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777B1 - 간판 - Google Patents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777B1
KR101373777B1 KR1020120035460A KR20120035460A KR101373777B1 KR 101373777 B1 KR101373777 B1 KR 101373777B1 KR 1020120035460 A KR1020120035460 A KR 1020120035460A KR 20120035460 A KR20120035460 A KR 20120035460A KR 101373777 B1 KR101373777 B1 KR 10137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nt
fitting
elastic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124A (ko
Inventor
정승수
Original Assignee
정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수 filed Critical 정승수
Priority to KR102012003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7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문자를 부착하거나 프레임 자체에 광고문구를 타공하여 빛의 확산 현상을 이용한 광고 및 간판의 폭이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일 끝단에는 제2프레임을 결합하여 디귿자 형태의 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외면에는 광고문자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2프레임을 타공하여 타공문구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을 부착하여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으로 조명광고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3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폭이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판{A sign}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간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문자를 부착하거나 프레임 자체에 광고문구를 타공하여 빛의 확산 현상을 이용한 광고 및 간판의 폭이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라 함은 영업체 또는 상품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의 광고는 크게 신문이나 전파 매개체를 통한 광고와 기구적인 광고장치를 이용한 광고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전자의 신문이나 전파매개체를 통한 광고의 경우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과다한 광고비용이 소요되므로, 주로 저렴한 비용으로 비교적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구적인 광고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기구적인 광고장치로 많이 사용되는 광고판은 건물의 벽이나 출입문 상측에 전면이나 인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상점의 사업행위를 알리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 예로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0-0034853호를 일 예로 간판용 압출프레임의 명칭으로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간판용 압출프레임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져서 ㄷ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압출성형되며, 상기 상면과 저면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광확산판끼움홈이 상호 대향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면과 상면, 저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램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램프의 불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판을 상기 광학산판끼움홈에 끼워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출프레임은 크기가 한정되도록 제작되어 다양한 크기의 광고문자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출프레임은 광고문자 중 일부 개수의 크기가 압출프레임의 폭을 벗어나는 경우 크기가 큰 광고문자를 부착하기 위해서 압출프레임을 크게 제작해야함으로 제작비용이 증대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출프레임은 한 면이나 두 면을 통해서만 광고를 시행할 수 있어 광고를 위해 설치상 제약점이 있을 경우 압출프레임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로 인하여, 3개의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여 관리 및 제작이 간편하고, 간판의 길이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간판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3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폭이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전면으로 별도의 광고문자를 부착시켜 광고를 시행하거나 프레임에 광고문자를 타공하여 빛에 의한 발광 광고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개의 프레임이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개별적인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일 끝단에는 제2프레임을 결합하여 디귿자 형태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외면에는 광고문자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2프레임을 타공하여 타공문구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을 부착하여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으로 조명광고가 되도록 구성하는 간판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의 제1프레임단의 일 끝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단턱단의 후방으로 밀착단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제1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단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가 삽입되는 제1공간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단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단의 타 끝단에는 지지단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가 삽입되는 제2공간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단의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3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폭이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전면으로 별도의 광고문자를 부착시켜 광고를 시행하거나 프레임에 광고문자를 타공하여 빛에 의한 발광 광고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3개의 프레임이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개별적인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2프레임으로 통한 광고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제1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제2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제1,2프레임이 결합된 프레임의 양 측단을 보조프레임으로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사용되는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제1,2프레임이 결합된 프레임의 양 측단을 보조프레임으로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사용되는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과 도 9는 서로 다른 보조프레임으로 양 측단이 결합되고, 제1프레임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제2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보조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1,2프레임이 결합된 프레임에 추가프레임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판에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3프레임으로 통한 광고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과 도 14는 서로 다른 보조프레임으로 양 측단이 결합되고, 제1프레임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제3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제3프레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6은 틈새마감구의 정면도,
도 17은 제1,3프레임이 결합된 프레임에 추가프레임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제2,3프레임에 타공문구를 형성한 상태를 일부분 도시한 부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별도간판을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판은 간판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제1,2프레임(10)(20)의 외면에는 광고문자(500)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2프레임(20)을 타공하여 타공문구(60)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61)을 부착하여 프레임(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70)으로 조명광고가 가능하도록 간판(100A)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2프레임(20)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의 일 끝단에는 단턱(12a)을 형성하도록 단턱단(12b)의 후방으로 밀착단(12c)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제1절곡단(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단(12)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1공간(13a)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단(13)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단(11)의 타 끝단에는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2공간(14a)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절곡단(14)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절곡단(14)의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15)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 양 끝단에는 제1프레임(10)의 단턱(12a)에 지지되도록 내측을 향하는 지지절곡단(2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절곡단(22)의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는 판넬지지단(23)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판넬지지단(23)은 제2프레임단(21)의 내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판넬수직단(23a)의 끝단은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판넬수평단(23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판넬수직단(23a)의 내면에 수평 연장되어 제2프레임단(21)과 사이에 판넬홈(23c)을 형성하는 판넬단(23d)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체결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50)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경사져 탄성경사단(54)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경사단(54)의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2프레임(20)을 연속으로 배치한 후, 제1공간(13a)에 끼움되는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삽입홈(91)이 형성된 상부로 판넬지지단(23)의 판넬수평단(23b)에 끼움되는 수평단홈(92)이 직각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보조체결구(90)로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의 고정단(15)단 사이에는 프레임(40)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한 사각 박스 형태의 추가프레임(400)을 끼운 후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판은 간판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3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제1,3프레임(10)(30)의 외면에는 광고문자(500)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3프레임(20)을 타공하여 타공문구(60)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61)을 부착하여 프레임(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70)으로 조명광고가 가능하도록 간판(100B)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3프레임(30)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의 일 끝단에는 단턱(12a)을 형성하도록 단턱단(12b)의 후방으로 밀착단(12c)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제1절곡단(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단(12)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1공간(13a)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단(13)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단(11)의 타 끝단에는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2공간(14a)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절곡단(14)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절곡단(14)의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15)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 일 끝단은 돌기(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프레임(10)의 제1절곡단(12)에 밀착되는 돌기단(33)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단(33)의 외측면에는 밀착단(12c)에 밀착되는 제1끼움단(3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끼움단(34)이 형성된 반대편 내측면에는 제2,3끼움단(35)(36)이 이격되어 끼움홈(37)을 생성하여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3프레임(30)의 타 끝단은 돌기(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로 계단 형태의 제4끼움단(38)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4끼움단(38)의 반대편으로 이며 제1프레임(10)의 제1절곡단(12)에 밀착되는 제5끼움단(39)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을 체결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50)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경사져 탄성경사단(54)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경사단(54)의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3프레임(30)을 연속으로 배치한다.
이러한, 상기 돌기(32)와 돌기(32)는 마주보고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을 연속되는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의 내측공간으로 삽입하며, 상기 돌기단(33)은 제5끼움단(39)에 밀착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속 연결된 제3프레임(30)은 제1프레임(10)의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의 전면으로 제5끼움단(39)이 밀착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상기 연속배치되는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과 연속된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은 서로 이격되어 볼트공간(38a)이 형성되어, 상기 제5끼움단(39)을 관통하여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에 체결되는 나사못의 머리부분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속배치되는 제3프레임(30)의 돌기(32)와 돌기(32)에 삽입되도록 양 측단에 돌기홈(81)이 각각 형성된 눕혀진 'H'형상의 틈새마감구(80)로 돌기(32)와 돌기(32)의 사이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의 고정단(15)단 사이에는 프레임(40)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한 사각 박스 형태의 추가프레임(400)을 끼운 후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판(100A)를 설명하면 제1프레임(10)을 한 쌍으로 준비한 다음 서로 제1절곡단(12)이 마주보도록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10)의 단턱(12a)에 제2프레임(20)의 지지절곡단(22)을 밀착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1절곡단(12)과 제2프레임(20)의 판넬수평단(23b)을 서로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단(12)과 지지단(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13a)에 보강바(200)를 삽입한 다음 지지단(13)과 보강바(200)를 나사못으로 체결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된 제2절곡단(14)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14a)에 보강바(200)를 삽입한 후 제2절곡단(14)을 관통하는 나사못으로 보강바(200)와 체결하여 프레임(4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40)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만을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으로 광고문자(500)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타공문구(60)을 형성할 경우에는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과 판넬단(23d)에 의해 생성되는 판넬홈(23c)에 광확산판넬(61)을 삽입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40)의 양 측단에 보조프레임(5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탄성수평단(5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탄성수직단(53)은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에 체결하여 사용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프레임(40)의 양 측단에 보조프레임(50)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탄성수평단(52)에서 연장된 탄성경사단(54)과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탄성수직단(53)을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2프레임(20)을 연속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20)의 지지절곡단(22)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 끝에 위치되는 제2프레임(20)의 지지절곡단(22)의 제1프레임(10)의 단턱(12a)에 밀착시켜 보조체결구(90)를 이용하여 판넬지지단(23)과 보강바(200)를 체결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체결구(90)의 삽입홈(91)에 제1공간(13a)에 끼움되는 보강바(200)를 삽입시키고, 상기 수평단홈(92)에는 판넬지지단(23)의 판넬수평단(23b)을 끼움하여 체결한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판(100B)를 설명하면 제1프레임(10)을 한 쌍으로 준비한 다음 서로 제1절곡단(12)이 마주보도록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한다.
이후, 상기 제3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제3프레임단(31)의 일 끝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돌기단(33)을 제1절곡단(12)에 밀착시키고, 제1끼움단(34)은 밀착단(12c)에 밀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된 제2절곡단(14)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14a)에 보강바(20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3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제3프레임단(31)의 타 끝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5끼움단(39)은 제1절곡단(12)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제5끼움단(39)의 끝단은 밀착단(12c)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단(12)과 지지단(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13a)에 보강바(200)를 삽입한 다음 지지단(13)과 보강바(200), 제1절곡단(12)과 제1끼움단(34), 제1절곡단(12)과 제5끼움단(39)을 나사못 등으로 체결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된 제2절곡단(14)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14a)에 보강바(200)를 삽입한 후 제2절곡단(14)을 관통하는 나사못으로 보강바(200)와 체결하여 프레임(4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40)의 양 측단에 보조프레임(5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탄성수평단(5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탄성수직단(53)은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에 체결하여 사용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프레임(40)의 양 측단에 보조프레임(50)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탄성수평단(52)에서 연장된 탄성경사단(54)과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탄성수직단(53)을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보조프레임단(51)을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3프레임(30)을 연속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30)의 돌기(32)와 돌기(32)는 마주보고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을 연속되는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의 내측공간으로 삽입하며, 상기 돌기단(33)은 제5끼움단(39)에 밀착되어 연결시킨다.
이렇게, 상기 연속 연결된 제3프레임(30)은 제1프레임(10)의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의 전면으로 제5끼움단(39)이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연속배치되는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과 연속된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은 서로 이격되어 볼트공간(38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5끼움단(39)을 관통하여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에 체결되는 나사못의 머리부분이 위치시켜 나사못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속배치되는 제3프레임(30)의 돌기(32)와 돌기(32)는 이격되어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데 돌기(32)와 돌기(32)는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40)의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상기 돌기(32)와 돌기(32)가 이격된 공간에 제3프레임(30)의 연속 연결 전에 틈새마감구(80)의 돌기홈(81)에 마주보는 돌기(32)를 끼워 틈새를 폐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40)은 제1프레임(10)과 제3프레임(30)만을 결합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으로 광고문자(500)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타공문구(60)을 형성할 경우에는 제3프레임(30)의 돌기(32)와 제1끼움단(34)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틈새와 마주보게 제4끼움단(38)에 형성되는 틈새에 광확산판넬(61)을 삽입 부착하여 프레임(40)의 설치되는 보강바(200)에 고정된 조명수단(70)의 발광에 의해 조명 광고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공통적으로, 상기 간판(100A,100B)의 프레임(40) 돌출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작된 사각 박스 형태의 추가프레임(400)을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의 고정단(15)단 사이에는 끼운 후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다양한 형태 및 장소에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간판(100A,100B)의 개방된 양 끝단에는 마감판(600)을 나사못으로 체결한다.
아울러, 상기 간판(100A,100B)의 일 끝단에는 길이가 짧은 별도간판(300)을 기역자 형태가 되도록 부착하여 별도간판(300)에서 발산되는 조명에 의해 광고문자(500)가 제2,3프레임(20)(30)에 부착된 경우 조명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도면에서는 간판(100B)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제1프레임 11 : 제1프레임단
12 : 제1절곡단 12a : 단턱
12b : 단턱단 12c : 밀착단
13 : 지지단 13a : 제1공간
14 : 제2절곡단 14a : 제2공간
15 : 고정단 20 : 제2프레임
21 : 제2프레임단 22 : 지지절곡단
23 : 판넬지지단 23a : 판넬수직단
23b : 판넬수평단 23c : 판넬홈
23d : 판넬단 30 : 제3프레임
31 : 제3프레임단 32 : 돌기
33 : 돌기단 34 : 제1끼움단
35 : 제2끼움단 36 : 제3끼움단
37 : 끼움홈 38 : 제4끼움단
38a : 볼트공간 39 : 제5끼움단
40 : 프레임 50 : 보조프레임
51 : 보조프레임단 52 : 탄성수평단
53 : 탄성수직단 54 : 탄성경사단
60 : 타공문구 61 : 광확산판넬
70 : 조명수단 80 : 틈새마감구
81 : 돌기홈 90 : 보조체결구
91 : 삽입홈 92 : 수평단홈
100A,100B : 간판 200 : 보강바
300 : 별도간판 400 : 추가프레임
500 : 광고문자 600 : 마감판

Claims (17)

  1. 삭제
  2.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0) 일 끝단에는 제2프레임(20)을 결합하여 디귿자 형태의 프레임(40)을 구성하고, 상기 제2프레임(20)의 외면에는 광고문자(500)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2프레임(20)을 타공하여 타공문구(60)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61)을 부착하여 프레임(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70)으로 조명광고가 되도록 구성하는 간판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20)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의 일 끝단에는 단턱(12a)을 형성하도록 단턱단(12b)의 후방으로 밀착단(12c)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제1절곡단(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단(12)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1공간(13a)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단(13)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단(11)의 타 끝단에는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2공간(14a)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절곡단(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단(14)의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1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 양 끝단에는 제1프레임(10)의 단턱(12a)에 지지되도록 내측을 향하는 지지절곡단(22)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절곡단(22)의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는 판넬지지단(2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넬지지단(23)은 제2프레임단(21)의 내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판넬수직단(23a)의 끝단은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판넬수평단(23b)을 형성하고, 상기 판넬수직단(23a)의 내면에 수평 연장되어 제2프레임단(21)과 사이에 판넬홈(23c)을 형성하는 판넬단(23d)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하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하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경사져 탄성경사단(54)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경사단(54)의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의 제2프레임단(2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2프레임(20)을 연속으로 배치한 후, 제1공간(13a)에 끼움되는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삽입홈(91)이 형성된 상부로 판넬지지단(23)의 판넬수평단(23b)에 끼움되는 수평단홈(92)이 직각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보조체결구(9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의 고정단(15)단 사이에는 프레임(40)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한 사각 박스 형태의 추가프레임(400)을 끼운 후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9. 삭제
  10.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0) 일 끝단에는 제3프레임(30)을 결합하여 디귿자 형태의 프레임(40)을 구성하되, 상기 제3프레임(30)의 외면에는 광고문자(500)를 부착하거나, 상기 제3프레임(30)을 타공하여 타공문구(60)를 형성한 내면으로 광확산판넬(61)을 부착하여 프레임(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수단(70)으로 조명광고가 되도록 구성하는 간판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30)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의 일 끝단에는 단턱(12a)을 형성하도록 단턱단(12b)의 후방으로 밀착단(12c)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제1절곡단(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단(12)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1공간(13a)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단(13)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단(11)의 타 끝단에는 지지단(13)의 하부로 이격되어 보강바(200)가 삽입되는 제2공간(14a)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절곡단(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단(14)의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1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 일 끝단은 돌기(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프레임(10)의 제1절곡단(12)에 밀착되는 돌기단(33)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돌기단(33)의 외측면에는 밀착단(12c)에 밀착되는 제1끼움단(3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단(34)이 형성된 반대편 내측면에는 제2,3끼움단(35)(36)이 이격되어 끼움홈(37)을 생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3프레임(30)의 타 끝단은 돌기(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로 계단 형태의 제4끼움단(38)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끼움단(38)의 반대편으로 이며 제1프레임(10)의 제1절곡단(12)에 밀착되는 제5끼움단(39)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하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프레임단(11)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프레임단(51)의 일 끝단은 수평절곡되어 탄성수평단(52)을 구성하고,
    상기 탄성수평단(52)의 일 끝단은 경사져 탄성경사단(54)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경사단(54)의 끝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3프레임(30)의 제3프레임단(31)의 전면을 가압하는 탄성수직단(53)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의 고정단(15)단 사이에는 프레임(40)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한 사각 박스 형태의 추가프레임(400)을 끼운 후 나사못으로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을 이격 거리를 넓힌 경우에는 제3프레임(30)을 연속으로 배치하되, 상기 돌기(32)와 돌기(32)는 마주보고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을 연속되는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의 내측공간으로 삽입하며, 상기 돌기단(33)은 제5끼움단(39)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상기 연속 연결된 제3프레임(30)은 제1프레임(10)의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의 전면으로 제5끼움단(39)이 밀착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30)의 제1끼움단(34)과 연속된 제3프레임(30)의 제4끼움단(38)은 서로 이격되어 볼트공간(38a)이 형성되어, 상기 제5끼움단(39)을 관통하여 제1공간(13a)에 삽입되는 보강바(200)에 체결되는 나사못의 머리부분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30)의 돌기(32)와 돌기(32)에 삽입되도록 양 측단에 돌기홈(81)이 각각 형성된 눕혀진 'H'형상의 틈새마감구(8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KR1020120035460A 2012-04-05 2012-04-05 간판 KR10137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60A KR101373777B1 (ko) 2012-04-05 2012-04-05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60A KR101373777B1 (ko) 2012-04-05 2012-04-05 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24A KR20130113124A (ko) 2013-10-15
KR101373777B1 true KR101373777B1 (ko) 2014-03-13

Family

ID=4963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60A KR101373777B1 (ko) 2012-04-05 2012-04-05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91U (ko) *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광도 간판에 부착되는 광고용 문자구조
KR20120029009A (ko) * 2010-09-15 2012-03-26 이대인 다양한 재질과 두께의 전면 판 소재를 고정하는 간판용 외곽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91U (ko) *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광도 간판에 부착되는 광고용 문자구조
KR20120029009A (ko) * 2010-09-15 2012-03-26 이대인 다양한 재질과 두께의 전면 판 소재를 고정하는 간판용 외곽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24A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92B1 (ko) 간판의 양면 광고 프레임 구조
KR100962582B1 (ko) 다양한 배경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프레임 간판
KR100903648B1 (ko) 광고판 조립 구조
KR20130093317A (ko) 간판용 압출프레임
KR101373772B1 (ko) 간판
KR200490797Y1 (ko) 간판 문자 및 이를 갖는 입체 간판
KR100879147B1 (ko) 광고용 간판
KR100893898B1 (ko) 광고판 프레임 조립 구조
KR101373776B1 (ko) 간판
KR200176827Y1 (ko) 광고판
KR101373777B1 (ko) 간판
KR10129825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260052B1 (ko) 도광판 적용 광고를 위한 간판 프레임 장치
KR101139236B1 (ko) 탈,부착식 입체 문자채널 장치
KR101031917B1 (ko) 입체문자채널간판의 조립식 확장 프레임
KR100970899B1 (ko) 다목적 간판프레임
KR101049045B1 (ko) 중공형 면 발광 입체문자채널
KR100908826B1 (ko) 간판
KR101837157B1 (ko) 간판용 테두리 장식 프레임
KR101985168B1 (ko) Led 방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led바 전원 연결단자
KR200315266Y1 (ko) 풀 컬러 싸인 보드
CN209374018U (zh) 一种广告牌箱体固定结构
KR200465672Y1 (ko) 채널간판용 입체돌출부재와 이를 이용한 채널간판
KR200463854Y1 (ko) 입체 간판 고정구
KR200448201Y1 (ko) 입체간판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