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494B1 -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494B1
KR101374494B1 KR1020120066040A KR20120066040A KR101374494B1 KR 101374494 B1 KR101374494 B1 KR 101374494B1 KR 1020120066040 A KR1020120066040 A KR 1020120066040A KR 20120066040 A KR20120066040 A KR 20120066040A KR 101374494 B1 KR101374494 B1 KR 10137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bile terminal
acoustic
container body
effec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42651A (en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정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환 filed Critical 정석환
Priority to KR102012006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494B1/en
Publication of KR2013014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44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sound emi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1Aspects relating to docking-station type assemblies to obtain an acoustical effect, e.g. the type of connection to external loudspeakers or housings, frequency improvemen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하측으로 갈수로 축경되는 용기 몸체부;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용기 바닥부; 및 용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용기 바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용기 바닥부의 음향 진동판을 진동시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음료 등을 담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mobile terminal and generating and emitting an acoustic effect on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reduced to the lower side; A container bottom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facing upward; And a container support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supporting the container bottom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ccommodating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emitted to the outside by vibrating the acoustic diaphragm of the container bottom part. It features.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containing the bevera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by generating a variety of sound effects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by receiving a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음향효과 발생 용기{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Sound effect container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mobile terminal and generating and emitting an acoustic effect on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커피전문점에서 테이크아웃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일회용 컵이나, 자판기에서 사용되는 종이컵은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므로, 자원 소모 및 환경문제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disposable cup of synthetic resin material used for takeout in a coffee shop or a paper cup used in a vending machine is used once and discarded, which leads to resource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이와 같은 일회용 컵이나 종이컵을 활용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눈금을 부착하여 음료의 양을 확인하거나, 티스푼이 부착되거나, 손잡이가 부착되는 등 음용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Various technologies using such disposable cups or paper cups have been developed, but only to improve the function of drinking by attaching a scale to check the amount of the beverage, a teaspoon, or a handle. .

또한, 음향을 발생시키는 컵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단순히 컵에 전장품 및 스피커를 장착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In addition, while the development of the cup to generate sound has been attempted, these are also just a situation that generates a sound by simply mounting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speakers in the cup.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9416호(등록일자 2006.07.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09416 (Registration date 2006.07.2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음료 등을 담는 기본적인 기능에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containing drin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by generating a variety of sound effects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accommodate the mobile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확장하여 방출할 수 있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apable of expanding and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a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직립하여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지지대 기능을 행함과 아울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apabl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performing a support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can accommodate the mobile terminal upright at various angles. .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용도로 적극 활용하여,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 및 환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ely used to generate a sound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being used once discarded, and thus can prevent resource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in i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하측으로 갈수로 축경되는 용기 몸체부;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용기 바닥부; 및 용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용기 바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용기 바닥부의 음향 진동판을 진동시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reduced to the lower side; A container bottom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facing upward; And a container support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합성수지, 종이, 금속박막 중 어느 하나의 진동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a vibrating body of synthetic resin, paper, metal thin film.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진동판은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동심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oustic diaphrag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oncentric structure formed in a convex dom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용기 지지부는,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돌출되며, 용기 바닥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다리 형상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용기 지지부 간에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여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ing a plurality of interval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forms a leg shape extending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facing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또한, 본 발명의 각각의 용기 지지부는 측면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but narrowed in a curved shape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의 각각의 용기 지지부의 바닥면에는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contain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oustic diaphragm facing upward.

또한, 본 발명의 용기 지지부는,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평면을 이루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통 형상에서 용기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변형되며 용기 바닥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원통 지지판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평면간에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여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cylinder shape forming a plurality of plane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de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container bottom in the polygonal cylinder shape is further extended to the lower side than the container bottom portion Forming a cylindrical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planes facing each oth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acoustic diaphragm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몸체부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며, 일측면의 두께를 주변부의 두께와 달리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거나, 일측면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one side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adjust the focus on the mobile terminal, or to form one side in a plan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음료 등을 담는 기본적인 기능에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containing a beverage, and can receive a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variety of sound effects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확장하여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tend and emi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직립하여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지지대 기능을 행함과 아울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performing a support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can accommodate the mobile terminal upright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의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용도로 적극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 및 환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tively used for generating the acoustic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being used once and discarded, thereby preventing resource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Specific matter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showing the stat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용기 몸체부(110), 용기 바닥부(120) 및 용기 지지부(130)를 포함한다.1 to 5,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10, a container bottom 120, and a container support 130.

용기 몸체부(110)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용기 몸체부(1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축경되어,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구조를 취하여 메가폰과 같이 음향을 확장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container body 110 forms a cylindrical shape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mobile terminal 10 such as a smartphone.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is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taking the structure of a wide top and narrow bottom has a function to expand the sound like a megaphone.

용기 바닥부(120)는 용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121)이 형성되어, 수용되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음향 진동판(121)을 진동시켜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음향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음향 진동판(121)은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동심원 구조를 취한다. 음향 진동판(121)의 형상은 음향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피커의 진동판 형상을 따른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 외에도 다양한 음향효과를 가지기 위해 다양한 진동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 container bottom part 12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110, and an acoustic diaphragm 121 facing upward is formed, an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accommodated vibrates the acoustic diaphragm 121. And emits to the outside, creating an acoustic effect. To this end, the acoustic diaphragm 121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enter, and has a double concentric circle structure formed in a convex dome shape at the center. The shape of the acoustic diaphragm 121 follows the shape of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to improve the sound effect,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diaphragm shapes in order to have various sound effects in addition to such a structure.

용기 지지부(130)는 용기 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음향 진동판(121)이 진동하여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용기 바닥부(12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The container support 1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and supports the container bottom 1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acoustic diaphragm 12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ibration to generate the sound effect.

구체적으로, 용기 지지부(130)는 용기 몸체부(11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며, 용기 바닥부(120)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다리 형상을 이룬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용기 지지부(130)는 용기 몸체부(110)의 측면에서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돌출되는 네 개의 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몸체부(110)의 축경되는 형상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용기 지지부(130) 사이에도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기(10)의 하부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the container support 130 protrudes into a plurality of side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and forms a leg shape extending further downward than the container bottom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container support 130 is formed in four leg shapes protruding in four direction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10, and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10 is reduced in diameter.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130 facing each other along the narrow,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various sizes.

이에 따라, 용기 바닥부(1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서로 마주보는 용기 지지부(130) 간에 모바일 단말기(10)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여, 음향 진동판(121)으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도 이격되도록 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10)와 음향 진동판(121) 사이에도 일정 거리를 두어, 소리 전달 및 진동에 의한 음향효과 발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음향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ainer bottom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10 are supported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units 130 facing each other, and the mobile terminal 10 is separated from the acoustic diaphragm 121. To be spaced apart. That is, a predetermined distance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acoustic diaphragm 121 to sufficiently secure the space for generating the sound effect due to sound transmission and vibration, thereby generating the sound effect more effectively.

이때, 모바일 단말기(10)는 하단이 바닥을 향하며 상단이 위쪽을 향함으로써, 직립된 상태로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 is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by the bottom toward the bottom and the top toward the top.

또한, 각각의 용기 지지부(130)는 측면 폭(도 3의 도면부호 ‘a’ 참조)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용기 지지부(130)가 용기 몸체부(110)에서 연속되며, 모바일 단말기(10)의 좌우 양측단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을 이루며 바닥으로 이어지는 형태가 완만한 곡선으로 처리됨으로써,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10)의 직립된 자세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each container support 130 is formed so that the side width (refer to 'a' in Figure 3)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but narrowed in a curved shape concave downward from the top. Accordingly, the container support 130 is continuous in the container body 110, and forms a slot for insert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is processed in a gentle curve to the bottom form, the mobile is mounted The angle of the upright posture of the terminal 10 can be adjusted.

즉,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10)의 사이즈에 대응하기 위하여 용기 지지부(130)의 폭이 위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좁혀지게 되는데, 이 좁혀지는 형태가 사선을 띠는 직선이 아니라 완만한 반곡선이 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That is,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izes of the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10, the width of the container support 130 is narrowed from top to bottom. This narrowing shape is not a straight line but a gentle half curve. Take a structure that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의 소리에 진동되어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종이 또는 금속박막 중 어느 하나의 진동체로 형성한다. 예컨대,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진공성형 공법, 사출성형 공법 등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제조하거나, 이어붙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종이로 제조하거나, 주조 공법, 프레스가공 공법 등을 이용하여 금속박막으로 제조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박막형 용기 형태로 제조하도록 한다.The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such components, is made of any one of a vibrating body of synthetic resin, paper, or metal thin film so as to vibrate the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various sound effects. Form. For example,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may be manufactured from synthetic resin using a vacuum molding method, an injection molding method, or a paper thin film using a bonding method, or a metal thin film using a casting method or a press working method. It is t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thin film container.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다음과 같은 동작 특성을 가진다.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먼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용기 몸체부(110)에 수용시킨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용기 지지부(130) 중 서로 마주보는 용기 지지부(130)에 모바일 단말기(10)의 좌우 양측단을 삽입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의 스피커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의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First, the mobile terminal 10 such as a smart phone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mobile terminal 10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support 13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container supports 130. At this time,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face the bottom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용기 지지부(130)의 측면 폭(a) 구조에 의해 용기 바닥부(12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지지되며, 직립된 자세의 각도조절도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 is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20 by the structure of the side width a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art 130, and the angle of the standing posture can be adjusted.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기(10)에 내장된 음악 파일 등을 재생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면, 상기 소리가 하측에 마련된 음향 진동판(121)으로 전달되어, 음향 진동판(121)을 진동시키고 이에 따라 다양한 음향효과가 발생된다. Next, when a sound is generated by reproducing a music file or the lik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acoustic diaphragm 121 provided at the lower side, thereby vibrating the acoustic diaphragm 121 and thereby various sound effects. Is generated.

이때, 음향 진동판(121)의 형상 및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 외에도, 모바일 단말기(10)의 각도조절을 통하여 진동의 진행 방향 및 진행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음향효과를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음향 진동판(121)을 통해 상방으로 반사되어 나오는 과정에서도 용기 몸체부(110)를 진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음향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ang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acoustic diaphragm 121, by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ound effect genera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is reflected upward through the acoustic diaphragm 121, by vibrating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induce a variety of sound effects.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비교하여, 서라운드 사운드(surround sonud) 효과를 발생시킴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In particular,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sound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surround sound (surround sonud).

또한, 용기 몸체부(110)가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메가폰 구조를 이룸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비교하여, 음향이 확장되어 더 크게 들리는 것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by forming a megaphone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is enlarged toward the upper side, compared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it was actually confirmed that the sound is expanded and heard louder.

다음은 본 발명의 음향효과 발생 용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Next, various embodiments of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지지부(230) 각각의 바닥면에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23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 진동판(231)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판(121)과 마찬가지로,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동심원 구조를 취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ure 6, it is possible to form an acoustic diaphragm 231 facing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container suppor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diaphragm 231, like the acoustic diaphragm 1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enter, and has a double concentric structu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vex dome shape or If necessary, the shape may be changed to another shape.

이와 같이, 용기 지지부(230)에도 음향 진동판(231)을 채용함으로써, 더욱더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employing the acoustic diaphragm 231 in the container support 2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more and more various sound effect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 지지부(330)가 용기 몸체부(31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평면을 이루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나아가 다각통 형상에서 용기 바닥부(320)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변형되며 용기 바닥부(320)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원통 지지판(331)을 이루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용기 몸체부(310)의 측면을 따라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평면을 이루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 지지부(330)를 일례로 나타낸 것으로, 용기 몸체부(310)의 축경되는 형상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용기 지지부(330)의 평면 사이에도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는 것과, 모바일 단말기(10)의 직립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용기 지지부(330)의 간격이 좁아지는 구조 이외에, 용기 지지부(330)가 다각통 형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변형될 때 상하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서도, 단차 형성면에서 모바일 단말기(1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support part 33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forming a plurality of plane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310, and furthermore, in the polygonal shape. Cylindrical shape is deformed to surround the container bottom 320 and a cylindrical support plate 331 extending further downward than the container bottom 320. Specifically,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 330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that forms a plan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310, and shows the reduced diameter of the container body 310.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planes of the container support parts 330 facing each other is narrowed, thereby supporting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of various sizes, and adjusting the upright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t become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330 is narrowed, the mobile terminal 10 in the step formation surface even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ep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330 is deformed from a polygonal cylinder shape to a cylindrical shap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이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평면 간에 모바일 단말기(10)의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거나, 단차 형성면이 모바일 단말기(10)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음향 진동판(321)으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가 이격되어 지지된다. 또한, 원통 지지판(331)에 의해 용기 바닥부(320)의 음향 진동판(321)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 is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321 b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10 between the planes facing each other, or the step forming surfac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10. do. In addition, the acoustic diaphragm 321 of the container bottom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the cylindrical support plate 33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 몸체부(310)로부터 돌출되는 다리 형상의 용기 지지부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1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0)의 자연스런 기울기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음향 진동판(32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As such,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easily fixed without the leg-shaped container support projecting from the container body 310, and the natural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also increased. It can be produced, and the acoustic diaphragm 32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4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판(41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음향 진동판(411)은 내측이나 외측 중 향하는 방향을 선택하여 형성함으로써, 발생되는 음향효과를 달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at least one acoustic diaphragm 411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acoustic diaphragm 411 is formed by selecting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r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vary the sound effect gen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410)는 측면에 음향 진동판(411)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container body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more various sound effects by employing the acoustic diaphragm 411 on the side surfac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투명 합성수지재로 음향효과 발생 용기를 형성하는 경우, 수용된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시인성에도 다양한 효과를 도모할 있도록 그 구조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taine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1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so as to achieve various effects on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displayed in the).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곡률을 가지는 용기 몸체부(510)의 일측면(511)의 두께를 주변부의 두께와 달리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9와 같이, 일측면을 주변부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볼록렌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이때, 타측면(512)은 주변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평면렌즈 또는 오목렌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굴절 없이 평평하게 볼 수 있거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축소하여 볼 수 있다.Specifically,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one side 511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510 having a curvature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por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cus. That is, as shown in Figure 9, since one side is formed thick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to obtain the effect of the convex lens,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the other side 512 is formed thinn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to obtain the effect of a flat lens or concave lens, it is possible to see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lat without refraction, or to reduce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0과 같이, 곡률을 가지는 용기 몸체부(610)의 일측면(611)을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굴절 없이 평평하게 볼 수 있으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one side 611 of the container body 610 having a curvature is formed in a plane to form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Since it can be seen flat without refraction, visibilit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음료 등을 담는 기본적인 기능에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에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containing a beverage, can receive a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variety of sound effects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확장하여 방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end and emi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모바일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직립하여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지지대 기능을 행함과 아울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support func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mobile terminal upright at various ang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hav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인 음향효과 발생 기능 이외에, 음료를 담는 컵으로써의 기본적인 기능도 함께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has a basic function as a cup containing a drink in addition to the sound effect generating function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효과 발생 용기는, 커피전문점에서 테이크아웃용 합성수지 컵이나, 자판기의 종이컵으로 일차적으로 사용되며, 음료 용기로써의 기능을 행한 후,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단순 지지대의 기능에 나아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음향효과를 발생시키는 용도로 적극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일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 및 환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primarily as a take-out synthetic resin cup or a paper cup of a vending machine in a coffee shop, and after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a simple support for mounting, since it can be actively used for generating a sound effect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hich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being used once and discard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모바일 단말기
110, 310, 410, 510, 610 : 용기 몸체부
511, 611 : 용기 몸체부의 일측면
512 : 용기 몸체부의 타측면
120, 320 : 용기 바닥부
121, 231, 321, 411 : 음향 진동판
130, 230, 330 : 용기 지지부
331 : 원통 지지판
10: Mobile terminal
110, 310, 410, 510, 610: container body
511, 611: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512: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20, 320: bottom of container
121, 231, 321, 411: acoustic diaphragm
130, 230, 330: container support
331 cylindrical support plate

Claims (9)

하측으로 갈수로 축경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용기 바닥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바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를 수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용기 바닥부의 음향 진동판을 진동시켜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용기 지지부 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평면을 이루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각통 형상에서 상기 용기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변형되어 서로 마주보는 평면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A container body portion reduced in number to the lower side;
A container bottom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facing upward; And
A container support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supporting the container bottom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cluding;
By accommodating a mobile terminal,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emitted to the outside by vibrating the acoustic vibrating plat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upport part supports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parts which protrude in a plurality along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face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or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It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forming a plurality of planes and is de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 the polygonal shape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planes facing each oth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판은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동심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coustic diaphragm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enter, the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central concentric structure is formed in a convex dom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바닥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다리 형상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용기 지지부 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rotruding interval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forms a leg shape extending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s facing each other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용기 지지부는 측면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vessel support portion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narrowed in a curved shape concave downward from the to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용기 지지부의 바닥면에는 상방을 향하는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coustic diaphragm facing upward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containe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평면을 이루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각통 형상에서 상기 용기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변형되며 상기 용기 바닥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원통 지지판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평면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음향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cylinder shape forming a plurality of planes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de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container bottom portion in a polygonal cylinder shape and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container bottom portion. A sound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planes facing each oth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diaphrag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acoustic diaphragm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the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며, 일측면의 두께를 주변부의 두께와 달리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거나, 상기 일측면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 발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hickness of one side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adjust the focus on the mobile terminal, or an acoustic effect generat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ormed in a plane.
KR1020120066040A 2012-06-20 2012-06-20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KR101374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040A KR101374494B1 (en) 2012-06-20 2012-06-20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040A KR101374494B1 (en) 2012-06-20 2012-06-20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651A KR20130142651A (en) 2013-12-30
KR101374494B1 true KR101374494B1 (en) 2014-03-13

Family

ID=4998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040A KR101374494B1 (en) 2012-06-20 2012-06-20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4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97B1 (en) * 2013-08-12 2014-12-01 조빛나 Disposable drink package cup
JP6379861B2 (en) * 2014-08-26 2018-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ound output terminal stand, assembly plate material set of sound output terminal st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00Y1 (en) 2001-03-26 2001-10-10 강순옥 music playing receptacle for things to drink
KR200453721Y1 (en) 2009-12-09 2011-05-23 최원석 Decorative speaker for portable recorded sound player
KR200457411Y1 (en) 2011-05-17 2011-12-19 허주일 Mobile device stand seperating and expanding stereo sou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00Y1 (en) 2001-03-26 2001-10-10 강순옥 music playing receptacle for things to drink
KR200453721Y1 (en) 2009-12-09 2011-05-23 최원석 Decorative speaker for portable recorded sound player
KR200457411Y1 (en) 2011-05-17 2011-12-19 허주일 Mobile device stand seperating and expanding stereo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651A (en)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744B1 (en) Slim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
CN104301845B (en) Thin horn structure
US11026015B2 (en) Speaker
CN103026737A (en) System for vibration confinement
KR101374494B1 (en)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US20160227323A1 (en) Receiver Having Diaphragm with Improved Rigidity
US20190281390A1 (en) Loudspeaker diaphragm and moulding method therefor
US10659882B2 (en) Diaphragm for producing sound and speaker using same
US10291982B2 (en) Vibration diaphragm
JP2009278214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006304295A (en) Loudspeaker with low-frequency oscillation
CN210899494U (en) Electromagnetic exciter and screen sounding device
CN208572429U (en) The loudspeaker assembly of sound output and vibrating function is provided
US10362390B2 (en) Vibration diaphragm
US10708692B2 (en) Vibration diaphragm
US10291987B2 (en) Vibration diaphragm
US10820078B2 (en) Speaker box
US20140254858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20180085393A (en) Speaker unit of layered structure
EP3041268B1 (en) Audio driver assembly, headphone including such an audio driv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2012235368A (en) Thin television receiver
CN208754545U (en) Loudspeaker and its acoustic diffusers
CN104698809B (en) Acoustic membrane for music table
US10291988B2 (en) Vibration diaphragm
CN105451140B (en) Has the outstanding structure improved vibrating diaphragm in 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