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388B1 - Tool box - Google Patents
Tool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3388B1 KR101373388B1 KR1020120038600A KR20120038600A KR101373388B1 KR 101373388 B1 KR101373388 B1 KR 101373388B1 KR 1020120038600 A KR1020120038600 A KR 1020120038600A KR 20120038600 A KR20120038600 A KR 20120038600A KR 101373388 B1 KR101373388 B1 KR 101373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ortions
- plate
- walls
- opp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3/00—Equipment for use with tools or cutters when not in operation, e.g. protectors for stor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봉형상 공구를 이동 불능하게 수용함에 있어서,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동일한 구성으로 상호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궁리된 양 용기부품을 구비하는 공구용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일체 성형한 양측 용기부품(P, Q)의 조립에 있어서, 용기부품(P)의 주판(50)을 그 선단측 판부(50c) 및 중간 판부(50b)를 통하여 용기부품(Q)의 양측 부판(60)의 각 연장측 부위 및 통체(40)의 쌍방과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동시에, 용기부품(Q)의 주판(50)을 그 선단측 판부(50c) 및 중간 판부(50b)를 통하여 용기부품(P)의 양측 부판(60)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용기 본체(B)의 통체(40)의 쌍방과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한다.[PROBLEMS] To provide a tool container having both container parts devised so as to be able to be assembled in a simple 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ame configuration without requiring extra parts in accommodating a rod-shaped tool in an unmovable manner.
[Solution] In the assembling of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ntegrally mold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main plate 50 of the container part P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50c and the intermediate plate part 50b. With each extension side part of the both side subplates 60 of the container part Q, both the cylinder 40, and each front side part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 walls 20 and 30 of the container main body B of the container part Q. While being sandwiched therebetween, the main plate 50 of the container part Q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xtension side portions of the both side subplates 60 of the container part P via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50c and the intermediate plate part 50b. It fits between both the cylinder 40 of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each front side part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 walls 20 and 30 of the container main body B of the container component P.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릴이나 엔드 밀 등의 봉(棒)형상 공구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공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container suitable for accommodating rod-shaped tools such as drills and end mills.
종래, 이런 종류의 공구용기에 있어서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구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구 케이스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인 하 케이스와, 이 하 케이스에 그 개구부로부터 끼워 장착되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인 상 케이스와, 하 케이스의 바닥부에 배치된 주름 구조의 쿠션 부재를 구비한다.Conventionally, the tool case of following
그리하여, 봉형상 공구를 상기 공구 케이스내에 수용할 때에는, 봉형상 공구를 그 선단부로부터 쿠션 부재를 향해서 하 케이스내에 삽입한 후, 하 케이스의 개구단부로부터 쿠션 부재의 탄력하에 노출되는 봉형상 공구를 포위하도록 하고 상 케이스를 끼워 장착함으로써, 봉형상 공구를 공구 케이스내에 이동 불능하게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accommodating the rod-shaped tool in the tool case, the rod-shaped tool is inserted into the lower case from the distal end toward the cushion member and then surrounded by the rod-shaped tool exposed under the elasticity of the cushion member from the opening end of the lower case. The rod-shaped tool is immovably housed in the tool case by mounting the upper case.
그런데, 상기 공구 케이스에 있어서는, 하 케이스 및 상 케이스가 모두 정사각형 단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봉형상 공구를 공구 케이스에 수용할 때, 상 케이스를, 그 개구단부에서, 하 케이스의 개구단부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정밀하게 대향시킨 뒤에, 하 케이스에 그 개구단부로부터 끼워 장착해야 한다.By the way, in the said tool case, both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of a square cross section. Therefore, when accommodating the rod-shaped tool in the tool cas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se is coaxially and precisely opposed to the opening end of the lower case at the opening end thereof, and then the opening end of the lower case. Should be fitted in place.
그렇지만, 상 케이스 및 하 케이스의 각 개구단부의 개구 형상은, 모두, 정사각형 형상으로서, 상호 끼워맞춤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끼워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opening shapes of each of the open end portions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all square and interfit together, the fitting work as described above is very cumbersome and causes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Discomfort occurs.
또한, 봉형상 공구를 공구 케이스내에서 이동 불능하게 유지함에 있어서, 쿠션 부재라고 하는 여분의 부품을 필수로 한다는 불편함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inconvenience in that an extra part called a cushion member is required to keep the rod-shaped tool in the tool case incapable of move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사항에 대처하기 위해, 봉형상 공구를 이동 불능하게 수용할 때,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동일한 구성에서 상호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궁리된, 양(兩) 용기부품을 구비하는 공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above, when the rod-shaped tool is unmovably accommodate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extra parts, and is devised to be assembled by simple 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ame configur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ool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part.
상기 과제의 해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공구용기는, 청구항 1의 기재에 의하면, 봉형상 공구(D)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In solving the said subject, the tool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for accommodating the rod-shaped tool D according to description of
상기 공구용기는,The tool container,
합성수지로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각각 일체 성형되는 제1 용기부품(P) 및 제2 용기부품(Q)을 구비하며,It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ntainer part (P)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Q) which are integrally molded so as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ynthetic resin,
이들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은, 용기 본체(B)와, 배판(背板)부재(T)를 구비하고,Each of these 1st container parts and 2nd container parts is equipped with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board member T,
용기 본체는,The container body,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벽(10)과,A
이 바닥벽의 양 대향단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오는 양 대향측벽(20, 30)과,Both opposing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양 대향측벽의 사이를 지나 뻗어나오는 통체로서 그 연장단 개구부를 통하여 봉형상 공구를 그 자루부로부터 삽입되어 유지 가능하도록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통체(40)를 가지며,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rectangular bottom wall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and having a
배판부재는,The backplate member,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의 다른 양 대향단부의 한쪽의 대향단부(11, 12)에 대한 용기 본체의 대응 부위로부터 상기 양 대향측벽의 각 연장 길이에 대한 대응 길이로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의 두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뻗어나오는 기단(基端)측 판부(50a)와, 이 기단측 판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중간 판부(50b)와, 이 중간 판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선단측 판부 (50c)로서, 긴 형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주판(主板, 50)과,From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ontainer main body with respect to one
상기 중간 판부의 내면측으로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오는 양측 부판(副板, 60)을 가지고,It has both side subplates (60) which are bent in an L shape so as to face each other from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s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plate part,
제1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 주판 및 양측 부판을, 각각, 제1 용기 본체, 제1 주판 및 제1 양측 부판으로 하고, 또한, 제2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 주판 및 양측 부판을, 각각, 제2 용기 본체, 제2 주판 및 제2 양측 부판으로 하여,The container body, the main plate, and the both side subplates of the first container part P are the first container body, the first main plate, and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respectively, and the container body, the main plate,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Q. With both side plates as the second container body, the second main plate and the second both side plates,
제1 양측 부판이 그 각 연장측 부위(62)에서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동시에 제2 양측 부판이 그 각 연장측 부위(62)에서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2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22, 32)의 사이에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1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22, 32)의 사이에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여, 제1 양측 부판을 제2 양측 부판에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연장 방향에서 연결시키고,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follow the widthwise opposite edge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abacus at their respective
제1 주판을 그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하여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제2 용기 본체의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동시에, 제2 주판을 그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하여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제1 용기 본체의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고, 봉형상 공구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액밀적(液密的)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each of the extension side portion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and the cylinder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the respectiv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through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late portion; At least one of each of the extension side portions of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nd the cylinder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amount of the first container body while the second main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m;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re assembled in a liquid-tight manner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and to accommodate the rod-shaped tool.
이에 의하면, 상기 공구용기는,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합성수지로서 일체 성형된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제1 양측 부판이 그 각 연장측 부위에서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동시에 제2 양측 부판이 그 각 연장측 부위에서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2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의 사이에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1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22, 32)의 사이에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고, 제1 양측 부판을 제2 양측 부판에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연장 방향에서 연결시킨다.According to this, the said tool container does not require a spare part, and is comprised as the 1st container part and the 2nd container part integrally molded as synthetic resin so that 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Therefore, in assembling these first container parts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s,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follow both the widthwise edge portion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t their respective extension side portions, and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provide the same. The tip end of the first abacus between the portions opposite to the second abacus in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so as to follow the widthwise opposite edge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abacus at each extension side portion. While inserting a side plate part, the said front side plate part of a 2nd main plate is inserted between each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2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의 사이에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제1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의 사이에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함에 있어서, 이들 삽입이, 제2 용기 본체와 제1 주판을 대향시키는 조작 및 제1 용기 본체와 제2 주판을 대향시키는 조작을 정밀하게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1 양측 부판을 그 각 연장측 부위에서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하는 동시에 제2 양측 부판을 그 각 연장측 부위에서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abacus is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abacu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re inserted. In inserting the said front end side plate part of a 2nd abacus between the parts in which it opposes with the 1st abacus, these insertion opposes a 2nd container main body and a 1st main plate, and a 1st container main body and a 2nd It is not necessary to precisely perform the operation of opposing the main plate, and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re arranged along the widthwise both edge portion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t their respective extending side portions, and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are each It can be easily made only by making it follow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 of the said front side plate part of a 1st main plate in an extension side part.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에 따라, 제1 주판을 그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하여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제2 용기 본체의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동시에, 제2 주판을 그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하여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제1 용기 본체의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도록 하여,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조립한다.A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s mentioned above, the 1st main plate is made into at least one of each extension side site | part of the 2nd both side subplate, and the cylinder of a 2nd container main body, and the 2nd container main body through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and the intermediate plate part.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opposing side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the second main plate is placed between each of the extension side portions of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nd the cylinder of the first container body via the front end side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portion.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re assembl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at least one side and the respectiv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이와 같이 하여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 공구를 상기 공구용기에 수용한 경우, 상기 봉형상 공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조립함으로써, 공구용기내에 액밀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봉형상 공구에 기름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 기름이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사이로부터 누출되기 어렵고, 또한, 이물이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사이로부터 혼입하지도 않는다.By assembling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in this manner,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can be easily assembled. In addition, when the rod-shaped tool is accommodated in the tool container, the rod-shaped tool can be liquid-tightly accommodated in the tool container by assembling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even if oil adheres to the rod-shaped tool, this oil is less likely to leak from between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nd even if foreign matter is mix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Do not.
또한, 봉형상 공구는, 그 자루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체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봉형상 공구가, 공구용기내에서 이동하지도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rod-shaped tool is held in the cylinder as described above in the bag portion, the rod-shaped tool does not move in the tool container.
또한,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합성수지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성형함에 있어 필요하게 되는 금형은,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에 대해 따로따로 독립적으로 준비할 필요는 없고,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 중 한쪽을 위한 금형을 준비하면 된다.Further, both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re integrally molded as a synthetic resin so as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mold required for molding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does not need to be prepar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2 Prepare a mold for one of the container parts.
그 결과,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 일체 성형은,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을 행하면 좋고, 상기 공구용기의 제조 공정이나 제조 작업이 매우 간소화되는 동시에, 금형의 비용, 나아가서는, 공구용기의 제조비용이 큰 폭으로 저감될 수 있다.As a result, each integral molding of the 1st container part and the 2nd container part may be resin-molded using the same metal mold | di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operation of the said tool container are greatly simplified, and the cost of a metal mold | die, and als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ol container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2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2, this invention is a tool container of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한 경(硬)합성수지로서,The said synthetic resin which forms a 1st container part and a 2nd container part is a transparent hard synthetic resin,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각각의 상기 기단측 판부를, 그 기단측 폭방향 양단부(51)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 축부(51a)에서,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상기 기단측 판부의 상기 기단측 폭방향 양단부에 대한 각 대응 부위에 형성되는 각 축 구멍부(21a, 31a) 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투명한 경합성수지를 이용한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에서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ach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container body, in each of the
이에 의하면, 제1(혹은 제2)의 주판의 제1(혹은 제2) 용기 본체에 대한 회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 구멍부내에 축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제1(혹은 제2) 주판의 제1(혹은 제2) 용기 본체에 대한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rotation of the 1st (or 2nd) main plate with respect to the 1st (or 2nd) container main body consists of connecting the axial part in a shaft hole part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For this reason,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1st (or 2nd) container main body of a 1st (or 2nd) abacus can be made smoothly.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이 투명한 경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구용기의 외관이 고급스런 투명감을 나타내는 것은 물론, 공구용기에 수용이 끝난 봉형상 공구가 공구용기의 둘레벽을 통해 관찰될 수 있어 편리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are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 appearance of the tool container not only shows a high degree of transparency, but also a rod-shaped tool that has been accommodated in the tool container. It can be observ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tool container and is convenient.
아울러, 상기 경합성수지로서는,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 후에 있어서, 상술한 각 축부와 각 축 구멍부와의 상대 회동 가능한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bove-mentioned synthetic resin, after the integral molding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each of the above-described shaft parts and each shaft hole has a hardness that can be easily formed relative rotatable formation. Synthetic resin (for example, polycarbonate) can be mentioned.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3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3, this invention is a tool container of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수지는, 유(柔)합성수지로서,The said synthetic resin which forms a 1st container part and a 2nd container part is an organic synthetic resin,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각각의 상기 기단측 판부와 제1 용기 본체 및 제2 용기 본체의 각각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과의 사이의 경계부를 박육부(薄肉部, 51b)로서 얇은 두께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유경 합성수지를 이용한 상기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에 있어서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n thickness shape as a
이에 의하면, 박육부는, 제1(혹은 제2) 주판과 제1(혹은 제2) 용기 본체와의 사이의 힌지(hinge)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혹은 제2) 주판의 제1(혹은 제2) 용기 본체에 대한 회동은, 상술한 바와 같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혹은 제2) 주판의 제1(혹은 제2) 용기 본체에 대한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thin portion functions as a hinge portion between the first (or second) main plate and the first (or second) container body. For this reason, rotation of the 1st (or 2nd) main plate with respect to the 1st (or 2nd) container main body is based on the hinge part mentioned above.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container body of the first (or second) abacus can be smoothly performed.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아울러, 상기 유합성수지로서는,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 후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를 힌지부로서 기능시키기 쉬운 정도의 유연도를 갖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들 수 있다.Moreover, as said fusion resin, after each integral molding of a 1st container part and a 2nd container part, the synthetic resin (for example, polypropylene resin) which has the softness of the grade which is easy to function as a hinge part of the said thin part. Can be mentioned.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4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4, this invention is a tool container in any one of Claims 1-3,
제1 양측 부판 및 제2 양측 부판의 각각은, 상기 중간 판부로부터 그 내면측으로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오는 후육부(厚肉部, 61)와, 이 후육부의 연장 단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얇은 두께 형상으로 뻗어나오는 박육부(62)를 갖고,Each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includes a
상기 박육부는, 상기 후육부의 연장 단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후육부보다 얇은 두께 형상으로 형성되며,The thin portion is formed in a thickness shape thinner than the thick por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extended end of the thick portion,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는,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61a)를 따르도록 제2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는,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61a)를 따르도록 제1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main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thin portions of the second both side plate so as to follow the
이와 같이, 제1 주판의 선단측 판부는,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를 따르도록 제2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제2 주판의 선단측 판부는, 그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를 따르도록 제1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1 주판의 선단측 판부는, 제2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에 맞닿고, 또한, 제2 주판의 선단측 판부는, 제1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구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Thus,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of a 1st main plate is interposed between each said thin part of a 2nd sub side plate so that the edge part side plate part may follow the inner end part of each extension end part of a 2nd sub side plate at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s,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of the 2nd main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said thin part of the 1st both side subplates in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s along the inner end of each extension end part of a 1st both side subplate, The tip side plate portion abuts against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xtending end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between the thin portion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and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includes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Between each said thin part, it contacts the inner edge part of each extended end part of the said 1st both side subplates. Thereby,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3 can be achieved more specifically.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5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5, this invention is a tool container in any one of Claims 1-4,
제1 용기 본체 및 제2 용기 본체의 각각에서,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22, 32)는,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오는 굴곡벽부(22b, 32b)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며,The
통체는, 원통(41)과, 이 원통의 둘레벽 중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에 대한 대응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축방향 개구부(41a)의 양 대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향해 뻗어나오는 양 연장벽(42)을 형성해서 이루어지고,The cylinder is formed from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from both opposing edge portions of the
상기 선단측 판부는,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53b)와, 이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의 각 대향 부위로부터 그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폭방향 중앙부(53a)로서 형성되며,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is formed as a widthwise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그 내면측을 따르도록, 또한,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제2 용기 본체에서의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고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그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제1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part, the said front end side plate part of a 1st main plate is in the said width direction center part so that each said curved wall part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of the 2nd container main body may follow in the said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extension walls of the cylinder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two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first main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in the tip side plate portion, so as to follow between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또한,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그 내면측을 따르도록, 또한,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그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제1 용기 본체의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제2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t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or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at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spective bends of the both extension walls of the cylinder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 second main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wall portions and along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It is done.
이에 의해, 제1 주판의 선단측 판부의 제2 용기 본체의 양 대향측벽의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로의 삽입 및 제2 주판의 선단측 판부의 제1 용기 본체의 양 대향측벽의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로의 삽입이 더 한층 확실히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향상될 수 있다.Thereby, insertion between the opposing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abacus and between each opposing wall portion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vessel body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abacus The insertion of can be more surely achieved.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6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6, this invention is a tool container of Claim 5,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은, 그 각 대향측으로 볼록한, 횡단면이 만곡 형상으로서, 원통의 상기 축방향 개구부의 상기 양 대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향하여 뻗어나오도록 양 만곡벽(彎曲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The both extending walls of the cylinder have both curved walls, which are convex on their opposite sides, and have a curved shape, and extend from both opposite edge portions of the axial opening of the cylinder toward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Is formed as,
상기 선단측 판부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는,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연결부(53c)와, 이 연결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오는 양측 다리부(53d)로서, 바깥쪽으로 볼록한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다리부에서, 봉형상 공구의 상기 자루부를 원통 안에서 조여지도록 양 만곡벽을 그 각 외측으로부터 끼워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이에 의하면, 선단측 판부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 의한 통체의 양 만곡벽에 대한 끼워지지함이 더 한층 확실히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fitting to both curved walls of the cylinder by the said width direction center part of a front end side plate part can be achieved more reliably.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7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중앙부는, 상기 양측 다리부의 간격에서, 상기 선단측 판부의 상기 중간 판부로부터의 연장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according to description of Claim 7, in the tool container of Claim 6, the said width direction center part is sequential toward the extension direction from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board part of the said front end side plate part in the space | interval of the said both leg par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narrow.
이에 의해, 선단측 판부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 의한 통체의 양 만곡벽에 대한 끼워지지함이 더 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가 더 한층 향상될 수 있다.Thereby, the clamping | wearing with respect to the both curved walls of the cylinder by the said width direction center part of a front end side plate part can be made more firm.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8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구용기에 있어서, 통체의 상기 양 만곡벽은, 그 간격에서, 통체의 연장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claim 8,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claim 8, in the too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6, the two curved walls of the cylinder are formed so as to narrow gradual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at the interval. It features.
이에 의해서도,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reby, the effect similar to invention of Claim 7 can be achieved.
아울러, 상기 각 수단의 괄호 안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체적 수단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code | symbol in the parentheses of said each means shows the correspondence with the specific means described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구용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구용기의 용기부품을, 주판을 용기 본체를 따르게 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부품을, 주판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동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용기부품을, 주판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동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용기부품을, 주판을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용기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용기부품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용기부품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용기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용기부품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11-11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용기부품을, 봉형상 공구를 통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용기부품을, 주판을 용기 본체를 따르게 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구용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15-15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o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tainer part of the tool container of FIG. 1 in the state which made the main plate follow the container main bod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iner part of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late is rotated from the container body.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tainer component of FIG. 2 in the state which rotated the main plate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component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3.
7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6.
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6.
9 is a front view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6.
10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6.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11 of FIG. 10.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tainer component of FIG. 3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rod-shaped tool into the cylinder.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tainer component of FIG. 12 in the state which made the main plate pour along the container main body.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2nd Embodiment of the tool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5-15 line in FIG.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y drawing.
(제1 실시 형태)(1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구용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구용기는, 드릴이나 엔드 밀 등의 봉형상 공구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공구용기의 횡단면은 정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공구용기의 종단면은,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아울러,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구용기의 전장 치수는, 85(㎜) 정도이며, 상기 공구용기의 횡단면의 치수는, 13(㎜)×13(㎜) 정도이다.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to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ool container is used for accommodating rod-shaped tools such as a drill and an end mill, the cross section of the tool container has a square shape, and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ool container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in this 1st Embodiment, the full-length dimension of the said tool container is about 85 (mm), and the dimens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aid tool container is about 13 (mm) x 13 (mm).
상기 공구용기는, 도 1∼도 4의 모두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형상의 양측 용기부품(P, Q)을 구비하고 있다.The tool container is provided with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of elongate shape, as shown to all FIGS.
이들 양측 용기부품(P, Q)은,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들 양측 용기부품(P, Q)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공구용기를 구성한다(도 1 참조).These two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are each integrally molded so that they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mentioned later, These two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are mutually detachable, and comprise the said tool container. (See FIG. 1).
일측 용기부품(P)은, 도 1∼도 11 중 어느 하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B)와, 배판부재(T)를 구비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한 전측, 및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한 후측은, 각각, 일측 용기부품(P)의 전측 및 후측에 대응하고,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한 후측 및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한 전측은, 각각, 일측 용기부품(P)의 좌측 및 우측에 대응하며, 도면상의 상측 및 하측은, 각각, 일측 용기부품(P)의 상측 및 하측(바닥측)에 대응한다.As shown in any one of FIGS. 1-11, one side container part P is equipped with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board member T. As shown in FIG. In FIG. 2, the front side slanted to the left on the figure and the rear side slanted to the right on the figure correspond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one side container part P, respectively, and the front side slanted to the left on the figure and the front slanted to the right on the figure. The side corresponds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respectively,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the figure correspon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ottom side) of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respectively.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 용기 본체(B)는, 도 2∼도 4 중 어느 하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10)과, 좌우 양 측벽(20, 30)과, 통체 (40)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양 측벽(20, 30) 중, 좌측벽(20)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10)의 좌단부(左端部)로부터 상방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가도록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좌측벽(20)은, 그 후단 벽부(21)에서, 바닥벽(10)의 후단부(11)보다 후방으로 뻗어나간다(도 5 혹은 도 6 참조).In one side container part P, as shown in any one of FIGS. 2-4, the container main body B has a
여기서, 좌측벽(20)의 후단 벽부(21)는, 좌측으로 비스듬한 후방으로 볼록한, 횡단면이 만곡형상(도 6 참조)으로 되도록 우측으로 만곡되고, 배판부재(T)의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왼쪽 가장자리부(후술함)에 그 외측으로부터 겹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5 혹은 도 6 참조). 아울러, 좌측벽(20)의 후단 벽부(21)는, 이하, 후단 결합부(21)라고도 한다.Here, the rear
또한, 상기 좌측벽(20)은, 그 전측부(22)에서, 상기 좌측벽(20)의 전단벽부 (22a) 및 굴곡벽부(22b)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벽(20)에 있어서, 굴곡벽부(22b)는, 전단벽부(22a)로부터 횡단면이 L자 형상으로 우측으로 굴곡되어 가는 폭 형상으로 뻗어나온다(도 2, 도 5 혹은 도 6 참조). 아울러, 굴곡벽부(22b)의 내면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는, 오목부(h)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Moreover, the
우측벽(3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10)의 우단부(右端部)로부터 상방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벽 (30)은, 그 후단 벽부(31)에서, 좌측벽(20)의 후단 벽부(21)와 동일하게, 바닥벽 (10)의 후단부(11)보다 후방으로 뻗어나온다(도 5 혹은 도 6 참조).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우측벽(30)의 후단 벽부(31)는, 우측으로 비스듬한 후방으로 볼록한, 횡단면이 만곡형상으로 되도록 좌측으로 만곡되고, 배판부재(T)의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오른쪽 가장자리부(후술함)에 그 외측으로부터 결합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혹은 도 6 참조). 아울러, 우측벽(30)의 후단 벽부(31)는, 이하, 후단 결합부(31)라고도 한다.Here, the rear
또한, 상기 우측벽(30)은, 그 전측부(32)에서, 상기 우측벽(30)의 전단벽부(32a) 및 굴곡벽부(32b)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벽(30)에 있어서, 굴곡벽부(32b)는, 전단벽부(32a)로부터 굴곡벽부(22b)를 향해서 횡단면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가는 폭 형상으로 뻗어나온다(도 5 혹은 도 6 참조). 아울러, 굴곡벽부 (32b)의 내면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는, 오목부(h)가, 굴곡부(22b)의 오목부(h)에 좌우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11 참조).Moreover, the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양 측벽(20, 30)의 바닥벽(10)의 상면으로부터의 연장 길이는, 18(㎜) 정도이다. 또한,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외면의 전체면에는, 도 2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 처리가, 후술의 일체 성형 과정에서, 실시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 처리는, 도 2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외면에 그 상하방향으로는 단면이 요철 형상으로, 또한 폭방향으로는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을 두 손가락으로 미끄러짐 없이 끼울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좌우 양 측벽(20, 30)의 바닥벽(10)의 상면으로부터의 연장 길이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1st Embodiment, the extension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통체(40)는, 도 3, 도 5 및 도 6 중 어느 하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쪼개진 형상의 원통(41)을 갖고 있다. 이 원통(41)은, 그 축방향 하단부에서, 바닥벽 (10)의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41)은, 그 축방향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나와,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41)은, 그 둘레벽의 좌측부에서, 좌측벽(20)에 양 연결벽부(23)(도 6 참조)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통(41)의 둘레벽의 우측부는, 우측벽(30)에 양 연결벽부(33)(도 6 참조)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이에 의해, 원통(41)은, 바닥벽(10) 및 좌우 양 측벽(20, 30)에 의해, 바닥벽(10)에 대해 상방으로 직각으로 뻗어나오도록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41)의 상방으로의 연장 단부는, 상단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As a result, the
상기 원통(41)은, 그 둘레벽의 전측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쪼개진 형상으로 개구되어,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도 6 참조)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41)의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개구 폭은, 상기 원통(41)의 반경보다 좁은데, 예를 들면, 1(㎜)∼2(㎜) 정도의 범위 이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울러, 원통(41)의 상단 개구부는, 이하,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에 대해, 부호 41b로 표시된다. 아울러, 상술한 원통(41)의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개구 폭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The
또한, 통체(40)는,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가지며, 이들 좌우 양측 만곡벽 (42)은, 원통(41)의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개구 폭의 중심선(양 전측 굴곡벽부(22b, 32b)의 사이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으로, 원통(41)의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좌우 양측 내연부(內緣部)로부터 각각 전측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여기서, 좌측 만곡벽(42)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좌측 내연부로부터 우측 만곡벽(42)을 향해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되도록 전측으로 뻗어나온다. 한편, 우측 만곡벽(42)은, 전측 축방향 개구부(41a)의 우측 내연부로부터 좌측 만곡벽(42)을 향해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되도록 전측으로 뻗어나온다. 아울러, 좌우 양측 만곡벽(42)의 각 연장 단부는,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 굴곡벽부(22b, 32b)보다 후측(용기 본체(B)에서 각 전측 굴곡벽부 (22b, 32b)보다 원통(41)쪽)에 위치한다.Here, the left
배판부재(T)는, 용기 본체(B)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뻗어나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배판부재(T)는, 주판(50)과, 좌우 양측 부판(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back plate member T extends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B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back plate member T is constituted by the
주판(50)은, 기단측 판부(50a), 중간 판부(50b) 및 선단측 판부(50c)를 구비하며, 기단측 판부(50a)는, 그 연장 기단부(51)에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B)의 좌측벽(20)의 후단 결합부(21) 및 우측벽(30)의 후단 결합부(31)의 각 하단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여기서,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의 사이의 연결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부품(P)은,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를 따로 따로 독립적으로 성형한 다음, 이들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용기부품(P)은,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의 연결 구성도 포함하고,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He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board member T in the container part P is demonstrated. The container part P is not constituted by separately forming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plate member T separately, and then connecting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plate member T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part P also includes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and is configured by integrally molding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단,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의 사이의 연결 구성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의상,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를 상호 분해한 상태로, 설명한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in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As shown in FIG. It demonstrates in the state disassembled mutually.
용기 본체(B)에 있어서, 좌측벽(20)의 후단 결합부(21)는, 그 하단부에서, 축 구멍부(21a)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또한, 우측벽(30)의 후단 결합부(31)는, 그 하단부에서, 축 구멍부(31a)를, 후단 결합부(21)의 축 구멍부(21a)에 그 전방으로부터 동축적으로 대향하도록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container main body B, the rear
한편, 배판부재(T)의 주판(50)에 있어서,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 (51)는, 그 좌우 방향 양단부(폭방향 양단부)에서, 좌우 양측 축부(51a)를 동축적으로, 또한 서로 역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는, 좌측 축부(51a)에서, 좌측벽(20)의 후단 결합부 (21)의 축 구멍부(21a)내에 그 우측으로부터 동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고, 또한, 우측벽(30)의 후단 결합부(31)의 축 구멍부(31a)내에 그 좌측으로부터 동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에 의해, 기단측 판부(50a)는, 그 연장 기단부(51)에서, 좌측벽(20)의 후단 결합부(21) 및 우측벽(30)의 후단 결합부(31)의 각 하단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판(50)을 용기 본체(B)를 향해서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용기 본체(B)의 좌측벽(20)이, 그 후단 결합부(21)에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맞닿아, 그 탄력에 저항하여, 좌측으로부터 결합하고, 용기 본체(B)의 우측벽(30)이, 그 후단 결합부(31)에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우측 가장자리부에 맞닿아, 그 탄력에 저항하여, 우측으로부터 결합한다.Thereby, the base end
또한, 주판(50)을 용기 본체(B)로부터 분리하도록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용기 본체(B)의 좌측벽(20)이, 그 후단 결합부(21)에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 (50a)의 좌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탄력에 저항해서 해리(解離)되고, 용기 본체(B)의 우측벽(30)이, 그 후단 결합부(31)에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탄력에 저항해서 해리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또한, 주판(50)에 있어서, 중간 판부(50b)는,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단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온다. 선단측 판부(50c)는, 중간 판부 (50b)의 연장 단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오며, 상기 선단측 판부(50c)는, 기단측 판부위(52)와, 연장단측 판부위(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기단측 판부위(52)는, 중간 판부(50b)의 연장 단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상기 기단측 판부위(52)는, 기단측 판부(50a) 및 중간 판부(50b)와 함께, 그 각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폭방향 중앙부의 내면에서, 원통(41)의 외주면의 원형상 횡단면을 따르도록,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roximal
연장단측 판부위(53)는, 기단측 판부위(52)의 연장 단부로부터 그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상기 연장단측 판부위(53)는, ㄷ자 형상 중앙부(53a) 및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2∼도 5 참조). ㄷ자 형상 중앙부(53a)는, 상기 연장단측 판부위(53)의 폭방향 중앙에서, 그 외면측으로 볼록한 횡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ㄷ자 형상 중앙부(53a)는, 연결부(53c)와, 이 연결부(53c)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뻗어나오는 좌우 양측 다리부(53d)로서,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extended end
여기서, 좌우 양측 다리부(53d)는, 그 각 외면(각 두께 방향 외면)의 사이의 간격, 즉, 좌측 다리부(53d)의 두께 방향 외면(좌측면)과 우측 다리부(53d)의 두께 방향 외면(우측면)과의 사이의 간격을, 용기 본체(B)의 양 전측 굴곡벽부(22b, 32b)의 각 대향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양측 다리부(53d)는, 그 각 대향 내면 사이의 간격, 즉, 좌측 다리부(53d)의 내면(우측면)과 우측 다리부(53d)의 내면(좌측면)과의 사이의 간격을,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연장 기단측으로부터 연장단측에 걸쳐 순차적으로 어느 정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양측 다리부(53d)의 각 대향면의 간격은,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연장단측에 있어서, 용기 본체(B)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의 각 연장단측 외면 사이의 간격보다 어느 정도 넓어져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양측 다리부(53d)의 각 대향면의 간격은,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연장 기단측에 있어서,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의 각 연장단측 외면의 사이의 간격보다 어느 정도 좁아져 있다.Here, the left and right both
또한,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의 두께 방향 외면과 연결부(53c)의 두께 방향 외면과의 간격, 환언하면, 연결부(53c)의 두께 방향 외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의 두께 방향 외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용기 본체(B)의 양 전측 굴곡벽부 (22b, 32b)의 각 두께 방향 외면과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의 각 연장 단부와의 사이의 간격(용기 본체(B)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간격)에 대응한다.Moreover, the space | interval of the thickness direction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또한,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의 각 두께 방향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서, 각 융기부(u)가 형성되어 있다(도 2∼도 5, 도 9 및 도 10 중 어느 하나 참조). 상기 각 융기부(u)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22b, 32b)의 오목부(h)내에 결합되고,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용기 본체(B)내로의 삽입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의 각 선단부로부터 각 융기부(u)까지의 거리는, 각 굴곡벽부(22b, 32b)의 바닥벽(10)의 전단부 내면으로부터 각 오목부(h)까지의 거리에 대응한다.Further, each of the ridges u is formed on each of the thickness direction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좌우 양측 부판(60) 중, 좌측 부판(60)은, 주판(50)의 중간 판부(50b)의 좌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내면측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뻗어나오며, 한편, 우측 부판(60)은, 중간 판부(50b)의 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그 내면측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연장되어 좌측 부판(60)에 대향하고 있다.Of the left and
여기서, 좌우 양측 부판(60)은, 각각, 후육부(61), 박육부(62) 및 복수의 리브(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 부판(60)에 있어서, 후육부(61)는, 주판(50)의 중간 판부(50b)의 왼쪽 가장자리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온다. 박육부(62)는, 후육부(61)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기 후육부(61)의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이 박육부(62)는, 후육부(61)의 연장 단부 중, 외측 단부로부터 후육부(61)보다 얇은 두께로 뻗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후육부(61)의 연장 단부에는, 내측 단부(이하, 내측 단부(61a)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63)는, 주판(50)의 중간 판부(50b)의 좌측 부위로부터 후육부(61)의 내면(우측면)에 걸쳐서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left and right both
한편, 우측 부판(60)은, 후육부(61), 박육부(62) 및 복수의 리브(63)로서, 중간 판부(50b)의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는, 좌측 부판(60)의 후육부(61)에 대향하도록, 주판(50)의 중간 판부(50b)의 오른쪽 가장자리로부터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온다. 상기 우측 부판(60)의 박육부(62)는, 좌측 부판(60)의 박육부(62)에 대향하도록,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연장 단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후육부(61)의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온다.On the other hand, the
이 우측 부판(60)의 박육부(62)는, 좌측 부판(60)의 박육부(62)와 동일한 얇기로 되도록,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연장 단부에는, 내측 단부(이하, 내측 단부 (61a)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좌우 양측 부판(60)에 있어서, 각 박육부(62)의 각 후육부(61)로부터의 연장 높이는,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 중의 기단측 판부위(52)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내측 단부(61a)는, 좌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내측 단부(61a)와의 사이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 동일면내에 위치한다.Here, in the left and right both
우측 부판(60)의 복수의 리브(63)는, 주판(50)의 중간 판부(50b)의 우측 부위로부터 우측 부판(60)의 후육부(61)의 내면(좌측면)에 걸쳐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한 일측 용기부품(P)은, 다음과 같이 하여, 상기 슬라이드형(도시 안함)을 이용한 수지 사출성형기(도시 안함)에 의한 사출 조립 성형에 의해서, 투명한 경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일체 성형된다. 아울러, 상기 경합성수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측 용기부품(P)의 일체 성형 후에 있어서, 좌측 축부(21a)와의 상대 회동 가능한 형성, 및 우측 축부(51a)와 축 구멍부(31a)와의 상대 회동 가능한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인 것을 말한다.Thus,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for example) by injection-molding by a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not shown) using the slide type (not shown) as follows. , Polycarbonate), and integrally mold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competitive resin, after integrally molding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can be form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이 일체 성형에 있어서, 상틀 및 하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형 금형(도시 안함)을 준비한다. 상기 슬라이드형 금형에 있어서, 상틀 및 하틀이 그 각 성형 개구부에서 조합되었을 때, 이들 상틀 및 하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성형 공간부는, 도 3에서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용기부품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다.In this integrated molding, a slide mold (not shown) consisting of a top frame and a heart is prepared. In the slide die, when the upper frame and the heart are combined at their respective molding openings, the molding spaces form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the heart correspon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tainer part in the state shown in FIG. 3.
즉, 배판부재(T)가 그 주판(50)에서 용기 본체(B)의 바닥벽(10)과 동일면내에 있는 경우의 용기부품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 형상이, 상틀 및 하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성형 공간부에 대응한다.That is, the sp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tainer part when the backplate member T is in the same plane as the
여기서, 상기 성형 공간부 중, 용기 본체(B)의 바닥벽(10)의 후단부(11)와 배판부재(T)의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와의 사이의 연결 부위, 구체적으로는, 상기 성형 공간부 중 좌측벽(20)의 후단 결합부(21)의 축 구멍부(21a)의 내주면과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의 원기둥형상 좌측 축부(51a)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에는, 원통형상의 좌측 중자(中子)가 착탈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 공간부 중 우측벽(30)의 후단 결합부(31)의 축 구멍부(31a)의 내주면과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의 원기둥형상 우측 축부(51a)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에는, 원통형상의 우측 중자가 착탈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Here, among the molding space portions, the
이는,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의 일체 성형을 종료한 후에 있어서, 후단 결합부(21)의 축 구멍부(21a)에 대한 기단측 판부(50a)의 좌측 축부(51a)의 회동 및 후단 결합부(31)의 축 구멍부(31a)에 대한 기단측 판부(50a)의 우측 축부(51a)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after completion of the integral molding of the container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the
또한, 상기 성형 공간부 중 바닥벽(10)의 후단부(11)의 좌우 양측 축부(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의 좌우 양측 축부(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의 사이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는,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의 일체 성형을 종료한 후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단 가능하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excluding the left and right both
상술한 바와 같은 조합 후의 슬라이드형 금형내에 그 성형 공간부 중 용기 본체의 일부에 대응하는 주입 부위로부터 투명한 경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 상태로 수지 사출성형기에 의해 주입한다. 이 주입은, 투명한 경합성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부의 전체에 걸치도록 행해진다.In the slide-shaped mold after the 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a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for example, polycarbonate) is injected into the molten state by a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from an injection sit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molding space. This injec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can cover the entire molding space portion.
이와 같이 주입한 후 슬라이드형 금형을 냉각해서 상기 성형 공간부내의 경합성수지를 경합성수지체로서 고화(固化)하여 상술의 양 중자를 슬라이드형 금형으로부터 뺀다. 그런 다음, 상틀을 하틀로부터 해리시켜 상기 경합성수지체를 하틀로부터 꺼낸다.After injecting in this way, the slide die is cooled to solidify the competing resin in the molding space as a competing resin, and both of the above-mentioned middle cores are removed from the slide die. Then, the top bottle is dissociated from the heart and the competitive resin body is taken out of the heart.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경합성수지체 중 좌측벽(20)의 축 구멍부 (21a)의 내주면과 기단측 판부(50a)의 좌측 축부(51a)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 및 우측벽(30)의 축 구멍부(31a)의 내주면과 기단측 판부(50a)의 우측 축부(51a)의 외주면과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는, 각각, 원통형상 공극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합성수지체 중 바닥벽(10)의 후단부(11)의 좌우 양측 축부(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의 좌우 양측 축부(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의 사이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는,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합성수지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딱딱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is step,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 때문에, 배판부재(T)를 용기 본체(B)에 대해 주판(50)의 판두께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경합성수지체 중 바닥벽(10)의 후단부(11)의 좌우 양측 축부 (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의 좌우 양측 축부(51a)를 제외한 중간 부위와의 사이의 경계에 대한 대응 부위가 용이하게 절단된다.For this reason, the back plate member T is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이에 의해, 상기 경합성수지체가, 용기 본체(B)와 배판부재(T)와의 일체 성형체로서 성형된다. 여기서, 배판부재(T)는, 주판(50)의 좌우 양측 축부(51a)에서, 용기 본체(T)의 바닥벽(10)의 후단부(11)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reby, the said competitive resin body is shape | molded as an integral molded object of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board member T. As shown in FIG. Here, the back plate member T is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아울러, 타측 용기부품(Q)도, 일측 용기부품(P)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상기 일측 용기부품(P)의 성형에 사용한 상기 슬라이드형 금형을 이용하고, 상기 일측 용기부품(P)과 동일하게, 상기 경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수지 성형기에 의한 사출 조립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container part Q is also the same as the said one side container part P using the said slide mold used for shaping | molding of said one side container part P so that 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FIG. By using the above-mentioned synthetic resin, it is integrally molded by injection granulation molding by a resin molding machine.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구용기에 대한 봉형상 공구(D)의 수용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1st Embodiment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ccommodation of the rod-shaped tool D with respect to the said tool container is performed as follows.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동일 구성이 되도록 일체 성형한 양측 용기부품(P, Q)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양측 용기부품(P, Q)은, 모두, 도 2에서 도시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양측 용기부품(P, Q) 모두도, 용기 본체(B)가, 그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후단 결합부(21, 31)에서, 그 탄력에 저항해서, 훅 기능을 발휘하여, 배판부재(T)의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그 외측으로부터 결합된다.First, as described abov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ntegrally molded so as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re prepared. At this time,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shall be in the state shown by FIG. In such a state, both the container parts P and Q also have the container body B resisting the elasticity at the respective rear
이 때문에, 양측 용기부품(P, Q) 모두도, 배판부재(T)의 주판(50)이, 그 기단측 판부(50a)에서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사이를 닫도록 좌우 양 측벽(20, 30)을 따라 그 후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이때, 배판부재(T)의 좌우 양측 부판(60) 중 좌측 부판(60)이, 그 하단부(용기 본체(B)측 단부)에서, 용기 본체(B)의 좌측벽(20)의 연장 단부를 따르도록 접합되고, 또한, 우측 부판(60)이, 그 하단부(용기 본체(B)측 단부)에서, 용기 본체(B)의 우측벽(30)의 연장 단부를 따르도록 접합된다.For this reason, in both the container parts P and Q, the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봉형상 공구(D)의 수용에 있어서, 작업자가, 예를 들면,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 부위를 그 탄력에 저항해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집는다. 그런 후, 당해 작업자가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를 그 좌우 양 측벽(20, 3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집은 채로 배판부재(T)의 주판(5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긴다.In such a state, in accommodating the rod-shaped tool D, the worker resiliently tightens each front side portion of the left and
이때,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외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 처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되기 때문에, 당해 작업자는, 당연하지만, 좌우 양 측벽(20, 30)을 파지(把持)하는 것은 물론이고, 당해 작업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이 좌우 양 측벽(20, 30)으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경우는 없다.At this time, since each surface of the left and
그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 측벽(20, 30)을 주판(5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용기 본체(B)가,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후단 결합부 (21, 31)에서, 탄력에 저항하여 약간 서로 역방향으로 열리면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해리하여,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를 기준으로 상기 기단측 판부(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Thu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ft and
여기서, 주판(50)이, 그 기단측 판부(51)의 좌우 양측 축부(51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축 구멍부(21a, 3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B)는, 주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용기(P)는, 도 3에서 도시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Here, the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작업자가 봉형상 공구(D)를 그 자루부로부터 용기 본체(B)의 통체(40)의 원통(41)내에 그 상단 개구부(41b)를 통해 삽입하면, 봉형상 공구(D)는,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자루부의 하단 부위에서, 통체(40)의 원통(41)내에 수용된다.In this step,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rod-shaped tool D from the bag portion into th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B)를 주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가 원통(41)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 삽입이, 배판부재(T)의 좌우 양측 부판(5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bag part of the rod-shaped tool D is inserted into the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배판부재(T)를 그 주판(50)에서 용기 본체(B)를 향해 회동한다. 이때, 주판(50)이, 그 기단측 판부(51)의 좌우 양측 축부(51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축 구멍부(21a, 3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주판(50)은, 용기 본체(B)를 향해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ack plate member T is rotated from the
그리하여, 주판(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B)를 향해 회동함으로써, 기단측 판부(50a)가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사이를 닫도록 좌우 양 측벽(20, 30)에 그 후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러한 단계에서, 기단측 판부 (50a)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후단 결합부(21, 31)에 압접하도록 각 후단 결합부(21, 31)를 향해서 압동(押動)하면, 용기 본체(B)가,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후단 결합부(21, 31)에서, 탄력에 저항해서 주판(50)의 기단측 판부(50a)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바깥쪽으로부터 결합한다.Thus, the
이에 따라, 배판부재(T)의 좌우 양측 부판(60)이, 그 각 하단부에서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연장 단부를 따라 접합한다. 이에 의해, 용기부품(P)은,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형상 공구(D)를 그 자루부에서 용기 본체(B)의 통체(40)에 수용되고 상기 통체(40)로부터 좌우 양측 부판(60)의 사이를 지나 뻗어나온 상태로 유지된다.Thereby, the left and right both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작업자가, 그 좌우 양손에 의해, 양측 용기부품(P, Q)을,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부터 대향시키도록 파지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봉형상 공구(D)를 수용한 상태에 있는 일측 용기부품(P)이, 그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직하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판부(50c)와 함께 서로 좌우 방향으로 수평형상으로 위치하도록 파지된다.In this step, the worker grips both of the container parts P, Q by the left and right hands so as to oppose, for example,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rod-shaped tool D is the main plate of the other side container part Q in the front end
이에 따라, 양측 용기부품(Q, P)의 각 배판부재(T)의 좌우 양측 부판(60)은,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 및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으로부터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하고, 또한, 봉형상 공구(D)는, 그 선단부(칼끝부)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통체(40)의 원통(41)의 상단 개구부(41b)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side subplates 60 of each of the backplate members T of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Q and P have the
그런 다음, 작업자가, 좌우 양손에 의해, 양측 용기부품(P, Q)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 용기부품(P, Q)을 그대로의 위치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을 그 선단측 판부 (50c)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박육부(62)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을 그 선단측 판부(50c)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박육부(62) 사이에 삽입한다. 이들 삽입은, 양측 용기부품(P, Q)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n, the worker moves the both container parts P and Q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from the position as they are while holding both container parts P and Q with both left and right hands. Then, the
이때,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내측 단부(61a)상을 따르도록, 상기 좌우 양측 부판(60)의 사이에 삽입되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일측 용기부품 (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내측 단부(61a)상을 따르도록, 상기 좌우 양측 부판(60) 사이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 (50c)의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 사이로의 삽입 및 일측 용기부품 (P)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측 부판(60) 사이로의 삽입이 모두 동시에,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by, insertion of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of the front
이때,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 사이로의 삽입, 및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측 부판(60) 사이로의 삽입에 있어서, 이들 삽입이,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와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을 대향시키는 조작 및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와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 (50)을 대향시키도록 파지하는 조작을 정밀하게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측 용기부품(P)의 선단측 판부(50c)를,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내측 단부(61a)상을 따르게 하고, 또한, 타측 용기부품(Q)의 선단측 판부(50c)를,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일측 용기부품 (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내측 단부(61a)상을 따르게 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subplates 60 of one side container part P of the tip
그런 다음, 양측 용기부품(P, Q)을 그대로 더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연장단측 판부위(53)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 사이에 삽입되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연장단측 판부위(53)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 사이로 삽입된다. 이들 삽입은, 양측 용기부품(P, Q)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n, when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are moved to the direction which approaches further as it is, the front end
이에 따라, 일측 용기부품(P)의 선단측 판부(50c)의 연장단측 판부위(53)가, 그 ㄷ자 형상의 중앙부(53a)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의 굴곡벽부(22b, 32b)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이 삽입은,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가, 연결부 (53c)에서,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따르는 동시에, 좌우 양측 다리부(53d)에서,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그 좌우 양 외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상기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따르도록 되며, 또한,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가,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의 굴곡벽부(22b, 32b)의 내면을 따르도록 된다.Accordingly, the extended end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다리부(53d)가, 그 각 대향 내면의 간격으로,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연장 기단측으로부터 연장단측에 걸쳐 순차적으로 어느 정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용기부품(P)에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는, 좌우 양측 다리부(53d)에서,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그 좌우 양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여지도록 하여,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 사이에 삽입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both
또한, 이러한 일측 용기부품(P)의 선단측 판부(50c)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 측벽(20, 30) 사이로의 삽입에 맞춰, 타측 용기부품(Q)의 선단측 판부(50c)의 연장단측 판부위(53)가, 그 ㄷ자 형상 중앙부(53a)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의 굴곡벽부(22b, 32b)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이 삽입은,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가, 연결부(53c)에서,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따르는 동시에, 좌우 양측 다리부(53d)에서,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그 좌우 양 외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상기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따르도록 되고, 또한,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가, 일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의 굴곡벽부(22b, 32b)의 내면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between the left and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다리부(53d)가, 그 각 대향 내면의 간격에서,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연장 기단측으로부터 연장단측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어느 정도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타측 용기부품(Q)에 있어서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는, 좌우 양측 다리부(53d)에서,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그 좌우 양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조이도록 하고,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전측부(22, 32)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순차적으로 조여짐에 의거하여,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가,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B)의 원통(41)내에서 확실히 동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both
그런 다음,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이 그 연장단측 판부위(53)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의 바닥벽(10)의 전단부에 맞닿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이 그 연장단측 판부위(53)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바닥벽(10)의 전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구용기의 조립이 종료된다.Then, the
이상과 같이,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은,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호 삽입한다고 하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구용기의 조립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ntainer parts P and Q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do not need extra parts, and are all formed so that they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 container parts P and Q of the sai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s mentioned above, it can assemble by only one operation of mutual insertion in the state which mutually opposed. Therefore, the assembling work of the tool container can be made very simple and goo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 종료후의 공구용기에 있어서는, 일측 용기부품 (P)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가, 그 각 융기부(u)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22b, 32b)에 대해, 그 각 오목부(h)내에 결합됨으로써 변위 불능하게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 (Q)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53b)가, 그 각 융기부(u)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22b, 32b)에 대해, 그 각 오목부(h)내에 결합됨으로써 변위 불능하게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 종료후의 공구용기에 있어서,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이 부주의로 서로 분리됨 없이 양호하게 상호 조립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l container after completion of th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both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 종료후의 공구용기에 있어서는, 타측 용기부품 (Q)의 좌우 양측 부판(60)이, 그 각 상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공구용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상측 단부에 맞닿고, 또한,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박육부(62) 사이에 있어서 각 후육부(61)의 내측 단부(61a)상에 맞닿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가,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각 박육부(62) 사이에 있어서 각 후육부(61)의 내측 단부(61a)상에 맞닿는다.In addition, in the tool container after completion of th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side subplates 60 of the other container part Q are formed at one upper container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container, respectively, at their upper ends. The front end
더욱이, 상술한 각 접촉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 (B)에 대한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삽입 및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 (B)에 대한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의 삽입에 의해, 액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Moreover, each contact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이에 의해, 일측 용기부품(P)이, 그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 및 배판부재(T)와 함께, 봉형상 공구(D)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액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reby,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together with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plate member T of the other container part Q in the container main body B and the back board member T, is a rod-shaped tool (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D) can be configured liquid-tightly.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공구용기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봉형상 공구 (D)에 기름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 기름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물이 상기 수용부내에 혼입되는 경우도 없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aid tool container is assembled in this way, even if oil adheres to the rod-shaped tool D, this oil will not leak out from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n addition, foreign matters do not mix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또한, 봉형상 공구(D)가 상기 공구용기의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가,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원통(41)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공구용기를, 봉형상 공구(D)가 수용 유지된 채, 부주의에 의해 낙하시키는 경우가 있어도, 봉형상 공구 (D)는, 상기 공구용기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양호하게 수용 유지될 수 있다.Moreover, in the state where the rod-shaped tool D is accommodated in the said accommodating part of the said tool container, the bag part of the rod-shaped tool D is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용기내에 수용된 봉형상 공구(D)를 상기 공구용기로부터 꺼냄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예를 들면, 그 좌우 양손의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을 그 각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역방향으로 당긴다. 아울러, 이 당기기 작업은, 각 좌우 양 측벽(20, 30)의 외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용 요철 처리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aking out the rod-shaped tool D accommodated in the tool container from the tool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uses the forefinger and the thumb of the left and right hands of the container 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or example. P and Q ar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the left and
이에 따라, 일측 용기부품(P)의 주판(50)이, 연장단측 판부위(53)의 각 융기부(u)에서, 타측 용기부품(Q)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22b, 32b)의 각 홈부(h)로부터 탄력에 저항해서 해리되는 동시에,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이, 연장단측 판부위(53)의 각 융기부(u)에서,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22b, 32b)의 각 홈부(h)로부터 탄력에 저항해서 해리된다. 따라서, 일측 용기부품(P) 및 타측 용기부품(Q)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런 다음, 봉형상 공구(D)를 유지한 대로의 일측 용기부품(P)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주판(50)을 용기 본체(B)로부터 해리되도록 회동시킨 후, 봉형상 공구(D)를 통체(40)로부터 끌어낸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을 서로 분리함으로써, 일측 용기부품(P)의 용기 본체(B)에 있어서는, 통체(40)의 양 좌우 양측 만곡벽(42)이 타측 용기부품(Q)의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의 좌우 양측 다리부(53d)로부터 해방되어 있다. 따라서, 봉형상 공구(D)를 통체(40)의 원통(41)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Then, in the one side container part P which hold | maintained the rod-shaped tool D,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봉형상 공구(D)를 통체(40)로부터 꺼낼 때, 일측 용기부품(P)의 배판부재(T)가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B)로부터 회동하기 때문에, 좌우 양측 부판(6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봉형상 공구(D)를 통체(4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aking out the rod-shaped tool D from the
또한, 양측 용기부품(P, Q)의 각 형성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경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형상 공구(D)를 수용한 상기 공구용기를 외부로부터 관찰한 경우, 상기 공구용기는, 보는 사람에게, 깨끗하고 고급스런 투명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forming material of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s made of a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ol container containing the rod-shaped tool D is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tool Courage can give viewers a clear and luxurious sense of transparency.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구용기를 구성하는 양측 용기부품(P, Q)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수지 사출성형기에 의한 사출 조립 성형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일체 성형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1st Embodiment, both container parts P and Q which comprise the said tool container are all integrally molded so that 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injection granulation molding by a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as mentioned above. have.
따라서, 수지 사출성형기에 의한 사출 조립 성형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양측 용기부품(P, Q)의 각 슬라이드형 금형은, 쌍방을 독립적으로 따로따로 준비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양측 용기부품(P, Q) 중 한쪽의 용기부품의 슬라이드형 금형만을 준비하면 좋다.Therefore, the slide molds of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which are required in the injection granulation molding by the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do not need to separately prepare both sides, and both side container parts P, It is only necessary to prepare a slide mold of one of the container parts in Q).
그 결과, 양측 용기부품(P, Q)의 각 사출성형은, 각각, 상술한 슬라이드형 금형만을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상기 공구용기의 제조 공정이나 제조 작업이, 양측 용기부품(P, Q) 중 한쪽을 위한 제조 공정이나 제조 작업만으로 끝나, 매우 간소화되는 것은 물론, 금형 비용, 나아가서는, 상기 공구용기의 제조비용이 경감될 수 있다.As a result, each injection molding of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s performed using only the above-mentioned slide type | mold, respectively,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operation of the said tool container are carried out in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t ends only with a manufacturing process or a manufacturing operation | work for one side, and can be simplified very much, and mold cost, and als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aid tool container can be reduc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구용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양측 용기부품(P, Q)의 각각에 있어서, 용기부품(B)의 바닥벽(10)이, 후단부(11)를 대신해서 후단부(12)를 가지며, 상기 후단부(12)는, 그 후단에서, 용기부품(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하측 후단과 도 14에 도시된 상하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14 and 15 show main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o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2nd Embodiment, in each of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mentioned in the said 1st Embodiment, the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양측 용기부품(P, Q)의 각각에 있어서, 배판부재(T)의 주판(50)이,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에서, 가는 폭 형상의 박육부(51b)를 통하여, 용기부품(B)의 바닥벽(10)의 후단부(12)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기단측 판부(50a)의 연장 기단부(51)는, 가는 폭 형상의 박육부(51b) 및 바닥벽(10)의 후단부(12)와 함께, 주판(50)과 바닥벽(10) 사이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술한 가는 폭 형상의 박육부(51b)의 얇기는, 상기 공구용기의 형성 재료와의 관계에 있어서, 힌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면 좋다.Moreover, in this 2nd Embodiment, in each of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mentioned in the said 1st Embodiment, the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양측 용기부품(P, Q)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즉 유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 사출성형기에 의해,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상기 힌지부를 포함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유합성수지는, 일측 및 타측의 용기부품(P, Q)의 각각의 일체 성형 후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를 힌지부로서 기능시키기 쉬운 정도의 유연도를 갖는 합성수지를 말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is 2nd Embodiment, unlike the said 1st Embodiment, both container parts P and Q mentioned in the said 1st Embodiment are a flexible synthetic resin, ie,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Polypropylene resin), the resin injection molding machine is integrally molded including the hinge portion so as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said synthetic resin refers to the synthetic resin which has the softness of the grade which makes it easy to function the said thin part as a hinge part after each integral molding of the container parts P and Q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측 용기부품(P, Q)의 형성 재료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지만, 주판(50)의 용기 본체(B)에 대한 회동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2nd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although the formation material of both container parts P and Q differs from the said 1st Embodiment, th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main body B of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ation of this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The following various modified examples are mentioned.
(1)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양측 용기부품(P, Q)의 형성 재료를 투명한 경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형성 재료는, 다른 경합성수지(예를 들면, ABS 수지) 혹은 유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어떠한 합성수지라도 좋다.(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both side container parts P and Q is made of a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for example, polycarbo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ynthetic resin may be any synthetic resin such as another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BS resin) or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polypropylene resin).
(2)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장축의 봉형상 공구에 맞춰 배판부재(T)의 좌우 양측 부판(60)의 길이를 변경하는 동시에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의 길이를 변경하면, 여러 가지의 장축의 봉형상 공구의 수용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bplates 60 of the back plate member 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od-shaped tools of various long axes, and the
(3) 본 발명에 있어서, 통체(40)는, 좌우 양측 만곡벽(42)을 폐지하고, 원통(41)을, 그 탄력에 저항해서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를 삽입하기 쉬운 형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쪼개진 형상의 원통(41)의 상측 개구부의 개구 형상을, 역V자 형상으로 하고, 또한, 원통(41)의 내경을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의 외경보다 어느 정도 작게 하도록 하여, 원통(41)만으로 그 탄력에 저항해서 봉형상 공구(D)의 자루부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4)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통체(40)의 좌우 양측 만곡벽(42)에 대한 주판(50)의 연장단측 판부위(53)의 ㄷ자 형상 중앙부(53a)에 의한 끼워지지함이 충분하면, 연장단측 판부위(53)의 각 융기부(u) 및 용기 본체(B)의 좌우 양 측벽(20, 30)의 각 굴곡벽부의 각 홈부(h)는, 폐지해도 좋다.(4)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o fit the U-shaped
(5)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주판(50)의 선단측 판부(50c)는, ㄷ자 형상 중앙부(53a)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ㄷ자 형상 중앙부(53a)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만곡부를 갖도록 해도 좋다.(5)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6)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공구용기의 전장 치수나 횡단면의 치수 등의 외형 치수는, 수용되는 봉형상 공구의 외형 치수에 맞춰서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mensions such as the overall length of the tool container and the cross sectional dimensions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dimensions of the bar-shaped tool to be accommodated.
B : 용기 본체 D : 봉형상 공구
P, Q : 용기부품 T : 배판부재
10 : 바닥벽 11, 12 : 후단부
20 : 좌측벽 21a, 31a : 축 구멍부
22, 32 : 전측부 30 : 우측벽
40 : 통체 41a : 상측 개구부
42 : 만곡벽 50 : 주판
50a : 기단측 판부 50b : 중간 판부
50c : 선단측 판부 51 : 연장 기단부
51a : 축부 51b : 박육부
53a : ㄷ자 형상 중앙부 53b : 가장자리부
53c : 연결부 53d : 다리부
60 : 부판 61 : 후육부
61a : 내측 단부 62 : 박육부B: container body D: rod-shaped tool
P, Q: Container part T: Board member
10:
20: left
22, 32: front side 30: right wall
40:
42: curved wall 50: abacus
50a:
50c: tip side plate portion 51: extension base end portion
51a:
53a: center part of
53c:
60
61a: inner end 62: thin portion
Claims (9)
합성수지로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각각 일체 성형되는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구비하고,
이들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은, 용기 본체와, 배판(背板)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벽과,
이 바닥벽의 양 대향단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오는 양 대향측벽과,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양 대향측벽의 사이를 지나 뻗어나오는 통체로서 상기 통체의 연장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봉형상 공구를 상기 봉형상 공구의 자루부로부터 삽입되어 유지 가능하도록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통체를 가지고,
상기 배판부재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의 다른 양 대향단부 중 한쪽의 대향단부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대응 부위로부터 상기 양 대향측벽의 각 연장 길이에 대한 대응 길이로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벽의 두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뻗어나오는 기단측 판부와, 이 기단측 판부로부터 상기 기단측 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중간 판부와, 이 중간 판부로부터 상기 중간 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선단측 판부로서, 길이방향으로 길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주판(主板)과,
상기 중간 판부의 내면측으로 상기 중간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오는 양측 부판(副板)을 가지며,
상기 제1 용기부품의 상기 용기 본체, 상기 주판 및 상기 양측 부판을, 각각, 제1 용기 본체, 제1 주판 및 제1 양측 부판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용기부품의 상기 용기 본체, 상기 주판 및 상기 양측 부판을, 각각, 제2 용기 본체, 제2 주판 및 제2 양측 부판으로 하고,
상기 제1 양측 부판이 상기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에서 상기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동시에 상기 제2 양측 부판이 상기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에서 상기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 상기 제2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의 사이에 상기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 상기 제1 주판과는 각 반대측 부위의 사이에 상기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양측 부판을 상기 제2 양측 부판에 상기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연장 방향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주판을 상기 제1 주판의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해 상기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주판을 상기 제2 주판의 선단측 판부 및 중간 판부를 통해 상기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측 부위 및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통체의 쌍방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하고, 상기 봉형상 공구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을 액밀적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In a tool container for receiving a rod-shaped tool,
A first container part and a second container part each integrally molded so as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 synthetic resin,
Each of these first container parts and second container parts includes a container body and a back plate member.
Wherein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 rectangular bottom wall,
Two opposite side walls which are bent and extended in an L shape so as to face each other from opposite ends of the bottom wall;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rectangular bottom wall between the opposing side walls and formed so that the rod-shaped tool can be inserted and held from the bag portion of the rod-shaped tool through an extension end opening of the cylinder. have,
The backplate member,
It rot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rectangular bottom wall as the corresponding length with respect to each extension length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from the corresponding site | part of the said container main body with respect to one opposite end part of the other opposite end parts of the said rectangular bottom wall. A base end side plate part which extends as possible, an intermediate plate part which extends from the base end side plate part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se end side plate part, and a front end side plate part which extends from this intermediate plate part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plate formed in a long shape,
It has both side subplates which are bent in an L-shape and extend towar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portion from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portion to face each other.
The container main body, the main plate and the both side subplates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re respectively the first container main body, the first main plate and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nd the container main body and the main plate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And the both side subplates are respectively the second container body, the second main plate, and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follow both widthwise edge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t each extension side portion of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nd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each extend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The tip end of the first abacus between the portions opposite to the second abacus among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so as to follow the widthwise both edge portion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abacus in The side plate portion is inserted, and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first main plate among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first both side subplates are inserted.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th side plat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main plate and the second main plate,
The first main plate is at least one of each of the extension side portion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and the cylindrical body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hrough the front end side plate part and the intermediate plate part of the first main plate. The second main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opposing side portions of both opposing side walls, and each of the extending side portions of the first subplate and the first container through the front end plate portion and the middl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are sandwiched between at least one of both of the cylinders of the main body and the opposing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rod-shaped tool. Tool container characterized by assembling the parts liquid-tightly.
상기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각각의 상기 기단측 판부를, 상기 기단측 판부의 기단측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 축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 중의 상기 기단측 판부의 상기 기단측 폭방향 양단부에 대한 각 대응 부위에 형성되는 각 축 구멍부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투명한 경합성수지를 이용한 상기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에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The synthetic resin forming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a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In each of the shaft portions formed so as to project outwardly from the base end sid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base end plate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ach of the base end pl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bacus plates, Each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using the transparent competitive resin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f the shaft hole portions formed at respectiv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base end sid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base end side plate portion. Too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tegral molding.
상기 제1 주판 및 제2 주판의 각각의 상기 기단측 판부와 상기 제1 용기 본체 및 제2 용기 본체의 각각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 바닥벽과의 사이의 경계부를 박육부로서 형성하도록, 상기 유합성수지를 이용한 상기 제1 용기부품 및 제2 용기부품의 각각의 일체 성형에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The synthetic resin of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resin forming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a fused resin,
The fusion resin is formed so as to form a boundary between the proximal end plate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bacus plates and the rectangular bottom wall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 bodies as a thin portion. A tool container, which is formed by molding each of the first container parts and the second container parts used.
상기 박육부는, 상기 후육부의 연장 단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후육부보다 얇은 두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는,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를 따르도록 상기 제2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는, 상기 선단측 판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양측 부판의 각 연장 단부의 내측 단부를 따르도록 상기 제1 양측 부판의 상기 각 박육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The said 1st both side plate and the 2nd both side subplates are mutually opposing each other from the width direction both edge parts of the said intermediate plate part from the said intermediate plate part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aid intermediate plate part. A thick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s in an L shape so as to extend, and a thin portion that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ck portion from an extended end of the thick portion,
The said thin part is formed in the thickness shape thinner than the said thick part from the outer edge part of the extended end part of the said thick part,
The tip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main plate is between the thin portion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so as to follow an inn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extension ends of the second both side subplates at the widthwise opposite edge portions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t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along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xtending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Too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terposed between each thin portion.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는,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오는 굴곡벽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통체는, 원통과, 이 원통의 둘레벽 중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에 대하는 대응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축방향 개구부의 양 대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향하여 뻗어나오는 양 연장벽을 형성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측 판부는,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와, 이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의 각 대향 부위로부터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폭방향 중앙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상기 각 굴곡벽부의 내면측을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상기 제1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상기 각 굴곡벽부의 내면측을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상기 제2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Each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walls is formed by forming a curved wall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s in an L shape to face each other,
The cylinder extends from both opposing edge portions of the axial opening, which i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a corresponding portion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respective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cylinder, in the axial direction. By forming both extension walls,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is formed as a widthwise center portion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widthwise opposite edge portions and the opposing portions of the widthwise opposite edge portions toward the out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dthwise edge portions,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main plate has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at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at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irection center part,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said both extension walls of the said cylinder body in the said 2nd container main body, and each said bending wall part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and said each bending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of the said 2nd container main body. The first main plate is formed at the tip side plate por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from between the wall portions, and the angle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to each other.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wall,
Further,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long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in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t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the extension walls of the cylinder of the first container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spective thickness walls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in the width direction central part; The second main plate is fitted at the distal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pass between the curved wall portions. And a tool container inserted between the opposing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상기 선단측 판부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뻗어나오는 양측 다리부로서, 바깥쪽으로 볼록한 횡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다리부에서, 상기 봉형상 공구의 상기 자루부를 상기 원통내에서 조이도록 상기 양 만곡벽을 상기 양 만곡벽의 각 외측으로부터 끼워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The said two extension walls of the said cylindrical body are between the said curved wall parts from the said opposing edge part of the said axial opening part of the said cylinder in the cross-sectional curved shape convex to each opposite side of the said both extension walls. Are formed as both curved walls extending outwards,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tip side plate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and both le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pposite width portions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bent in an L-shape, and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convex cross section outwardly; And said both curved walls are fitted from each outside of said both curved walls so as to be tightened in a cylinder.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부위는, 서로 대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뻗어나오는 굴곡벽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통체는, 원통과, 이 원통의 둘레벽 중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에 대하는 대응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축방향 개구부의 양 대향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향하여 뻗어나오는 양 연장벽을 형성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측 판부는,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와, 이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의 각 대향 부위로부터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폭방향 중앙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상기 각 굴곡벽부의 내면측을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상기 제1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상기 제2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2 주판의 상기 선단측 판부가, 상기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에 상기 각 굴곡벽부의 내면측을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로부터 상기 각 굴곡벽부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통체의 상기 양 연장벽과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굴곡벽부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상기 각 굴곡벽부의 사이를 따르도록, 상기 제2 주판이, 상기 선단측 판부에서, 상기 제1 용기 본체의 상기 양 대향측벽의 상기 각 반대측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Each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walls is formed by forming a curved wall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s in an L shape to face each other,
The cylinder extends from both opposing edge portions of the axial opening, which i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a corresponding portion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respective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cylinder, in the axial direction. By forming both extension walls,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is formed as a widthwise center portion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widthwise opposite edge portions and the opposing portions of the widthwise opposite edge portions toward the out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dthwise edge portions,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main plate has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at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at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irection center part,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said both extension walls of the said cylinder body in the said 2nd container main body, and each said bending wall part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and said each bending of the said opposing side wall of the said 2nd container main body. The first main plate is formed at the tip side plate por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spective curved wall portions from between the wall portions, and the angle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to each other.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wall,
Further, the front end side plate portion of the second main plate, along the inner surface side of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in each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t both edg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the extension walls of the cylinder of the first container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spective thickness walls of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in the width direction central part; The second main plate is fitted at the distal side plate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curved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pass between the curved wall portions. And a tool container inserted between the opposing wall portions of the opposing side wa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25749A JP5479512B2 (en) | 2012-02-09 | 2012-02-09 | Tool container |
JPJP-P-2012-025749 | 2012-02-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2343A KR20130092343A (en) | 2013-08-20 |
KR101373388B1 true KR101373388B1 (en) | 2014-03-13 |
Family
ID=4892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8600A KR101373388B1 (en) | 2012-02-09 | 2012-04-13 | Tool box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479512B2 (en) |
KR (1) | KR101373388B1 (en) |
CN (1) | CN10324146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16418B (en) * | 2013-09-06 | 2017-02-01 | 基准精密工业(惠州)有限公司 | Milling cutter box |
WO2015159282A1 (en) * | 2014-04-14 | 2015-10-22 | Plasel Plastic Ltd. |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tool holders |
CN103949678B (en) * | 2014-04-15 | 2016-06-15 | 博艳萍 | A kind of wooden supporting arrangement for metal lathe for machining |
CN104816198B (en) * | 2015-05-20 | 2017-03-08 | 江苏信合众泰精密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machine tool cabinet of spatially-variable |
CN109018628B (en) * | 2018-08-06 | 2024-05-24 | 广东刀父精工科技有限公司 | Miniature cutter packing cart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0884U (en) * | 1983-11-11 | 1985-06-05 | グンゼ産業株式会社 | Synthetic resin tool case |
KR200412318Y1 (en) | 2005-12-16 | 2006-03-27 | 박종선 | Case of cutting tool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09128Y (en) * | 1994-11-19 | 1995-10-04 | 苏仕敏 | Twist drill packing case |
DE29613792U1 (en) * | 1996-08-09 | 1996-09-26 | Knoblauch, Georg, 89537 Giengen | Toolbox |
JP3703626B2 (en) * | 1998-05-16 | 2005-10-05 | 有限会社牧野工業 | Storage case |
JP2002284267A (en) * | 2001-03-19 | 2002-10-03 | Honda Plus Kk | Cushioning material for tool case and tool case |
JP4233413B2 (en) * | 2003-08-27 | 2009-03-04 | レンゴー株式会社 | Golf club packaging box |
DE102005022385B9 (en) * | 2005-05-14 | 2015-06-11 | Peter Rösler | Packaging for fragile items |
JP4692093B2 (en) * | 2005-06-20 | 2011-06-01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Packaging container |
CN201052864Y (en) * | 2007-02-02 | 2008-04-30 | 深圳市时代设计印务有限公司 | Portable long box |
DE102007005515B3 (en) * | 2007-02-03 | 2008-08-07 | Rösler, Peter | Single packaging for precision tools |
JP5474106B2 (en) * | 2011-06-01 | 2014-04-16 | イトモル株式会社 | Tool container |
-
2012
- 2012-02-09 JP JP2012025749A patent/JP547951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4-13 KR KR1020120038600A patent/KR10137338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4-17 CN CN201210126282.0A patent/CN10324146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0884U (en) * | 1983-11-11 | 1985-06-05 | グンゼ産業株式会社 | Synthetic resin tool case |
KR200412318Y1 (en) | 2005-12-16 | 2006-03-27 | 박종선 | Case of cutting 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41467B (en) | 2015-04-29 |
JP2013159397A (en) | 2013-08-19 |
KR20130092343A (en) | 2013-08-20 |
JP5479512B2 (en) | 2014-04-23 |
CN103241467A (en) | 2013-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3388B1 (en) | Tool box | |
CN102544867B (en) | Waterproof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rubber stopper | |
US11167459B2 (en) | Mold for forming a molded item | |
CN105829053A (en) | Method to manufacture an injection molded component and injection molded component | |
CN101152030A (en) |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 |
TW201219186A (en) | Coupling element, injection molding object implanted with the coupling element, and injection mold for manufacturing the injection molding object | |
JP2006015738A (en) | Resin molded article with insert member fixed at hollow part and its molding method | |
JP3142618U (en) | Container for liquid | |
CN209649323U (en) | A kind of embedded type slide block mold | |
KR200411134Y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of a mold in a contact lens | |
KR101359793B1 (en) | The union structureof rim frame of a pair of spectacles | |
KR20010052641A (en) | Arm part for elastic doll body, method of forming the arm part, and metal mold for forming the arm part | |
JP3262783B1 (en) | Shaft barrel with grip and method of forming the barrel | |
JP2009012331A (en) | Slide core operating device and molding die equipped with this device | |
JP4361193B2 (en) | Optical ferrule and optical connector using this optical ferrule | |
HUE027205T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 |
EP1355027A2 (en) | Improved seal with anti-theft device for articles having slender portions | |
KR20120003977U (en) | Mold block apparatus for stick type cosmetics manufacture | |
CN217144700U (en) | Injection mold of garbage can cover with lifting handle | |
JP2008080784A (en) | Mold assembly | |
JP3093282U (en) | Ear protection modern | |
JP5115384B2 (en) | Shaft cylinder with grip and method of forming the cylinder | |
JP2007291738A (en) | Eaves gutter cutting tool | |
KR101559466B1 (en) | Injection mold for interdental toothbrush manufacturing | |
JP2003266475A (en) | Method for injection-molding composite molded product and mold for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