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75B1 - 탁구 놀이대 - Google Patents

탁구 놀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75B1
KR101372875B1 KR1020120116195A KR20120116195A KR101372875B1 KR 101372875 B1 KR101372875 B1 KR 101372875B1 KR 1020120116195 A KR1020120116195 A KR 1020120116195A KR 20120116195 A KR20120116195 A KR 20120116195A KR 101372875 B1 KR101372875 B1 KR 101372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on
elastic plate
tennis
table tennis
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선
박정수
Original Assignee
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102012011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 놀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는 테이블; 상기 반사테이블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테이블을 향하고 탁구공이 타격되는 타격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테이블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 반사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반사테이블에 타격된 탁구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과 나란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탈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탁구 놀이대{Ping-Pong game table}
본 발명은 실외나 좁은 실내에서 손쉽게 단식뿐만 아니라 복식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탁구 놀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는 탁구 놀이대의 중앙에 그물을 치고 상대편 지역으로 작고 가벼운 탁구공을 라켓으로 쳐 넘겨 승부를 가리는 구기 경기이다.
이러한 탁구는, 작고 가벼운 공을 라켓으로 쳐 넘기는 경기의 특성으로 인해 경기자의 정확한 스윙동작 제어와 스윙의 힘 조절이 아주 중요한 경기이다. 따라서, 탁구는 스윙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한다. 또한, 포핸드 스윙과 백핸드 스윙의 자연스러운 변환동작 또한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한다.
한편, 탁구는 단 시간 내에 큰 운동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크게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탁구는 넓은 실내 공간을 필요로 해서 장소에 제약을 받는 큰 취약점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탁구는 상대방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운동이므로, 기술습득이나 운동을 목적으로 혼자서 할 수 없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27727호는 탁구 연습대를 개시하고 있다. 위 특허출원에 개시된 탁구 연습대는 받침대의 후단에 하부타격판 및 상부타격판이 위치된다.
위 특허출원 10-2000-0027727호에 개시된 탁구 연습대의 경우에는 혼자서 탁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큰 탁구 놀이대에 의해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보관도 용이치 않다. 또한, 타격판은 반발력이 크지 않아, 탁구공이 타격판에 타격된 후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탁구공이 받침대의 측면으로 빠진면, 사용자를 이를 수거하러 다녀야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06516호는 탁구 연습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위 특허출원에 개시된 탁구 연습장치는 탁구 놀이대의 일단에 위치되어, 털어지는 탁구공을 모아 반대편 쪽으로 발사한다.
위 특허출원 10-2010-0006516호에 개시된 탁구 연습장치는 고가의 모터와 홉퍼 등으로 가격이 높아 개인이 구매하여 탁구를 즐기기 어렵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27727호 특허문헌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06516호
본 발명은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탁구를 즐길 수 있는 탁구 놀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혼자서도 탁구를 즐길 수 있는 탁구 놀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탁구공이 탁구 놀이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탁구 놀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탁자로 이용할 수 있는 탁구 놀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테이블을 향하고 탁구공이 타격되는 타격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테이블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 반사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반사테이블에 타격된 탁구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과 나란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탈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탁구 놀이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제 1 반사판; 및 상기 제 1 반사판에서 상기 테이블을 향하는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을 향하는 면은 상기 타격면을 이루는 제 2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면에는 탄성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판은 상기 반사테이블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면에는 평면도형, 라인 또는 격자무늬를 갖는 무늬로 타점설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탁구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혼자서도 탁구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탁구 놀이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탁구 놀이대는 탁자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탁구 놀이대에 이탈 방지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테이블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테이블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탁구 놀이대에 이탈 방지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10)는 테이블(100), 네트어셈블리(200), 반사테이블(300) 및 이탈방지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테이블(100)의 상면은 탁구코트를 제공한다. 이하, 테이블(100)에서 탁구 게임 시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에 인접한 단부를 전단, 전단의 반대쪽을 후단이라 한다. 테이블(100)의 상면은 사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100)의 면적은 4인용 식탁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100)의 하면에는 다리(110)가 제공된다. 다리(110)는 테이블(100)의 상면을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 시킨다. 예를 들어, 테이블(100)의 상면은 탁구 국제 규격과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용은 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테이블(100)에는 네트어셈블리(200)가 위치된다. 네트어셈블리(200)는 지지대(210) 및 네트(220)를 포함한다. 지지대(210)는 테이블(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지지대(210)는 위치가 가변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지지대(210)는 일단에 집게가 제공될 수 있다. 집게는 테이블(100)의 상면 및 하면을 압박하여, 지지대(210)를 고정시킨다. 집게로 압박되는 위치를 이동시키면 지지대(210)의 위치가 가변된다.
네트(220)는 높이가 탁구 국제규격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네트(220)의 양단은 지지대(210)에 각각 위치된다. 예를 들어, 네트(220)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되어 지지대(21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네트어셈블리(200)는 생략되고 실시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은 테이블(100)의 후단부에 위치된다. 반사테이블(300)과 네트(220)는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은 상면이 테이블(100)의 상면과 인접한 방향이 되도록 위치된다. 반사테이블(300)에서 테이블(100)을 향하는 면은 탁구공이 타격되는 타격면(310)이 된다. 반사테이블(300)은 타격면(310)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0)은 테이블(100)의 후단에 대응하는 폭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은 테이블(100)과 일정각도를 이루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0)은 테이블(100)의 상면과 5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은 테이블(10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0)은 브라켓(411)으로 테이블(100)에 착탈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이 분리된 때에는 브라켓(411) 역시 테이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0)의 타격면(310)에는 라인(320)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인(320)은 타격면(31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라인(320)은 타격면(310)의 다른 부분보다 밝은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인(320)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타격면(310)의 가장 자리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타격면(310)에는 제 1 타점설정부(330)가 제공된다. 제 1 타점설정부(330)는 타격면(310)에 그려진 평면도형일 수 있다. 또한, 제 1 타점설정부(330)는 도 11의 제 2 타점설정부(341)와 유사하게, 인접한 영역의 색이 다르거나 라인으로 그려진 격자무늬일 수 있다. 제 1 타점설정부(330)는 생략되고 실시 될 수 있다.
이탈방지 어셈블리(400)는 설치대(410) 및 이탈방지망(420)을 포함한다.
설치대(410)는 테이블(100) 및 반사테이블(300)의 측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설치대(410)는 테이블(100)의 전단 및 후단에 위치되는 제 1 설치대(410a) 및 제 2 설치대(410b)와 반사테이블(3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3 설치대(410c)를 포함한다. 제 2 설치대(410b)는 반사테이블(3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도 있다. 설치대(410)는 테이블(100) 및 반사테이블(30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대(410)의 일단은 볼트형상으로 제공되어 테이블(100) 및 반사테이블(30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탈방지망(420)에서 설치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리(421)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망(420)은 고리(421)를 설치대(410)에 끼우면 테이블(100) 및 반사테이블(3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탈방지망(420)은 테이블(100)의 측면과 반사테이블(300)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100)의 측면 또는 반사테이블(300)의 측면과 이탈방지망(420)사이로 탁구공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망(420)은 테이블(100)의 전단과 반사테이블(300)의 상단을 잊는 부분이 사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망(420)은 탁구 놀이대(10)에 설치되면, 그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탈방지망(420)은 테이블(100)및 반사테이블(300)과 나란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수용부(422)가 형성된다. 외부로 이탈되는 탁구공은 이탈방지망(420)의 측면에 걸린 후 수용부(422)로 떨어지게 된다. 테이블(100)의 전단에 위치된 설치대(410)는 테이블(100)의 후단에 위치된 설치대(410)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00)과 나란한 수용부(422)는 후단에서 전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수용부(422)에 모인 탁구공은 경사로 인해 테이블(100)의 전단으로 이동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설치대(410)에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망(420)은 설치대(410)의 고리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때, 제 1 설치대(410a)의 고리는 제 2 설치대(410b)의 고리보다 아래 쪽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대(410)에 고정된 이탈방지망(420)은 후단에서 전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도 4는 테이블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이블(100)의 상면에는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이 형성된다.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은 엔드라인(121), 사이드라인(122), 센터라인(123) 및 서비스라인(124)을 포함한다.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은 테이블(100)의 상면과 상이한 색으로 형성된다.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은 테이블(100)의 상면보다 밝은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은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드라인(121)은 테이블(100)의 전단에 형성된다. 사이드라인(122)은 상면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서비스라인(124)은 테이블(100)의 전단과 후단사이에 엔드라인(121)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서비스라인(124)에서 전단까지의 거리는 서리스라인에서 후단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라인(124)에서 전단까지의 거리는 서비스라인(124)에서 후단까지의 거리의 두배가 될 수 있다. 서비스라인(124)과 엔드라인(121) 사이에는 사이드라인(122)과 나란한 센터라인(123)이 형성된다. 센터라인(123)에서 양 사이드라인(122)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을 통해 탁구공의 진행 방향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2인의 사용자가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을 이용한 룰을 만든 후 탁구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구획라인(121, 122, 123, 124)은 생략되고 실시 될 수 있다.
도 5는 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100)의 하면에는 돌출부(120)가 제공된다. 돌출부(120)는 하면의 바깥쪽을 따라 테두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20)의 일 측면은 테이블(100)의 측면과 일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테이블(100)의 하면에 부착된 보강프레임일 수 있다. 테이블(100)의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110)가 제공된다. 다리(110)는 테이블(100)의 네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쌍의 다리(110)는 보강로드(111)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100)의 전단에 위치된 한 쌍의 다리(1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보강로드(111)는 테이블(100)의 전단에 위치된 다리(110) 하나와 후단에 위치된 다리(110) 하나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다리(110)는 각각 테이블(100)의 하면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부(120)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다리(110)가 보강로드(111)로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다리(11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테이블(100)은 다리(110)를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다리(110)의 하단에는 바퀴(112)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이블(100)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바퀴(112)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설치대(41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설치대(410a)는 돌출부(120)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1 설치대(410a)는 테이블(100)의 측면으로 나온 부분을 밀면 테이블(100)의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설치대(410a)는 테이블(100) 안쪽에 위치된 부분은 밀면 테이블(100)의 측면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탁구 놀이대(10)에 이탈방지망(420)을 설치하는 경우, 제 1 설치대(410a)가 테이블(100)의 측면쪽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이탈방지망(42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 1 설치대(410a)를 밀어 테이블(100)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 제 2 설치대(410b) 또는 제 3 설치대(410c)도 제 1 설치대(410a)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이블(100) 측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테이블(301, 302, 303)은 타격면(311, 312, 313)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타격면(311, 312, 313)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테이블(100) 쪽으로 기울어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타격면(311)은 하부와 상부의 경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1)은 상부(301b)가 하부(301a)와 일정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테이블(301)은 타격면(311)의 하부가 테이블(100)의 상면과 이루는 각도보다 타격면(311)의 상부가 테이블(100)의 상면과 이루는 각도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타격면(311)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는 네트(220)의 상단보다 높은 곳에서 시작될 수 있다. 타격면(311)의 상부 경사와 하부 경사를 구획하는 선은 테이블(101)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반사테이블(302)은 타격면(312)은 하부와 상부가 동일한 각도로 테이블(102)의 상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반사테이블(303)은 수회에 걸쳐 테이블(103)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3)의 중부(303b)는 하부(303a)에 대해 경사지고, 상부(303c)는 중부(303b)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면(313)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테이블(103)쪽으로 기울어진 경사가 커지게 된다.
탁구 게임 중 탁구공은 타격면(311, 312, 313)의 상부에 맞을 수 있다. 타격면(311, 312, 313)의 상부에 맞은 탁구공은 먼 거리까지 가게 되어, 테이블(101, 102, 103)의 상면에서 벗어날 수 있다. 타격면(311, 312, 313)이 테이블(101, 102, 103)의 상면쪽으로 경사지면, 타격면(311, 312, 313)에 맞은 탁구공은 테이블(101, 102, 103)의 상면 쪽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타격면(311, 312, 313)의 상부에 맞은 탁구공이 테이블(101, 102, 103)상면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구 놀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사테이블은 반사테이블(304) 및 탄성판(340)을 포함한다. 탄성판(340)은 반사테이블(304)의 상면에 제공된다.
테이블(104), 네트어셈블리(201) 및 이탈방지 어셈블리(401)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판(340)은 반사테이블(304)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판(340) 또는 반사테이블(304)에는 벨크로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판(340)은 반사테이블(304)의 상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탄성판(340)은 반사테이블(304)과 상이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판(340)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판(340)이 고무로 형성되면, 탄성판(340)에 충돌된 탁구공의 반발력 또는 회전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판(340)에 맞고 돌아오는 탁구공의 속도가 빨라지고 탁구공의 방향이 다양화 되어, 게임을 하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탄성판(340)이 부착되면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탄성판(340)은 탄성판(340)에 충돌된 탁구공의 속고가 늦어지게 제공될 수 도 있다. 따라서, 탁구공이 탄성판(340)에 충돌된 후 테이블(104)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판(340)은 영역별로 탄성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4)의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이 반사테이블(304)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탄성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탁구공은 탄성판(340)의 하부에서 충돌한 경우보다 탄성판(340)의 상부에서 충돌한 경우, 반발력이 작게 된다. 따라서, 탁구공이 탄성판(340)의 상부에 충돌한 후 테이블(104)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판(340)에는 제 2 타점설정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타점설정부(341)는 인접한 영역의 색이 다르도록 형성된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타점설정부(341)는 격자 무늬로 형성된 라인이거나, 후술할 도 12의 탄성판(350)과 같이 도형 또는 그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8 내지 도 10의 반사테이블에도 탄성판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판(350)은 반사테이블(305)의 상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판(350)이 반사테이블(305)의 상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경우, 탄성판(350)은 반사테이블(305)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테이블(305)의 상부에는 탄성판(350)이 부착되지 않도록 제공된다. 탄성판(350)이 부착되지 않은 반사테이블(305)의 상면(351) 및 탄성판(350)의 상면(353)은 타격면(351, 353)을 이룬다. 탄성판(350)이 부착되지 않은 반사테이블(305)의 상면(351)에는 라인(325)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판(350)은 반사테이블(305)의 상면에 수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탄성판(350)은 탄성의 정도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반사테이블(305)의 상부에 부착된 탄성판(350)은 하부에 부착된 탄성판(350)보다 탄성이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탁구공이 탄성판(350)에 타격된 후 테이블(105)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테이블에 탄성판이 부착된 탁구 놀이대의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반사테이블(305', 345)은 제 1 반사판(305')및 제 2 반사판(345)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반사판(305')은 테이블(105')의 후단에 위치된다. 제 2 반사판(345)은 테이블(105')을 향하는 제 1 반사판(305')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 2 반사판(345)은 제 1 반사판(305')의 면적보다 작게 제공된다. 제 2 반사판(345)은 제 1 반사판(305')의 상부에 부착된다. 제 1 반사판(305')의 하부에는 탄성판(356)이 부착된다. 탄성판(356)은 제 2 반사판(345)의 아래 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 2 반사판(345)의 상면(355) 및 탄성판(356)의 상면(357)은 타격면(355,357)을 이룬다. 제 2 반사판(345)은 상부 타격면(355)이 도 8 또는 도 10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경사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탁구공의 궤적을 나타낸다. 상부 타격면(355)은 테이블(305')의 상면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상부 타격면(355)에 충돌된 탁구공의 궤적은 테이블(305')의 상면 쪽으로 향하게 되어, 테이블(305')밖으로 벗어 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탁구공이 하부 타격면(357)에 충돌 된 경우, 탄성판(356)에 의해 소음이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탄성판(356)에는 도 11 및 도 12와 동일하게 제 2 타점설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의 탄성판(360)은 반사테이블(306)의 상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제공된 경우이다. 탄성판(360)의 상면(361)과 탄성판(360)이 부착되지 않은 반사테이블(306)의 상면은 타격면(361, 362)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탄성판(360)은 영역별로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판(360)의 상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판(360)은 두껍게 형성된 부분이 얇게 형성된 부분보다 반사테이블(30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탄성판(360)은 고무 또는 나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판(360)은 영역별로 탄성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테이블(306)의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이 반사테이블(306)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탄성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타격면(361, 36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테이블(106)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블(106)의 상면을 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탁구공은 타격면(361, 362)을 맞은 후 테이블(106) 의 상면을 향하게 되어, 테이블(106)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판(360)은 타격면이 도 9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반사테이블(306)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부착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테이블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반사테이블(307, 370)은 제 1 반사판(307)및 제 2 반사판(370)을 포함한다.
제 1 반사판(307)은 테이블(107)의 후단에 위치된다. 제 2 반사판(307)은 테이블(107)을 향하는 제 1 반사판(307)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 2 반사판(307)에서 테이블(107)을 향하는 면은 타격면(371)을 이룬다. 제 2 반사판(307)은 타격면(371)이 도 8 또는 도 10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제 1 반사판(307)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상부로 갈수록 경사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사판(370)에는 도 11 또는 도 12와 동일하게, 반사테이블(37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탄성판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이블 110: 다리
200: 네트어셈블리 210: 지지대
220: 네트 300: 반사테이블
310: 타격면 320: 라인

Claims (6)

  1.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테이블을 향하고 탁구공이 타격되는 타격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테이블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 반사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반사테이블에 타격된 탁구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테이블 및 상기 반사테이블과 나란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탈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탁구 놀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제 1 반사판; 및
    상기 제 1 반사판에서 상기 테이블을 향하는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을 향하는 면은 상기 타격면을 이루는 제 2 반사판을 포함하는 탁구 놀이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네트를 더 포함하는 탁구 놀이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면에는 탄성판이 부착되는 탁구 놀이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상기 반사테이블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탁구 놀이대.
  6.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면에는 평면도형, 라인 또는 격자무늬를 갖는 무늬로 타점설정부가 형성되는 탁구 놀이대.
KR1020120116195A 2012-10-18 2012-10-18 탁구 놀이대 KR101372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5A KR101372875B1 (ko) 2012-10-18 2012-10-18 탁구 놀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5A KR101372875B1 (ko) 2012-10-18 2012-10-18 탁구 놀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875B1 true KR101372875B1 (ko) 2014-03-10

Family

ID=5064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95A KR101372875B1 (ko) 2012-10-18 2012-10-18 탁구 놀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418U (ko) * 1994-11-28 1996-06-17 정성한 혼자서도 경기, 연습이 가능한 탁구대
JP2002085616A (ja) 2000-09-12 2002-03-26 Nihon Kogyo Co Ltd 卓球練習機
KR20110010203A (ko) * 2009-07-24 2011-02-01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KR20110087063A (ko) * 2010-01-25 2011-08-02 안종진 탁구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418U (ko) * 1994-11-28 1996-06-17 정성한 혼자서도 경기, 연습이 가능한 탁구대
JP2002085616A (ja) 2000-09-12 2002-03-26 Nihon Kogyo Co Ltd 卓球練習機
KR20110010203A (ko) * 2009-07-24 2011-02-01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KR20110087063A (ko) * 2010-01-25 2011-08-02 안종진 탁구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20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lay for a golf chipping game
US6935971B2 (en) Training tool for ball games
US9533208B2 (en) Socc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9272197B2 (en)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JP3200839U (ja) 多目的運動器具
JP6818044B2 (ja) 返球装置及びシステム
US8002282B1 (en) Ball game with skipping implement and targets
JP2005503900A (ja) 球技用の練習装置
US4457513A (en) Rebound ball game and apparatus therefor
US9132328B1 (en) Shuttlecock type game device
US5655979A (en) Table tennis style game with basketball backboards, hoops, nets and foam ball
US4962935A (en) Apparatus for playing a racquet and ball game in a confined space
US5615890A (en) No bounce no dunk recreation ball game
US5988636A (en) Multi-game table top system
US4017074A (en) Table baseball game
US2802667A (en) Baseball game apparatus
US5423537A (en) Miniaturized games for simulating the playing of soccer
KR101372875B1 (ko) 탁구 놀이대
US10478701B2 (en) Golf ball stopping device for simulating a putting green hole
US4900022A (en) Tabletop ball game and equipment
US2917312A (en) Golfer's training device
US4146225A (en) Paddle ball game
CA1202045A (en) Arena type games
KR101351233B1 (ko) 1인 연습용 탁구대
JP7079508B2 (ja) ゴルフのチッピングゲームのための装置およびプレ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