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29B1 - 붕대 케이스 - Google Patents

붕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29B1
KR101375629B1 KR1020130001569A KR20130001569A KR101375629B1 KR 101375629 B1 KR101375629 B1 KR 101375629B1 KR 1020130001569 A KR1020130001569 A KR 1020130001569A KR 20130001569 A KR20130001569 A KR 20130001569A KR 101375629 B1 KR101375629 B1 KR 10137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terial
cover
bandage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혜
Original Assignee
임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혜 filed Critical 임지혜
Priority to KR102013000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5Bandag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환부를 감싸거나 부착되어 환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치료하는 붕대를 제공하되 상기 붕대에 치료효과가 있는 약품을 도포하여 상처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한 붕대를 제공하는 붕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인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롤(Roll) 타입으로 저장되어 일단이 상기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버재가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출되는 커버재의 일면에 약품을 도포하는 약품부와,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커버재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붕대 케이스{Bandage case}
본 발명은 붕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환부를 감싸거나 부착되어 환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치료하는 붕대를 제공하되 상기 붕대에 치료효과가 있는 약품을 도포하여 상처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한 붕대를 제공하는 붕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및 야외활동에서는 가벼운 찰과상에서부터 근육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고 중 가벼운 증상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간단한 일회용밴드를 환부에 부착하여 치료하고, 근육통 또는 신경통과 같은 증상에는 파스와 같은 치료패드를 부착하여 치료한다.
상기 파스는, 연고, 경고, 반창고 등과 같이 고약의 일종으로 파스타제 즉 분말약을 30% 이상 포함하는 지방성 연고로서 건조방지와 진통 등에 사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파스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사각 또는 원형 거즈(천 또는 종이)의 일면에 파스타제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스는 환부에 직접 부착하는 첩부제 또는 환부에 직접 분사하는 습포제 등으로 구별된다.
상기 첩부제의 경우에는 신체와의 접착성이 좋고 환부가 2차 감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효가 습포제에 비해 장시간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 후 제거할 때 환부 또는 환부 주변의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장시간 부착 후 제거할 때는 첩부제에 도포된 접착제의 찌꺼기가 환부 주변에 남아 지저분해지고 나아가 환부 주변에 있는 모(毛)들이 접착제에 의해 첩부제에 들러붙어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습포제의 경우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환부에 직접 약품을 분사하여 흡수력이 빠른 장점이 있으나, 환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2차 감염의 문제점이 있고 약품의 증발이 빠르고 약품이 사용자가 착용한 옷 등에 묻게 되어 약효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환부를 감싸거나 맞닿아 환부가 2차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한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출되는 커버재에 환부의 치료에 필요한 약품이 도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붕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인출되는 커버재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를 구비하여 필요한 만큼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커버재를 절약할 수 있는 붕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재에 도포되는 약품을 필요한 경우에만 커버재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하여 상처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붕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인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롤(Roll) 타입으로 저장되어 일단이 상기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버재가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출되는 커버재의 일면에 약품을 도포하는 약품부와,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커버재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롤타입으로 저장된 커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회전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구는, 상기 커버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에 관통 결합되되 심지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이 심지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하며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이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이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품부는, 약품이 저장되고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저장구와, 상기 저장구에 배치되어 승하강하면서 약품을 배출공쪽으로 밀어내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일체로 결합되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이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인출되는 커버재와 맞닿아 이를 절단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을 수용하며 수용된 칼날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과, 상기 칼날을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칼날이 장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공의 내부에 배치된 탄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에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된 지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환부를 감싸거나 부착되어 환부를 치료하여 2차 감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상처의 종류에 따라 커버재에 약품을 도포하거나 도포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부착되어도 부착력이 유지될 수 있고 약품이 직접 환부에 맞닿아 치료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처치료 이외에도 무리한 신체활동으로 인해 뭉친 근육을 마사지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첩부제 및 습포제 방식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붕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붕대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붕대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붕대 케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붕대 케이스(1)는, 몸체(10)와, 커버부(20)와, 약품부(30)와, 절단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0)와 약품부(30)가 수용공간(11)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20)에 포함된 커버재(21)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고 외부와 관통된 인출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두 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일측의 분체에 후술하는 커버재(21)를 지지하는 지지봉(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4)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인출되는 커버재(21)를 지지하여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하고, 지지봉(14)의 외측 끝단이 타 분체에 삽입 결합되어 두 분체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커버부(20)와 약품부(3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배치되는 커버부(20)와 약품부(3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공(12)은,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고 외부와 관통되어 상기 커버부(20)에 포함된 커버재(21)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재(21)가 좌,우 폭에 비해 큰 폭으로 이루어져 배출되는 커버재(21)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20)는,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환부를 감싸는 커버재(2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재(21)와 회전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재(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롤(Roll)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환부를 감싸 환부를 2차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환부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재(21)는 재질이 면, 거즈, 탄력성을 갖는 합성섬유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일측 표면에 환부를 고정하기 위한 석고재가 함유된 석고붕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구(22)는 상기 커버재(21)가 인출될 때 커버재(21)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재(21)의 일단이 고정되는 심지(231)와, 상기 심지(231)에 관통 결합되되 심지(231)가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이 심지(231)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233)이 구비된 회전축(232)과, 상기 회전축(232)의 일측단이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233)이 삽입되는 걸림홈(235)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회전판(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심지(231)는 커버재(21)의 일단이 고정된 후 롤 형태로 감기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관통된 중공부(231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32)이 중공부(231a)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32)은, 상기 심지(231)의 중공부(231a)에 관통 결합되어 심지(23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이를 위해 회전축(232)의 외주면이 중공부(231a)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축(232)에 쐐기(도면 중 미도시됨)를 구비하여 쐐기가 심지(231)와 커버재(21)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2)은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233)이 구비되는데 상기 판스프링(233)은 회전판(234)의 걸림홈(235)에 삽입되어 회전축(232)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커버재(21)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32)의 타측단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3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232a)를 파지한 후 회전축(23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배출되는 커버재(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234)은, 상기 회전축(232)의 일측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32)에 구비된 판스프링(233)이 삽입되는 걸림홈(235)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233)은 걸림홈(235)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232)의 회전에 따라 인접한 타 걸림홈(235)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회전축(232)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심지(231)에 결합된 커버재(21)가 일정 간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약품부(3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인출되는 커버재(21)의 일면에 환부를 치료하는 약품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환부를 치료하기 위해 커버재(21)에 도포되는 약품(W)이 저장되고 하부에 상기 약품(W)이 배출되는 배출공(32)이 형성된 저장구(31)와, 상기 저장구(31)에 배치되어 승하강하면서 약품을 배출공(32)쪽으로 밀어내는 가압판(331)과, 상기 가압판(331)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단이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압버튼(33)과, 상기 가압버튼(33)이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구(31)는 약품(W)을 저장하는 공간이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말단에 배출공(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32)은 배출되는 약품이 커버재(21)의 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도포되도록 커버재(21)의 좌,우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재(21)의 좌,우 폭을 균등하게 4등분 하여 구획한 후 중앙에 구획된 2 부분에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 폭을 갖는다.
이는 상기 커버재(21)가 환부를 감싸거나 밀착될 때 약품(W)이 도포된 부분은 환부에 맞닿고 약품(W)이 도포되지 않은 좌,우 부분은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게 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와 밀착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판(331)은, 상기 저장구(31)의 상방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가압버튼(33)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약품(W)을 배출공(32)쪽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단면이 얇은 원형판 또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저장구(31)의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버튼(33)은, 상기 가압판(331)과 일체로 결합되며 가압판(33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단이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에는 가압버튼(33)을 위한 버튼공(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버튼(33)은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된 플랜지(332)가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복귀스프링(34)에 의해 가압버튼(33)이 상승할 때 상기 플랜지(332)가 몸체(10)에 맞닿아 가압버튼(33)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가압버튼(33)은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높이가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버튼(33)의 상단이 몸체(10)의 외주면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귀스프링(34)은, 상기 가압버튼(33)을 탄성 지지하여 가압버튼(33)의 상단이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가압버튼(33)에 형성된 플랜지(332)의 하부와 맞닿고 타단은 저장구(31)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31a)에 맞닿아 가압버튼(33)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7)는, 저장구(31)의 배출공(32)의 하방에 배치되어 인출되는 커버재(21)의 일면을 지지하는 커버재지지구(37)로서, 상기 커버재지지구(37)는 금속, 합성수지, 우레탄,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단부(40)는, 상기 몸체(10)의 인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버재(21)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인출되는 커버재(21)와 맞닿아 이를 절단하는 칼날(41)과, 상기 칼날(41)을 수용하며 수용된 칼날(41)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44)과, 상기 칼날(41)을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누름버튼(42)과, 상기 누름버튼(42)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칼날(41)이 장공(4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공(44)의 내부에 배치된 탄력체(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41)은,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인출되는 커버재(21)와 맞닿아 이를 절단하는 것으로, 돌출되는 방향은 인출되는 커버재(21)와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인출공(12)의 상부에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칼날(41)의 길이는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커버재(21)와 맞닿은 후 맞닿은 칼날(41)의 끝부분이 몸체(10)의 내주면에 맞닿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공(44)은, 칼날(41)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누름버튼(42)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편(44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탄력체(43)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턱(4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튼(42)은, 상기 칼날(41)을 가압하여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칼날(41)이 결합된 가압체(421)와 상기 가압체(42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가압체(42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체(421)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헤드(422)는 후술하는 탄력체(43)의 일단과 맞닿아 사용자가 누름버튼(42)을 가압할 때 헤드(422)가 탄력체(43)를 동시에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력체(43)는, 상기 누름버튼(42)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42)의 헤드(422)에 일단이 맞닿고 상기 장공(44)의 지지턱(442)에 타단이 맞닿아 누름버튼(42)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된 후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누름버튼(4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력체(43)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 탄성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누름버튼(42)에 의해 압축된 후 좌,우로 이동될 때 헤드(4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헤드(422)에 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환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몸체(10)의 인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커버재(21)를 직접 파지하여 인출하거나 회전구(22)에 포함된 회전판(234)의 손잡이(232a)를 파지한 후 이를 회전시켜 커버재(21)를 인출공(12)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커버재(21)에 사용자가 환부를 치료하기 위한 약품(W)을 도포하고 싶을 때는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버튼(33)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버튼(33)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판(331)이 약품(W)이 저장된 저장구(31)의 내측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약품(W)이 저장구(31)의 배출공(32)을 통해 배출되면서 커버재(21)에 약품(W)을 도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가압버튼(33)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가압버튼(33)에 의해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가압버튼(33)이 상승하게 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때 가압버튼(33)에 형성된 플랜지(332)가 몸체(10)의 내측에 맞닿아 가압버튼(33)이 몸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배출되는 커버재(21)를 절단하고자 할 때는 몸체(10)에 노출된 누름버튼(42)을 가압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커버재(21)를 절단하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42)을 가압하게 되면, 누름버튼(42)의 가압체(421)에 일체로 결합된 칼날(41)이 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커버재(21)와 맞닿게 되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누름버튼(42)에 의해 칼날(41)이 커버재(21)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버튼(42)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42)의 헤드(422)에 의해 압축되었던 탄력체(43)가 원래 형태로 복귀되면서 누름버튼(42)을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누름버튼(42)의 헤드(422)가 장공(44)의 돌출편(441)의 내측에 맞닿으면서 누름버튼(42)이 몸체(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힌지축(52)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51)가 형성된 지압수단(50)이 구비되어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발생시 환부의 주변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 만큼 커버재(21)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품(W)을 필요에 따라 커버재(21)에 도포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여 찰과상과 같은 상처 및 근육통과 같이 환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감쌀 필요가 있는 증상 등 다양한 증상에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붕대 케이스 W : 약품
10 : 몸체 11 : 수용공간 12 : 인출공
13 : 버튼공 14 : 지지봉
20 : 커버부 21 : 커버재 22 : 회전구
231 : 심지 231a : 중공부 232 : 회전축
232a : 손잡이 233 : 판스프링 234 : 회전판
235 : 걸림홈
30 : 약품부 31 : 저장구 32 : 배출공
33 : 가압버튼 34 : 복귀스프링 37 : 커버재지지구
331 : 가압판 332 : 플랜지
40 : 절단부 41 : 칼날 42 : 누름버튼
43 : 탄력체 44 : 장공
421 : 가압체 422 : 헤드 441 : 돌출편
442 : 지지턱
50 : 지압수단 51 : 돌기 52 : 힌지축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인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롤(Roll) 타입으로 저장되어 일단이 상기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버재가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출되는 커버재의 일면에 약품을 도포하는 약품부와;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커버재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부는 약품이 저장되고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저장구와, 상기 저장구에 배치되어 승하강하면서 약품을 배출공쪽으로 밀어내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일체로 결합되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이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롤타입으로 저장된 커버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회전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구는,
    상기 커버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에 관통 결합되되 심지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이 심지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하며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이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이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인출되는 커버재와 맞닿아 이를 절단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을 수용하며 수용된 칼날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과, 상기 칼날을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칼날이 장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공의 내부에 배치된 탄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된 지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케이스.
KR1020130001569A 2013-01-07 2013-01-07 붕대 케이스 KR10137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69A KR101375629B1 (ko) 2013-01-07 2013-01-07 붕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69A KR101375629B1 (ko) 2013-01-07 2013-01-07 붕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629B1 true KR101375629B1 (ko) 2014-03-25

Family

ID=5064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569A KR101375629B1 (ko) 2013-01-07 2013-01-07 붕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427A (ko) * 2019-06-18 2020-12-29 윤상진 치료액을 구비한 거즈 취출기
CN112741733A (zh) * 2021-01-19 2021-05-04 周煜晟 一种骨科包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84B1 (ko)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KR100888488B1 (ko) 2008-01-22 2009-03-12 김면수 일회용 위생밴드 취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84B1 (ko)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KR100888488B1 (ko) 2008-01-22 2009-03-12 김면수 일회용 위생밴드 취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427A (ko) * 2019-06-18 2020-12-29 윤상진 치료액을 구비한 거즈 취출기
KR20210058797A (ko) * 2019-06-18 2021-05-24 윤상진 치료액이 도포된 거즈의 인출기
KR102261251B1 (ko) * 2019-06-18 2021-06-04 윤상진 치료액을 구비한 거즈 취출기
KR102322268B1 (ko) * 2019-06-18 2021-11-04 윤상진 치료액이 도포된 거즈의 인출기
CN112741733A (zh) * 2021-01-19 2021-05-04 周煜晟 一种骨科包扎装置
CN112741733B (zh) * 2021-01-19 2022-09-23 山东康盛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骨科包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033B2 (en) Wound treatment device with elastically deformable vacuum producing element
KR101584703B1 (ko) 피부 및 탈모 치료용 이미용기기
US10390997B2 (en) Medicinal product for the care of an individual
TW201622668A (zh) 長效型貼片敷料結構
US20140007894A1 (en) Nailz Off Pro
KR101375629B1 (ko) 붕대 케이스
CN104755127B (zh) 药物涂抹器
KR101333330B1 (ko) 붕대 케이스
KR102638674B1 (ko) 메디컬 가압돌기 밴드
KR20200144427A (ko) 치료액을 구비한 거즈 취출기
CN204106334U (zh) 一种水凝胶敷料
CN204446298U (zh) 一种包皮手术的术后恢复辅助装置
CN210644445U (zh) 伤口清理护理装置
KR20110129524A (ko) 주름살 제거용 밴드
KR20160080651A (ko) 연고를 갖는 반창고
KR101775812B1 (ko) 연속 인출이 가능한 지혈밴드 및 그 수납구조
CN204158560U (zh) 用于大鱼际的中药湿敷包
CN103750949A (zh) 一种足部外科敷料
CN215229247U (zh) 皮肤包覆敷贴
US20160135999A1 (en) Bandage System
CN215915464U (zh) 一种外科护理新型换药装置
CN206151709U (zh) 用于单手包扎伤口的创口贴包扎装置
KR20240043873A (ko) 상처 치료용 패치
KR101104266B1 (ko) 클렌징용 디스크
RU99321U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перевязоч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