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25B1 -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25B1
KR101375925B1 KR1020120111055A KR20120111055A KR101375925B1 KR 101375925 B1 KR101375925 B1 KR 101375925B1 KR 1020120111055 A KR1020120111055 A KR 1020120111055A KR 20120111055 A KR20120111055 A KR 20120111055A KR 101375925 B1 KR101375925 B1 KR 10137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port
cable
network equip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균
전승현
오현택
윤성화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은,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비 전력(PU - base)과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NERGY FOR NETWORKS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DC(Internet Data Center)는 기업 및 개인 고객에서 전산 설비나 네트워크 설비를 임대하거나 고객의 설비를 유치하여 유지, 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개별 기업이 운영하기에는 부담이 큰 서버 장비 및 통신 장비의 운영과 관리를 대행하며 최첨단 시설과 보안, 완벽한 통신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어 인터넷 사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많이 늘고 있다.
PUE(Power Usage Effectiveness) 및 DCiE(Data Center Infrastructure Efficiency)는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PUE = 데이터 센터의 전체 전력량(Total Facility Power)/정보 시스템의 전력량(IT Equipment Power)
DCiE = 1/PUE
그러나, 네트워크 장비는 기능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어렵다.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PUE나 DCiE와 같은 일반적인 식으로 유도하여 효율성을 논하기에는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 레벨에서 구체적인 에너지 효율 측정이 필요하다.
ATIS 문헌("Energy Efficiency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ethodology for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Router and Ethernet Switch Products", Jul. 2009)에서는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모듈러(modular) 방식의 TEER(Telecommunications Energy Efficiency Ratio) 메트릭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1
이때, Ti는 개별 모듈의 처리량(individual module throughput)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식 2와 같다. 그리고, Pwi는 각 모듈의 가중된 에너지 소모량(modular weighted energy consump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2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3
또한, ECR 문헌(ECR Initiative Draft 3.0.1, "Network and Telecom Equipment-Energy and Performance Assessment Metrics, Test Procedure and Measurement Methodology", Dec. 2010.)에서는 수학식 4의 ECR(Energy Consumption Rating)을 통해 메트릭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4
상기한 ATIS, ECR 등 기존의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식은 throughput/energy로 트래픽 조건(예컨대, traffic load)에 대해 일반적인 가중치(Weighted factor)를 부여하여 각 모듈 별 throughput/energy의 합을 에너지 효율로 간주하게 된다. 여기서, ATIS의 기준은 전형적인 모듈러 방식으로 에너지 측정 메트릭으로 구체화 하고 있으나, 시스템 가동율(system utilization)만을 고려할 뿐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트래픽 조건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ECR의 조건은 전력(power)에 대해 가중치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본 명세서에서는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장비의 모듈 별로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에 대하여 상기 트래픽 조건의 각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은,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로드를 0(zero)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로드를 (0<i≤100)의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 - base)과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5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은,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포함된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 포트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비 전력(PU - base)과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 - base)과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6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따른 트래픽 로드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생성기; 및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측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에서 상기 제1 소비 전력(PU -base)을 뺀 값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포함된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대상 포트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로 구분된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따른 트래픽 로드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생성기; 및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대상 포트에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에서 상기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뺀 값이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실제 소비 전력(PU)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트래픽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세분화 된 트래픽 조건을 고려하여 모듈 별로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 기반의 유선망 장비에 대한 에너지 효율 측정 메트릭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형 네트워크 구축을 유도할 수 있으며 IDC의 에너지 효율 지표인 PUE와 DCiE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스템 가동율(system utilization)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변동이 많은 유선 장비에 대한 에너지 효율 지표 또한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을 위한 토폴로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모듈 별 3-state 측정 메트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모듈 별로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기 위한 에너지 측정 장치 및 에너지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산 설비나 네트워크 설비 등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측정기(120), 및 네트워크 생성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 대상 장비(EUT, equipment under test)(110)인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토폴로지(Topology)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 대상 장비(110)의 에너지 측정을 위하여 측정 대상 장비(110)에 전력 측정기(120) 및 네트워크 생성기(1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그리고 네트워크 생성기(130)에 전력 측정기(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측정기(120)는 전력을 측정하는 AC/DC 파워미터(power meter)로서, 측정 대상 장비(11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생성기(130)는 측정 대상 장비(110)에 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제너레이터(network generator)로서, 측정 대상 장비(110)에 대한 트래픽 로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네트워크 생성기(130)는 업링크(Uplink)와 다운링크(Downlink)를 구분하여 트래픽 로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네트워크 생성기(130)는 세분화 된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생성기(130)는 측정 대상 장비(110)의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모듈(power measurement)(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측정 모듈(131)에서는 전력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전력 값을 입력 받아 이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 장비(110)에서 실제 소비되는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3가지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장비에 구비된 포트의 트래픽이 아이들(idle) 상태인 경우 트래픽 로드는 0(zero)이나,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port on/off)와 피지컬 모드(physical mode)(cable on/off)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상태 1_port on & cable on(connected):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에 포트의 소비 전력과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이 포함된다.
상태 2_port on & cable off(disconnected):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에 포트의 소비 전력만이 포함된다.
상태 3_port off & cable off(disconnected):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에 포트 및 케이블에 대한 소비 전력은 제외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비의 일 예로서 "L2 Switch VOOOO"의 각 모듈 별 3-state 측정 메트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u1~u3는 트래픽 로드를 0%~100% 범위에서 네트워크 장비를 측정하는 사업자가 정한 기준으로, 시스템 가동율(system utiliz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L2 Switch VOOOO"의 포트(uplink1, …) 각각에 대하여 각 상태 1, 2, 3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W)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트래픽 조건(상태 1, 2, 3)을 구분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장비의 각 모듈 별로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포트의 에너지 측정 또는 단일 포트의 에너지 측정뿐 만 아니라, 임의 k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에너지 측정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측정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에너지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기반의 장비를 측정하는 사업자가 도 1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장비(EUT)를 대상으로 에너지 측정을 위한 토폴로지를 설치한다(S301). 즉, 측정 대상 장비(EUT)에 전력 측정기와 네트워크 생성기를 연결하고 네트워크 생성기에 전력 측정기를 연결하게 된다.
측정 대상 장비(EUT)에 에너지 측정 토폴로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측정 대상 장비(EUT)의 전원을 켠 후(S302), 전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초기 상태 소비 전력, 즉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측정한다(S303).
측정 대상 장비(EUT)의 제1 소비 전력(PU - base)이 측정된 이후에, 사업자가 측정 대상 장비(EUT)의 트래픽 로드에 대하여 아래 3가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S304).
상태 1_port on & cable on: 측정 대상 장비(EUT)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다.
상태 2_port on & cable off: 측정 대상 장비(EUT)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다.
상태 3_port off & cable off: 측정 대상 장비(EUT)의 모든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다.
이에, 네트워크 생성기에서는 측정 대상 장비(EUT)에 대한 해당 상태의 트래픽 로드를 생성한다(S305). 이때, 네트워크 생성기는 트래픽 로드를 사업자가 정한 기준으로 생성하되, 일 예로, 트래픽 로드를 0(zero)으로 생성할 수 있다(traffic load=0). 다른 예로, 네트워크 생성기에서는 측정 대상 장비(EUT)에 대한 트래픽 로드를 0<i≤100의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다(traffic load=i).
이후, 전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현재 트래픽 로드에 따른 소비 전력, 즉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한다(S306).
네트워크 생성기의 전력 측정 모듈에서는 단계(S303)에서 측정된 제1 소비 전력(PU-base)과 단계(S306)에서 측정된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현재 트래픽 로드에 따른 실제 에너지 소모량(PU)을 계산할 수 있다(S307). 최종적으로 계산된 측정 대상 장비(EUT)의 에너지 소모량(PU)은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2081064804-pat00007
본 실시예에서는, 사업자가 정한 기준에 따라 각각의 상태(상태 1, 2, 3)에 대하여 상기한 단계(S304~S307)를 반복함으로써 세분화 된 트래픽 조건에 따라 측정 대상 장비(EUT)의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측정 대상 장비(EUT)의 모듈 별로 각 트래픽 조건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 또한, 도 1을 통해 설명한 에너지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업자가 도 1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장비(EUT)에 에너지 측정을 위한 토폴로지를 설치하게 된다(S401). 측정 대상 장비(EUT)의 초기 상태에서 측정 대상 장비(EUT)의 전원을 켠 후(S402), 전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초기 상태 소비 전력인 제1 소비 전력(PU - base)을 측정한다(S403).
측정 대상 장비(EUT)의 제1 소비 전력(PU - base)이 측정된 이후에, 사업자가 측정 대상 장비(EUT)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포트(이하, '측정 포트'라 칭함)를 대상으로 트래픽 조건을 3가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S404).
상태 1_port on & cable on: 측정 대상 장비(EUT)의 측정 포트 하나만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다.
상태 2_port on & cable off: 측정 대상 장비(EUT)의 측정 포트 하나만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다.
상태 3_port off & cable off: 측정 대상 장비(EUT)의 측정 포트 하나만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다.
이에, 네트워크 생성기에서는 측정 대상 장비(EUT)에 대한 해당 상태의 트래픽 로드를 생성한다(S405). 이때, 네트워크 생성기는 사업자가 정한 기준에 따라 트래픽 로드를 0으로 생성하거나(traffic load=0), 또는 0<i≤100의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다(traffic load=i).
이후, 전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측정 포트에 대한 현재 트래픽 로드에 따른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측정한다(S406).
네트워크 생성기의 전력 측정 모듈에서는 단계(S403)에서 측정된 제1 소비 전력(PU-base)과 단계(S406)에서 측정된 제2 소비 전력(PU - consume)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장비(EUT)의 측정 포트에 대한 실제 에너지 소모량(PU=PU - consume-PU - base)을 계산할 수 있다(S407).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 대상 장비(EUT)의 포트 별로 각각의 상태(상태 1, 2, 3)에 대하여 상기한 단계(S404~S407)를 반복함으로써 세분화 된 트래픽 조건에 따라 측정 대상 장비(EUT)의 각 포트 별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포트의 에너지 측정 방식을 활용하여 임의 k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에너지 측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조건에 대한 상태를 세분화 하여 트래픽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세분화 된 트래픽 조건을 고려하여 모듈 별로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 기반의 유선망 장비에 대한 에너지 효율 측정 메트릭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형 네트워크 구축을 유도할 수 있으며 IDC의 에너지 효율 지표인 PUE와 DCiE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스템 가동율(system utilization)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변동이 많은 유선 장비에 대한 에너지 효율 지표 또한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측정 대상 장비(EUT)
120: 전력 측정기
130: 네트워크 생성기
131: 전력 측정 모듈

Claims (15)

  1. 삭제
  2.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 온/오프(port on/off)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에서의 소비 전력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케이블 접속 여부(cable on/off)에 따른 피지컬 모드(physical mode)에서의 소비 전력을 고려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제1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제2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제3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4014549945-pat00014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만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을 제외시킨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로드를 0(zero)로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로드를 (0<i≤100)의 범위 내에서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6. 삭제
  7.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포함된 포트 중 측정 대상 포트에 대하여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 온/오프(port on/off)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에서의 소비 전력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케이블 접속 여부(cable on/off)에 따른 피지컬 모드(physical mode)에서의 소비 전력을 고려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제1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제2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제3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4014549945-pat00015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만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을 제외시킨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측정 대상 포트에 설정되면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트래픽 로드를 0(zero)로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상기 측정 대상 포트에 설정되면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트래픽 로드를 (0<i≤100)의 범위 내에서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방법.
  11. 삭제
  12.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따른 트래픽 로드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생성기; 및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 온/오프(port on/off)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에서의 소비 전력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케이블 접속 여부(cable on/off)에 따른 피지컬 모드(physical mode)에서의 소비 전력을 고려한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제1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켜고, 모든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제2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모든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제3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되고,
    상기 전력 측정기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4014549945-pat00016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만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을 제외시킨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
  13. 삭제
  14.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포함된 포트 중 측정 대상 포트에 대하여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따른 트래픽 로드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생성기; 및
    전원이 켜진 초기 상태에서 소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제1 소비 전력(PU-base)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대상 포트에 상기 트래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상태의 트래픽 조건에서 소비되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조건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 온/오프(port on/off)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에서의 소비 전력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케이블 접속 여부(cable on/off)에 따른 피지컬 모드(physical mode)에서의 소비 전력을 고려한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한 제1 상태(port on & cable on),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켜고, 해당 포트에 네트워크 케이블은 접속하지 않는 제2 상태(port on & cable off), 및 상기 측정 대상 포트를 끄고, 네트워크 케이블도 접속하지 않는 제3 상태(port off & cable off)로 구분되고,
    상기 전력 측정기는,
    상기 제1 소비 전력(PU-base)과 제2 소비 전력(PU-consume)을 수학식:
    Figure 112014014549945-pat00017
    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만이 포함된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고,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측정 대상 포트의 소비 전력과 상기 케이블의 아이들 전력을 제외시킨 상기 실제 소비 전력(PU)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측정 장치.
  15. 삭제
KR1020120111055A 2012-10-08 2012-10-08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37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055A KR101375925B1 (ko) 2012-10-08 2012-10-08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055A KR101375925B1 (ko) 2012-10-08 2012-10-08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925B1 true KR101375925B1 (ko) 2014-04-02

Family

ID=5065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055A KR101375925B1 (ko) 2012-10-08 2012-10-08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9732A1 (en) * 2014-11-17 2016-05-26 Elspec Engineering Ltd.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energy savings in an electrical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0933A (ja) * 2002-12-17 2004-07-15 Nec Corp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における端末給電電力算出方法
KR20120032729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산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0933A (ja) * 2002-12-17 2004-07-15 Nec Corp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における端末給電電力算出方法
KR20120032729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산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9732A1 (en) * 2014-11-17 2016-05-26 Elspec Engineering Ltd.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energy savings in an electrical network
US9910076B2 (en) 2014-11-17 2018-03-06 Elspec Engineering Ltd.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energy savings in an electrical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1390B (zh) 用于管理关于电缆测试设备操作的消息的基于云的系统和方法
Stanojevic et al. Distributed dynamic speed scaling
CN103023815B (zh) 聚合链路负载分担方法及装置
CN105187273A (zh) 一种用于电力通信专网业务监测的探针部署方法和装置
Kopsidas et al. Power network reliability framework for integrating cable design and ageing
KR20130140237A (ko) 배전 계통의 최적 신뢰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Rahman et al. Technologie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a smart meter network
JP2016527786A (ja) ネットワークテスト方法及びそのデータ収集方法、ネットワークテスト装置及びシステム
WO2019021627A1 (ja) 電源監視データ処理装置、電源監視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電源監視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Zhou et al. Revealing vulnerability of n-1 secure power systems to coordinated cyber-physical attacks
CN105120486A (zh) 一种通信网络效能的评价方法及装置
Jha et al.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assessment of synchrophasor communication 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ional awareness in a smart grid cyber physical system
Jha et al. Risk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communication networks in smart grid cyber-physical systems
KR101375925B1 (ko)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13153424A (ja) スマートメータ・データのプライバシー保護
Rasmussen et al. Interval estimation of voltage magnitude in radial distribution feeder with minimal data acquisition requirements
Xiao et al. Building accountable smart grids in neighborhood area networks
CN116506299A (zh) 一种基于组网的网络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5334560A (zh) 基站异常的监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52700B1 (ko) 네트워크 장비의 에너지 효율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N113014628B (zh) 物联网终端数据发送方法和系统、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101698B (zh) 一种电力通信光缆运营能力评估方法
Armendariz et al. Method to design optimal communication architectures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s
US11726117B2 (en) High frequency data transceiver and surge protection retrofit for a smart meter
TW201837483A (zh) 相群組推測裝置、相群組推測方法及記錄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