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737B1 - 스크린 루바 - Google Patents

스크린 루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737B1
KR101373737B1 KR1020120084282A KR20120084282A KR101373737B1 KR 101373737 B1 KR101373737 B1 KR 101373737B1 KR 1020120084282 A KR1020120084282 A KR 1020120084282A KR 20120084282 A KR20120084282 A KR 20120084282A KR 101373737 B1 KR101373737 B1 KR 10137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ain body
plate
ceiling
screen lu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356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2008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는, 천장 방향에 위치한 수평판과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의 수직판을 구비하고,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단면이 'ㅂ' 형상을 하고, 상기 'ㅂ' 형상 중 상단의 양 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본체돌기가 형성되며, 결합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부를 상기 'ㅂ' 형상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천장 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스크린 루바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루바 {Screen louver}
본 발명은 루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조명인 램프의 광을 차단하는 루바에 있어서, 천장에의 부착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스크린 루바에 관한 것이다.
루바(louver)란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설치하여 직사광이나 비를 막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루바 중 스크린 루바(screen louver)는 실내 조명인 램프 등의 아랫면에 부착하는 격자형 차광판으로, 특정 범위에만 조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조명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을 차단하는 등, 조명원의 광선이 일정한 지향성을 갖게 하고 실내의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 루바는 통상 천장에 구비된 구조물 등에 결합하여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높이가 높고 결합이 어려운 난점이 존재한다.
이에, 스크린 루바를 천장 또는 천장에 설치된 주조물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33525 (2009.12.15) 스크린 루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 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크린 루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는, 천장 방향에 위치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의 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단면이 'ㅂ' 형상을 하고, 상기 'ㅂ' 형상 중 상단의 양 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본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ㅂ' 형상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본체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측면판, 및 상기 복수의 측면판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본체돌기는 상기 측면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측면판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수직판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은 상기 본체돌기의 내측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부착되고, 상기 수평판은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볼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은 상기 본체돌기의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직판의 일면에 'ㄷ'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직판을 'ㄷ'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직판 각각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본체부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루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천장 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스크린 루바를 용이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으며, 소요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된다.
둘째, 복수의 결합돌기를 채용하여 스크린 루바의 본체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높이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스크린 루바가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스크린 루바의 본체부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특정 조명원의 조광범위가 다른 조명원의 조광범위와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셋째, 결합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돌기를 끼움 결합할 수 있어, 결합부와 본체부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가 지지대에 고정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부가 볼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100)가 지지대(30)에 고정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루바(100)는 결합부(10)와 본체부(20)를 포함한다.
결합부(10)는 천장에 직접 스크린 루바(1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30)에 스크린 루바(100)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 부재 역할을 한다.
본체부(20)는 조명원의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판형 부재이다.
도 1에서 결합부(10)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30)에 부착된다. 이때, 결합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한 수평판은 볼트홈을 포함하고, 해당 볼트홈을 이용하여 결합부(10)와 지지대(30)가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는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공간에 삽입 결합된다. 제1 실시예의 결합부(10)는 측면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데, 해당 연결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부(10)가 본체부(20)의 개구 영역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10) 또는 본체부(20)는 탄성이 있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크린 루바(100)에서는 결합부(10)를 움직여 본체부(20)와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천장 또는 지지대(30)에 부착된 결합부(10)를 겨냥하여 본체부(2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넣음으로서 결합부(10)와 본체부(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루바(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부(1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부(10)가 볼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0)는 수평판(11), 수직판(12) 및 결합돌기(13)를 포함한다.
수평판(11)은 천장 방향에 위치하며, 천장 또는 천장에 설치된 지지대(30)와 맞닿아 고정 부착되는 부분이다.
수평판(11)은 천장 또는 지지대(30)와 볼트(14)를 이용해 체결될 수 있으며, 수평판(11)은 볼트(14)를 위한 볼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12)은 수평판(1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결합부(10)는 복수의 수직판(12)을 포함한다.
결합돌기(13)는 수직판(12)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기(13)는 수직판(12)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이도록 절곡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결합돌기(13)를 이용하여 결합부(10)를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10)의 수평판(11), 수직판(12) 또는 결합돌기(13)는 탄성이 있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 수평판(11)은 결합돌기(13)의 끝단 보다 높게,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는데, 이는 본체부(20)를 결합부(10) 방향으로 밀어 넣어 결합하는 경우, 탄성이 있는 결합돌기(13)가 상측으로 구부러져도 결합돌기(13)의 끝단보다 수평판(11)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본체부(20)가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본체부(2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20)는 연결판(21), 측면판(22), 보강판(23) 및 본체돌기(24)를 포함한다.
연결판(21)은 본체부(2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측면판(22)은 연결판(2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끝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본체돌기(24)가 형성된다. 본체부(20)는 연결판(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된 복수의 측면판(22)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본체부(20)의 단면은 'ㅂ' 형상을 가지며, 'ㅂ' 형상 상단의 양 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본체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체돌기(24)는 측면판(22)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수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돌기(24)와 측면판(22)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이 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부(10)와 본체부(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부(10)가 본체부(20)에 삽입된 후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판(23)은 측면판(22)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연결판(21)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본체부(20)가 결합부(10)와 끼움결합함에 있어 본체돌기(24)가 결합돌기(13)와 맞닿아 측면판(22)이 벌어지는 경우를 대비해 본체부(2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20)의 연결판(21), 측면판(22), 보강판(23) 및 본체돌기(24)는 탄성이 있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20)의 단면은 'ㅂ' 형상을 가지는데, 결합부(10)는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본체부(20)를 결합부(1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밀어넣어 끼움결합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1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7은 결합부(10)가 탄성을 이용해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10)가 구비한 결합돌기(13)의 끝단은, 본체부(20)가 구비한 본체돌기(24)의 내측면에 맞닿아 본체부(20)를 지지한다.
이때, 결합부(10)의 수평판(11)은 천장 또는 천장에 설치된 지지대(30)에 고정 부착되고, 결합부(10)가 결합돌기(13)를 이용해 본체부(20)를 지지하며, 결국 스크린 루바(100)가 천장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본체부(20)는 장형의 구조물로서 일정치 이상의 중량을 가지므로, 결합부(10)와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없이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루바(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2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서 결합부(40)는 수평판(11), 수직판(12) 및 결합돌기(13)를 포함하고, 본체부(20)는 연결판(21), 측면판(22), 보강판(23) 및 본체돌기(24)를 포함하며, 해당 구성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린 루바(200)에서 결합부(40)가 구비한 수직판(12)에는, 본체부(20)가 구비한 본체돌기(24)의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5)은 결합부(40)와 본체부(20)가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부(20)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결합홈(15)의 존재에 따라 충격 등에 따른 본체부(20)의 이동이 제한된다.
도 9에서 결합부(40)는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영역에 삽입 결합되었으며, 그 결과 본체돌기(24)의 끝단이 결합홈(15)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때, 결합홈(15)은 복수의 수직판(12)을 'ㄷ'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루바(3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3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결합부(50)는 수평판(11), 수직판(12) 및 결합돌기(13)를 포함하고, 본체부(20)는 연결판(21), 측면판(22), 보강판(23) 및 본체돌기(24)를 포함하며, 해당 구성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린 루바(300)에서 결합부(50)가 구비한 수직판(12)에는, 본체부(20)가 구비한 본체돌기(24)의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홈(16)은 복수의 수직판(12)에 'ㄷ'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홈(16)은 결합부(50)와 본체부(20)가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부(20)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결합홈(16)의 존재에 따라 충격 등에 따른 본체부(20)의 이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루바(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6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부(6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루바(4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결합부(60)는 수평판(11) 및 수직판(12)을 포함하고, 본체부(20)는 연결판(21), 측면판(22), 보강판(23) 및 본체돌기(24)를 포함하며, 해당 구성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스크린 루바(400)에서 결합부(60)는 복수의 결합돌기(16, 17)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돌기(16)는 수직판(12)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되고, 결합돌기(17)는 수직판(12)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스크린 루바(400)의 결합부(60)는 복수의 수직판(12)의 외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7)를 포함한다.
도 14에서 결합부(60)는 본체부(20)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끼움 결합되는데, 결합돌기(16)는 본체부(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고, 결합돌기(17)는 본체부(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결합돌기(16)의 끝단은 본체돌기(24)의 내부면과 맞닿아 본체부(20)를 지지하며, 본체돌기(24)는 결합돌기(16)와 결합돌기(17)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만일, 결합돌기(16, 17)가 모두 본체부(20)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라면, 본체부(20)는 결합부(60)가 부착된 천장 또는 지지대(30) 방향으로 좀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렇듯, 제4 실시예의 스크린 루바(400)는 복수의 결합돌기(16, 17)를 구비하고, 결합돌기(16) 만이 본체부(2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부(20)가 천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하거나, 복수의 결합돌기(16, 17) 모두가 본체부(2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부(20)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본체부(20)의 높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30)에 높이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스크린 루바(400)가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스크린 루바(400)의 본체부(20)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특정 조명원의 조광범위가 다른 조명원의 조광범위와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40, 50, 60: 결합부 11: 수평판
12: 수직판 13, 16, 17: 결합돌기
14: 볼트 15, 16: 결합홈
20: 본체부 21: 연결판
22: 측면판 23: 보강판
24: 본체돌기 30: 지지대
100, 200, 300, 400: 스크린 루바

Claims (12)

  1. 천장 방향에 위치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의 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단면이 'ㅂ' 형상을 하고, 상기 'ㅂ' 형상 중 상단의 양 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본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ㅂ' 형상 상단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은 상기 본체돌기의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본체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측면판; 및
    상기 복수의 측면판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보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돌기는 상기 측면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측면판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수직판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은 상기 본체돌기의 내측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부착되고, 상기 수평판은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볼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직판의 일면에 'ㄷ'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직판을 'ㄷ'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직판 각각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본체부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루바.
KR1020120084282A 2012-08-01 2012-08-01 스크린 루바 KR10137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82A KR101373737B1 (ko) 2012-08-01 2012-08-01 스크린 루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82A KR101373737B1 (ko) 2012-08-01 2012-08-01 스크린 루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56A KR20140017356A (ko) 2014-02-11
KR101373737B1 true KR101373737B1 (ko) 2014-03-13

Family

ID=5026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282A KR101373737B1 (ko) 2012-08-01 2012-08-01 스크린 루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84A (ko) 2020-04-29 2021-11-08 (주)유창이앤씨 스크린 루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3211A (ja) 2005-10-18 2007-05-10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20090009663U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의 차음천장 시스템
KR20110011238A (ko) * 2009-07-28 2011-02-08 (주)유창플러스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120014311A (ko) * 2010-08-09 2012-02-17 황점수 천장 스크린 루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3211A (ja) 2005-10-18 2007-05-10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20090009663U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의 차음천장 시스템
KR20110011238A (ko) * 2009-07-28 2011-02-08 (주)유창플러스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120014311A (ko) * 2010-08-09 2012-02-17 황점수 천장 스크린 루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84A (ko) 2020-04-29 2021-11-08 (주)유창이앤씨 스크린 루버
KR102371704B1 (ko) 2020-04-29 2022-03-07 (주)유창이앤씨 스크린 루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56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514B2 (en)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KR200469652Y1 (ko) 평판 조명을 위한 코너 보강 부재의 구조
US10100519B2 (en) Ceiling system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with the same
KR20120004980U (ko)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KR200456631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KR101090931B1 (ko) 원터치 클립형 루버 결합구조가 구비된 조명등기구
KR101373737B1 (ko) 스크린 루바
KR101396991B1 (ko) 간접조명용 프로파일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US8342722B1 (en) Light system
US9028093B2 (en) Retro-fit luminaire assembly
RU171793U1 (ru) Профиль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101407195B1 (ko) 스크린 루바
US20080278933A1 (en) Lamp with sail-like overhead element, preferably for improving acoustics, room formation, and indirect lighting of workplaces
CN104074301B (zh) 一种天花板安装结构
US10168034B2 (en) Downlight
KR200491001Y1 (ko) 양방향 원터치 조립식 조명등
US20130033862A1 (en) External Ballast Fixture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US10429018B2 (en) Recessed light fixure
KR20180040796A (ko) 돔형 카메라 브라켓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CN203797568U (zh) Led面板灯
JP5686610B2 (ja) 点検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