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19B1 -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Google Patents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5319B1 KR101375319B1 KR1020120071271A KR20120071271A KR101375319B1 KR 101375319 B1 KR101375319 B1 KR 101375319B1 KR 1020120071271 A KR1020120071271 A KR 1020120071271A KR 20120071271 A KR20120071271 A KR 20120071271A KR 101375319 B1 KR101375319 B1 KR 101375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filter
- floating
- hole
- reduction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85 Betula X al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12 Betula X uligin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731 Care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9486 Phragmites australis subsp austr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8 dechlor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79 depl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ZFYOUJTOSBFPQ-UHFFFAOYSA-M dipotassium;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K+] FZFYOUJTOSBFP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80 nicke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NRSAWUEBMWBQH-UHFFFAOYSA-N oxonickel Chemical compound [Ni]=O GNRSAWUEBMWB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KCBUQHMOMHUOY-UHFFFAOYSA-N sodium oxide Chemical compound [O-2].[Na+].[Na+] KKCBUQHMOMHU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일측에 복수의 침투홀이 형성되는 침투부와 타측에 배수연결공이 형성되는 저류부를 형성하는 복합조; 상기 침투부 상단부에서 상기 침투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부에 그레이팅이 구성된 집수로; 상기 침투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침투홀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된 여과층이 구비된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 빗물을 여과하여 지반으로 침투토록 하며, 초기 이후의 빗물은 저류하면서 적정 용도로 방류하도록 함에 따라 빗물로부터 비점오염물질 제거 및 저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인도 및 도로는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성으로 구성된 포장이며 그 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불투수성 포장은 빗물이 지반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반의 사막화를 초래하고 지하수를 고갈시키고 있으며,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의 왜곡을 가져와 강우 유출량 및 첨두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도 증가시킴으로써 도시홍수, 수생태계의 파괴 및 수질오염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불투수 면적의 증대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역 내 우수의 직접 유출 증가량을 당해지역에서 저류 또는 침투시켜 우수의 직접 유출량을 저감시키거나 첨두유량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침투통, 침투 트렌치, 침투 측구 및 투수성 포장 등의 다양한 우수침투 시설들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한편 도심지 내 유출 강우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등의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속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영양물질, 기름, 금속, 유기물질 및 협작물 등이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될 경우 수생생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수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지중으로 침투될 경우에는 음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를 오염시켜 인체에 유해를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강우유출량 및 비점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과 및 침전 메커니즘을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시설이 다수 제시되고 있으며, 그 예로 침전조와 원통형 처리조로 구성된 한국 등록특허 제719944호, 한국 등록특허 제491866호, 토양 자체를 필터재로 하여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810556호, 다공성 격벽여재를 구비한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792135호, 집수 된 빗물을 스크린 여과하여 비점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한국 등록특허 제750495호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점오염처리시설은 강우 시에 집수 되는 초기 빗물을 침전, 여과, 미생물처리 등으로 정화하는 기술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와 같은 구조는 설비의 체적이 커야만 소기의 여과 효율이 보장되는 것이므로 도로변 등에 배치하기가 쉽지 않고, 게다가 대부분의 장치는 조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이전에 침전 분리된 비점오염물질과 섞이면서 교반작용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조 내에서는 일시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혼탁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 결과로 비점오염물질의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저류조 등에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면서 이를 여과하도록 하여 침투, 방류를 하도록 하는 기술이 주를 이루는 바,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초기 우수 및 그 이후의 우수 구별없이 여과하여 침투, 방류하도록 함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점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침전 및 여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상대적으로 오염농도가 낮으며 처리량이 많은 초기 우수 이후의 우수에 대해서는 여과 등 처리없이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혹은 저류시설로 이송할 수 있는 구조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강우유출량 및 비점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점오염처리시설로서 도로변 등 소규모의 설치가 용이하며,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여과처리 하여 지반으로 침투토록 하고, 초기 이후의 우수에 대해서는 저류하면서 배수 또는 방류토록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일측에 복수의 침투홀이 형성되는 침투부와 타측에 배수연결공이 형성되는 저류부를 형성하는 복합조; 상기 침투부 상단부에서 상기 침투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부에 그레이팅이 구성된 집수로; 상기 침투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침투홀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된 여과층이 구비된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조"라 함은 침투부에 의해 빗물이 지반으로의 침투토록 함과 동시에 저류부에 의해 빗물의 저류 및 방류토록 하는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됨에 의해 그 명칭을 복합조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집수로와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우수유도부와, 상기 우수유도부와 상단의 연통공으로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커지는 부유구유도부로 구성된 상부 하우징;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 된 여과층이 구성되고, 여과층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부유구가 내재된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유도부에는 상단의 양측에 상기 집수로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우수유도판이 구성되며, 상기 우수유도판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우수유도판 보다 높이가 낮은 걸림턱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초기 빗물을 여과하여 지반으로 침투토록 하며, 초기 이후의 빗물은 저류하면서 적정 용도로 방류하도록 함에 따라 빗물로부터 비점오염물질 제거 및 저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은 도로변의 측구 등 소규모로 시공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장소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일 구성인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일 구성인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일 구성인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조(110), 집수로(120), 및 여과장치(130)로 구성되어 초기 빗물을 여과하여 지반으로 침투시키며, 초기 이후의 빗물에 대해서는 저류하면서 방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조(110)는 일측에 복수의 침투홀(113)이 형성되는 침투부(111)와 타측에 배수연결공(114)이 형성되는 저류부(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복합조(110)가 침투부(111) 및 저류부(112)로 구획되는 것은 침투부(111)에 의해 초기빗물의 비점오염원을 여과하고, 처리수를 지반으로 침투시키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위 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며, 저류부(112)에 의해 초기 이후의 빗물로서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낮은 빗물에 대해서는 저류를 시키면서 방류 또는 배수를 하도록 하여 수해방지, 빗물재이용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합조(110)를 구획한다는 것은 별도의 구획벽에 의해 구획하는 것이 아니라 침투홀(113)이 형성되는 침투부(111)에 상기 여과장치(130)를 장착하도록 하여 초기 빗물은 여과장치(130)로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여과 및 침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초기 이후의 빗물은 저류부(112)로 유입되도록 하여 저류와 동시에 배수 또는 방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조(110)에는 상부에 덮개(115)가 구성되며, 덮개(115)는 도로측에 노출되어 측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부(111)에 있어 침투홀(113)은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투부(111)의 하부로서 측방향의 3면 및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여과장치(130)에 있어 관통공(136)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저류부(112)에 있어 배수연결공(114)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별도의 저류조와의 연결관, 방류관 등 용도에 따라 외부로 배수 또는 방류할 수 있는 구조물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집수로(120)는 상기 복합조(110)의 상단 즉 상기 침투부(111) 상단부에서 상기 침투부(111)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관로구조로 상부에 그레이팅(121)이 구성된다. 즉 빗물은 상기 그레이팅(121)을 통하여 상기 집수로(120)로 집수되고, 이렇게 집수된 빗물은 상기 집수로(120)를 타고 유동하여 상기 복합조(110)의 상기 침투부(111)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장치(130)는 상기 복합조(110)의 내부로 상기 침투부(111)에 장착이 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여과장치(130)는 상기 침투부(111)에 장착되어 상기 침투부(111)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을 여과하여 외부로 처리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렇게 외부로 유출된 처리수는 상기 침투홀(113)을 통해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여과장치(130)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여과장치(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H)과 하부 하우징(L)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여과층(137)이 폐색되는 경우 등에 있어 청소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으며, 여과층(137)을 구성하는 여과재 교체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H)은 상기 집수로(120)와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우수유도부(131)와, 상기 우수유도부(131)와 상단의 연통공(132)으로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커지는 부유구유도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우수유도부(131)와 상기 부유구유도부(133)는 도면상 일체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립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우수유도부(13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바, 이는 집수로(120)를 타고 유동하는 빗물이 상기 우수유도부(131) 하단의 연통공(132)으로 모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유구유도부(133)는 하부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부유구(138)가 수위상승시 상기 부유구유도부(133) 내주연을 타고 상기 연통공(132)을 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유구유도부(133) 하단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수용단이 구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L)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우수유도부(131) 상단에는 그 양측에 상기 집수로(120)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우수유도판(134)이 한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유도판(134)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집수로(120)를 타고 유동하는 빗물이 상기 우수유도부(131)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우수유도판(134)이 각각 상기 복합조(110)의 내주연과 접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우수유도판(134)에 기해 상기 상부 하우징(H)에 빗물에 의한 하중편심에 의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등 견고한 구조가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우수유도부(131) 상단에는 상기 우수유도판(134) 사이에 한쌍의 걸림턱(135)이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135)은 상기 우수유도판(134) 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되는 바, 이러한 한쌍의 걸림턱(135)의 구성에 기해 상기 집수로(120)를 타고 유동하는 빗물의 유속을 저하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침투, 저류 등 처리속도를 지연시켜 침사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유속에 의해 우수유도부(131)를 월류하여 바로 저류부(112)로 초기 빗물이 월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L)은 복수의 관통공(136)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된 여과층(137)이 구성되고, 여과층(137)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부유구(138)가 내재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H)으로부터 유도된 초기 빗물이 상기 여과층(137)을 통과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관통공(136) 및 상기 침투홀(113)을 통해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부유구(138)를 구성하는 이유는 초기 빗물이 상기 상부 하우징(H)으로부터 상기 하부 하우징(L)으로 유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L)에서 초기 빗물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수위와 함께 상기 부유구(138)가 상승하여 상기 연통공(132)을 막음으로써 초기 빗물 이후의 빗물은 상기 우수유도부(131)를 월류하여 상기 저류부(112)로 월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만을 여과시키고 그 이후의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은 빗물은 여과없이 바로 저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여과층(137)을 구성하는 여과재로 본 발명에서는 쇄석, 송이, 여과볼 중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을 제시한다. 상기 여과재로 쇄석이 구성되는 경우 쇄석 간의 간극에 초기 빗물에 혼입된 비점오염물질로 주로 입자가 큰 물질이 걸러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층(137)에 여과재로 쇄석만을 구성하는 경우는 비점오염물질 중 입자가 큰 물질만을 거르게 되는 바,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과재로 송이도 제시하고 있다. 송이가 내재됨으로써 입자가 큰 물질에 대한 여과는 물론 유기물 등에 대한 흡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송이는 화산 분출물 (volcanic products)의 한 종류로, 화산암, 화산모래, 기타 화산회 등이 혼합되어 있는 화산 암재이다. 상기 송이의 구성성분은 전체의 약 75%가 산화규소 (SiO₂), 산화알류미늄 (Al₂O₃) 및 산화철 (Fe₂O₃)이며 이외에 산화칼슘 (CaO), 산화마그네슘 (MgO), 산화칼륨 (K₂O), 산화나트륨 (Na₂O) 및 산화니켈 (TiO₂)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이의 형태는 다공질이며, 비표면적이 100m₂/g 내외로 비교적 크기 때문에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송이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크며, 천연의 재료를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즉 여과재로 송이를 사용함에 따라 유기물의 흡착에 의한 거름이 가능하게 되며 송이의 다공성 재질에 의해 미생물의 생장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쇄석, 송이 외에 여과재로 여과볼을 더 제시한다. 상기 여과볼은 토탄 100중량부에 제강슬래그 30 내지 40중량부, 물 5 내지 15중량부, 토양경화제 0.2 내지 0.6중량부로 배합되어 볼 형상을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여과볼은 토탄, 제강슬래그, 물, 토양경화제를 배합하여 소성단계를 거침으로써 일정한 입자를 형성하는 구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제강슬래그는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로 나눌 수 있는데, 전로슬래그는 원강석을 녹여서 제조할 때 나오는 슬래그로, 고철을 녹일 때 나오는 전기로 슬래그와는 달리 성상이 균일하며 철의 함유량이 높아 철의 산화를 통한 CAHs의 직접 환원이나 수소이온의 환원을 기대할 수 있다. 제강슬래그는 본질적으로 철보다 가벼운 것이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된 것이므로 중금속을 거의 함유하지 않고 있어 환경유해성이 낮다.
상기 토탄은 이끼류, 갈대, 사초 등의 화본과 식물이나, 소나무, 자작나무 등의 수목질의 유체가 분지에 두껍게 퇴적하여 물의 존재하에서 균류 등의 생물화학적인 변화를 받아 분해, 변질된 것으로 이탄이라고도 한다. 토탄은 넓은 의미로는 석탄의 한 종류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석탄과는 구별된다. 토탄은 석탄처럼 지하에 매몰된 수목질이 오랜 세월 동안에 지압과 지열작용을 받아 생선된 것과 달리 식물의 주성분인 리그닌, 셀룰로오스 등이 주로 지표에서 분해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탄은 모든 종류의 토탄을 포함하되, 툰드라이탄, 초탄, 목질이탄 등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상기 여과볼은 제강슬래그와 토탄을 주성분으로 하여 난분해성 물질로써 염소계 지방족 탄수화물들(CAHs)을 환원시켜 탈염반응(Dechlorination)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쇄석, 송이에 의해 여과 및 유기물의 흡착제거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여과볼에 의해 난분해성인 염소계 지방족 탄수화물들(CAHs)까지도 여과할 수 있게 되어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처리수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여과볼은 제강슬래그 및 토탄에 물, 토양경화제를 적정 배합하여 소성시킴에 의해 볼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송이가 오랜 시간 반응으로 인한 미생물 번식으로 공극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볼 형태의 여과볼에 의해 여과층(137)에 적정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폐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층(137)의 상부에는 여과시트(139)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시트(139)의 구성에 기해 이물질이 상기 여과시트(139)에 의해서도 걸러지도록 하여 2중의 여과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청소 시 상기 여과시트(139)만을 제거하거나 교체함으로써 간이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지관리면에서 상기 여과시트(139)를 구비하는 것이 타당하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여과층(137)에는 상부의 여과시트(139) 뿐 아니라 측면 및 하면에도 여과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여과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시트(139)의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100)의 작동관계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 우수(W1)는 집수로(120)를 타고 상기 복합조(110) 내부로 유도된다. 특히 상기 복합조(110)에서 침투부(111)에 장착되는 상기 여과장치(130)로 초기 우수(W1)가 유도되는 바, 초기 우수(W1)가 상기 여과장치(130)로 유도되는 작동 메카니즘은 상기 구성의 설명에서 기 설명한 바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여과장치(130)로 유도되는 초기 우수(W1)는 여과층(137)을 거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되고, 그 처리수(W2)는 여과장치(130)에 구성된 관통공(136) 및 침투홀(113)을 통과하여 지반으로 침투가 되는 것이다.
이에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장치(130) 내부에서 초기 우수(W1)가 저류, 여과 및 침투 되면서 수위가 높아감에 따라 상기 부유구(138)가 상기 연통공(132)을 막음으로 인해 초기 이후의 우수(W3)는 상기 복합조(110)에서 저류부(112)로 유도가 되어 저류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류된 초기 이후의 우수(W3)는 배수연결공(114)을 통해 타 용도로 배수 또는 방류되도록 하는 것으로, 초기 이후의 우수(W3)는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아 그대로 저류하면서 배수 또는 방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 복합조 120 : 집수로
130 : 여과장치
130 : 여과장치
Claims (6)
- 일측에 복수의 침투홀이 형성되는 침투부와 타측에 배수연결공이 형성되는 저류부를 형성하는 복합조;
상기 침투부 상단부에서 상기 침투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부에 그레이팅이 구성된 집수로; 및
상기 침투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침투홀과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된 여과층이 구비된 여과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집수로와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우수유도부와 상기 우수유도부와 상단의 연통공으로 연통하며 하부로 직경이 커지는 부유구유도부로 구성된 상부 하우징; 및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재가 충진된 여과층이 구성되고 여과층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부유구가 내재된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의 상부에는 여과시트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유도부에는 상단의 양측에 상기 집수로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우수유도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유도부에는 상기 우수유도판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의 양측에 상기 우수유도판 보다 높이가 낮은 걸림턱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쇄석, 송이, 여과볼 중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되, 상기 여과볼은 토탄 100중량부에 제강슬래그 30 내지 40중량부, 물 5 내지 15중량부, 토양경화제 0.2 내지 0.6중량부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1271A KR101375319B1 (ko) | 2012-06-29 | 2012-06-29 |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1271A KR101375319B1 (ko) | 2012-06-29 | 2012-06-29 |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3235A KR20140003235A (ko) | 2014-01-09 |
KR101375319B1 true KR101375319B1 (ko) | 2014-03-18 |
Family
ID=5013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1271A KR101375319B1 (ko) | 2012-06-29 | 2012-06-29 |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53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4871B1 (ko) | 2017-01-24 | 2018-12-04 | 이레엔빛 주식회사 |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여재와 침투 트렌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9662A (ko) * | 2004-02-05 | 2005-08-11 |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KR100920689B1 (ko) | 2009-07-16 | 2009-10-14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20100113943A (ko) * | 2009-04-14 | 2010-10-22 | 현수건설 주식회사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KR20110018758A (ko) * | 2009-08-18 | 2011-02-24 | (주)예일엔지니어링 | 초기우수 분리장치 |
-
2012
- 2012-06-29 KR KR1020120071271A patent/KR1013753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9662A (ko) * | 2004-02-05 | 2005-08-11 |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KR20100113943A (ko) * | 2009-04-14 | 2010-10-22 | 현수건설 주식회사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KR100920689B1 (ko) | 2009-07-16 | 2009-10-14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20110018758A (ko) * | 2009-08-18 | 2011-02-24 | (주)예일엔지니어링 | 초기우수 분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3235A (ko) | 201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075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torm water runoff | |
US7632403B2 (en) | Liquid filtration system | |
KR101362254B1 (ko) |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 |
US8512555B1 (en) |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 |
CN102351316A (zh) | 一种处理公路降雨径流污染的绿化带排水沟人工湿地装置 | |
KR101578551B1 (ko) |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 |
KR100562168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US11629085B1 (en) |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 |
KR101294208B1 (ko) | 트리 필터 박스 | |
KR100794491B1 (ko) | 비점오염 부하저감용 우수배수 재이용시스템 | |
KR100977882B1 (ko) |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 |
KR20130011268A (ko) | 비점오염 여과형 침투도랑 정화장치 | |
WO2019061869A1 (zh) |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 |
CN107806171A (zh) | 一种一体化增强型雨水花园 | |
KR101095322B1 (ko) |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 |
CN105174472B (zh) | 一种餐厨污水处理装置 | |
KR101375319B1 (ko) | 부유식 분리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시설 | |
KR101195091B1 (ko) |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
KR100912458B1 (ko) | 비점오염원 유출수 정화처리시스템 | |
KR101055652B1 (ko) |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 |
CN108314261A (zh) | 道路排水系统 | |
KR20080015136A (ko) |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 |
CN210419496U (zh) | 一种用于矿山废弃地污染防控系统 | |
KR101865757B1 (ko) | 저영향개발형 수처리장치 | |
CN207435257U (zh) |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