린더가 존재하면 해당 실린더에 대한 주분사 연료량 보정 비율을 해당 실린더에서 얻어진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의 일정%로 적용하여 주분사 연료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제1범위에 포함되지않는 실린더가 존재하면 해당 실린더의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이 설정된 제2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제2범위에 포함되는 실린더가 존재하면 해당 실린더에 대한 주분사 연료량 보정 비율을 해당 실린더에서 얻어진 파일럿분사 연료량 학습값의 일정%로 적용하여 주분사 연료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제2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실린더가 존재하면 해당 실린더의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이 설정된 제3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제3범위에 포함되는 실린더가 존재하면 해당 실린더에 대한 주분사 연료량 보정 비율을 해당 실린더에서 얻어진 파일럿 분사 연료량 학습값의 일정%로 적용하여 주분사 연료량을 산출하고, 제3범위를 초과하는 실린더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실린더의 인젝터가 노후된 것으로 판단하여 고장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성과 같이 연료량 제어 방법과 관련된 발명은 다수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연료량의 변동 또는 편차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태를 검사/분석하는 구성과 관련된 발명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Method of Controlling Fuel Level by Cylinder in a Diesel Engine of a Common Rail Metho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34724),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is set separately for each cylind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ngine condition satisfies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condition, and if the learning condition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for each cylinder is within the set first range; If there is a cylinder included in the first rang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by applying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correction ratio for the cylinder a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obtained from the cylinder, and not included in the first range If the cylinder exist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of the cylinder is included in the set second range If there is a cylinder included in the second range, calculating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by applying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correction ratio for the cylinder as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obtained from the cylinder, and including the second range. If there is a cylinder that does not exis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of the cylinder is included in the set third range, and if the cylinder included in the third range exists,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correction ratio for the cylinder is determined. Calculating the main injection fuel amoun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pilot injection fuel amount learning value obtained in the step, and if there is a cylinder exceeding the third range, determining that the injector of the cylinder is old and outputting a failure message. Although there are many inventions related to the fuel amount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Relating to the same invention or configuration testing / analysis of the state of the engine by using the deviation was the Browse difficult is the problem.

또한, 파워/밸런스량과 관련하여서는 특허 문헌 2의 "디젤엔진의 인젝터 불량 검사 방법"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913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워/밸런스량을 측정하여 인젝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디젤엔진의 인젝터 불량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워/밸런스량을 측정시, 배기행정에서의 연료 분사에 의한 실화를 발생시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같이 인젝터 등 구성 부품의 불량을 검사하는 방법과 관련된 발명은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파워/밸런스량 변동 또는 편차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태를 검사/분석하는 구성과 관련된 발명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regarding the power / balance amount,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Method of Injector Defect Inspection of Diesel Engin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91326), "Injector defec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 balance." In the injector defect inspection method of the diesel engin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misfire caused by the fuel injection in the exhaust stroke is determined when the power / balance amount is measured ". Although there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method of inspecting a defe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nvention related to a configuration of inspecting / analyzing the state of an engine using such a power / balance amount variation or deviation is difficult to find.

특허문헌 1: 대한 민국 등록특허 제10-0534724호(2005.12.01.)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34724 (2005.12.01.)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91326호(2003.12.03.)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91326 (2003.12.03.)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린더의 갯수나 배기량 등의 특성을 달리하는 대단히 다양한 종류의 엔진에 있어서도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통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연료 분사량 신호 분포 데이터를 분석하여,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를 신차 대조군(N) 및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차량 엔진의 기본적 작동 원리 및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엔진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distribution data having the characteristic that can be applied uniformly with a certain regularity even in a wide variety of engines vary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cylinders and displacement By simpl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with the fuel injection amount data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the engine status is efficiently checked according to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eng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apable of diagnosing a condi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은,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와,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와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와, 상기 상태 분석 단계(S5)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단계(S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each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 sensor signal input step (S1)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2)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fault differenc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3)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nd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4)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d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failure Primary control group (F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comparing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An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of display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alyzed through the state analysis step (S5);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In addition,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An)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An)의 최대값(Maxn)과 최소값(Minn)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신차 대조군 변동폭(Dn)을 구하는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와,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maximum value Maxn and the minimum value Minn of the average value An for each cylinder were obtained. A new vehicle control variation calculation step (S10a) of selecting and obtaining a difference to obtain a new vehicle control variation range (Dn); and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을 구하는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b);와,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select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mean value for each cylinder, and calculate the difference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Df ) Calculates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variation range (S10b) to obtain;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와, After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select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value for each cylinder, and obtain the differenc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t Measurement target vehicle fluctuation range calculating step (S10c) for obtaining;

상기 신차 대조군 변동폭(Dn), 상기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1)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10d);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unit that obtains an engine state level value EL1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1) using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variation width Dn, the failure difference control group variation width Df and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variation width Dt Step SlOd; And a step of analyzing the state of fluctuation of the state (S10).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1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1

이 경우 상기 K는 소정의 보정계수 이다.
In this case, K is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또한,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In addition,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신차 정규분포 함수(Fn)를 구하는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와, After deriving the minimum, maximum,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values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a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of obtaining a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 S20a);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를 구하는 고장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b);와,After calculat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or obtaining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Derivation step (S20b);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와,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or obtain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and,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에 대하여, 상기 신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신차 변량 보정 계수(kn)를 곱한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를 구하는 신차 분포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d);와,Deriving a new-vehicle distribution correcting function (Fcn) by multiplying the new-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by a new-vehicl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n) based on an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new-vehicle mean value; Wow,

상기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에 대하여, 상기 고장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고장차 변량 보정 계수(kf)를 곱한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를 구하는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e);와,Deriving a failur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by multiplying the failur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by a failure differenc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f) based 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failure average value, Step S20e;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f);와,(Fct), which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by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t) based 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average value, A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f;

상기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 상기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에 하여, 소정의 각각의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에 관하여 적분하여 신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구하는 분포 보정 함수 적분 단계(S20g);The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the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t are integrat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upper section Sh and lower section Sl. A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integration step (S20g) for obtaining a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n, a faulty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f and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t;

상기 신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2)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20h);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that satisfies Equation 2 using the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n), the faulty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f) and the target vehicle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t).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20h) of obtaining (EL2); And a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2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2

또한,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In addition,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30a);와,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or obtain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Function derivation step (S30a); and,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각 연료 분사량별 발생 빈도수(Pt)와 각 연료 분사량별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값과의 차이인 구간별 빈도차(PD)를 계산하는 구간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b);와,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Pt of each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d th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Section frequency calculation step (S30b) for calculating the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and,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소정의 상위구간(Sh), 중간 구간(Sm) 및 하위 구간(Sl)로 구분하여, 상기 상위구간(Sh) 및 상기 하위 구간(Sl)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양인 경우만을 선별하여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고, 상기 중간 구간(Sm)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음인 경우만을 선별하여 상기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는 구간별 빈도차 선별 단계(S30c);와,A distribution section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upper section Sh, an intermediate section Sm and a lower section Sl, and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PD) value of the interval is selected to select the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S). In the middle interval (Sm), only the case in which the frequency difference difference value (PD) A step S30c of frequency-difference discrimination for each interval selected by the frequency difference PS,

상기 선별 빈도차(PS)에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따르는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구하는 보정선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d);와,A correction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Dc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S by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t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 frequency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30d;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평균값을 중심으로 가속구간(Sa)과 감속구간(Sd)로 구분한 후, 상기 가속구간(Sa)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구간(Sd)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감속 빈도값(Pd)를 각각 구하는 빈도값 계산 단계(S30e);와,(Sd) based on the mean value as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nd then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e acceleration section (Sa) (Pd) obtained by integrating or integrating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e deceleration section (Sd) obtained by integration or section-by-section addition and the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A step S30e of calculating a frequency value,

상기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 빈도값(Pd)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을 충족하는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30f);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zing step (S30f) of obtaining an engine occupant level value (EL3)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the acceleration frequency value (Pa) and the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And a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3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는,
On the other hand,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device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OBD-2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 출력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 필요한 상기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와,The new vehicle control unit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 which are connected to the sensor signal output unit 20 including the OBD-2 connector 10 of the vehicle, are required for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A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that receives each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of T);

상기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4항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주 제어 장치(120);와, A main control device (120)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to perform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엔진 연소상태 검사 분석 과정 및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A display unit 13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for visually displaying an engine combustion state inspection analysis result and a result,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peration input unit 14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and receiving a user's operation input;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150) 또는 인터넷 망(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 제어 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수행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기(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or the Internet network 1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External terminal device 170 that can query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analysis;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를 신차 대조군(N) 및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차량 엔진의 기본적 작동 원리 및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엔진의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with the fuel injection amount data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the engine can be efficiently operated according to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eng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dition can be diagnosed by checking the condition of.

도 1: 점화 착화 기관 차량에서 연료 분사량에 따른 토크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신차 대조군에서의 연료 분사량 편차를 보여주는 측정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일반적인 수준의 차량에서의 연료 분사량 편차를 보여주는 측정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고장차 대조군에서의 연료 분사량 편차를 보여주는 측정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로서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로서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를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로서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를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로서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를 사용하는 경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로서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를 사용하는 경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
1: A graph showing torque change according to fuel injection amount in an ignition ignition engine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the measuring device show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deviation in the new vehicle control when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measuring device showing a fuel injection amount deviation in a vehicle of a general level when performing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measuring device showing a fuel injection amount deviation in a control vehicle when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showing a flow in the case of using the fluctuation condition analysis step (S10) as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of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where a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is used as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a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8 is a flow chart of the case of using a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as an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of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a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showing.
9 is a display screen when a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is used as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a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ive drawing.
10: Display screen in the case of using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as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of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11 is a block diagram of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apparatus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First,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은 크게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 및 분석 결과 표시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s shown in Figure 5,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the new car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2), fault car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3), the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4,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and the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먼저,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이 경우, 입력받는 센서 신호들은 디젤 엔진과 같은 압축착화 기관의 경우, 점화연소 엔진과 유사하나 점화계통 관련 신호들이 제외되고 연료 분사를 위한 제어 장치과 관련된 센서 신호들이 추가되는 것으로 연료 분사량, 엔진 회전수, 차량주행속도, 엔진 냉각수 온도 신호 등 엔진 제어에 관련된 각동 구동계통의 구동상태 그리고 차량과 엔진의 작동상태에 관련된 제반 정보(이를 이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는 서비스 데이터라고 통칭하며 이하 서비스 데이터라고 칭한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신호들은 OBD-2 규격에 의해 차량에 이씨유(ECU:Engine control unit)로부터 계측 제어기 통신망 (CAN : controller area network ) 또는 K-Line을 통하여 표준화된 단자(OBD2단자 : 서비스 데이터를 받기 위해 연결하는 단자로서 이후 이를 OBD2단자라고 칭한다)를 통하여 전송되어 진다.
First,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will be described.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is a step of receiving a sensor signal including a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of each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s shown in FIG. 11. . In this case, the received sensor signals are similar to the ignition combustion engine in the case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such as a diesel engine, but the signals related to the ignition system are excluded and the sensor signals related to the control device for fuel injection are add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state of each drive system related to engine control, such as vehicle running speed, engine coolant temperature signal, and operating state of vehicle and eng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ice data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hereto). It is a step of receiving various service data including. In this case, the signals are standardized from the engine control unit (ECU)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BD-2 standard through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or a K-Line (OBD2 terminal: service data). It is a terminal to connect for receiving, and then it is transmitted through OBD2 terminal).

상기 OBD-2(On-Board Diagnosis-2)는 미국의 자동차 배출가스 관련 규제 중 하나로서 국내에도 상당부분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로 차량 운행 중 배출가스 제어부품이나 시스템을 진단하여 유해한 배출가스가 기준 이상으로 나올 수 있는 상황이 나타나면 이와 관련된 부품이나 시스템 등에 대해서 비정상으로 판정하고 고장코드(DTC : Diagnostic Trouble Code)를 저장하고 경고등(MIL : Malfunction Indicator Light)이 켜지도록 규정하고 이와 연관되는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 표출하는 방법 등을 규정한 법규이다.
The On-Board Diagnosis-2 (OBD-2) is one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automobile exhaust gas in the United States. It is applied to a similar part in Korea. It is a computer embedded in a vehicle. (DTC) is stored and a warning light (MIL: Malfunction Indicator Light) is turned on when a hazardous exhaust gas is emitted beyond the reference level. And a method of expressing service data related thereto.

처음 적용된 기존 OBD 시스템들은 전자부품과 결선의 단락 등의 점검만을 행했기 때문에 촉매나 산소센서의 열화, 센서나 액츄에이터의 비정상적인 거동 등에 의해 배출가스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진단장비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고장코드, 경고등의 점등기준과 저장된 정보의 형태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차량이나 제작업체마다 다른 커넥터가 필요하였고 고장코드를 해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른 자료가 있어야 하는 등 많은 혼선과 불편을 초래하였다.Existing OBD systems applied for the first time only check the electronic parts and the wiring, so it is not known that the exhaust gas increase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catalyst or oxygen sensor, abnormal behavior of the sensor or actuator, etc. The standards of lighting and stored information of connectors, fault codes, and warning lights have not been standardized, so different vehicles and manufacturers need different connectors, and different data must be provided to interpret fault codes. It wa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용 진단장비 연결 커넥터와 통신사양 전자제어 부품의 용어와 고장코드 그리고 서비스 데이터들의 단위와 표출 방법 등을 표준화된 것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고장이 발생되면 배출가스가 증가될 항목 별로 고장판정 기준과 진단 요건 등을 추가하여 개정한 것이 OBD-2 법규이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rminology and fault code of the communication connector, the communication specification electronic control part, the unit of the service data, 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general purpose diagnostic equipment as a standardized one. The OBD-2 regulation was amended by adding criteria and diagnostic requirements.

OBD-2 법규가 발효되면서 기존에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로 엔진 제어 관련하여 단순 고장만을 진단하고 자동차 제작사에서 임으로 정하여 표출하는 고장코드와 경고등 점등 등에 관련된 기술적인 내용을 OBD-1이라고 정의하고 배출가스가 기준이상으로 과다하게 배출하는 경우 이에 관련된 부품이나 시스템에 대해서 고장을 진단하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고장코드와 경고등 점등하는 방법 이와 관련된 서비스 데이터 표출등에 관련된 기술적 내용을 OBD-2라고 정의하였으며, OBD-2이후 경고등이 점등된 경우 기능 상 고장이 아니고 배출가스가 과다하게 나오는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지 않아도 차량 운행 상에 어려움이 없어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조치를 하지 않고 운행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자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상 이를 수리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운행 등을 제한하는 등의 배출가스 과다 배출하는 경우 이에 대한 개선 조치를 강제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기술적 내용을 OBD-3로 정의하여 구분하고 있다. As the OBD-2 Act went into effect, the techn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ult code and warning lamp lighting, which was diagnosed by the car manufacturer and designated by the car manufacturer, was only defined as OBD-1. If excessive discharge is over the standard, diagnose the failure of related parts or system and turn on the fault code and warning lamp in a standardized way.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service data display, etc. are defined as OBD-2. If the warning light turns on after 2 If there is not a malfunction and there is an excessive amount of exhaust gas, it is not difficult to operate the vehicle without repairing it. If the earth warning lamp is on, In case of no repair, OBD-3 is defined as a comprehensive technical content for compulsory improvement measures in case of excessive emissions such as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vehicles.

OBD-2 법규에 따른 진단항목은 촉매, 엔진실화, 연료계, 냉방기 냉매의 유출, 증발가스 시스템의 누출, 산소센서, EGR, Thermostat,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밸브, 기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의 제어나 진단에 사용되는 센서와 솔레노이드 등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추가적으로 특정 명칭이나 범위를 지정하지는 않았으나, 배출가스가 기준 이상으로 나올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Diagnosis items in accordance with OBD-2 regulations include catalysts, engine burns, fuel gauges, coolant coolant leaks, evaporative gas leaks, oxygen sensors, EGR, Thermostat, PCV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s and other engine or transmission controls. It includes all sensors and solenoids used for diagnosis, and does not additionally designate a specific name or range, but includes all factors that can cause emissions to exceed the standard.

OBD-2 법규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은 ISO9141-2 또는 KWP2000의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AN 또는 K-Line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SO9141-2와 KWP2000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지정한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이다. The transmission of data according to OBD-2 regulations is done via CAN or K-Line using ISO9141-2 or KWP2000's vehicle fault diagnosis standard protocol. The ISO 9141-2 and KWP 2000 are standard protocols for vehicle failure diagnosis specified by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nd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상기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소규모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차세대 차량용 진단 통신 방식으로 자동차의 각종 계측 제어 장비들 간에 디지털 직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상기 CAN은 차량 내 전자 부품의 복잡한 전기 배선과 릴레이를 직렬 통신선으로 대체하여 지능화함으로써 중량감과 복잡성을 줄이고,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서의 많은 종류의 실시간 요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전자적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이상 유무를 진단하고, 운전 중 돌발 상황 시 유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ISO 표준 규격으로서 첨단 자동차 전장 시스템에 적용되며 엔진 관리, ABS(Anti-lock braking systems), 변속기 제어 계통(TMS :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공조 장치, 문 잠금 장치, 거울 조정 등의 시스템 통합이 가능하다. 상기 CAN의 전송 속도는 500Kbps~1Mbps로 기존 통신 속도에 비해 50배 이상 빨라서 최근에 대부분 이것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K-Line은 OBD 법규에 의해 명명된 차량용 진단 통신라인으로 10.4Kbps의 속도를 가진다.The CAN (Controller Area Network) is 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small range, and is a vehicle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measurement control equipment of a vehicle by a next generation vehicle diagnostic communication method. The CAN meets many kinds of real-time demands in the vehicle because it can reduce the weight and complexity, and transmit data at a very high speed by intelligently replacing the complicated electrical wiring and relay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vehicle with serial communication lines. In addition, it can diagnose abnormality caused by electronic interference and communicate organically in case of accident during driving. As an ISO standard, it is applied to advanced automotive electronic systems and can integrate systems such as engine management, anti-lock braking systems (ABS),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s (TMS), air conditioning, door locks, and mirror adjustment. .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CAN is 500Kbps ~ 1Mbps, which is more than 50 times faster tha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peed, and most of them have recently applied this. On the other hand, K-Line is a vehicle diagnostic communication line named by the OBD regulations and has a speed of 10.4 Kbps.

상기 본 발명도 CAN 통신을 통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차량 제어용 컴퓨터인 이씨유(ECU)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의 상태를 매우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었으며 CAN 통신 이외의 방법으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경우와 CAN 통신이지만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인 이씨유에서 OBD2단자로 서비스 데이터 송신을 느리게 한 경우에는 통계적인 분석에서 필요한 표본 수(수신된 연료분사량 값의 개수)만큼 수신하기 위하여 좀 더 긴 시간 동안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receive the service data from the ECU (ECU),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at a very high spe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gine very quickly and the service data in a method other than CAN communication In case of receiving communication and CAN communication but slowing service data transmission to OBD2 terminal from Lee C.Yu, a computer embedded in the vehicle, it is more necessary to receive as many samples (number of received fuel injection values) in statistical analysis. The service data should be received for a long time.

다음으로,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신차 대조군(N)에서 측정된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신차 대조군(N)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한 후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상태가 매우 우수한 가상의 차량의 분포 데이터를 신차 대조군(N)의 표준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Next, a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5, in the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2,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is obtained by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measured in the new vehicle control N. It is a step of measuring. In this case, in order to measure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s repeatedly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new vehicle control N, and then stored in a database. After that, it is preferable to measur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in general, it is also possible to use distribution data of a virtual vehicle having excellent condition as a standard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다음으로,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을 구성하기 위한 고장차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서, 실험적으로는 측정대상 차량의 엔진의 실린더 중 1개의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를 제거하는 등의 조작을 하여 정상적인 엔진의 작동이 어려운 상태로 만드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상기 고장차의 상태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역시,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고장차 대조군(F)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한 후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fault-car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3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ault differenc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3 is a step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n this case, in order to reproduce the state of the faulty vehicle for configuring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experimentally, an operation such as removing a spark plug of one cylinder among the cylinders of the engin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state of the faulty vehicle through operations such as making the operation difficult. In this case, too, in order to measure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s repeatedly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and then databased. After the storage,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다음으로,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한 후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4 will be described. The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4 is a step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o be analyzed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too, in order to measure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 is repeatedly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d is then databased. After the storage,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preferably measured.

한편, 상기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 내지 상기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에서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측정하는 소정의 상기 시간 간격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 측정값들이 전체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조군 또는 측정군을 형성할 수 있는 갯수만큼 누적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 측정값이 1초에 10번 가량 측정이 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조군을 형성하기 위하여 약 1000개의 측정값이 필요한 경우라면, 소정의 상기 시간 간격은 약 100초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측정하는 소정의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가 측정되는 주기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조군을 형성할 수 있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측정값의 갯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수준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measu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n the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2) to the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4) is generally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measurement values as a whole It is desirable to have a time interval that can accumulate as many as can for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ol or measurement group. Thus, for example, if the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 measurement is measured about 10 times a second, and about 1000 measurements are needed to for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ol,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about 100 seconds or mor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measur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asurement values required to for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ol with the period in which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is measured.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 normal level of knowledge in this technical field.

다음으로,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와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Next,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5,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includes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group F. And comparing and analyz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o determine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이러한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 또는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may be configured in a wide variety of embodiments, and in one embodiment,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and the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as shown in FIGS. 6 to 8. S20) or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이하에서는,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 또는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에 관하여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the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or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는 상기 신차 대조군(N) 및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 데이터의 비교적 간단한 통계적 특성들과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들을 서로 비교/분석하여 엔진 상태를 검사/분석하는 단계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b),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will be described.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is a relatively simpl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data of each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and the faulty vehicle control (F) and the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Comparing / analyz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ith each other to check / analyze the engine condition, as shown in FIG. 6, the new vehicle control variation calculation step (S10a),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variation calculation step (S10b),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It comprises a calculation step (S10c),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10d).

이 경우,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는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An)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An)의 최대값(Maxn)과 최소값(Minn)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신차 대조군 변동폭(Dn)을 구하는 단계이다.
In this cas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variation of the new vehicle control step (S10a) obtains an average value An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n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An of each cylinder. The maximum value (Maxn) and the minimum value (Minn) of the step to find the difference to obtain a new car control variation range (Dn).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b)는,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을 구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10b of calculating a vehicle difference control step S10b, afte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vehicle difference control group F,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value for each cylinder are selected. The difference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control faults (Df).

다음으로,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구하는 단계이다.
Nex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fluctuation calculation step (S10c),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average value for each cylinder and In this step,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values is selected and the difference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Dt) is obtained.

이와 같이 상기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 내지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신차 대조군 변동폭(Dn), 상기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1)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10d)를 수행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After performing the steps S10a to S10c of calculating the variation range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S10a) to the calculation of the variation range of the vehicle-to-be-measured (S10c), the variation range D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the variable-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10d for obtaining an engine state level value EL1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1) is performed by using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Dt to determine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T. [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4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4

이 경우 상기 K는 소정의 보정계수로, 엔진 상태 수준값이 0~1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거나, 0~100% 사이의 백분율로 표시되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K is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is represented by a value between 0 and 1, or between 0 and 100%.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통하여 나타난 값이 0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는 상기 신차 대조군(N)에 가까운 상태가 되며, 상기 보정계수 (K)가 1인 경우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통하여 나타난 값이 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는 상기 고장차 대조군(F)에 가가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becomes closer to the new vehicle control N as the value shown through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is closer to 0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K becomes 1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closer to the failure control group F as the value shown through the variable width state analysis step S10 is closer to 1.

한편,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는, 상기 신차 대조군(N) 및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파워/밸런스량 분포 데이터의 비교적 간단한 통계적 특성들과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파워/밸런스량 분포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들을 서로 비교/분석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서는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대신 상기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파워/밸런스량 신호를 입력받는다.
On the other hand, the fluctuation state analysis step (S10), the relatively simpl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power / balance amount distribution data of each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and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of the vehicle (T)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 analyze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 balance distribution data. In this case, in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instead of receiving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s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faulty vehicle The power / balance signal of each of the control group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input.

그 후, 상기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b) 및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에서는 각각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 연료 분사량(Sn),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각각 구하는 대신 각각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 파워/밸런스량 분포 데이터,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 파워/밸런스량 분포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 파워/밸런스량 분포 데이터를 구한 후, 각각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각각의 변동폭(Dn,Df,Dt)를 구한다.
Then,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in the new vehicle control range calculation step (S10a), the vehicle control group control range calculation step (S10b)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range calculation step (S10c), respectively. Instead of obtaining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control group F, and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respectively, the new vehicle Power / balance amount distribution data for each cylinder of the control group N, power / balance amount distribution data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and power / balance for each cylinder of the vehicle to be measured T After obtaining the balance amount distribution data,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for each distribution data, and th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verage values for each cylinder are selected, and the difference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tion range (Dn, Df, Dt). Obtained.

그 다음으로,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1)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10d)를 수행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수행하되, 연료 분사량 대신 파워/밸런스량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Next,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zing step S10d for obtaining an engine state level value EL1 satisfying Equation 1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by performing the fluctuation range analysis step S10 but receiving a signal for power / balance amount instead of fuel injection amount.

다음으로,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는 차량 제어용 컴퓨터인 이씨유(ECU)로부터 연료 분사량 값을 엔진의 각 실린더에 관계없이 송신하는 경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차 대조군(N) 및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 데이터의 정규 분포 함수를 구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 데이터의 정규 분포 함수와 서로 비교/분석하여 엔진 상태를 검사/분석하는 단계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 고장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b),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 신차 분포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d),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e),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f), 분포 보정 함수 적분 단계(S20g) 및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20h)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the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will be described. The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is preferably applied when transmitting a fuel injection amount value from the engine control computer (ECU) irrespective of each cylinder of the engine, the new car control (N) and the faulty car Obtaining a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of each engine fuel injection quantity distribution data of the control group F, and comparing / analyzing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engine fuel injection quantity distribution data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o inspect / analyze the engine state As shown in FIG. 7, a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a), a fault differenc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b),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and a new car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d),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f),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integration step (S20g) and engine state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the reference, the analysis phase (S20h).

이 경우, 상기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는,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신차 정규분포 함수(Fn)를 구하는 단계이다.
In this case, the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a),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is step calculates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정규 분포 함수는 평균이 m, 표준편차가 σ인 변량 X가 아래 수학식 4에 따라 주어지는 확률밀도함수 f(x)를 가질 때, X는 정규분포를 한다고 하게 된다.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is assumed to have a normal distribution when the variance X having an average m and a standard deviation σ has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 (x)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5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5

이 함수는 이항분포에서 차수(power)를 충분히 크게 한 경우에 어떤 양을 측정해서 얻는 우연오차의 확률분포로부터 생기는 함수로서 통계방법론상 가장 중요한 것이며, 대수법칙도 이 함수의 성질로부터 설명된다. 또한 표본추출조사를 할 때에는 주로 이 함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This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statistical method as a function from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random errors obtained by measuring a quantity when the power is sufficiently large in the binomial distribution, and the logarithmic law is also explained from the nature of this function. In addition, this function is mainly used for sampling survey.

다음으로, 고장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b)는,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를 구하는 단계이다.
Next, the step differenc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b),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mean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F), In this step, the error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is obtained.

다음으로,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단계이다.
Nex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n this step,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s obtained.

이러한 상기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 내지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를 통하여 도출된 각각의 정규분포함수는, 엔진의 연료 분사량를 변량으로 하는 그래프 상에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도 9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신차 정규분포 함수(Fn)는 평균값(중심값) 부근에서의 확률이 높고 비교적 좁게 분포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고, 도 9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현된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는 평균값(중심값) 부근에서의 확률이 낮고 비교적 넓게 분포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도 9에서 실선으로 표현된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는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와 상기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의 사이에 위치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정성적으로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형상이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의 형상에 가까와질수록 엔진 상태는 양호한 상태(신차에 가까운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형상이 상기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의 형상에 가까와질수록 엔진 상태는 불량한 상태(고장차에 가까운 상태)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Each of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s derived through the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a) to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is shown in FIG. 9 on a graph of vary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engine. It will have the same shape as That is, the new-order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in FIG. 9 has a shape having a high probability and relatively narrow distribution near the mean value (center value), and a fault-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represen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9. (Ff) has a low probability and relatively wide distribution near the mean value (center value),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in FIG. 9 is equal to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located betwee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Therefore, qualitatively, as the shap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pproaches the shape of the new-mode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engine state can be judged to be in a good state (state close to the new vehicle) As the shap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pproaches the shape of the failur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the engine state can be determined to be in a poor state (a state close to the failure).

한편, 도 9에 도시한 경우는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 각각의 평균값이 일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표현한 것으로, 실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그래프는 각각 x축인 엔진 연료 분사량(s)축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대상차량 정규분포함수에서 평균값이 상이하여 x축 상에서의 이동되는 경우는 상기 수학식 3을 통하여 엔진 길들이기 수준을 분석할 때 고려된다. 즉 측정 대상차(T)의 엔진의 전반적인 수준을 신차(N)와 고장차(F) 사이에 어느 정도에 해당되는 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의 평균값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verage values of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coincid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graphs of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re formed by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x-axis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s) axis, respectively. Can be. In this case, the case where the average value is different in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and shifts on the x-axis is considered when analyzing the engine taming level through Equation 3 above. That is, in order to analyze how much the overall level of the engin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falls between the new vehicle (N) and the faulty vehicle (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nd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 The mean value of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is made equal.

한편, 상기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 내지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를 통하여 도출된 각각의 정규분포함수 자체는, 소정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의 확률을 나타내 주는데 불과하므로, 엔진 연료 분사량의 분포정도 및 변화량까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 데이터에서 소정의 엔진 연료 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의 확률에 더하여 엔진 회전시기의 변화량(또는 분포량)에 의한 실질적인 엔진 회전수 변화량을 나타낼 수 있는 함수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소정의 연료 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 적분하는 경우 나오는 값은 단순히 상기 소정의 연료 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 상기 연료 분사량가 분포할 확률만을 나타내 주는 값에 불과하다. 따라서, 연료 분사량 분포 전 구간으로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적분값은 모두 1 즉 100%가 되어버린다.
Meanwhile, each of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s derived through the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a) to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has a probability in a predetermined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value se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degree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the actual engine rotation is caused by the change amount (or distribution amount) of the engine rotation time in addition to the probability of the predetermined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value range in the engin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data. Converting to a function that can represent a change in number is required. That is, when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re integrated in a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value section, the value obtained is simply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It is only a value indicating the probability that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distributed in the distribution value section. Therefore, the integral values of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re all 1, i.

이러한 변환을 위하여,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는 각각 신차 분포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d),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e) 및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f)를 거치게 된다.
For this conversion,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ilure normalization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re derived from a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d, Step S20e and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f.

여기서 보정 함수라 함은 연료분사량 변화량을 엔진 회전수 변화량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계수를 사용하여 보정한 함수로서, 정규 분포 함수에 대하여 상기 변환계수를 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연료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 적분하여 나온 값이 상기 소정의 연료분사량 분포값 구간에서의 엔진 회전수의 변화량의 총량이 되는 것이다.
Here, the correction function is a function corrected using a conversion coefficient for converting a fuel injection amount change into an engine speed change amount, and when the conversion factor is multiplied by a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in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value section. The integrated value is the total amount of the change amount of the engine speed in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value section.

이 변환계수 값은 엔진의 압축비와 배기량 그리고 실린더의 수 등 엔진의 종류에 따라 공기와 연료의 공연비, 엔진 회전수 등의 차이에 의하여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본 발명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value of this conversion coefficient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engine, such as the compression ratio, the displacement, the number of cylinders, and the air / fuel ratio, the engine speed, etc.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ifference is not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t all.

일단 첫 번째로, 연료분사량 분포 전 구간을 임의의 몇 단계로 나눈 경우 각 각의 구간별로 보았을 때, 본 발명은 신차(N), 고장차(F), 대상차(T)의 경우 같은 차종의 같은 엔진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므로 보정함수 값은 동일하다. 물론 노화에 따라 연료 분사량 변화에 대한 회전수 변화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노화에 의한 인자까지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본 내용의 기술적인 분야에 해당되는 전자제어 메이커에서 사용하는 보정계수는 통상 신차 기준으로 한가지로서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수학식 2에 보정함수가 대입되는 경우 분모 분자 모두 동일하게 대입되므로 삭제될 수 있어 값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게 된다.
First, when the entire section of the fuel injection distribution is divided into several arbitrary stages, and when viewed in each of the s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ame type of vehicle as in the case of a new car (N), a faulty car (F), and a target car (T). Since the same engine is being analyzed, the correction function values are the same. Of cours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 change with respect to the fuel injection amount change depending on the aging, but it is not practical to consider such factors due to aging,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used in the electronic control maker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a new car. Use as one standard. Therefore, when the correction function is substituted into Equation (2), denominator molecules are all substituted equally and can be deleted, so that they are not related to the magnitude of the value.

두 번째로, 연료분사량 분포 전 구간으로 하는 경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적분할 때 각각의 연료분사량 변화량에 변환계수를 곱한 후에 적분을 하는 경우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크게 변한 경우 적분값은 크게 나오고 반대로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적은 차량의 적분값은 작게 나오는 것이다. 즉 연료분사량 값에 보정함수를 곱하지 않고 연료분사량 분포 전구간에 대해서 정규분포함수를 적분하는 경우 단순 확률로서 모두 1(100%)가 나오게 되지만 ,각각 연료분사량 값에 변환계수를 곱하여 적분한 경우 엔진 회전수 변화량이 되는 것으로 결국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적분값도 커지게 된다.
Second, in the case of the entire fuel injection distribution, the conversion coefficient is changed to each fuel injection variation when integrating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d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ntegrating after multiplying results in a large change in the fuel injection quantity change, which results in a large integration value. In other words, if you integrate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or all fuel injection distributions without multiplying the fuel injection value by the correction function, you will get 1 (100%) as a simple probability, but if the fuel injection value is integrated by multiplying the conversion factor, the engine The greater the amount of change in fuel injection amount, the greater the integral value becomes.

결국 보정함수 값의 오차는 신차(N), 고장차(F), 대상차(T)의 각각의 엔진회전수 변화 총량에는 오차가 발생시키지만 신차(N), 고장차(F), 대상차(T)의 각각의 엔진 회전수 변화량의 상대 비율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환계수의 값은 실험적으로 공회전 상태에서 무부하 조건으로 엔진 전 실린더에 대해서 연료분사량 1mCC의 변화는 100-300rpm의 엔진 회전수 변화를 보이므로 통상 중간값인 150를 엔진의 전 실린더의 연료분사량 값을 하나의 값으로 수신하는 경우 그대로 사용하고 각 실린더 별 개별적으로 연료분사량 값을 수신하는 경우는 상기 중간값 90를 실린더 수로 나눈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result, the error of the correction function value causes an error in the total amount of engine speed change of the new car (N), the fault car (F), and the target car (T), but the new car (N), the fault car (F), and the target car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lative ratio of each engine speed change amount of T). Therefore, the value of the conversion coefficient experimentally changes the fuel injection amount 1 mCC for all the cylinders at idle under no load conditions, so that the engine speed change is 100-300 rpm. When the value is received as one value, it is used as it is, and when receiv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value for each cylind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intermediate value 90 by the number of cylinders.

다만 연료분사량 변화량은 즉 도 9에서 보는 경우 x축에서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경우 엔진 회전수 변화를 초래하면서 실제 엔진에서는 진동과 함께 소음이 증가하고 엔진과 차체까지 흔들리게 하는 등의 정숙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다양한 불쾌한 현상을 보인다. However, when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changed from the average value on the x-axis as shown in FIG. 9, it causes an engine speed change, and in real engines, noise increases with vibration, and it is undesirable in terms of quietness such as shaking the engine and the body. It shows various unpleasant phenomena.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료분사량 변화량 즉 도 10에서 x축을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5단계로 나누어 각각 추가의 계수 값을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단계로 진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0-0.3mCC 정도)를 정상 범위라고 하여 보정함수의 값을 0에 가깝게 하고 2단계로 진동이 발생하지만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의 범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0.4-0.6mCC), 3단계로 진동과 함께 소음 차체 진동 등이 발생하는 범위로서 다소 신경이 쓰이는 정도(연료분사량 범위로 0.7-0.9mCC), 4단계로 3단계가 심한 것으로 불쾌함도 느끼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1.0-1.2mCC), 마지막 5단계는 심한 진동과 함께 엔진 흔들림 등을 유발하여 엔진에 큰 무리가 있는 듯한 우려를 나타내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1.2mCC 이상)로 나누어 1단계에 가까울수록 0에 가깝게 5단계에 가까울수록 1에 가깝게 추가의 보정값을 추가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fuel injection amount change, that is, the x-axis in 5 steps away from the average value in FIG. In other words, the level where vibration is hardly seen in one step (0-0.3 mCC as the amount of fuel injection change) is called the normal range, and the value of the correction function is close to zero, and the vibration occurs in two steps, but it is not concerned. (0.4-0.6mCC in the amount of change in fuel injection), the noise car body vibrations occur along with the vibration in three stages, and the degree of anxiety (0.7-0.9mCC in the fuel injection range) is severe. Degree of unpleasant feeling (1.0-1.2mCC in fuel injection change), and the last 5 stages show the fear that the engine may be overwhelmed due to severe vibration and engine shake (1.2mCC or more in fuel injection change) It is also realistically possible to add additional corrections as the first step is closer to zero and the closer to five steps is closer to one.

참고적으로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 각각의 평균값이 같도록 일치시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으로 상기 수학식 2에 적용되는 연료분사량 변화량이라 함은 실제 연료분사량 값과 평균값에의 차이가 된다.
For reference, the reason why the average values of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re equal to each other is the same. The change in fuel injection amount applied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fuel injection value and the average value.

신차 분포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d)는,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에 대하여, 상기 신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신차 변량 보정 계수(kn)를 곱한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신차 변량 보정 계수(kn)는 실험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신차 변량 보정 계수(kn)를 적용하고자 하는 구간에서 상기 신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값으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9에서 소정 연료 분사량 구간(위치)에서의 상기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는, 상기 신차 평균값을 나타내는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의 중심축(대칭축)으로부터 상기 소정 연료 분사량 구간(위치)까지의 변량의 절대값(즉,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의 중심축(대칭축)으로부터 상기 소정 연료 분사량 구간(위치)까지의 거리의 절대값)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정함수의 값에 대한 설명처럼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해서 동일한 보정함수를 적용하며, 추가로 연료분사량의 변화량이 커지는 경우 즉, 도 9에서 x축을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각각 구간별로 외부로 나타나는 엔진의 현상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줄 수 있는 추가의 보정 계수 값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The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d) includes a new car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multiplied by the new car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multiplied by the new car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n) by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new car average value. It's a step. In this case, the new vehicl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n can be set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and it is possible to linearly change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new-vehicle average value in the section to which the new- It is common to be given a proportional value. That is, in FIG. 9, the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in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section (position) is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section (from the central axis (symmetry axis) of the new car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representing the new car average value). It is possible to set to a value proportional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ble amount up to the position (that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symmetry axis) of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o the predetermined fuel injection amount section (position)). Do. In this case, the sam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o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s described for the value of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jection amount increases, that is, in FIG. 9, the x-axi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way from the average value to give an additional correction factor value that may be weighted in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the engine appearing in each section.

다음으로,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e)는 상기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에 대하여, 상기 고장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고장차 변량 보정 계수(kf)를 곱한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고장차 변량 보정 계수(kf) 역시 실험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고장차 변량 보정 계수(kf)를 적용하고자 하는 구간에서 상기 고장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값으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역시, 상기 보정함수의 값에 대한 설명처럼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해서 동일한 보정함수를 적용하며, 추가로 연료분사량의 변화량이 커지는 경우 즉, 도 9에서 x축을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각각 구간별로 외부로 나타나는 엔진의 현상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줄 수 있는 추가의 보정 계수 값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Next, the failure distribution correcting function derivation step (S20e) derives the failure distribution normalization function (Ff) by multiplying the failure differenc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f) by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failure average value And obtaining a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set the error correction coefficient kf,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error correction coefficient kf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error difference average value It is generally given as linearly proportional values. In this case, the sam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o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s described for the value of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case where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increased, that is, in FIG. 9, the x-axi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way from the average value to give an additional correction factor value that may be weighted in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the engine appearing in each section. .

다음으로,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f)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는 실험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적용하고자 하는 구간에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값으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상기 보정함수의 값에 대한 설명처럼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해서 동일한 보정함수를 적용하며, 추가로 연료분사량의 변화량이 커지는 경우 즉, 도 9에서 x축을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각각 구간별로 외부로 나타나는 엔진의 현상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줄 수 있는 추가의 보정 계수 값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Nex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ng function deriving step S20f is a step of deriving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kt (k)) based 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average value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 To obtain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ng function Fct. In this case also,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t can be set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and in the section to which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t is to be applied, the variation from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average value And is generally given as a value that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absolute value of? In this case, the sam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o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s described for the value of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jection amount increases, that is, in FIG. 9, the x-axi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way from the average value to give an additional correction factor value that may be weighted in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the engine appearing in each section.

다음으로, 분포 보정 함수 적분 단계(S20g)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규분포함수 적분 단계(S20g)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 상기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소정의 각각의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평균값보다 크게 나오는 영역으로 엔진 회전을 빠르게 하는 구간(이를 이후 상위 구간으로 칭한다)(Sh) 및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평균값보다 작게 나오는 영역으로 엔진 회전을 느리게 하는 구간(이를 이후 하위 구간으로 칭한다)(Sl)에 관하여 적분하여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함수(Fn)에 신차대조군 변량보정계수(kn)을 곱하여 적분한 신차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정규분포함수(Ff)에 고장차대조군 변량보정계수(kf)을 곱하여 적분한 고장차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함수(Ft)에 측정대상차 변량보정계수(kt)을 곱하여 적분한 측정대상차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구하는 단계이다.
Next, th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integration step S20g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integration step S20g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the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t. Engine rotation in a region where speed of engine rotation is acceler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per section) (Sh) and a region in which fuel injection quantity change is smaller than an average value, as shown in FIG. The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amount (Dev_n) integrated by multiplying the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by the new vehicle control variable correction coefficient (kn) by integrating with respect to the section for slowing dow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section) (Sl). The total vehicle engine speed change (Dev_f) and the vehicle to be measured are integrated by multiplying the vehicle control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by the vehicle control group variable correction coefficient (kf). Figures distribution function multiplied by the number of measurement target differenc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t) a measurement target engine speed difference integral to (Ft) is a step of obtaining the total amount of change (Dev_t).

이 경우, 상기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에 관하여 적분을 하는 것은, 엔진 회전수 변화 총량을 구하여 상대비교하여 측정 대상차(T)가 신차(N)과 고장차(F) 사이에 어느정도의 수준를 보이는 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때 상위 구간의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많이 나타나면 엔진이 정상보다 느리게 회전하고 있어 연료분사량을 늘려 엔진 회전력을 증가 시켜 빠르게 회전을 하도록 보정한다는 것이며 반대로 하위 구간의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많이 나타나면 엔진이 정상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있어 연료분사량을 줄여 엔진 회전력을 감소 시켜 느리게 회전을 하도록 보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기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에서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큰 경우 즉 x축에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엔진의 회전수 보정이 크게 되면서 엔진에서 느껴지는 현상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엔진 현상의 불쾌한 정도에 따라 상기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을 역시 실험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정규분포함수의 중심축으로부터 변곡점이 위치하는 δ(표준편차) 만큼 이격된 구간을 각각 상기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integrating with respect to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is to obtain a total amount of engine speed change and make a relative comparison so tha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between the new vehicle N and the faulty vehicle F. It is to analyze how much level is shown in. At this time, if the fuel injection quantity change in the upper section is large, the engine is rotating slower than normal, and the engine speed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engine injection power by increa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It indicates that it is rotating, which reduces fuel injection and thus reduces engine torque and compensates for slower rotation.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fuel injection in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is large, that i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x-axis increases, the engine rotation speed is increased and the phenomenon felt by the engine is changed. Depending on the degre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into several sections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and generally, δ (standard deviation) at which the inflection point is loc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set intervals spaced apart as much as the upper interval Sh and the lower interval Sl, respectively.

다음으로,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20h)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20h)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신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2)을 구하는 단계이다.
Next,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20h will be described. The engine state level analysis step (S20h) is, as shown in Figure 7, the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n), the trouble car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f) and the target vehicle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By using Dev_t,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EL2 satisfying Equation 2 below is obtained.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6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6

이 경우, 상기 엔진 상태 수준값(EL2)이 0에 가까울수록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는 상기 신차 대조군(N)에 가까운 상태가 되며, 상기 엔진 상태 수준값(EL2)이 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는 상기 고장차 대조군(F)에 가가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loser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EL2 is to 0, the closer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to the new vehicle control N. If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EL2 is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closer to the failure control group F as the distance is closer.

다음으로,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는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의 분포 특성을 좀 더 세밀하게 정규 분포로부터 벗어난 정도와 경향(연료 분사량이 증가 또는 감소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가의 여부)까지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30a), 구간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b), 구간별 빈도차 선별 단계(S30c), 보정선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d), 빈도값 계산 단계(S30e) 및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30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will be described.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is even more precisely deviated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whether the fuel injection amount is biased toward the increase or decrease) In order to grasp, as shown in Fig. 8,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S30a), section frequency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30b), section frequency difference selection step (S30c),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30d), the frequency value calculation step (S30e) and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30f).

먼저,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30a)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30a)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단계이다.
Firs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ing step S30a will be describe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ing step (S30a),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measurement target The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s obtained.

다음으로, 구간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b)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각 연료 분사량별 실제 발생 빈도수(Pt)와 각 연료 분사량별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값을 적분하여 계산한 값과의 차이인 구간별 빈도차(PD)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즉, 도 10에서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각 연료 분사량별 발생 빈도수(Pt)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사이의 차이인 구간별 빈도차(PD)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Nex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requency difference for each section (S30b) is the actual occurrence frequency (Pt) of each fuel injection amount and the fuel injection amount of each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 step of calculating a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which is a difference from a value calculated by integrating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That is, in FIG. 10, the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aph indicat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nd the bar graph indicating the occurrence frequency Pt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is calculated.

이 경우, 막대 그래프는 실제 발생한 연료분사량 변화값의 발생빈도수로 전제제어 컴퓨터 이씨유에서 수신한 연료분사량 신호 중에 도 10의 x축 각기의 구간에 해당되는 값이 몇 번 나왔는가를 나타내는 실제 발생횟수이며, 정규분포함수(Ft)을 통하여 계산한 값이라 함은 정규분포함수(Ft)를 도 10의 x축 구간에 대하여 적분을 하여 나온 값에 실제 수신한 연료분사량 신호 전체 수를 곱하여 나온 값이 된다. 이는 본 발명과 관련 있는 통계수학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기본적인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bar graph i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change in fuel injection amount, which is the actual occurrence frequency indicating how many times th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of the x-axis of FIG. The value calculated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s the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with respect to the x-axis section of FIG. 10 by multiplying the total number of fuel injection signal received. . Since this is a basic content widely known in the statistical mathematic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구간별 빈도차 선별 단계(S30c)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소정의 상위구간(Sh), 중간 구간(Sm) 및 하위 구간(Sl)로 구분하여, 상기 상위구간(Sh) 및 상기 하위 구간(Sl)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양인 경우(즉, 각 연료 분사량별 발생 빈도수(Pt)가 각 연료 분사량별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값보다 크게 발생하는 경우)만을 선별하여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고, 상기 중간 구간(Sm)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음인 경우(즉, 각 연료 분사량별 발생 빈도수(Pt)가 각 연료 분사량별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값보다 작게 발생하는 경우)만을 선별하여 상기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위구간(Sh) 및 상기 하위 구간(Sl)에서와 상기 중간 구간(Sm)에서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을 각각 양과 음으로 구별하여 선별하는 이유는, 상기 상위구간(Sh) 및 상기 하위 구간(Sl)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양인 경우가 좀 더 고장차의 경우의 연료 분사량 분포에 다가가는 상태로, 상기 측정대상 차량(T)의 실제 엔진 상태가 통계적인 방법으로 구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서 벗어난 정도(즉 노후 또는 이상이 있는 정도)를 더욱 잘 나타내 주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구간(Sm)에서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음인 경우가 역시 좀 더 고장차의 경우의 연료 분사량 분포에 다가가는 상태로, 상기 측정대상 차량(T)의 실제 엔진 상태가 통계적인 방법으로 구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서 벗어난 정도(즉 노후 또는 이상이 있는 정도)를 더욱 잘 나타내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그래프는 측정 대상 차량이 보편적으로 보여주는 경향의 표준이라는 의미가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Next, in the frequency difference selection step for each section (S30c) by dividing the distribution section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nto a predetermined upper section (Sh), intermediate section (Sm) and lower section (Sl), In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when the frequency difference PD value for each section is positive (that is, the occurrence frequency Pt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is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If only greater than the (Ft) value is selected and selected as the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S), and in the intermediate section (Sm) when the frequency difference (PD) value for each section is negative (that is, generated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Selecting only the frequency frequency PS when the frequency Pt is generated smaller than the measured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value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in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and the middle section Sm by discrimin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respectively, is the upper section Sh. ) And the lower interval Sl is a state in which the value of the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approaches a fuel injection quantity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 faulty vehicle, and the actual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deviation (that is, the degree of aging or abnormality) from the measured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obtained by the statistical method is better represented. Similarly, when the frequency difference PD for each section in the intermediate section Sm is negative, the actual engin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s in a state of approach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 fault car. The state better represents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measured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obtained by the statistical method (that is, the degree of aging or abnormality).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graph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means a standard of tendency tha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universally shows.

한편, 상기 상위구간(Sh), 상기 하위 구간(Sl) 및 상기 중간 구간(Sm)을 구분하여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함수의 중심축으로부터 변곡점이 위치하는 δ(표준편차) 만큼 각각 이격된 구간사이를 상기 중간 구간(Sm)으로, 그 밖의 구간을 각각 상기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and determining the upper section Sh, the lower section Sl, and the intermediate section Sm may be variously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are set as the middle section Sm and the other sections as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respectively, between the sect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xis of the distribution function by δ (standard deviation) It is possible.

본 발명에서는 연료분사량 변화량에 따라 실제 엔진에서 느껴지는 현상의 정도를 기준으로 나누었는데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즉 연료분사량 변화량이 도 11의 x축을 평균값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1단계로 진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0-0.3mCC 정도)를 정상 범위라고 할 수 있는 중간구간(sm)으로 정하고, 2단계는 진동이 발생하지만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의 범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0.4-0.6mCC), 3단계는 진동과 함께 소음 차체 진동 등이 발생하는 범위로서 다소 신경이 쓰이는 정도(연료분사량 범위로 0.7-0.9mCC), 4단계는 3단계에서 느끼는 현상이 심한 것으로 불쾌함도 느끼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1.0-1.2mCC), 마지막 5단계는 심한 진동과 함께 엔진 흔들림 등을 유발하여 엔진에 큰 무리가 있는 듯이 우려를 나타내는 정도(연료분사량 변화량으로 1.2mCC 이상)로 나누도록 하였으며 이 변화량이 양(+)이면 상기 상위구간(Sh)로 음(-)이면 상기 하위구간(Sl)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단계는 본 발명과 같이 엔진현상을 통하여 느끼는 반응 정도에 따라 나누는 정성적인 구분과 운전석 게이지 등에서 보여질 수 있는 눈금(RPM 게이지 변화량)등을 통하여 나눌 수 있는 정량적인 구분이 있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fuel injection amount divided by the degree of phenomenon that is actually felt in the engine, the background is as follows. That is, the amount of change in fuel injection amount away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x-axis of FIG. 11 is determined as the intermediate section sm,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normal range, in which vibration is hardly exhibited in one step (about 0-0.3 mCC as the amount of fuel injection change). The second stage is the range where vibration occurs, but it is not worried about it (0.4-0.6mCC as the variation of fuel injection amount), and the third stage is the range where the noise of the vehicle body vibration occurs along with the vibration (the fuel injection range) 0.7-0.9mCC), the 4th stage is severe in the 3rd stage and the degree of unpleasant feeling (1.0-1.2mCC as the fuel injection change amount), and the last 5th stage causes the engine shaking with severe vibration It is divided into the degree of concern (1.2mCC or more in the fuel injection amount change) as if there is a large crowd, and if the change amount is positive (+), the upper section (Sh) is negative. It was defined as the interval (Sl). These steps ar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that can be divided through the qualitative division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action felt through the engine phenomenon and the scale (RPM gauge variation) that can be seen in the driver's seat gaug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into.

다음으로, 보정선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d)는 상기 선별 빈도차(PS)에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따르는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는 실험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적용하고자 하는 구간에서 상기 측정 대상 차량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값으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2에 적용되는 보정함수(Ft)에 설명된 것과 같이 동일한 이유로 신차(N), 고장차(F), 측정대상차(T)에 대해서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Next,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calculating step S30d calculates the correction target value Kt based 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tion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to the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S, To obtain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t may be set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in the section to which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t is to be applied. It is usually given as a value that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value. In this case, as described in the correction function Ft applied to Equation 2,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ame value for the new car N, the fault car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car T.

다음으로, 빈도값 계산 단계(S30e)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평균값을 중심으로 가속구간(Sa)과 감속구간(Sd)로 구분한 후, 상기 가속구간(Sa)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구간(Sd)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감속 빈도값(Pd)를 각각 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가속구간(Sa)과 감속구간(Sd)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평균값을 중심축으로 하여 구분된다. Next, the frequency value calculation step S30e divides the distribution interval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nto an acceleration interval Sa and a deceleration interval Sd with an average value as a center, ) And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e deceleration section (Sd) by integrating or section-by-section summing up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And a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obtained through the step of FIG.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section Sa and the deceleration section Sd are divid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s a center axis, as shown in FIG. 10.

다음으로,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30f)를 통하여 상기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 빈도값(Pd)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을 충족하는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을 구하게 된다.
Next, by using the acceleration frequency value Pa and the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through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30f, the engine occupant level value EL3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3) is obtained .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7
Figure 112012074918163-pat00007

이 경우, 상기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의 부호는 상기 측정대상 차량(T)의 실제 엔진 상태가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주로 작동하게 되는지(상기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이 양인 경우) 아니면 상기 측정대상 차량(T)의 실제 엔진 상태가 엔진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주로 작동하게 되는지(상기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이 음인 경우)를 알려주는 지표가 된다.
In this case, the sign of the engine taming level value EL3 indicates whether the actual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T is mainly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ngine speed (when the engine taming level value EL3 is positive Or if the actual engine state of the to-be-measured vehicle T is mainly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engine speed (when the engine running level value EL3 is negative).

또한, 상기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의 크기는, 상기 측정대상 차량(T)의 실제 엔진 상태가 엔진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편향된 정도를 나타내 주게 된다.
The magnitude of the engine starting level value EL3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actual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T is bias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engine speed.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 표시단계(S6)에 관하여 설명한다. Finally, the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will be described.

상기 분석 결과 표시단계(S6)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The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is a step of displaying the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alyzed through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as shown in FIG. 5.

이 경우, 상기 분석 결과 표시단계(S6)에서는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를 구성하는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 또는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에 따라 각각 엔진 상태 수준값(EL1), 엔진 상태 수준값(EL2),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을 표시하는 것은 물론,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 각 연료 분사량별 발생 빈도수(Pt) 및 선별 빈도차(PS)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in the fluctuation range analysis step (S10), the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or the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constituting the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EL1,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EL2, and the engine taming level value EL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 or FIG. 10, the new car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 frequency of occurrence Pt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and a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엔진 검사 분석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 주 제어 장치(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조작 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inafter,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apparatus 100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1, the engine inspection and analyz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a main control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n operation input unit 140. It is done.

먼저,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OBD-2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 출력부(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 필요한 상기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파워/밸런스량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는 상기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OBD-2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 출력부(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 필요한 상기 각각의 파워/밸런스량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includes an OBD-2 connector of a vehicle installed in each vehicle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 signal output unit 20 including a) has a function to receive the respectiv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required for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the power / balance amount, the sensor input and output connection unit 110 is applied to each vehicle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It is also connected to the sensor signal output unit 20 including the OBD-2 connector 10 of the installed vehicle, respectively, and ha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respective power / balance amount signals required for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It is preferable.

다음으로, 주 제어 장치(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 제어 장치(12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에 연결되어, 상기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주 제어 장치(120)를 구성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실시되는 기술 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main control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1, the main control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and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The technique of configuring and programming the main control apparatus 120 to have a function of performing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is a technique widely known and practic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it is level,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엔진 연소상태 검사 분석 과정 및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Next, the display unit 130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display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and has a function of visually displaying an engine combustion state inspection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다음으로, 조작 입력부(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 입력부(14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조작 입력부(1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태블릿 등 다양한 입력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Next, the operation input unit 140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manipulation inputter 14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apparatus 120 and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manipulation input of a user. The operation input unit 14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nd a tablet.

한편, 본 발명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150) 또는 인터넷 망(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 제어 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방법의 수행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기(170)는 PDA,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device 100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or the Internet network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An external terminal device 17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160 and inquir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In this case, the external terminal 17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various devices such as a PDA,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N: 신차 대조군 F: 고장차 대조군
T: 측정 대상 차량
10: OBD-2 커넥터 20: 센서 신호 출력부
100: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
110: 센서 입출력 연결부
120: 주 제어 장치
121: 주 제어부 122: 저장부
123: 비 휘발성 메모리 124: 휘발성 메모리
130: 디스플레이부 140: 조작 입력부
150: 무선 통신 모듈 160: 인터넷 망
170: 외부 단말기기
N: New vehicle control group F: Failure control group
T: Target vehicle
10: OBD-2 connector 20: Sensor signal output section
100: engine inspection analysis device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110: Sensor I / O connection
120: Main control device
121: main control unit 122:
123: nonvolatile memory 124: volatile memory
130: display section 140: operation input section
15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internet network
170: External terminal

Claims (6)

삭제delete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들을 입력받는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와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
상기 상태 분석 단계(S5)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단계(S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An)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An)의 최대값(Maxn)과 최소값(Minn)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신차 대조군 변동폭(Dn)을 구하는 신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a);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을 구하는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 계산 단계(S10b);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각각의 실린더별 평균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선택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 계산 단계(S10c);
상기 신차 대조군 변동폭(Dn), 상기 고장차 대조군 변동폭(D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변동폭(Dt)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1)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10d);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동폭 상태 분석 단계(S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3103387178-pat00008

이 경우 상기 K는 소정의 보정계수 이다.
A sensor signal input step S1 of receiving sensor signals including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s of each of the new car control N, the breakdown car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2)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fault differenc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3)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4)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o be analyzed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i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group F.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analyzing and determin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of display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T) analyzed through the state analysis step (S5);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the maximum value Maxn and the minimum value Minn of the average value An for each cylinder were obtained. Selecting a new car control variation range (Dn) to obtain a difference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Sn);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select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mean value for each cylinder, and calculate the difference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Df Calculating a fault difference control variation range (S10b);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select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value for each cylinder, and calculate the differenc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t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tion width calculating step (S10c) for obtaining);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unit that obtains an engine state level value EL1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1) using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variation width Dn, the failure difference control group variation width Df and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variation width Dt Step SlOd;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uctuation range analysis step (S10) comprising a.

[Equation 1]
Figure 112013103387178-pat00008

In this case, K is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들을 입력받는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신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2);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고장차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3);
상기 연료 분사량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 대상 차량 연료 분사량 측정단계(S4);
상기 신차 대조군(N)의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와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의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판단하는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
상기 상태 분석 단계(S5)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엔진 상태를 표시하는 분석 결과 표시단계(S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
상기 신차 대조군(N)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n)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신차 정규분포 함수(Fn)를 구하는 신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a);
상기 고장차 대조군(F)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f)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를 구하는 고장차 대조군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b);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20c);
상기 신차 정규분포 함수(Fn)에 대하여, 상기 신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신차 변량 보정 계수(kn)를 곱한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를 구하는 신차 분포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d);
상기 고장차 정규분포 함수(Ff)에 대하여, 상기 고장차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고장차 변량 보정 계수(kf)를 곱한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를 구하는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e);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에 대하여, 이를 상기 측정 대상 차량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의한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 도출 단계(S20f);
상기 신차 분포 보정 함수(Fcn), 상기 고장차 분포 보정 함수(Fcf) 및 상기 측정 대상 차량 분포 보정 함수(Fct)에 대하여, 소정의 각각의 상위 구간(Sh) 및 하위 구간(Sl)에 관하여 적분하여 신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구하는 분포 보정 함수 적분 단계(S20g);
상기 신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n), 고장차 대조군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f) 및 측정 대상 차량 엔진회전수변화총량(Dev_t)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EL2)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20h);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규 분포 상태 분석 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3103387178-pat00009

A sensor signal input step S1 of receiving sensor signals including fuel injection quantity signals of each of the new car control N, the breakdown car control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 new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2)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fault differenc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ing step (S3)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fuel injection amount measurement step (S4) of measuring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o be analyzed using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i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of the new vehicle control group N and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of the breakdown vehicle control group F. An engine state analysis step S5 of analyzing and determin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 analysis result display step (S6) of displaying an engine state of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T) analyzed through the state analysis step (S5);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After deriving the minimum, maximum,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values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n for each cylinder of the new vehicle control N, a new vehicl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derivation step of obtaining a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 S20a);
After calculat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f for each cylinder o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group F, the fault difference control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or obtaining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Derivation step (S20b);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or obtain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 function derivation step S20c;
A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d) for obtaining a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multiplied by the new vehicle variable correction coefficient (kn) by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new vehicle average value with respect to the new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n);
Deriving a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or obtaining a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from the fault differenc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f multiplied by a fault differenc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f by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fault difference average value Step S20e;
A measurement for obtaining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t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which is multiplied by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variance correction coefficient kt by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average value. A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deriving step (S20f);
With respect to the new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n, the fault differenc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Fct, an integral is obtained for each predetermined upper section Sh and lower section Sl. A distribution correction function integration step (S20g) for obtaining a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n, a faulty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f and a measurement target vehicle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t;
The engine state level value that satisfies Equation 2 using the new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n), the faulty vehicle control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f) and the target vehicle engine speed change total amount (Dev_t).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sis step (S20h) of obtaining (EL2);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normal distribution state analysis step (S20) comprising a.

&Quot; (2) &quot;
Figure 112013103387178-pat00009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태 분석 단계(S5)는,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최소값, 최대값, 표준 편차 및 평균값을 구한 후,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를 구하는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 도출 단계(S30a);
상기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실린더별로 연료 분사량(St)의 분포 데이터의 각 연료 분사량별 실제 발생 빈도수(Pt)와 각 연료 분사량별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적분을 통하여 계산한 값에 실제 발생한 연료분사량 신호의 총 데이터 수를 곱하여 도출된 값과의 차이인 구간별 빈도차(PD)를 계산하는 구간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b);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소정의 상위구간(Sh), 중간 구간(Sm) 및 하위 구간(Sl)로 구분하여, 상기 상위구간(Sh) 및 상기 하위 구간(Sl)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양인 경우만을 선별하여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고, 상기 중간 구간(Sm)에서는 상기 구간별 빈도차(PD)값이 음인 경우만을 선별하여 상기 선별 빈도차(PS)로 선택하는 구간별 빈도차 선별 단계(S30c);
상기 선별 빈도차(PS)에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평균값으로부터의 변량의 절대값에 따르는 측정 대상 차량 변량 보정 계수(kt)를 곱한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구하는 보정선별 빈도차 계산 단계(S30d);
상기 측정 대상 차량 정규분포 함수(Ft)의 분포 구간을 평균값을 중심으로 가속구간(Sa)과 감속구간(Sd)로 구분한 후, 상기 가속구간(Sa)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구간(Sd)에서의 상기 보정선별 빈도차(PDc)를 적분 또는 구간별 합산을 통하여 구한 감속 빈도값(Pd)를 각각 구하는 빈도값 계산 단계(S30e);
상기 가속 빈도값(Pa)과 상기 감속 빈도값(Pd)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을 충족하는 엔진 길들이기 수준값(EL3)을 구하는 엔진 상태 수준값 분석단계(S30f);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규 분포 빈도차 분석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2074918163-pat00010

The method of claim 3,
The engine condition analysis step (S5)
After obtaining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or obtaining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 function derivation step S30a;
By integrating the actual occurrence frequency Pt of each fuel injection amount of the distribution data of fuel injection amount St for each cylin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T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for each fuel injection amount A step-by-step frequency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30b) of calculating a step-by-step frequency difference (PD) which is a difference from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data of the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ctually generated;
A distribution section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upper section Sh, an intermediate section Sm and a lower section Sl, and the upper section Sh and the lower section Sl, (PD) value of the interval is selected to select the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S). In the middle interval (Sm), only the case in which the frequency difference difference value (PD) Frequency-difference discrimination step S30c for each interval to select the frequency difference PS;
A correction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Dc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creening frequency difference PS by the measurement subject vehicle variation correction coefficient kt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variance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Frequency difference calculation step S30d;
(Sd) based on the mean value as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Ft), and then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e acceleration section (Sa) (Pd) obtained by integrating or integrating the correction selection frequency difference (PDc) in the deceleration section (Sd) obtained by integration or section-by-section addition and the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A frequency value calculating step (S30e) to obtain the frequency value;
An engine state level value analyzing step (S30f) of obtaining an engine occupant level value (EL3)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the acceleration frequency value (Pa) and the deceleration frequency value (Pd);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normal distribution frequency difference analysis step (S30) comprising a.

&Quot; (3) &quot;
Figure 112012074918163-pat00010

청구항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OBD-2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 출력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신호 입력 단계(S1)에 필요한 상기 신차 대조군(N), 고장차 대조군(F) 및 측정 대상 차량(T)의 각각의 연료 분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
상기 센서 입출력 연결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청구항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주 제어 장치(120);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엔진 연소상태 검사 분석 과정 및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100).

In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apparatus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performing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by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of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new vehicle control unit (N), the faulty vehicle control group (F) and the measurement target vehicle (N), which are connected to the sensor signal output unit 20 including the OBD-2 connector 10 of the vehicle, are required for the sensor signal input step S1. A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that receives each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of T);
A main control device (120)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 output connection unit (110) to perform an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display unit 13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and visually displaying an engine combustion state inspection analysis result and a result thereof;
An operation input unit 14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and receiving a user's operation input; Engine inspection analysis device (100)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장치(120)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150) 또는 인터넷 망(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 제어 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방법의 수행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기(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착화 기관 차량의 연료분사량 분석을 통한 엔진 검사 분석 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uel injection quantity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or the internet network 1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20. External terminal device 170 that can query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engine inspe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Engine inspection analysis device (100) through the fuel injection amount analysis of th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KR1020120102691A 2012-09-17 2012-09-17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KR101377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691A KR101377129B1 (en) 2012-09-17 2012-09-17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691A KR101377129B1 (en) 2012-09-17 2012-09-17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129B1 true KR101377129B1 (en) 2014-03-25

Family

ID=5064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691A KR101377129B1 (en) 2012-09-17 2012-09-17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1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077A (en) 2007-06-15 2008-12-25 Denso Corp Diagnostic system and information-acquiring system for fuel-injection valve
JP2010096019A (en) 2008-10-14 2010-04-30 Toyota Motor Corp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of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077A (en) 2007-06-15 2008-12-25 Denso Corp Diagnostic system and information-acquiring system for fuel-injection valve
JP2010096019A (en) 2008-10-14 2010-04-30 Toyota Motor Corp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of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7414B2 (en) Telematically monitoring a condition of an operational vehicle component
US10198880B2 (en) Vehicular diagnostic system
US8160767B1 (en) Vehicle diagnostic tool—utilizing volumetric efficiency
CN102066729B (en) Fuel system diagnostics by analyzing engine cylinder pressure signal and crankshaft speed signal
CN102893000B (en) Diagnosis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in-cylinder pressure sensor is used in explosive motor
US9334819B2 (en) Method for diagnosing EG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using the same
KR20100032389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151473B2 (en) Method for diagnosing and / or adjusting at least one system of devices
CN102803691A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fuel supply system of an automobi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62096B1 (en) A fuel efficiency measurement and trouble diagnostic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30399B1 (en) Engine Analysis Apparatus Using Oxygen Sensor
KR101377129B1 (en)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utomobile
KR101434392B1 (en) Engine Analysis Apparatus For Spark Ignition Engine AutoMobile
KR101387421B1 (en) Vehicle Analysis Apparatus Using Earth Level Signal
Projahn et al. Fuel injection system contro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