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411B1 -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411B1
KR101372411B1 KR1020120117165A KR20120117165A KR101372411B1 KR 101372411 B1 KR101372411 B1 KR 101372411B1 KR 1020120117165 A KR1020120117165 A KR 1020120117165A KR 20120117165 A KR20120117165 A KR 20120117165A KR 101372411 B1 KR101372411 B1 KR 10137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upled
valve
cold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위
Priority to KR102012011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개시된다.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열 파이프(60)와;상기 방열 파이프(60)에 결합되어,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방열 파이프(60)로 방열시키는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와;상기 방열 파이프(60)의 입구와 출구에 결합되어 냉수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순환 파이프(70)와;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1 밸브(81)를 개재하여 결합하며,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저장조(30)와;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냉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50)와;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온도센서(40)와;상기 냉수 저장조(30)와 이격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2 밸브(82)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온수 저장조(20)와;상기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 사이의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제3 밸브(83)를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Concentration Photovoltaic device and hot water-electric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으로써, 태양광 셀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고, 그 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얻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리콘 소재의 태양광 셀은 태양광을 열원으로 이용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수단으로만 사용되었다. 실리콘 소재의 태양광 셀은 9% 정도의 발전효율을 보인다.
실리콘 소재의 태양광 셀과 더불어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태양광 셀을 이용g한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라 함은 집광렌즈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좁은 영역에 집광시키고, 태양광이 집광된 부분에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을 위치시켜, 고효율의 태양광 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은 30% 정도의 발전효율을 보인다.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 상부에 결합된 집광렌즈모듈과, 하우징 하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집광렌즈모듈로부터 집광된 빛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광 셀로 구성된다.
가정이나 빌딩의 옥상에 태양광발전장치가 설치된다. 태양광발전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전기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면서 온수로 변환하고, 이 온수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분야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9219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으로 부터 전력을 생산하고,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및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열 파이프(6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에 결합되어,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방열 파이프(60)로 방열시키는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의 입구와 출구에 결합되어 냉수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순환 파이프(7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1 밸브(81)를 개재하여 결합하며,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저장조(3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냉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5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온도센서(4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와 이격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2 밸브(82)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 사이의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제3 밸브(83)를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할 경우,
상기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81)와 상기 제2 밸브(82)를 개방하고 , 상기 제3 밸브(83)는 닫아,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온수를 상기 온수 저장조(20)로 이동시키며;
상기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81)와 상기 제2 밸브(82)를 닫고 , 상기 제3 밸브(83)는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냉수를 순환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벽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상부에 결합된 집광렌즈모듈(12)과;
상기 하우징(11) 하부에 결합되며, 집광렌즈모듈(12)로부터 집광된 빛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모듈(13)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모듈(13)은,
상기 하우징(11) 하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하는 태양광 셀(1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에 형성된 전선홀(135)을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 셀(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의 외부에는 복수의 프레임 방열판(1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선(133)에는 전선홀 밀폐부재(13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은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11)에는 커버부재(14)가 커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으로 부터 전력을 생산하고,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및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발전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발전모듈의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발전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발전모듈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100)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열 파이프(6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에 결합되어,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방열 파이프(60)로 방열시키는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의 입구와 출구에 결합되어 냉수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순환 파이프(7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1 밸브(81)를 개재하여 결합하며,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저장조(3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냉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5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온도센서(4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와 이격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2 밸브(82)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 사이의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제3 밸브(8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100)은,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방열과정에서 발생된 온수를 생활용수로 활용하는 일석이조의 기능을 갖춘 시스템이다.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는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131)에 집광렌즈모듈(12)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시킨다. 이때, 전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태양광 셀(131)에서 발생된 열은 외부로 방열되어야 한다.
방열 파이프(60)는 태양광 셀(131)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장치이다. 방열 파이프(6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으며, 내부는 물이 지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다.
순환 파이프(70)는 방열 파이프(60)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냉수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다. 순한 파이프(7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냉수 저장조(30)는 냉수를 보관하며, 외부에서 냉수가 보충되는 구조이다. 냉수 저장조(30)는 순환 파이프(70)에 제1 밸브(81)를 개재하여 결합한다. 제1 밸브(81)는 체크밸브로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열리고 닫힌다.
펌프(50)는 순환 파이프(70)에 결합하여, 냉수가 순환 파이프(70)와 방열 파이프(60)를 순환하도록 한다. 펌프(5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된다.
순환 파이프(70)에는 온도센서(40)가 결합되어 있다. 온도센서(40)는 특정 온도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섭씨 50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온도센서(40)가 섭씨 50도 이하로 감지할 경우, 순환 파이프(70)의 내부의 물은 방열 파이프(60)와 연결되어 계속 순환한다. 그러나, 온도센서(40)가 섭씨 50도를 넘을 경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물은 온수 저장조(20)에 저장된다.
온수 저장조(20)는 순환 파이프(70)에 제2 밸브(82)를 개재하여 결합된다.제2 밸브(82)가 열리면, 순환 파이프(70)의 물이 온수 저장조(20)로 이동한다. 온수 저장조(20)는 보온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온수 저장조(20)의 물은 난방, 생활온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밸브(82)도 체크벨브이다.
한편, 온수 저장조(20)와 냉수 저장조(30) 사이의 순환 파이프(70)에는 제3 밸브(83)가 결합되어 있다. 제3 뱁브(83)는 체크밸브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40)로 얻은 신호를 바탕으로, 펌프(50), 제1 밸브(81), 제2 밸브(82) 및 제3 밸브(83)를 제어한다.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할 경우, 제어부는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제1 밸브(81)와 제2 밸브(82)를 개방하고 , 제3 밸브(83)는 닫아,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온수를 온수 저장조(20)로 이동시킨다. 이때, 냉수 저장조(30)의 차가운 물은 다시 순환 파이프(70)를 채우게 된다.
반면,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하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는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제1 밸브(81)와 제2 밸브(82)를 닫고 , 제3 밸브(83)는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냉수를 순환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100)은 효과적으로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차(10)를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핵심 구성인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벽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상부에 결합된 집광렌즈모듈(12)과;상기 하우징(11) 하부에 결합되며, 집광렌즈모듈(12)로부터 집광된 빛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모듈(13)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모듈(13)은, 상기 하우징(11) 하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2)과;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되는 태양광 셀(1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에 형성된 전선홀(135)을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 셀(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의 발전모듈(13)은 하우징(11)과 착탈가능한 구조로서, 분리가 용이하다. 유지 및 관리가 주로 필요한 부분은 발전모듈(13)로서, 문제가 되는 태양광발전장치(10)의 발전모듈(13)만 분리교체함으로써, 최적의 집광식 태양광발전시스템(100)을 운용할 수 있다. 발전모듈(13)과 하우징(11)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는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131)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다.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넓은 면적의 태양광을 집광렌즈모듈(12)을 이용하여 좁은 면적의 태양광 셀(131)에 집중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태양광 셀(131)은 열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의 발전효율 및 수명을 늘리는 관건이다.
하우징(11)은 벽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이다. 하우징(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우징(11)의 형태는 여러 가지일 수 있으나, 원형의 꼬깔이 이상적이다. 하우징(11)은 하부가 상부보다 좁은 형태인 것이 좋다.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집광렌즈모듈(12)이 결합된다. 집광렌즈모듈(12)은 체결부재(15)를 이용하여 하우징(11)과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집광렌즈모듈(12)은 투명판(121)과, 투명판(121)의 하부에 밀착되어 결합된 집광렌즈부재(122), 투명판(121)과 집광렌즈부재(122)의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씰링부재(123)를 포함한다. 투명판(121)은 강화유리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하우징(11)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과 집광렌즈모듈(12)은 체결부재(15)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씰링부재(123)에 의해서 하우징(11)과 집광렌즈모듈(12)은 밀착된다.
하우징(11)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11)을 통하여, 하우징(11)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게 된다. 관통홀(111)은 커버부재(14)에 의해서 커버되어 있다. 커버부재(14)는 링의 형태로, 하우징(11)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커버부재(14)는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11)의 상부에 집광렌즈모듈(12)이 결합되고 하부에 발전모듈(13)이 결합되면, 하우징(11)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가 된다. 이때, 관통홀(111)도 커버부재(14)에 의해서 커버되었기 때문에 공기의 입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내부나 외부의 강한 공기압이 존재할 경우 관통홀(111)을 통하여 미세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다.
태양광이 집광렌즈모듈(12)을 통과하게 되면 하우징(11)의 내부가 뜨거워지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111)의 내부 공기가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공기는 관통홀(111)을 통하여 커버부재(14)와 하우징(11)의 외벽을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하우징(11) 내부가 냉각되어 내부 공기가 수축되면, 외부 공기가 커버부재(14)와 하우징(11)의 외벽 사이를 거쳐 하우징(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커버부재(14)와 하우징(111)은 완전밀착된 형태가 아니라, 미세하게 틈이 있다. 이러한 틈은 하우징(11)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거나, 커버부재(14)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틈은 먼지가 통과할 수 없을 만큼 미세하다. 커버부재(14)는 탄성력 있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 재질일 수도 있다.
발전모듈(13)은, 하우징(11) 하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2)과; 베이스 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하는 태양광 셀(131)과; 베이스 프레임(132)에 형성된 전선홀(135)을 관통하여 태양광 셀(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133)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32)은 하우징(11)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2)의 상부는 커버부재(14)를 감싼다. 그 결과, 커버부재(14)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 프레임(132)은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외부에는 복수의 프레임 방열판(1321)이 결합되어 있어 방열효율을 높여준다.
베이스 프레임(132)의 하부에는 홈(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36)에는 방열 파이프(6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베이스 프레임(132)의 하부에는 클램프(16)가 착탈될 수 있어서, 방열 파이프(60)에 베이스 프레임(132)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프레임(132)에는 전선홀(135)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선홀(135)을 통하여 전선(133)이 외부에서 하우징(11)의 내부로 연결된다.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선(133)에는 전선홀 밀폐부재(134)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 온수 저장조(20)
냉수 저장조(30) 온도센서(40)
펌프(50) 방열 파이프(60)
순환 파이프(70)

Claims (7)

  1. 삭제
  2.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열 파이프(6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에 결합되어,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방열 파이프(60)로 방열시키는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와;
    상기 방열 파이프(60)의 입구와 출구에 결합되어 냉수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순환 파이프(7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1 밸브(81)를 개재하여 결합하며,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저장조(3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냉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50)와;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온도센서(4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와 이격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제2 밸브(82)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온수 저장조(20)와 상기 냉수 저장조(30) 사이의 상기 순환 파이프(70)에 결합된 제3 밸브(83)를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할 경우,
    상기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81)와 상기 제2 밸브(82)를 개방하고 , 상기 제3 밸브(83)는 닫아, 상기 순환 파이프(70) 내부의 온수를 상기 온수 저장조(20)로 이동시키며;
    상기 온도센서(40)가 설정된 온도 이하를 감지할 경우, 상기 펌프(5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81)와 상기 제2 밸브(82)를 닫고 , 상기 제3 밸브(83)는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냉수를 순환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벽면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상부에 결합된 집광렌즈모듈(12)과;
    상기 하우징(11) 하부에 결합되며, 집광렌즈모듈(12)로부터 집광된 빛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모듈(13)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모듈(13)은,
    상기 하우징(11) 하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하는 태양광 셀(13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에 형성된 전선홀(135)을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 셀(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32)의 외부에는 복수의 프레임 방열판(1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133)에는 전선홀 밀폐부재(13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11)에는 커버부재(14)가 커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온수 전기공급시스템.



KR1020120117165A 2012-10-22 2012-10-22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KR10137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65A KR101372411B1 (ko) 2012-10-22 2012-10-22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65A KR101372411B1 (ko) 2012-10-22 2012-10-22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411B1 true KR101372411B1 (ko) 2014-03-11

Family

ID=5064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65A KR101372411B1 (ko) 2012-10-22 2012-10-22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6035A (zh) * 2022-12-20 2023-03-17 深圳市上古光电有限公司 一种聚光型太阳能观光游览船拓扑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812B2 (ja) 1990-12-21 2000-07-24 デジュルーフ,ミリアム 太陽熱装置
KR100824725B1 (ko) * 2007-05-23 2008-04-24 김현민 이중 집광 렌즈가 구비된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태양 에너지 수집 장치
KR20090001763U (ko) * 2007-08-21 2009-02-25 조이식 태양열을 이용한 연계형 고온축열 난방장치
KR20090095823A (ko) * 2008-03-06 2009-09-10 서대호 태양전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812B2 (ja) 1990-12-21 2000-07-24 デジュルーフ,ミリアム 太陽熱装置
KR100824725B1 (ko) * 2007-05-23 2008-04-24 김현민 이중 집광 렌즈가 구비된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태양 에너지 수집 장치
KR20090001763U (ko) * 2007-08-21 2009-02-25 조이식 태양열을 이용한 연계형 고온축열 난방장치
KR20090095823A (ko) * 2008-03-06 2009-09-10 서대호 태양전지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6035A (zh) * 2022-12-20 2023-03-17 深圳市上古光电有限公司 一种聚光型太阳能观光游览船拓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8334A1 (en) Generating System That Generates Heat and Electricity By Using A Solar Energy
KR20120119259A (ko) 무동력 냉각형 태양전지판
KR101955774B1 (ko) 집광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과 태양광의 집열 구조를 갖는 태양열 집열장치
KR20100007240A (ko) 공기집열식 태양광발전장치
GB2517786A (en) Solar thermal cogeneration device embedded in a sunshade
KR101784989B1 (ko)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한 열전발전 시스템
YEŞİLYURT et al. Techniques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efficiency of photovoltaic systems
KR101372411B1 (ko)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태양광 이용한 온수 및 전기공급시스템
KR102522068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101079642B1 (ko) 태양열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40097057A (ko) 돔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1026743B1 (ko) 집광형 태양광 장치의 하우징
JP2014023259A (ja) 太陽熱発電装置
KR20130077305A (ko)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KR100824402B1 (ko) 하이브리드형 태양전지 모듈
US6857425B2 (en) Solar energy collector system
KR2023010719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14098541A (ja) 太陽熱集熱棒
KR101080111B1 (ko) 태양광 전지판 냉각장치
KR20140095035A (ko) 돔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1918129B1 (ko) 태양광발전기가 일체로 구비된 건축용 패널
KR101273998B1 (ko)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130095579A (ko) 수상용 태양전지
KR102406883B1 (ko) 가열용기용 열전 발전 장치
KR101240306B1 (ko) 집광식 태양광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